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0-40대 기혼 여성의 섹스리스 경험에 관한 연구

        신민정 ( Shin Min Jeong ),임춘희 ( Lim Choon Hee ) 한국가족관계학회 2021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섹스리스로 인한 극심한 부부갈등이나 이혼의 위기를 경험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30∼40대 기혼 여성의 섹스리스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섹스리스인 30∼40대 기혼여성 여섯 명을 개별 심층면담하여 질적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인 30∼40대 기혼여성의 섹스리스 경험을 크게 섹스리스 이전 경험, 섹스리스 부부가 된 이유, 섹스리스로 인한 갈등, 갈등에 대한 대처, 섹스리스 상황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을 때 연구 참여자들은 섹스리스 부부가 되기 전활발한 성생활과 정서적 충족감을 경험하였으나 신혼기에 다양한 원인들로 섹스리스가 되었다. 그로 인해 연구참여자들은 심리내적 갈등과 부부 관계적 갈등을 경험하였으나 그러한 갈등을 회피, 수용과 적응, 적극적 노력으로 대처함으로써 결혼의 위기나 가족해체를 초래하진 않았다. 연구참여자들은 자신들이 섹스리스 부부라고 해도 부부간의 성관계를 긍정적이고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섹스리스로 지내는 현재의 생활에 대해 창피함을 느끼거나 불행한 삶이라고 느끼진 않지만 무언가 아쉬운 삶으로 지각하고 잠재적인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불안감을 느꼈다. 결론: 우리 사회가 섹스리스 부부를 무조건적으로 문제시하는 편견에서 벗어나 활발한 성생활이 없다고 해도 부부간의 신뢰가 있고, 이혼의 위기 없이 잘 지내고 있는 부부들에 대해 보다 수용적이며 지지적인 태도가 필요하다. 부부가 친밀감을 표현하는 다양한 표현방식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러한 섹스리스 부부들의 상황과 요구에 대한 연구와 유용한 정보제공이나 실천적 개입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exless marriage among married women in their 30s and 40s, who are stable and not experiencing marital crisis. Method: Six married women in sexless marriage were interviewed and record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The sexless experience of marri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largely categorized as pre-sexless experience, the reasons for being a sexless couple, conflict caused by sexless, coping with conflict, and awareness of sexless situations.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an active sex life and emotional satisfaction before becoming part of a sexless couple, but they became sexless due to various causes during their honeymoon. As a result, participants experienced psychological and marital conflicts, but by avoiding them, accepting them, adapting to them, and/or dealing with them through active efforts, the lack of sex did not lead to a marriage crisis or family breakup. Despite their reality as part of a sexless couple, they recognized sex as positive and necessary. Furthermore, although, they did not feel ashamed or unhappy about their current sexless situation, they did feel anxious that their marriage could be regrettable and potentially problematic. Conclusions: There is a need to eliminate the prejudice of questioning sexless couples in regard to research and public awareness of sexless couples. There is also a need for a shift in the public perception that sexless couples can have a satisfactory marriage without the risk of divorce if they are affectionate, trustworthy and emotionally connected. Recognizing that there are various ways of expressing intimacy between couples, research on the situation and needs of sexless couples and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r practical intervention needs to be undertaken.

      • KCI등재

        직접적 섹스어필광고와 은유적 섹스어필광고의 비교분석

        박영원(Young-Won Park),노현지(Hyun-Ji Nh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언더웨어 브랜드 광고를 직접적 섹스어필 광고와 은유적 섹스어필 광고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섹스어필 광고 표현의 차이에 따른,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를 성별, 디자인 전공 여부를 중심으로 통계 분석하여 효과적인 광고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언더웨어 브랜드의 특성상 직접적 섹스어필 광고가 여성에게 효과가 높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은유적 섹스어필 광고에 대해 남성이 광고 태도 및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에 높은 호감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디자인 전공 여부에 따라서는 직접적 섹스어필 광고와 은유적 섹스어필 광고 선호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언더웨어 광고에서 직접적 섹스어필 광고의 경우 섹스어필이 상품의 이미지와 조화될 때 여성에게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남성은 언더웨어 브랜드광고에서 은유적 섹스어필 표현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tried the comparative analysis by classifying the underwear brand advertisement into direct sex appeal advertisement and metaphorical sex appeal advertisement.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 expression has been studied by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advertisement attitude, the brand attitude, the purchasing intention based on the gend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 major and the others. As the study result, the conclusion, that the direct sex appeal advertisement on the characteristic of underwear brand has high effect on women, has been drawn. Also, it could be recognizable that men have high preference for the advertisement attitude, the brand attitude and the purchasing intention for the metaphorical sex appeal advertisement. Consequentially, the point that the effect on women can be maximized when the sex appeal expression is in harmony with the image of goods may be identified in case of the direct sex appeal advertisement in the underwear advertisement; it could be recognizable that men expressed their interests for metaphorical sex appeal expressions in underwear brand advertisements.

      • 가상현실 섹스(virtual reality sex)에 대한 고찰

        임세라,배연정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가상현실 섹스(virtual reality sex)는 기술 발달에 의한 새로운 성 활동으로, 가상현실을 통하여 성적 각성을 얻는 일련의 행동들로 구성된다. 가상현실 섹스는 포르노그래피를 보면서 성인용품(sex toys)을 통해 성적 자극을 얻을 수 있다. 가상 현실 섹스는 다른 사람과 직접적인 만남 없이 이상형에 가까운 이성에게 사랑을 느끼며 성적 자극을 얻거나 유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선호될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가상현실 섹스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사실상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르노그래피와 사이버섹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봄으로써 가상현실 섹스와 관련하여 논의되 어야 할 주제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Virtual Reality sex is a relatively new sexual activity due to new technological advancements, which involves a series of behaviors to attain sexual arousal through virtual reality. People are able to attain or maintain sexual arousal by watching virtual reality pornographies with sex toys. Although it will be more likely to be preferred so that individuals feel like falling love with ideal types of men/women and gaining sexual arousal without individuals being faced with others, virtual reality sex research is absence in domestic. Therefore, by examining past research on pornography and cyber sex, it discussed the future research topic related to virtual reality.

      • KCI등재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김은희(Eun-Hee Kim)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68 No.-

        이 글은 일견 극단적 보수주의로 보이는 칸트의 성윤리가 지닌 구조와 다양한 요소들을 분석하고 평가하여 더욱 그럴 듯한 ‘칸트적 성윤리’를 재구성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칸트의 성윤리는 섹스 본성론의 부분과 윤리적 장치의 부분으로 크게 나뉜다. 전자에는 (1) 목적론이 반영된 섹스 본성론과 (2) 인격을 수단화하는 활동으로서의 섹스 본성론이 포함되고, 후자에는 (3) 인간을 수단으로만 이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언명령과 (4) 서로 평등하게 이익이 되는 관계로서의 호혜성이 포함된다. 나는 (1)은 칸트 자신의 철학적 입장과 비정합적임을 보이고 (2)를 이루는 요소들이 모두 논박됨을 보여 도덕적 가치가 이미 탑재된 섹스 본성론이 중립적인 섹스 개념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약 이런 시도가 성공한다면, 칸트의 성윤리에서는 (3)이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 나는 (3) 즉 정언명령을 성적 활동의 문제에 있어 어떻게 해석하여 적용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노직, 맵스, 오닐, 누스바움이 각각 대표하는 재해석의 스펙트럼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칸트적 성윤리’의 모습을 그려볼 것이다. 이는 좀 더 관계와 맥락에 민감한 버전의 자유주의적 성윤리의 모습으로 보인다. 이 입장에 따르면 (4)에 해당하는 섹스의 도덕적 구제책으로서의 결혼 장치는 불필요하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reconstruct Kant’s sexual ethics into a more plausible version of ‘Kantian sexual ethics’ by analyzing and appreciating the structure and various elements of Kant’s sexual ethics. I show that Kant’s sexual ethics is divided into ideas of sex and the frames of ethical judgments. The former is analyzed into (1) the teleological conception of sex, and (2) the conception of sex as activities exploiting persons. The latter is analyzed into (3) the categorical imperative prohibiting the exploitation of persons and (4) reciprocal marriage as an equal legal relation. I argue that, first, (1) is inconsistent with Kant’s own philosophical project, and second, all the elements in (2) are refuted, and then argue that his idea of sex lading moral values should be changed into value-neutral ideas of sex. If this is the case, (3) is supposed to become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Kant’s sexual ethics. I try to give the outline of ‘Kantian ethics’ by reviewing various interpretations in regard to how to apply the categorical imperative to the problems of sexual activities. The outcome might look like liberal sexual ethics, according to which (4) is unnecessary.

      • KCI등재

        전통적 성윤리에 기반한 섹스로봇에 대한 도덕적 가치판단은 정당한가?

        김태경 한국동서철학회 2023 동서철학연구 Vol.- No.107

        With the rise of sex robots, new ethical issues have been raised. Among these problems, the most popular one is that the development and use of sex robots should be prohibited because human behaviour toward sex robots is quite similar to human immoral sexual behaviour. On this, I point out that the main concepts used in these claims are based on comprehensive traditional sexual ethics that cannot ask for specific value judgments about sex robots. In particular, I indicate that the concepts of 'act' and 'agent' that are used in traditional sex-ethics cannot be appli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sex robots, and the ethical worries on sex robots starts with the application of the wrong the conceptual approach. This does not mean that moral judgment on sex robots is not impossible, but carefully suggests that moral judgment on sex robots should be withheld until new perspectives are established through various studies. 인공지능의 개발로 등장한 섹스로봇은 우리의 성생활에 대한 새로운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보이지만 인간의 외형과 능력을 닮아 있다는 이유로 우리 사회에 심각한 윤리적 우려를 낳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 이러한 주장들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인간의 섹스에 대한 전통적 개념틀을 근거로 섹스로봇의 개발과 사용이 심각한 윤리적 문제를 낳을 것이기 때문에 섹스로봇의 개발과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논자는 이에 대해 이러한 주장들이 포함하는 주요개념들이 섹스로봇 문제에 대해 어떠한 가치판단을 내릴 수 없는 전통적 성윤리에 기반하고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특히, 전통적 성윤리가 기초하고 있는 ‘행위(act)’ 그리고 ‘행위자(agent)’의 개념이 섹스로봇에 적용될 수 없음을 보임으로써 섹스로봇에 대한 윤리적 우려는 잘못된 개념의 적용으로부터 출발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낼 것이다. 이 글의 마지막에서 논자는 섹스로봇에 대한 가치판단이 불가함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관점을 정립하기까지 가치판단을 유보해야 함을 제안할 것이다.

      • KCI등재

        섹스로봇 (Sex robot)의 상용화가 갖는 윤리적 문제와 윤리적 정당성 확보에 대하여

        김태경(Kim, Tae-Kyung)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5 No.1

        레비 (David Levy)는 2007년 그의 저서 Love and Sex with Robot 에서 인간이 로봇과 성관계를 갖는 것이 일상화 될 날이 멀지 않았고, 매춘과 같은 부분에 있어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2010년 기존의 섹스돌(sex doll)에 인공지능을 탑재한 트루컴퍼니언(Truecompanion)사의 ‘록시(Roxxxy)’로부터 성적 교감뿐만 아니라 철학, 과학, 음악에 이르는 다양한 분야의 대화와 일상적인 농담 역시 가능한 2015년 리얼보틱스(Realbotix) 사의 ‘하모니(Harmony)’에 이르기까지 섹스로봇산업의 규모와 기술력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에 섹스로봇이 인간의 모든 성생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 역시 가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다. 대표적으로 리차드슨(Kathleen Richardoson)은 레비의 주장에 내재된 심각한 윤리적 문제에 주목하며 섹스로봇의 개발과 상용화를 반대한다. 특히, 레비가 예를 들고 있는 매춘 산업에 있어 섹스로봇이 사람을 대신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하여, “여러 관계 속에서 마주하게 되는 사람을 권리를 가진 인격체(person)가 아닌 사물(things)로 간주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섹스로봇의 개발과 사용은 윤리적으로 정당하지도 안전하지도 않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이들 중 하나의 입장을 견지하거나 옹호하지 않는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섹스로봇의 개발과 사용이 갖는 이점과 리차드슨이 제시한 윤리적 문제점 등을 검토하고, 이에 대해 취할 수 있는 윤리적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말미에는 피터 싱어의 ‘이익평등고려의 원칙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에 근거하여 섹스로봇의 개발과 사용은 윤리적으로 정당화 될 가능성이 있음을 조심스럽게 검토해 볼 것이다. David Levy, in his book Love and Sex with Robots (2007), argues that it is not too long before humans will have sex and fall in love with robots and that robots will replace humans in prostitution. In fact, in 2010, ‘Roxxxy’ of Truecompanion, which is basically a developed version of the existing sex doll, was created. It comes with an A.I. system that can learn the user’s sexual interests. The ’Harmony’ (2015) of Realbotix is capable of dialogues in many different fields from philosophy to science. It also has the capacity to feel and to learn its user’s orgasmic pattern. Like this, the size and technology of the sex robot industry is growing rapidly. It may also be possible to predict that sex robot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ex life of all humans. However, Kathleen Richardson focuses on the serious ethical issues involved in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robots and Levy’s argument. In particular, with regards to the claim that sex robots will become a substitute for the prostitution industry, she argues that “extending relations of prostitution into machines is neither ethical, nor is it safe,” and that the “development of sex robots will further reinforce relations of power that do not recognise both parties as human subjects.” If she is right, then the commercialization of sex robots may disrespect human dignity because she consistently claims that “you can have sex without love, you can have love without sex, but you cannot have love and sex outside of personhood”. This study does not endorse or advocate Levy’s or Richardson’s positions.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thical perspectives that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ethical issue presented by Richardson. By examining the advantages of the development and use of sex robots and the ethical problems presented by Richardson, I will carefully suggest the possibility of ethical just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sex robots based on Peter Singer’s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 KCI등재

        섹스로봇과 상징적 재현의 문제

        신상규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인문과학원 2021 탈경계인문학 Vol.14 No.1

        Recently, there has been a debate about Real Doll in Korea. It seems that there has never been such a hot discussion in Korea regarding adult products. The above criticisms on real dolls are objections that can be applied to sex robots that will appear in the future. This paper examines those objections in relation to sex robots, and tries to assess the limit of the individual's sexual freedom that can be socially recognized.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reasons for favor or disagreement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sex robots, centering on Kathleen Richardson's view, and evaluates its justification. The most important issue implied by Richardson's criticism is the symbolism of sex robots. It is criticized that sex robots are a symbol that promotes distorted perception of sex by sexually objectifying women, and that ignores the norm of gender-related consent norm of sex. This paper focuses on criticism of sex robots based on symbolism in particular, and considers how to circumvent such criticism. 최근 우리나라에서 리얼돌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성인용품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 이처럼 뜨거운 논의가 진행된 적은 없었던 듯하다. 리얼돌에 대한 위와 같은 지적들은 앞으로 등장할 섹스로봇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반론들이다. 본 논문은 섹스로봇과 관련지어 위와 같은 반론들을 검토하고, 섹스돌을 사회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방안의 가능성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먼저 캐슬린 리처드슨(Kathleen Richardson)의 견해를 중심으로 섹스로봇의 도입과 관련된 찬성이나 반대의 이유를 살펴보고 그 정당성을 평가한다. 리처드슨의 비판이 함축하는 가장 중요한 논점은 섹스로봇이 갖는 상징성이다. 섹스로봇은 여성을 성적 대상화하여 성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조장하며, 성과 관련된 동의 규범을 무시하는 상징이라는 비판이 그것이다. 본 논문은 특히 상징성에 입각한 섹스로봇에 대한 비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이러한 비판을 우회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 KCI등재

        융합시대의 대학생 성문화 연구(사랑의 유형이 대학생의 캐주얼 섹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김영기,박미숙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사랑의 유형이 캐주얼섹스(Casual Sex)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성문화를 이해하고 성상담과 성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대전지역 86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IBM/SPSS 20.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캐주얼 섹스의 행동과 사랑의 유형 중 열정이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책임이 높을수록 캐주얼 섹스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열정이 높을수록 캐주얼 섹스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과 달리 아직까지 한국에서는 이성교제 중에 캐주얼 섹스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성교제가 활발한 대학생의 성교육이나 성상담시 사랑의 유형의 연구를 활용해서 준비되고 책임있는 성행동을 논의하고 교육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캐주얼 섹스(casual sex)의 성행동은 우리나라에도 이미 존재하지만, 캐주얼 섹스를 주제로 한 연구는 아직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캐주얼 섹스(casual sex)는 융합시대 젊은이의 성을 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변인에 관한 후속연구가 계속 진행된다면 성상담과 성교육의 기초 자료와 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purposed to find the effects of casual sex for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xual culture of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counsel the sexual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868 college student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SPSS 20.0 program. As a result, the passion of college student affected the casual sex very positively. As the rate of responsibility increases, it affects negatively attitude and behavior of casual sex. To go further, the rates of passion influences positively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casual sex. For this kind of results, as the casual sex of college student in South Korea is behaved in the dating relationship different to America and the dating is very common in South Korea, it is also showing the criticalness and neediness of the sexual educations about the responsibility of sexual behaviors. Among the college students, the casual sex and casual relationships are already behaved through them. However, the researches of the casual sex is difficult to be found in South Korea. In now days, the casual sex is representing the sexuality of young adults in this united ages.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es will be well appli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s for sexual counsels and sexual educations.

      • KCI등재

        사이버 섹스 : 새로운 친밀성의 가능성인가? A New Possibility of Intimacy?

        심영희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2

        이 글에서는 사람들이 사이버 섹스에 몰입하는 현상에 주목하여 1) 사이버 섹스는 무엇이며 얼마나 일어나고 있나? 2) 사이버 섹스가 증가하고 있다면 이의 사회구조적 맥락은 무엇인가? 친밀성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면 이 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들은 무엇인가? 3) 친밀성의 구조변동이라는 맥락에서 사이버 섹스의 위치, 의미는 무엇인가? 등을 연구질문으로 던지고 접근하였다. 여기에서 사이버 섹스는 가상세계와 언어적 성이 결합한 것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현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버 섹스는 사이버 성폭력, 사이버 성중독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사이버 섹스가 나타나고 증가하는 사회구조적 맥락으로서는 위험사회, 정보화사회의 등장을 들 수 있다. 핵가족에 기반한 산업사회가 개인주의에 기반한 위험사회로 변화해가면서 사랑도 낭만적 사랑에서 "합류적 사랑"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사이버 섹스는 이 '합류적 사랑'의 특징에 정보화사회의 특징이 더 보태진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이버 섹스는 개인주의화로 특징되는 위험사회에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개인주의화와 잘 맞는 새로운 친밀성의 유형 제공 : 개인의 경계유지와 친밀성 욕구 동시 만족, 2) 욕망의 담론화 3) 경험의 격리, 4) 대리만족 등이 그것이다. This article is aimed to deal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sex and how much does it occur? 2) If cyber sex is increasing, what is its social structural context? 3) What is the meaning of cyber sex in the context of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intimacy? The term "cyber sex" as I use in this article refers to a liguistic sex in the internet. Cyber sex can be defined as a sort of "merging love" characterized by individualism in a risk society o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society are added. And cyber sex seems to have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first, it provides a new intimacy well-fitted with individuation, that is, it simultaneously fulfills boundary maintenance needs and intimacy needs of the individual; second, it satisfies discursive formation of desire; third,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sex without getting into real sex, that is, segregation of experience; fourth, it provides substitute satisfaction.

      • 대학생의 캐주얼 섹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고통에 미치는 영향

        박미숙,정사무엘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5 기업경영리뷰 Vol.6 No.2

        Now days, the sexual culture of college student is changing quickly and the casual sex is one of the example of the situation. The casual sex means having unexpected sexual relationship without responsibility and promise in the future. This research is observing how the casual sex affects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First of all, the behavior and attitude of the casual sex i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s on the sex. Mostly, Male rated higher than female on both of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casual sex. In depend on colleges, Universities rated higher than 2-year course colleges and Freshman rated higher than Sophomore but Junior and Senior marked higher than Freshman about attitude and behavior of casual sex. In difference on religion, non-religion marked the highest and christianity rated lowest. Students who have been advised rated higher than who did not have an advice about casual sex and students who are not living in their parent’s house rated higher attitude and behavior of casual sex. Second, casual sex e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casual sex is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distress,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of life but the casual sex also effects negatively to happiness of self-realiz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In third, the attitude of casual sex effects self-esteem which in under category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trast, the behavior effects self-efficiency, satisfaction of life. Furthermore, both of the attitude and the behavior of casual sex effects happiness of self-realiza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After the research about who casual sex e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mostly male students were affected than female students and the Freshmen were more affected than any other grades 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also Freshmen were negatively impacted than other grades. To sum up, this study’s purpose is to develop the sexual education, to remind the importance of sexual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sexual counseling through the research of college students’ casual sex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istres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캐주얼 섹스(casual sex)가 심리적 안녕감 및 고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대학생의 성문화를 이해하고 대학생의 성교육의 필요성을 고취시키며, 성상담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대학생의 캐주얼 섹스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성별의 차이는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캐주얼 섹스의 성태도와 성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캐주얼 섹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고통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주얼 섹스의 성태도와 성행동 모두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 심리적 고통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실현 행복, 심리적 안녕, 자존감에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캐주얼 섹스의 성태도는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소 중 자존감에 영향을 미쳤고, 성행동은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캐주얼 섹스가 심리적 안녕감과 심리적 고통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본 결과, 성별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 집단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고, 학년별로는 1학년 집단의 심리적 고통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내용과 방법, 적절한 성교육 시기, 성교육의 중요한 대상자 등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생 성교육의 필요성을 고취시키고, 성상담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성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