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황이론의 토대로서 세이법칙의 재조명

        이승모 한국제도경제학회 2016 제도와 경제 Vol.10 No.2

        케인즈는 세이법칙을 ‘공급은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라고 정의를 내리고, 세이법칙을 토대로 한 고전파는 불황과 실업의 존재를 부인하다고 비판하면서, 불황과 실업의 원인을 유효수요 부족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고전파의 언급을 통해서 세이법칙을 ‘수요는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공급에 의해 형성된다’라고 재조명하고 있는 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고전파는 불황과 실업의 존재를 부정하지 않았으며 불황과 실업의 원인은 오히려 재조명된 세이법칙으로부터 도출된다. 재조명된 세이법칙에 따르면, 불황과 실업의 원인은 총수요의 부족이 아니라 수요구조에 부응하지 않는 생산구조이다. 따라서 불황의 대책은 총수요의 증가가 아니라 생산구조를 수요구조에 부응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이것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은 역설적이게도 정부가 시장에 개입을 하지 않고 오히려 자유시장이 구축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Keynes defined Say’s Law as “Supply creates its own demand”. He criticized that classical economists, who stand on the basis of Say’s Law, deny the existence of recession and unemployment, and explained that the cause of recession and unemployment is the deficiency of effective demand. But a few economists shed a new light on Say’s Law through the classical economists’s mentions. They redefine Say’s Law as “Demand is constituted by only the supply which has been added value.” On the basis of the reinterpreted Say’s Law, they argue that the cause of recession and unemployment is not the deficiency of effective demand but the structure of production(i.e. supply) which does not match the structure of demand. Therefore a countermeasure against recession is not an increase in aggregated demand but an adjustment of the structure of production to the structure of demand. In conclusion, the way to realize the countermeasure is ironically not the intervention of government but the construction of a free market.

      • KCI등재

        이토 세이 문학과 문화전이로서의 번역

        최정원 ( Choi Jeongwon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3

        본 연구는 일찍이 일본에 서구 모더니즘을 소개하고 신심리주의(新心理主義)를 제창한 문학평론가이자 소설가, 번역가, 또한 시인인 이토 세이(伊藤整 1905~1969)의 다방면에 걸친 문학 활동 중 번역활동에 주목하였다. 이토 세이라는 번역자가 원전(Ulysses,1922)의 번역에 의해 경험하게 되는 문화번역 과정은 소설가 이토 세이의 신심리주의 실험작이라는 재창조의 결과물(문화전이)로 완성된다. 이토 세이는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 번역을 통해 자신의 문학적 영토(홋카이도)를 새로운 시각으로 마주하게 되었으며, 『율리시즈』에 나타난 식민지 문화를 이토 세이 자신도 그의 소설 창작에서 발현시킨다. 원전을 번역하는 과정은 번역자의 세계관과 사회, 문화적 배경이 무의식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번역자의 문화이해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이토 세이의 번역행위가 언어적 의미만을 전달하는 단순번역이 아니라 문화전이의 과정임을 증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번역자 이토 세이의 언어능력과 원전(율리시즈)의 문화에 대한 탁월한 이해능력에 중점을 두면서 최근의 탈식민지연구에서 주목하는 호미바바의 문화번역이론을 대입하여, 『율리시즈』 번역과정에서 촉발되어 창작된 이토 세이 소설이 성공적인 문화전이의 사례임을 논하였다. 또한 다른 문화와의 충돌은 파괴가 아닌 융화와 재창조(re-creation)라는 번역의 본질적 의미를 실천한 이토 세이의 문학적 위상을 재정립하려하였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ranslation activity of Sei Ito (1905~1969), who translated and introduced European modernism theory to Japan in the early stage, among various literary activities, as a literary critic who insisted on neo-psychologism(新心理主義) as well as a novelist, translator, and poet. Cultural clash that went through Sei Ito's translation process of the original (Ulysses, 1922) was completed with the output of Sei Ito's neo-psychologism experimental novels. Sei Ito faced Hokkaido, his own literary realm, with a new viewpoint through translation of James Joyce's Ulysses, expressing colonial culture in Ulysses in his own novel creatio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is unconsciously reflected with the translator's Weltanschauung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accordingly, cultural competence of translator is significant. This verifies that Sei Ito's translation is not a mere translation that delivers verbal significance but a process of cultural trans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ei Ito's novel, created based on inspiration by the translation process of Ulysses, was a successful case of cultural translation by paying attention to his excellent intercultural intelligence of the original. Also, intended to reestablish literary ideology of Sei Ito, which practiced the essential significance of translation, i.e. cultural clash is not destruction but harmony and re-creation.

      • KCI등재

        전쟁과 서사, 그리고 재조일본인(在朝日本人)의 아이덴티티: 汐入雄作와 宮崎淸太郞의 소설을 중심으로

        서승희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8 No.-

        Shioiri Yusaku(汐入雄作) and Miyazaki Seitaro(宮崎淸太郞) are Japanese writers, who worked in the literary world of Joseon in the 1940s. Literature, which they considered, was closely related to the national policies of Japan; the war and construction of the Greater East Asian Co-Prosperity Sphere, and the placeness of Joseon. This article is intended to consider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writing of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during the period of the Pacific War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novels of the two writers. First, the novels of the two writers in 『Munhwajoseon(文化朝鮮)』 reveal the interest of the magazine in beauty and custom of Joseon. Seitaro was interested in spreading the excellence of the Greater East Asian culture by showing the daily life that Korean people and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coexisted, especially the food culture, while Yusaku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eauty, which belonged to the country, using a narrative to enlighten Korean people. On the other hand, the novels of the two writers in 『Sinbandomunhakseonjip(新半島文學選集)』 display the inner side and ordinary life of 'Sinbando(new peninsula)' on a war footing. Yusaku constructed a narrative to pose a question whether Korean people could die for the country, whereas Seitaro described the daily life of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as exemplary people. However, Seitaro revealed the true picture of Gyeongseong City full of complaints, violation and disorder in that process. When the novels of the two writer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narrative of Shioiri Yusaku explicitly described the attitude of the colonial ruler, but Miyazaki Seitaro showed a generous attitude towards Korean people and stressed an introspective attitude of Japanese people by mirroring the detail of Joseon life realistically. But Miyazaki Seitaro kept his silence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between Korean people and Japanese settlers in colonial Korea and drew a conclusion, which returned to identity as a ‘Japanese’, not as a ‘Japanese settler in colonial Korea’. Although their writing styles were different, Joseon only meant part of the Japanese empire to them. 시오이리 유사쿠(汐入雄作)와 미야자키 세이타로(宮崎淸太郞)는 1940년대 전반기 조선 문단에서 활동한 재조일본인(在朝日本人) 작가들이다. 그들에게 문학이란 전쟁과 대동아공영권 건설이라는 일본의 국책, 그리고 조선이라는 장소성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두 작가의 소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태평양전쟁기 재조일본인 작가의 글쓰기가 지니는 특징과 여기서 드러나는 재조일본인의 아이덴티티 문제를 생각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文化朝鮮』에 수록된 두 작가의 소설은 조선의 미와 풍속에 대한 잡지의 관심에 부합하는 특징을 드러낸다. 유사쿠가 조선인을 계몽하는 서사를 통해 국가로 귀속되는 아름다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면, 세이타로는 조선인과 재조일본인이 공존하는 일상, 특히 음식 문화를 통해 대동아 문화의 우수성을 전달하고자 했다. 한편, 『新半島文學選集』에 수록된 두 작가의 소설은 전시체제하 ‘신반도’의 내면과 일상을 드러낸다. 유사쿠가 조선인이 과연 국가를 위해 죽을 수 있을 것인가를 타진하는 서사를 구성한 데 반해, 세이타로는 모범 국민인 재조일본인의 일상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세이타로는 그 과정에서 불평과 위반, 무질서로 가득한 경성 시가지의 실상을 부각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두 작가의 소설을 비교해 보건대, 우의성과 환상성을 도입한 시오이리 유사쿠의 서사가 식민 지배자의 태도를 명시적으로 드러내고 있다면, 조선 생활의 디테일을 리얼하게 반영한 미야자키 세이타로의 서사는 조선인에겐 관대하고 일본인 스스로를 향해서는 성찰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그러나 미야자키 세이타로 역시 조선인과 재조일본인 사이에 존재하는 위계 구조에 대해서는 침묵하였고, ‘재조’보다는 ‘일본인’으로서의 아이덴티티로 회귀하는 결론을 보여주고 있다. 각기 형상화하는 방식은 달랐으나 그들에게 조선이란 제국 일본의 일부로서만 의미를 지녔던 것이다.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교사가 산출한 문학

        신승모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0 한국문학연구 Vol.0 No.38

        This thesis was to review how the ontology, which the management in human named ‘the education’ fundamentally has, and the contrived ‘nationalization’ designed by the colonialism in the early 1940s acutely conflicted at most through the literatures produced by Japanese teachers in Chosun(Korea in Japanese colonial era proceeded). Firstly, I examined the literal backgrounds how the literatures of the Japanese teachers who lived in Chosun debuted in the literary circle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the contexts of Korean peninsula's ‘national language’(Japanese). In addition, I analyzed the forms of the ‘image of educator’, which were shown in each work. There were few writers who were teachers in Japanese colonial era among the Japanese writers who lived in Chosun and debuted their works on the Chosun literary People's Association and 『kokuminbungaku(国民文學)』 as their main stages including the ‘national language’ writers who were grown up in Chosun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the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ey mainly expressed the interactions between Japanese teachers, Chosun students and Korean teachers who were their colleagues based on their teaching lives and experiences. Obi Juzo(小尾十三), Miyajaki Seitaro(宮崎清太郎) and Kubota Yukio(久保田進男) who this thesis reviewed, are included in this writer group. I concluded the two facts by considering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literatures which they produced. Firstly, the ideal image of educator = their self-image from ‘outside’, which they pursued and formed, was developed ex post facto through their awareness of substitutes for Chosun people (students and teachers) all the time rather than leading and viewing ‘transcendentally’. Also, they were reformed as the outside ‘teachers’ by ‘being driven’ from Chosun people. Internalizing the image of the ‘model’ educator, which was ruminated through Chosun people, and being the ‘teacher’, who was superior to the ‘Chosun people’, based on the superiority of ‘national language’ were their self-reformed politics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Chosun. Next, they formed the image of educator who pursued the whole-person education which assisted growing human being even though they accepted the educational beliefs sent by Japan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national literary theory(国民文学論)’ in that period. However, they suggested the most ‘ideal’ real examples of ‘national literature(国民文學)’, which the discussion about the ‘national literary theory’ considered by connecting the general human nature to the special nationality in the stage, ‘outside’, and finally produced the works which were subordinated to the ‘nation’. 본고는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교사가 산출한 문학을 통해 ‘교육’이라는 인간의 영위가 근원적으로 지니는 존재론적인 입장과, 1940년대 전반기 식민주의가 기획했던 작위적인 ‘국민화’가 가장 첨예하게 마주 대하는 광경을 지켜보면서 그것이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검토한 것이다. 우선 재조(在朝)일본인 교사의 문학이 문단에 등장하게 된 문학사적 배경을 반도 ‘국어’(일본어) 문단의 형성과정과 조응해서 살피고, 개별 작품 속에 나타난 ‘교육자상’의 형상을 분석해가는 순서로 논의를 진행했다. 동인지의 활동을 통해 성장한 조선 내 자생적 ‘국어’ 작가들을 포함하여, 조선문인협회, 『國民文學』을 작품 발표의 주 무대로 삼아 등장한 재조일본인 문학자 중에는 직업이 식민지 교사인 작가들이 소수지만 존재했고, 이들은 자신의 교사생활과 경험을 토대로 작품 속에서 주로 일본인 교사와 조선인 학생, 또는 동료 조선인 교사와의 교류를 그려냈다. 본고에서 논의하게 될 오비 쥬조(小尾十三), 미야자키 세이타로(宮崎清太郎), 구보타 유키오(久保田進男) 등이 이 범주에 속하는 작가군인데, 이들이 산출한 문학의 양상과 의미를 검토해보면 크게 두 가지 사실을 도출해낼 수 있다. 우선 이들이 추구하고 형상한 이상적인 ‘외지’의 교육자상=자기상은 ‘선험’적으로 선취, 견지되는 성질의 것이 아니라, 언제나 조선인(학생, 교사)에 대한 대타의식을 통해 사후적으로 조형되어 가는 것이며, 그들은 조선인에 ‘이끌려서’ 외지의 ‘교사’로 거듭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선인을 통해 반추되는 ‘모범’ 교육자상을 내면화하면서, ‘국어’의 우위를 바탕으로 ‘그들’보다 우위에 서는 ‘교사’로 거듭나는 일은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교사가 경험한 자기성형의 정치학이었다. 다음으로 이들은 식민 본국에서 발신되던 교육 이념과 동시대 ‘국민문학론’의 논의를 수용하면서도, 일견 인간됨의 자람을 돕는 전인교육을 지향하고 있는 듯이 보이는 교육자상을 작품 속에서 형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은 ‘외지’를 무대로, 보편적 인간성을 특수적 국민성에 결부시키면서 종극에는 ‘국가’에 종속시킨 작품을 산출함으로써, 동시대 ‘국민문학론’ 논의가 고심했던 ‘국민문학’의 가장 ‘모범’적인 실례(實例)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근세초기 구어자료에 나타나는 「べし」의 사용양상 - 『昨日は今日の物語』와 『醒睡笑』를 중심으로 -

        李粹晑 ( Lee Su-hyang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7

        본 논문은 근세초기 구어자료에 나타나는 「べし」의 사용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昨日は今日の物語』와 『醒睡笑』를 대상으로, 활용형과 의미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고찰결과 다음의 사항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활용형은 회화문과 지문에서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べし」는 둘 다 회화문에서의 사용빈도가 조금 높았다. 두 자료에 나타나는 활용형의 분포를 종합해보면 전체적으로 「べし」가, 「べき」보다 사용률이 약간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중세후기의 경향이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중세부터 나타난 연용형과 이연형의 감소경향도 확인되었다. 둘째, 종지형이 사용되어야 할 곳에 연체형이 사용된 예가 소수 발견되었는데 이것은 중세후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한 <종지·연체형의 합일화 현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べし」의 활용형에 접속하는 품사의 종류로는 동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른 품사는 소수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昨日は今日の物語』에 나타난 「べし」의 의미는 [의지]-[추량]-[당연·필연]-[적당·권유·명령]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醒睡笑』에서는 [추량] [당연·필연]-[가능]-[적당·권유]-[의지]의 순서로 나타났다. [의지]의 의미를 제외한 [추량]과 [당연·필연]은 같은 사용빈도의 순서를 보이고 있는 점과 두 자료 전체의 사용양상을 살펴본 결과를 통해 [추량]과 [당연·필연]이 주된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べからず」는 4예 중에서 [금지]가 3예, [불가능]이 1예 나타났다. 현대일본어에서 「べからず」는 주로 [금지]의 의미에 사용되고 있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파악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use of ‘Beshi’ in the Kinouwa kyounomonogatari and Seisuisyo in order to examine the meaning and utilization type of “Beshi” in the early modern era. The result of examin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versation type and the text was not significant, but ‘Beshi’ in both Kinouwa kyounomonogatari and Seisuisyo was slightly higher in the conversation type. Taken together, the overall use rate of ‘Beshi’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Beki’, which can be said to reflect the tendency of the late Middle Ages. In addition, the trend of decrease in < renyoukei > and < izennkei > was confirmed from the Middle Ages. Second, the phenomenon of ‘continuous shape coalescence’ that appeared from the late Middle Ages was confirmed. Third, it can be seen that verbs accounted for most of the types of word class connected to the utilization of ‘Beshi’, and other word classes were limited to a few. Fourth, excluding the meaning of [will], [Conjecture] and [Naturalness·Inevitability] show the same order of use,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sage patterns of both data show that [Conjecture] and [Naturalness·Inevitability] are used as the main meanings. Fifth, among the four cases of ‘Bekarazu’, three were [Prohibition] and one was [impossible].

      • KCI등재

        강항(姜沆) 이 본 일본(日本)

        이희재 ( Hee Jae Lee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0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5 No.2

        강항 (명종 22년-광해군 10년; 1567-1618)은 정유재란이 일어난 해인 1597년에 일본에 포로로 끌려가 2년 8개월 동안 억류되었다가 돌아왔다. 그는 귀국 후 <<간양록(看羊錄)>>을 편찬하여 당시 일본의 정황을 소개하였다. 강항은 교토의 후시미성으로 옮긴 후 당시 교토 오산(五山)의 하나인 소코쿠지의 상국사(相國寺)의묘수원(妙壽院)의 중으로 있던순(舜) 수좌(首座) (훗날 후지와라 세이카) 와의 관계는 각별하였다. 중국과 조선의 유교문화를 흠모하던 그는 강항의 영향을 받아 유자(儒者)로 독립하고 일본 유학의 창시자가 된 인물이다. 후지 와라 세이가의 학통은 겐닌지(建仁寺)의 승려출신으로 막부정권의 시강으로 교육의 책임을 맡았던 하야시 라잔(林羅山;1583-1657) 과 동문인 마쓰나가(松水 尺五,1592-1657)를 거쳐 일본 주자학을 집대성한 경도(京都) 묘심사(妙心寺)출신의 야마자키 안사이(산기(山崎) 암제(闇齊),1618-1682)로 이어졌다. 이처럼 강항과 교류하고 배웠던 순 수좌가 에도시대 일본주자학의 주류가 되었고 중세적 사상을 일신하고 인간사회의 질서를 주축으로 하면서도 중화사상이 아닌 일본중심적인 현실적 근세사상의 발전으로 나아가게 된다. 강항은 당시 일본 승려에 대해 그는 승려만은 칼을 차지 않았으며, 승려들은 의술을 배우기도 하고 혹은 장사치가 되기도 하고, 혹은 점도 치고, 더러는 장군 집 다실소재로 구실을 삼기도 하며, 이런 종류의 승려들은 다 처자를 두고, 술도 마시고, 고기도 먹으며, 뿐만 아니라 저자 거리에 그대로 섞여 살림을 하고 산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산림에 숨어 사는 승려도 있었는데, 이들의 직위는 아래로부터 장사(藏師) 수좌(首座) 동당(東堂) 서당(西堂) 화상(和尙) 그리고 장로(長老)에 이르는 직제를 가지고 있었다 강항과 사귀었던 후지와라는 수좌의 지위에 있었다. 당시 일본은 불교사찰이 2,958개며, 신궁이 27618개로 신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남자는 1994828명이고, 여자는 2904820명으로 남자의 수가 백만 가까이 적은 것은 것도 기록하고 있다. 신사에 있어서 천조황대신궁(天照皇大神宮)은 그의 시조가 녀신(女神) 이라하며 웅야산(熊野山)의 권현수신(權現守神)은 서복(徐福)이며, 애탕산(愛宕山)은 권현 수신은 신라에서 온 일라(日羅)가 신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춘일(春日)의 대명신(大明神), 팔번(八幡)의 대보살, 대랑방(大郞房), 소랑방(小郞房)등의 신을 주워 세자면 그 수효가 얼마가 될는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고 기록한다. 일본의 상무(尙武) 정신의 시스템을 그는 신상필벌의 제도에 기인한다고 보았다. 전지(戰地)에서 죽으면 그의 아들이나 아우가 그 직품(職品)을 계승한다. 이예수 수웅(伊豫守 秀雄)이 진도에서 병사하자 그의 아들 손사랑(孫四郞)이 바로 진중에서 그의 직을 가로맡았고, 래도수(來島守)가 전라우수영에서 전사하자 그 아우가 그의 성을 차지하고 살았다는 것이 그 실례이다. 간양록을 기록한 강항은 파란만장한 포로생활속에서도 후지와라 세이가와의 교류를 통해 조선의 성리학을 전했으며 그 또한 일본의 승려들과 만나 면서 일본의 실정을 이해하고 이를 착실히 기록하여 자신의 고난의 역정이 무의미하지 않게 했다. Sooeun Kang Hang(수은(睡隱) 강항(姜沆) 1567-1618) was kidnapped in 1597 by Japanese military to stayed 2 years 8 months. He returned back to Korea to write <<Kanyangrok(看羊 錄)>>, the document about Japan`s information. When he stayed Japan, he exchange friendshipwith Hujihara Seiga(藤原惺窩) who was the pioneer of neo-Confucianism in Japan. His kidnap root was from Tzushima(對馬鳥)-Ikishima(壹岐鳥)-Shimonoseki(下關)- pass to Nagasaki(長崎) and arrived Otsu castle(大津城) and had stayed there. Later, passed Osaka castle(大坂城) and moved Fushimi castle(伏見城) in Kyoto. He was well write about Japan overcame dangerous crisis. He recorded on castle and house, he wrote that Japanese houses use timber that made what it simple to slim and smooth and no care strong or not. The houses burned away by too many combats easily. The strong houses no more important then slim. Castles placed the top of the mountain, distant riverside and seashore. They flatten the top of mountain and make keen four corners with stone that impossible up and down anybody. In the gate pile up gravels and enclose wall outside castle. There are muzzles of gun here and there at the wall slope. The outside of wall dig deep hole and supply water from river. On Buddhist temples, he mentions that Japanese men became monks about 40-50%, they learn medical technology, doing business, fortune teller, and cleaner of tea room in Shogun house. They have family, drinking wine, eating meat and fish and living with mundane people. The monks belong to Shogun family named Su(寺), In(院), Houin(法印). While different monk group faithful Buddhist doctrine, they have no family, never eating meat and fish and hermit life in the forests. They positions rank named from Jousi(藏師), Shuso(首座), Toudou(東堂), Seidou(西堂), Wazhou(和尙) to Jourou(長老). On Jinja(神社), he mentions that the building decorate palatial, luxury and dazzling golden color. Dainsho Koutajingu(天照皇大神宮)`s ancestor is female god. Kumanosan(熊野山)`s avatar god is Seobok(徐福) from China, Atagosan(愛宕山)`s avatar god is Ila(日羅) from Korea. He talks gods of Japan such as Kasga(春日)`s Daimyoujin(大明神), Hatziman(八幡)`s Daibosatzu(大菩薩), Dairoubou(大郞房), Shouroubou(小郞房) and there are uncountable gods in Japan. When Japanese conclude a pact, they made somecommandment and necessarily swear before to these gods each other. At that time, there are 2,958 Buddhist temples and 27,618 Shintou shrines in Japan. He records that the population of men are 1,994,828 persons and women numbers are 2,904,820 persons. Men always bear sword except monks and farmer. Especially Shougun or soldiers always carry with long and short swords. Samurai(武士 )s enjoy fight against common emotion because of social trend. Then time oversea trade in Japan, they set much value international business. They welcomes from abroad merchants. If someone plunders foreigners then arrest and kill their all family members. They come-and-go to Indian, South East Asia(南蠻), Okinawa(琉球), Philippines (呂宋) for international trade. Kang Hang could record his life in Japan supported by neo-Confucianism scholars who against pro-war culture at that time.

      • KCI등재

        나혜석의 문학과 미술 이어 읽기

        서정자(Jung Ja Seo)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현대소설연구 Vol.- No.38

        나혜석의 문학과 미술을 이어 읽는 시도를 해 보았다. 4백여 점의 그림이 거의 모두 유실되어 조선미전의 흑백 도판의 그림과 진위가 불명한 20여 점이 모두인 빈약한 나혜석 미술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나혜석의 문학 속에서 그의 미술을 읽는 것을 방법으로 하여 나혜석 예술의 실체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나혜석은 흔히 여자도 사람이다, 라고 선언한 최초의 페미니스트로 알려져 있으나 나혜석이 사람이 된다는 것은 예술가가 된다는 의미였다. 예술을 통해 사람이 되려는 나혜석의 사상은 일본 유학 기에 접한 세이토(靑탑) 의 여성해방사상, 미술적 성향인 백화(白樺) 의 영향이다. 예술을 통해 사람이 되려고 한 나혜석의 정체성은 그의 예술을 통해서 밝혀질 수 있다고 볼 때 그의 그림과의 만남을 흑백 도판에 거의 의존해야 한다는 사실은 치명적이다. 본고는 이러한 나혜석 미술의 현실을 나혜석의 문학과 미술 이어읽기를 통해 조금이나마 극복해보고 자 쓰였다. 미술적 시각으로 읽을 때 나혜석의 <경희>가 새롭게 해석이 되었고, 나혜석의 글속에서 제목으로만 남은 나혜석의 그림 11개를 찾았으며 나혜석이 그림을 그리고 싶다고 잡아본 구도 11개도 찾아 나혜석 미술의 실체에 접근해 보려하였다. 여기에 나혜석의 문학에서 찾은 나혜석의 `빛이 함께 한 색채`로 나혜석의 그림에 생명감을 불어 넣어보고자 시도하였는 데 미흡하나마 나혜석 예술이 지닌 예술혼의 한 끝이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게 살핀 나혜석의 미술세계는 첫째 빛이 함께 한 색채의 세계라는 것이다. 소설 <경희>나 <규원>의 묘사, 시 <광>을 통해 보여준 나혜석의 빛의 발견은 나혜석 미술세계의 안내로서 부족함이 없다. 둘째 나혜석은 위대한 자연 앞에 섰을 때 예술적 감흥이 크고 이를 화폭에 옮기고자 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나혜석은 원색보다 간색, 침색을 쓰는 쪽으로 차츰 변화하다가 후기에 대륙적이며 남성적이고 확실하며 청명한, 쭉 뿌린 푸른 물감 같은 색깔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나혜석은 역사적 의의가 있는 고건축에 관심을 보였다. 위대한 자연 앞에서 빛이 함께 하는 생동하는 색채로 예술의 정신을 창조적으로 개체화하려 했던 나혜석, 만상을 응시하여 인생과 같은 값되는 작품을 낳으려했던 나혜석, 차차 떠오르는 아침 광선이 비취일 때에 레몬옐로우 가란스로즈 색을 띤 것은 얼마나 아름답고 어여쁜 색이라 할는지 모른다며 半狂하던 나혜석, 영을 움직이고, 피가 지글지글 끓고, 살이 펄떡 펄떡 뛰는 예술을 지향했던 나혜석 예술혼의 정수에 한 끝이나마 닿아보려는 노력으로 이 글을 썼다. 나혜석의 예술을 한마디로 규정한다면 `빛의 화가 나혜석`이다.

      • KCI등재

        테러와의 전쟁을 위한 무력사용

        張信(Shin Chang) 대한국제법학회 2005 國際法學會論叢 Vol.50 No.3

        오랜기간 선제무력사용이론은 국제법학에서 논란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에 있어서 예방적 무력사용이론의 토대는 1992년 당시 조지 부시 대통령의 “국방계획지침’에서 발견되지만, 10년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미국의‘국가안보전략’에서 이러한 정책을 공식화되었다. 그런데 NSS에서는 ‘선제무력행동’을 자위권의 범주에 포함시키고 있다. 국제법은 지난 수세기 동안 국가가 자위권을 행사함에 있어 일단 먼저 공격을 받아야 할 것을 요구한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 NSS에 따르면 모든 국제법학자가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원칙적으로 예방적 자위권은 국제법에서 허용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입장에서 ‘급박성’이라는 개념을 확대적용하려는 미국의 정책이 선제무력사용이론에서의 새로운 논란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미국에게 선제무력사용을 정당화하기 위한 방법은 어떠한 것이 있겠는가? 달리 말하면 오로지 자위권의 행사만이 미국이 원용할 수 있는 유일한 법적 근거인가? 여기서 긴급피난(긴급상태)은 원용될 수 없는가? 그래서 본 고는 국제법상 국가책임의 조각사유 중 하나인 긴급피난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더 나아가 테러와의 전쟁과 긴급피난의 원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긴급피난은 ‘전통적’인 테러에 대하여는 적용하기 어려우나, ‘새로운’테러, 즉 대량살상무기를 갖춘 테러리즘에 대하여는 그 원용가능성을 쉽게 부인하기 어렵다고 본다. 다만 실제 적용함에는 ‘급박성’요건이 계속 논란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견해에 입각하여 국제법위원회의 국가책임에 관한 규정초안(2001. 제 25조), 기타 국제사법기관의 판결, 국가실행, 국제법학자의 학설, 국제사법재판소의 관련 판결을 고찰하였다. Among the most controversial concepts in the agora of international legal minds is the theory of pre-emptive use of force. Although some argue that the seeds of the strategy of pre-emptive force may be found in the 1992 "Defense Planning Guidance" U.S. President George Bush announced. After 10 years later, it has been codified by the George W. Bush in the U.S. National Security Strategy. It perceives "acting pre-emptively" as being within the right of self-defence. For centuries international law recognized that nations need not suffer an attack before they can lawfully take action to defend themselves against forces that present an imminent danger of attack. Hence the NSS document finds that anticipatory self-defense is permissible in international law, even if not all international law scholars agree. The U.S. efforts to broaden the concept of "imminence" are the central legal issue in the new strategy of preemptive use of force. At a more practical level, it might be asked how the United States would justify a preemptive use of force where the use of force was found necessary. Put another way: Is the preemtive use of force only legally conceivable under self-defense? Or does international law already provide a more suitable excuse for the use of force in exceptional circumstances? It is suggested that a defense for the use of force might be found in the necessity excuse. So this article addresses the controversial issue of the possibility of excusing the use of force by reference to necessity. This leads to a more specific examination of use of force against terrorism and the necessity excuse. Based on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necessity excuse is not normally available in the case of use of force against "traditional" terrorism. With regard to the "new" terrorism, including terrorism employ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e necessity excuse may be appropriate but the issue of imminence will continue to cause problems in considering preemptive strikes. Under that direction, the main part of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national Law Commission's Draft Articles on Responsibility of States for Internationally Wrongful Acts(2001, Art.25 Necessity), the opinions of international judicial bodies, of states, and of international legal scholars, and of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 KCI등재

        Thomas Wade 『語言自邇集』 「TONE EXERCISES」에 대한 廣部 精 『亞細亞言語集』 「平仄編」과 일본의 중국어사전 안의 표기 양상에 대하여

        구현아 한국중국학회 2023 중국학보 Vol.105 No.-

        19세기에서 20세기 초는 서세동점(西勢東漸)으로 인해 중국에 서양인이 유입되어 이들에 의해 편찬된 중국 어학, 문화 저서, 문학작품 번역서가 서양에 소개되고, 이를 기반으로 중국학의 기초가 만들어지는 이른바 ‘문명사적 전환’을 이룬 시기이다. 외교관, 선교사, 세관, 상인, 작가 등 중국인과 정치, 경제, 종교 등의 목적으로 교류할 필요성에 직면한 서양인은 중국어 회화, 독해, 어법 등 교재와 각종 사전 편찬에 몰두하였으며, 이들에 의해 중국 각지 방언, 관화 등 방대한 양의 교재가 탄생되었다. 1860년 북경조약 체결로 인해 외국인의 북경으로의 왕래가 자유로워지면서 서양인들은 북경관화의 중요성에 대해 자각하게 되었으며, 당시 영국의 외교관 토마스 웨이드(Thomas Wade)는 북경관화 교재인 『語言自邇集』(1867)를 편찬하였다. 『語言自邇集』은 19세기 북경관화의 음운 체계, 발음 방법, 표기 방식, 어휘, 어법 특징 등을 총망라한 교재로, 중국어 교재 편찬사에 있어 큰 획을 남겼다. 1871년 日淸修好條規를 조인하는 과정에서 청나라와의 외교 교섭에 ‘북경관화’ 교육의 필요성을 통감한 일본은 동경 외국어학교에 북경인 교사를 초빙하고, 『語言自邇集』을 교재로 채택하여 중국어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1879년 일본의 중국어학자 히로베 세이(廣部精)는 『亞細亞言語集: 支那官話部』라는 이름으로 『語言自邇集』의 번역서를 편찬하였다. 특히 『亞細亞言語集』에 정리된 북경음 음절표인 「평측편」은 당시 북경관화의 음운 체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으로, 이 체제를 모방한 『自邇集平仄編四聲聯珠』(1886), 『華語跬步』(1886), 『日漢英語言合壁』(1888) 등과 같은 저서가 잇달아 나왔다. 본 연구는 일본의 중국어교재 역사상 가장 중요한 전환점이 된 『語言自邇集』의 「TONE EXERCISES」의 번역인 『亞細亞言語集』의 「平仄編」에 나타난 발음 표기를 분석하고, 후대 일본인이 편찬한 중국어사전인 『北京正音 支那新字典』(1905), 『標準支那語字典』(1926), 『井上支那語辞典』 (1932) 안의 가타카나 표기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북경관화의 음운의 변천사를 밝히고자 하였다. 『亞細亞言語集』에서는 유기음과 무기음 성모 표기가 구별되지 않고, ŋ운미 표기에 통일성이 없는 등 표기에 한계가 존재했다. 그러나, 20세기 초 편찬된 중국어사전에서는 일본어에 없는 유기음과 무기음 성모의 대립을 나타내는 추가적인 부호를 쓰고, 가타카나 상단에 점 두 개를 첨가하여 y음을 나타내는 등 새로운 표기법을 시도했고, x와 ɛ가 결합할 때 ヘ, ŋ운미를 ‘ン+グ’로 썼으며, ə운모를 나타내기 위해 ォ̂, ェ̂와 같은 첨자를 부가하는 등 북경관화음에 더 가깝게 표기하기 위해 『亞細亞』에 사용되지 않는 가타카나나 새롭게 만들어내 가타카나를 사용하였다. 또한, 표기 분석을 통해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북경관화에서 영성모와 o운모가 결합할 때 ɤ로 변화하며 iai, io, yo운모가 소실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일본 모더니즘 소설에 대한 고찰

        강인숙(Kang, In Sook) 구보학회 2006 구보학보 Vol.1 No.-

        1920~30년대 일본의 모더니즘은 신감각파, 신흥예술파, 신심리주의파의 세 파로 구성되어 있다. 신감각파의 대표인물은 요코미쓰 리이치(橫光利一)이며, 주요 특성은 ‘전통문학에 대한 거부’이다. 실제 작품에 나타난 구체적 특성은 ‘괴뢰(傀儡) 만들기’와 소설의 허구성 긍정, ‘擬眼’과 ‘複眼’ 등의 객관적 시점 등으로 이는 반(反)사소설적 경향을 보여준다. 또한 시공간의 현실 일탈, 플롯의 인과성 해체 등의 기법을 통해 反리얼리즘적 경향을 드러낸다. 더불어 감각적인 문체도 특징적이다. 신흥예술파의 대표작가는 류탄지 유(龍膽寺雄)이다. 그의 모더니즘은 난센스문학이다. 소화 초기에 문단에서는 의미가 없는 영역으로의 일탈을 즐기는 경향이 나타난다. 그 의미가 제거된 세계를 재현한 것이 난센스문학이다. 난센스문학의 특성은 현실의 모든 규범에서 일탈한 무정부적인 자유와 초탈, 옵티미즘(optimism) 등이다. 어버니즘(urbabism)의 정착과 도시 풍속의 선도, 모던 보이와 모던 걸로 대표되는 인물의 현대성 등이 류탄지 작품의 특성이다. 신심리주의파는 이토 세이(伊藤整)가 주도한다. 이토 작품의 특성은 ① 보다 현실에 卽한 스타일-새로운 현실 파악 ② 내면심리의 영토 확인- 의식의 흐름의 수법 채택 ③ 스타일에 대한 관심 ④ 내성적 주관적 의미의 분석적 방법 등이다. 그의 신심리주의 소설들은 이런 주장들의 육화를 위한 노력을 보여준다. 요코미쓰, 류탄지, 이토의 모더니즘은 실험의 다양성과 일관성, 낙관주의와 비관주의, 서정성, 어버니즘에 대한 태도 등에서 차이점이 발견된다. 공통점은 反전통의 자세, 좌파 문학에 대한 비판, 현실 이탈 현상, 감각주의, 사소설적 경향성 등이다. Japanese Modernism consists of three school: New Sensualists, Newly Rising Artists and New Psychologists.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New Sensualists is Yokomits Liits(橫光利一), who refuses to accept traditional literature. He inclines to ‘make puppets’, a positive attitude toward fiction and employs ‘an artificial eyes’ or double view point in his novels, which display anti-“I”story telling.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Newly Rising Artists is Rhyutangi Ryu(龍膽寺雄) who expresses Modernistic non-sense in his writing. He enjoys meaningless deviation in the time of early Sohwa period. The character- istics of non-sense literature is to enjoy anarchistic freedom and tran- scendence, and optimism. He leads manner of urbanity and describes characters of modernity what we called ‘modern boy’ in his novels. Ito Sei(伊藤整) leads the school of New Psychologist. His writings implies 1) a style of modernity catching actual realities of life, 2) secures a domain of inner state of mind adopting stream of consciousness, 3) special concern about style to catch actuality, 4) using a methode of analysis to grasp introvert and subjective meanings. His New Psychologism tries to incarnate above mentioned insistences in his novels. Yokomits, Rhyutangi and Ito show their different quality of modernism in their various experiments of writings: optimistic or pessimistic attitude towards life and view point of urbanism. Their common traits implies anti-traditionalism, a harsh criticism against the leftist writers, devious inclinations in actual life, sensualism and preference to “I-story” telling or against to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