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명대중엽 세설체 형성

        김정숙 중국어문학회 2015 中國語文學誌 Vol.0 No.53

        筆者認爲明代中葉「世說體」作品的形成,在吳中士風的特殊情況之下逐漸孕育,幷非突然。論證這壹看法,正是本文的撰寫目的。探討明代《世說新語》及「世說體」作品的出現背景,不限於「小說」文類的範疇,把論述範圍擴大到整個「吳中士風」,這是有異於前人硏究的新方法。這番試圖可期有助於理解,隱藏在《世說新語》複興背後的「明代特殊情況」是什마。明代《世說新語》讀者的形成與接受活動,先從「吳中地區」開始。在多元接受洋態之中,筆者注意到「志人小說」與「世說體」傾向的出現。志人小說的發達正是促成世說體作品的主要原因。基此,將本論文的架構分成志人小說的形成與世說體傾向的出現兩個小主題。首先,吳中地區之所以發達志人小說,實當地士風提供了關鍵性的環境條件。卽蘇州府方志的完備、人物志的興起、吳中文人的淸談雅集風氣,促進志人小說的編纂及傳布。再,以運用‘世說體’ 的具體例證,筆者擧了楊循吉《吳中往哲記》及《蘇談》這兩部作品。經分析結果便得知,《吳中往哲記》的人物分類使用7類門目,此實受到《世說新語》36門目體例。令,在《蘇談》<姚少師廣孝雅量>的書寫人物中,亦可發現《世說新語》<雅量>篇習用的敍事特徵。吳中志人小說類作品與《世說新語》的書寫體例之間,仍大可發現不少差異。殄管如此,經由本論文的考察更能確定的是,明代第壹部「世說體」作品《何氏語林》正式刊行之前,人物志與志人類作品已經大興在吳中地區,世說體的各種雛形早就出現在吳中文人的著作之中。明代中葉世說體作品的出現,長期在吳中地區的社會文化土壤之中逐漸孕育而出,幷非孤立或個別的産物。

      • KCI등재

        『대동세어(大東世語)』를 통하여 본 일본에서의 세설체 문학 수용

        정지원 ( Jeong Jiwon ) 한국비교문학회 2017 比較文學 Vol.0 No.73

        지인소설의 창작과 수용 과정에 대해 살펴보던 중, 한국과 일본의 세설체 문학 창작양상의 차이를 발견했다. 두 나라 모두 독서물로 『세설신어』와 세설체 문학을 선호하였으나 한국과 달리 일본에서는 세설체 문학의 창작이 활발했다. 그 이유를 겐로쿠시대의 학문 부흥으로 인한 유학 붐, 오규 소라이 학파의 『세설신어』에 대한 애호, 명나라 때 세설체 문학의 유행의 영향 등에서 찾아보았다. 그 중 효시격인 작품인 『대동세어』는 형식과 내용 측면에서 모두 『세설신어』를 주체적으로 수용한 흔적이 보인다. 체제면에서 『세설신어』의 편목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다섯 편목이 생략되었다. 편목에 맞게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편찬 기준을 볼 때 작가가 의도적으로 몇 편목을 생략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 내용 면에서는 헤이안 시대의 문학풍토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편찬 기준에서 에도 시대 유학자인 저자의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While explaining the creation and acceptance process of Zhiren Xiaoshuo, I found a difference in acceptance aspect of Korean and Japanese "ShiShouXinYu". Both countries preferred Shishuo-style novel as a reading text, but unlike Korea, the creation of Shishuo-style novel was active in Japan. The reason was investigated by the boom of studying abroad by the revival of the Genroku era, the love of the Ogyu Sorai school's "ShiShouXinYu", the influence of the epidemic of Ming Dynasty literature. Hattori Nankaku's work "Daitoseigo" has traces of subjecting the Shishuo-style novel on its own in terms of both form and content. On the system side,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ShiShouXinYu" was used almost as it was, but five editions were omitted.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when I look at the compilation criteria of the author, I speculated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author intentionally omitted some editions. In terms of content, although it was based on the literary climate of the Heian period, it is based on compilation criteria, reflecting the viewpoint of the author, which is a Confucianist in the Edo period.

      • KCI등재

        《明語林》의 〈文學〉 篇 譯注

        申旻也(번역자)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5

        《明語林》은 淸初의 吳肅公(1626~1699)이 편찬한 世說體 筆記작품이다. 《명어림》은 원말부터 청초까지 930여명의 인물을 38항목으로 분류하여 900여 조에 걸쳐 수록하고 있다. 이 책은 해당 인물들의 알려지지 않은 일화를 풍부하게 싣고 있어 역사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짐과 동시에 독자로 하여금 역사 속 인물들을 다양한 각도로 이해하게 한다. 편찬자 오숙공은 明淸 왕조 교체기에 살았던 明 遺民으로 그가 18세 때 명나라가 망해 이후 55년을 청나라 통치 아래 살았다. 그는 만주족이 통치하는 청왕조에서 과거시험 대신 은거를 택해 평생 가난하게 살며 학문과 독서에 매진했다. 오숙공은 《명어림》에서 유가의 윤리관념을 기준으로 삼아 주로 명대의 뛰어난 인물들의 고상한 풍격과 절개를 기록하고 있으며 명말의 楊嗣昌, 阮大鋮 등과 같은 간신에 대해서는 비판하는 시각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는 《명어림》의 38개 항목 중 특히 명대 문단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文學〉, 〈識鑒〉, 〈企羨〉 등 세 부분에 주목했다. 이 세 편은 명대 문인의 창작활동, 문학유파와 문학비평 등의 상황을 언급하고 있어 명대 문인의 師承, 문학주장, 기질, 풍격, 성정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본고는 이 세 편 중에서도 먼저 〈文學〉 편에 대한 역주를 진행하고자 한다. 〈文學〉 편은 총 38조로 명대 학자와 문인들과 관련된 일화가 자세히 소개되고 있다. 이 역주작업을 통해 명대 문인들과 당시 문단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Mingyulin (明語林)》 is the shishuoti (世說體) notes compiled by Wu Sugong (吳肅公: 1626~1699) in the early Qing Dynasty (淸初) in China. More than 900 articles are included in 《Mingyulin》 by classifying the figures in the Ming Dynasty into 38 items. This book is valued as the historial data as it has a lot of unknown stories of the figures in the Ming Dynasty and at the same time, makes readers understand historical characters from various angles. Compiler Wu Sugong (吳肅公) was an adherent of the Ming dynasty who lived in the period that the Ming Dynasty was changed to the Qing Dynasty. The Ming Dynasty fell when he was 18 years old and lived under the rule of the Qing Dynasty for 55 years after that. He lived in poverty during life as he chose to live in retirement instead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in the Qing Dynasty ruled by the Manchus. And he strove to study and read books. Wu Sugong(吳肅公) usually recorded the outstanding figures in the Ming Dynasty based on Confucian ethical belief in 《Mingyulin》. And he offers a critical view on disloyal subjects like Yang Sichang (楊嗣昌) and Ruan Dacheng (阮大鋮) in the late Ming Dynasty. This paper especially took note of three parts of 〈Wenxue (文學)〉, 〈Shijian (識鑒)〉, and 〈Qixian (企羨)〉 with contents related to the literary circles in the Ming Dynasty in the 38 items of 《Mingyulin》. These three parts are helpful for understanding masters and pupils (師承), literary arguments, temperaments, characters, and nature of the Ming Dinasty’s literati as they mention their situations including their creative activities, literary schools, literary criticism, etc. This paper tries to translate or interpret 〈Wenxue (文學)〉 of the three parts. 〈Wenxue (文學)〉 consists of total 38 articles which introduce stories related to scholars and writers in the Ming Dynasty in detail. It is expected that this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work will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writers in the Ming Dynasty and the literary situations of those days.

      • KCI등재

        ≪明語林≫의 <企羨>篇譯註

        신민야 중국어문연구회 2020 中國語文論叢 Vol.0 No.100

        Since Liu Yiqing(劉義慶) wrote Shishuoxinyu(≪世說新語≫) during Song Dynasty (420-479) in Southern Dynasties, the shishuoti(世說體) novels had been published which resembled its form. During Ming and Qing dynasties, the shishuoti novels were steadily published starting from He Liangjun(何良俊)’s Heshiyulin(≪何氏語林≫) during the mid-Ming dynasty to the period of Kangxi in Qing Dynasty. Mingyulin(≪明語林≫) is a shishuoti style novel published by Wu Sugong(吳肅公, 1626 ~ 1699) who was an adherent of Ming Dynasty in 1681 (20th year of Kangxi Emperor). Mingyulin is the first shishuoti styled work which was published in Qing dynasty. Its compiler, Wu Sugong, was a Confucian scholar, literary man and historian who chose to remain as an adherent of Ming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upheaval when the dynasty changed from Ming Dynasty to Qing Dynasty. Accordingly, Wu Sugong complied the book in order to keep the record of Ming dynasty, help the readers to reflect the history of dead dynasty, and pass down the history of indigenous Han people against the culture of other ethnic people. Mingyulin contains the description of 930 and more persons who lived from late Yuan Dynasty to early Qing Dynasty by classifying them into 38 items and listing 900 and more articles. As Mingyulin has a lot of episodes on the people of various classes, it can be described as encyclopedia of personal episodes for the people who lived in Ming dynasty. As the shishuoti style novel is made of the real life stories of people who lived in the past, thus having the nature of historical record. This study is the interpretation of Qixian Part out of 38 items recorded in Mingyulin. Qixian(<企羨>) means “to hope and want to be so”. In the Qixian Part, there are the episodes of the people who the complier Wu Sugong respected. Through the people introduced in the episodes, it is possible to take a look literature and life of Ming Dynasty’s literati. In addition, as the Mingyulin contains the description of the literati such as Yang Shiqi(楊士奇), Xue Xuan(薛瑄), Li Dongyang(李東陽), Chen Xianzhang(陳獻章), Tang Shunzhi (唐順之), Kang Hai(康海), Li Dongyang(李夢陽), Xu Wei(徐渭), Yuan Hongdao(袁 宏道), this interpretation paper helps to widen our understanding of Ming Dynasty’s literati.

      • KCI등재

        《唐語林》의 가치와 문제점에 대한 試論

        안예선 한국중문학회 2023 中國文學硏究 Vol.- No.90

        이 논문은 북송 시대 王讜이 편찬한 筆記 《唐語林》의 가치와 문제점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당어림》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50종의 필기로부터 선별하여 편찬하였다. 이 필기들은 《舊唐書》, 《新唐書》, 《資治通鑑》 같은 공식 역사서도 인용할 정도로 사실성을 인정받는다. 둘째, 52가지 주제로 분류하여 당대의 역사, 문화, 문학에 대한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하였다. 셋째, 원서의 내용을 과감하게 편집하거나 오류를 수정하고 자신의 견해를 첨가하였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당어림》은 판본과 전래 상황이 매우 복잡하다. 송대 書目에 8권본, 10권본, 11권본의 다양한 판본이 보인다. 이들 판본은 明代에 모두 실전되었고 2권의 잔본만 남아있었다. 《四庫全書》의 편수관은 이 불완전한 판본에 《永樂大典》에서 집일한 내용을 합쳐 새로운 판본을 만들었다. 이 재구성된 8권본이 현전하는 유일한 판본이다. 《영락대전》에서 《당어림》의 내용을 집일한 덕분에 사라진 책을 복원할 수 있었지만 문제점이 적지 않다. 따라서 《사고전서》 중 집일 작업을 통해 복원한 문헌을 다룰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