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의 갈등과 한국인의 정치참여: 2010년 세계 가치관 조사를 중심으로

        김연숙 ( Yeun-sook Kim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7 韓國 政治 硏究 Vol.26 No.3

        본 연구는 개인 수준의 다양한 가치들이 문화적 조건 속에서 정치참여에 상이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경험적으로 논의한다. ‘물질-탈물질’의 문화적 가치는 융합형태의 집단문화로 존재하며, 개인수준의 ‘내재 가치(implicit value)’와 정치영역의 ‘외현 가치(explicit value)’가 심리적으로 병존한다고 전제한다. 이러한 가치의 특징이 투표참여와 비제도적 참여의 두 가지 행동패턴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한다. 2010년 한국의 세계 가치관 조사(World Value Survey)를 분석한 결과,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탈물질형 집단은 투표참여와 비제도적 참여에 물질형 집단보다 적극적이다. 그러나 ‘물질-탈물질’가치의 투표참여 효과는 비선형적(non-linear)이다. 둘째, 물질-탈물질의 혼합형 집단은 동질적 집단에 비해 상충되거나 상반되는 가치를 동시에 가지지만, 복수 가치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치참여에 적극적이 된다. 셋째, 슈와츠 가치(Schwartz’s value) 중 ‘개방형 자아증진(self-enhancement)’의 가치와 시민의 권리와 의무에 대한 민주가치를 중시할수록 비제도적 참여의 의지와 동기가 높아지고, ‘보수적 자아초월(self-transcendence)’의 가치와 국가권위와 통치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투표참여에 적극적이다. 넷째, 혼합형 집단의 투표참여는 내재가치와 외현가치의 상호보완적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고, 비제도적 참여는 주로 외현가치의 영향에 의해 강화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개인의 가치가 정치참여에 가장 근본적인 요인임을 의미한다. This paper explores that various values at the individual level effect on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condition of group cultures. I posit that the cultural values of materialism and post-materialism have been mixed, which have co-existed as an hybrid form with both implicit value and explicit value. And I argue the valu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voting and unconventional participation. Analyzing of 2010 World Value Survey including Schwartz’s Value Study (SVS) in Korea, I found the below four main evidences of value’s effects on participation. First, post-materialistic group is more active than materialistic group in unconventional participation. However the value effect on voting is not linear. Secondly, the mixed group has more ambivalent and conflict value than the homogeneous group, but the interactions of each value make them more active in participation. Third, the value of self-enhancement among Schwartz’s value and democratic value related to civil rights and du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motivation of participation. The value of self-transcendence and the perception of authority have also positive effect on voting. Fourth, I found that mixed value group can activate to vote when implicit and explicit value work together in their minds, whereas unconventional participation has mainly been attributed to explicit value.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dividual values are basic factors in political participation.

      • KCI등재

        한국문화교육에서 한국인 가치관의 실증적 규명에 관한 연구

        홍기정 ( Hong Ki-jung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4 No.-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교육에서 가치관은 중요한 항목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런데 가치관과 관련하여서는 자주 거론되어 온 하나의 문제가 있다. 그것은 현대 한국인의 가치관을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관련 교재들과 연구물들에서는, 집단주의 가족주의 권위주의 같은 것들을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다뤄 왔다. 그러나 이것들은 이전 세대의 인접학문 학자들에 의해 포착된 한국인의 성격적 특징들로서, 매우 빠른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한국인의 가치관으로서 제시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게다가 그것은 특정한 학문적 관심이 바탕에 깔린 연구의 결과이므로, 외국인에게 현대 한국인의 가치관을 소개하고 가르치는 목적으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한국인의 가치관으로 거론되는 것들 상당수가 연구자 개인의 인생 경험에 기초한 경험적 직관에 따라 선택된 것이라는 점도 문제이다. 이 논문에서는 가치관 교육과 관련된 이러한 문제들을 지적하고, 대안으로서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와 <세계 가치관 조사>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실증적인 방식으로 한국인의 가치관 규명을 시도한다.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Korean culture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And value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culture education. However, there is one problem with the value education. The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identify the values of Koreans. So far, several things have been repeatedly mentioned as Korean values: collectivism, familyism, and authoritarianism etc. It is something that sociologists have pointed to in the past as a social feature of Koreans. The question is, does it reflect the values of Koreans today? Another problem is whether it meets the purpose of educating foreigners. This is because it is the result of research originating from specific academic interests. It is also a problem that the values of the Koreans mentioned are not based on objective and empirical data. This paper points out these problems and suggests an alternative. It is to use two surveys in value education, ‘Korean Sense & Value Survey’ and ‘World Value Survey(WVS)’. This paper explains how Korean values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se data.

      • KCI등재

        한국의 세대 변화와 탈물질주의

        박재흥(Jae-Heung Park),강수택(Soo-Taek Kang) 한국사회학회 2012 韓國社會學 Vol.4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탈물질주의 가치의 변화 추이를 출생 코호트별로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에서 그 가치가 어느 정도 공유되고 있으며 각 코호트가 어떠한 특성을 갖는지를 경험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세계가치조사?(WVS) 자료로서 1982-2005년 기간 중 다섯 차례에 걸쳐서 조사된 자료이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구 선진공업국들과 비교할 때 한국에서의 탈물질주의 가치는 아직 널리 확산되지 않은 상태이다. 1980년대 중·후반 경기 호황과 시민사회 영역 확대의 흐름 속에서 탈물질주의 가치가 빠르게 확산되었으나, 90년대 중반 이래 신자유주의 경쟁체제가 강화되고 안보 불안감이 심화되면서 탈물질주의 가치가 위축되기 시작했다. 둘째, 1955년 이후 출생한 코호트는 1990년 조사에서 탈물질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도록 하는 데 기여했으나 동시에 그 이후 조사에서 비율의 급격한 감소에도 기여했다. 셋째, 전체적으로 볼 때 1990년 이래 탈물질주의와 물질주의 비율은 모두 감소하고 그 감소분만큼 혼합형이 증가했다. 1955-69년 코호트와 1970-84년 코호트는 탈물질주의 비율 감소에 기여했으며, 1925-39년 코호트와 1940-54년 코호트는 물질주의 비율 감소에 기여했다. 심층적인 코호트 분석을 위해서는 조사 자료가 더욱 축적되어 보다 장기적인 관찰을 해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se a shift in materialist/postmaterialist value by birth cohort since 1990, and furthermore to explore the extent empirically to which the value has spre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hort. Data from the 1st-5th waves of the World Value Surveys(WVS) were utilized which were carried out during 1982-2005.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postmaterialist value in Korea is quite low in comparison with that in West European countries. The proportion reached a peak in 1990 data and has declined afterwards. 2) The younger birth cohorts born after 1955 contributed to making the high proportion of postmaterialist value in 1990 data, but also to the rapid decrease in that proportion afterwards. 3) Since 1990, 1955-69 and 1970-84 cohort have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postmaterialist value, and 1925-39 and 1940-54 cohort have contributed to the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materialist value.

      • KCI등재

        가족가치관 변화의 연령-기간-세대 효과 - 부모의 기대충족과 전통적 성역할관을 중심으로 -

        정선영(Jung, Sun 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가족가치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연령, 기간, 세대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세계가치관 조사를 분석하였다. 가족가치관을 측정하는 문항 중 기간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1990년대부터 2018년까지 측정된 두 문항 – 부모의 기대충족, 전통적 성역할관-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각 개인은 기간과 세대라는 두 가지 집단에 동시에 소속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위계적 연령-기간-코호트 교차분류임의 효과 모형(HAPC-CCREM)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기대충족 동의 수준은 2010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다가 낮아지고 있으며, 전통적 성역할관 동의수준은 2010년 급격히 낮아진 후 2018년 현재 약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다른 요인을 통제한 HAPC-CCREM 분석 결과, 기간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 기대충족 동의수준의 경우 다른 기간에 비해 1996년이 유의하게 낮았고, 전통적 성역할관의 경우 1996년, 2001년, 2005년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에 2010년, 2018년은 유의하게 낮았음을 보여준다. 둘째, 부모의 기대충족 동의수준은 연령이 높을수록 낮아지며, 전통적 성역할관은 연령이 높을수록 동의수준이 높았다. HAPC-CCREM 분석 결과는 이러한 연령효과는 부모 기대충족 동의수준의 경우 한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전통적 성역할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셋째, 두 가치관 모두 세대별로 보이는 변화의 양상은 일관된 패턴을 보이지 않으며, 이는 HAPC-CCREM 분석 결과에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가족가치관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ge-period-cohort effects on the changes in the family value using the Korean data from World Values Survey. Among items measuring family values, it selected two items collected over 5 waves: Meeting Parent’s Expectations[MPE] and Traditional Gender Roles[TGR]. Considering that individuals belong to both ‘period’ and ‘cohort’ groups at the same time, it adopted Hierarchical Age-Period-Cohort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 [HAPC-CCREM].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MPE got lower after the highest peak in 2010; those of TGR got higher after the sharp decrease in 2010. The findings from the HAPC-CCREM show that the period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s of MPE were lower in 1996 compared to other waves. In the case of the levels of TGR,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1996, 2001, 2005, but lower in 2018. Second, the levels of MPE amd TGR got greater with the age. However, the HAPC-CCREM finding shows that the age effec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MPE. Third, no cohort pattern was found in the levels of MPE and TGR; it was also supported in the HAPC-CCREM finding.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s in the future research on family valu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김경희(Kim, Kyoung-hee),송리라(Song, Ri-ra) 한국여성연구소 2016 페미니즘 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구성원들의 민주주의 의식, 성역할 태도, 낙태, 이혼, 동성애, 혼전 성관계를 지표로 하는 성적 권리 관용에 대한 태도의 차이들이 결합하여 나타나는 유형을 찾아내어 그 특징을 살펴보고, 젠더 의식이 변화될 수 있는 조건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6차 세계가치관조사(World Value Survey)의 2010~2014년 웨이브 자료 중 2010년에 실시한 1,200명의 한국 표본이며, 군집 분석과 군집 유형의 주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민주주의의 필수요건으로 부의 재분배, 복지제공, 양성평등권, 자유선거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진보에 가까운 태도를 나타낸다. 양육의 여성책임, 정치, 교육, 관리직 진출에 대해서도 진보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낙태, 동성애, 이혼을 포함하는 성적 권리에 대한 관용도는 무척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현실에서 이혼의 증가, 불법임에도 광범하게 행해지는 낙태, 혼전 성관계의 확산과 모순되며, 규범의 불안정성과 이중성을 의미한다. 셋째,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네 가지 조합 유형은 세 가지 의식이 모두 진보적인 집단(29.67%), 성역할 태도와 민주주의 의식은 진보적이나 성적 권리 수용성이 보수적인 집단(24.91%), 민주주의 의식은 진보적이나 성역할 태도와 성적 권리 수용성이 보수적인 집단(24.03%), 세 가지 의식 모두 보수적인 집단(21.39%)이다. 마지막으로, 의식의 유형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남성들의 보수적 의식에는 연령을 제외하고는 다른 요인들의 효과가 크지 않았다. 이는 남성이라는 사회적 지위이자 정체성이 가진 보수성이 그대로 보수적인 젠더 의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들의 의식 유형에는 결혼 상태와 고용 지위 등 구체적인 삶의 조건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ttitudinal patterns of democracy and gender and variables related to those pattern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2010 to 2014 wave of the World Value Survey which included questions about attitudes toward democracy, gender role, and tolerance about abortion, premarital sex, divorce, and homosexuality. Cluster analysis produces four patterns: the largest cluster containing high level of attitudes towards democracy, gender role and tolerance of sex-related rights; high level of attitudes towards democracy and gender role but low level of sex-related tolerance; cluster with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 and sex-related tolerance but progress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one with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gender roles and sex-related tolerance. For male samples, only age appears to have a greater effect on conservative attitudes about democracy and gender. On the other hand, for women, marital and employment status have a greater effect on both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attitudes towards democracy and gender.

      • KCI등재

        사회 주류가치관과의 불일치가 이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계가치관 조사의 22개국을 중심으로

        정선영 ( Sun Young Ju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2

        본 연구는 개인의 가치관과 주류사회 가치관의 불일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이민지 위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6차년도 세계가치관 조사에 수집된 22개국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이민지위를 선주민, 이민 1세대, 이민 2세대로 나누고 가치관의 측정은 Schwartz의 10가지 가치유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권력과 자극에 부여한 중요도는 이민 2세대가, 박애, 보편주의, 동조, 전통에 부여한 중요도는 이민 1세대가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이민 2세대는 안전과 동조에서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또한, 선주민은 두 이민자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자기주도, 쾌락주의, 박애의 수준이 높을수록 선주민과 이민 1세대 집단의 삶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이민 2세대는 성취에 부여하는 중요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권력에 부여하는 중요도는 세 집단 모두의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체적으로 각 가치유형에 주류사회의 평균에 비해 높은 중요도를 부여하는 것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이민 2세대는 권력에 부여하는 중요도가 주류사회의 수준에 비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았으며 안전과 성취에 중요도를 높이 부여할 때 삶의 만족도가 높았다. 이민 1세대의 경우, 동조에 부여하는 중요도가 주류사회의 수준에 비해 높을 때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differences of values between mainstream society and immigrants on life satisfaction across three immigrant status groups - natives, first- and second-generation immigrants. For this, it used data from the 6th wave of the World Values Survey.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placed higher importance on the values of power and stimulation and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on the values of benevolence, universalism, conformity, and tradition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e second-generation placed lower importance on the values of security and conformity compared with other groups. Native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life satisfaction. Second, while the higher levels on the importance on the values of self-direction, hedonism, and benevol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of natives and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it was the levels of importance on the value of achievement that explain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The importance on the value of power was nega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across three groups. Third, placing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on the values was positively related to life satisfaction. While the significantly higher importance on power of the second-generation immigrants lowered life satisfaction, that on conformity of the first-generation immigrants lowere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회신뢰와 국가의 부 창출과정

        박상준 ( Sang June Park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2

        사회신뢰는 거래비용을 줄이고 집단적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협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국가의 경제적 성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회자본의 핵심요소의 하나인 사회신뢰는 사회구성 원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이러한 긍정적 역할로 인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심을 받아 왔다. 열심히 일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가치인식이 높으면 사회구성원들이 열심히 일하게 되고 이것이 국가의 부를 증대시키게 된다. 그러나 열심히 일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가치인식이 사회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에서 관심이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열심히 일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사회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 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145개국 대상으로 조사된 세계가치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열심히 일하는 것과 관련된 가치인 식과 사회신뢰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회신뢰는 대다수의 사람들을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관한 질문을 이용하였고, 열심히 일하는 것에 대한 가치인식은 2가지 문항으로 측정되었다. 첫 번째 가치인식 변수는 "모든 것이 운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자신의 노력에 결정된다."라는 문항으로 측정되었고, 두 번째 가치인식 변수는 "운과 배경보다는 열심히 일함으로써 생활이 나아진다."라는 문항으로 측정되었다. 분석결과, 열심히 일하는 것과 관 련된 가치인식은 사회신뢰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ther-regarding preferences (ORPs) such as trust, reciprocity and altruism are integral elements in economic transactions between companies, between consumers and retailers, between employers and employees, and in determining economic performance. Especially, social trust has been given a great deal of attention across an array of academic disciplines for its role in promoting cooperation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and for its positive influence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corporations. The crucial role of social trust for decision-making and economic performance has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Social trust stands for the social structure of a country and enables the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For example, the trust game proposed by Berg et al. (1995) demonstrated that individuals are able to achieve a higher but uncertain payoff by trusting that the anonymous counterpart is willing to cooperate and reciprocate the trust placed. Most studies (including World Values Survey) describe Korea as a low-trust society than Japan or China, even though a few studies find the evidences that social trust in South Korea is no less than those in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 argument created serious concerns for Korean scholars. The literature showed that income inequality and corruption best explains why social trust in Korea is lower than other east asian countries. The term "social trust", which is generalized interpersonal trust, is distinguished from trust embedded in personal relations, or "particularized thick trust". The most widely used question on social trust in surveys is "In general, do you agree that most people can be trusted or that you can`t be too careful in dealing with other people?". The general social survey has asked this same question since in the US, and the World Values Surveys, and European Values Study has used the same question. Social development in the form of higher trust is supposed to be strongly related to economic development. In other words, social trust increases the wealth of nation because social trust has positive influence on economic performance of corporations. The wealth of nation can be considered as aggregation of individuals` wealths in a nation. Thus, one can interpret that social trust increases the wealth of nation if it increases each individual`s wealth.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wealth when each individual works hard and when individuals cooperate with each other (or when transaction costs is low) because social trust increases cooperation and it reduces transaction cost (and it helps solve collective action problems).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ole of social trust in increasing cooperation and in reducing transaction cost. However, few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trust and individuals` perception on hard work. The salient value similarity (SVS) model explains that social value influence social trust. Thus, this paper investigates if individuals` perception on hard work influences on social trust because individuals` perception related to hard work represents a social value. Used is the World Values Survey (WVS) data for 55,090 respondents (The number of male is 26,692 and that of female was 28,398.) from 155 nations (including Korea, USA, Spain, Chile, Norway, and so on.). The average age of the respondents was 41.9. The World Values Survey (WVS) is a global research project that explores people`s values and beliefs, how they change over time and what social and political impact they have. It is carried out by a worldwide network of social scientists who, since 1981, have conducted representative national surveys. The WVS is the only source of empirical data on attitudes covering a majority of the world`s population (nearly 90%). The social trust was measured by degree to which a respondent thinks that most people can be trusted. The perceptions on hard work were measured with 2 questions: The first one is that "Hard work does not generally bring success: it´s more a matter of luck and connections. - In the long run, hard work usually brings a better life.", and the second one is that "Everything is determined by fate. - People shape their fate themselves." To test the effects of the two perceptions on the social trust, this study used the GLM (Generalized Linear Model) in which the factors were gender, nation, income, marital status, and the covariates were the two perceptions and 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cial trus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perceptions (related to hard work). The respondents, who perceive that hard work usually brings a better life (or who perceive that hard work generally bring success: it is not a matter of luck and connections) and who perceive that people shape their fate themselves (or who perceive that everything is not determined by fate), showed higher social trust. This implies that the wealth of nation is affected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ocial trust by individuals` perception on hard work.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social trust is different by regional area, income class, and marital status. First, the countries in North Europe have higher social trust than those in the other regional areas (e.g., Asia, America, and Africa). Second, the high income classes have higher social trust than the lower income classes. Third, persons who are married have higher social trust than those who are divorced or separated.

      • KCI등재

        양육사회화 가치관 변화의 연령, 기간, 세대 효과: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을 중심으로

        정선영(Sun Young J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아이들이 가정에서 교육받아야 한다고 일반적으로 여겨지는 자질인 양육사회화 가치관이 지난 30년간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연령, 기간, 세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관조사의 2차-7차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아이들이 집에서 배워야 할 항목으로 선택된 최대 다섯 가지 가치 중 자율에 해당하는 가치(예: 독립심, 책임감)의 개수에서 권위에 해당하는 가치(예: 근면, 절약)의 개수를 뺀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을 산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수준은 연령증가와 함께 낮아졌다. 둘째,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은 1990년대에 비해 2000년대가 높았으며 2000년대에 비해 2018년도에 높았다. 셋째, IMF세대의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은 전쟁세대나 산업화세대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X세대는 산업화세대나 민주화세대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권위 대비 자율성 선호 수준을 보였다. 연구를 통해 양육사회화 가치의 변화와 이러한 변화를 설명하는 연령, 기간, 세대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자율과 권위에 포함되지 않은 양육사회화 가치의 변화, 양육사회화 가치와 실제 부모 양육행동의 관계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parental socialization values, which are believed to be taught by parents, during the last 30 years in the Korean society and analyzed age, period, and cohort effects influencing those changes. It analyzed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 2nd to 7th waves. The parental socialization values were yield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selected authority-related values (e.g. hard work, saving money or things) from the number of selected autonomy-related values (e.g. independence, feelings of responsibility) and named as ‘preference of autonomy above authority [PA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PAA got lower with the increase of age. Second, the levels of PAA were higher in 2000s compared with 1990s, and in 2018 compared with 2000s. Third, the PAA levels of IMF gene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war and industrialization generations. Moreover, X generation showed lower levels of PAA compared with industrial and democratization generations. In the future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ocialization values and actual parenting behaviors need to be examined to extend understanding on the mechanism through which parental socialization values affect children.

      • KCI등재후보

        단체참여와 사회자본이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이미숙,최외출 대한지방자치학회 201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3 No.2

        본 논문은 사회자본이 가져올 수 있는 경제적 사회적 효과들 중 호혜성에 기인한 공동의 가치생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사회구성원간의 참여와 상호교류를 통해서 대인신뢰와 사회규범이 쌓이고, 그 사이에서 구성원사이의 좋은 감정인 사회적인 가치가 생성한다는 이론을 실제 자료를 통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따라서 단체참여(공식단체참여, 비공식단체참여), 대인신뢰, 사회규범이 사회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분석의 자료는 세계가치조사(World Values Survey)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MOS 18.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식단체참여는 대인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대인신뢰와 사회규범은 사회적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사회경제적 요인 중 연령이 높고, 학력이 낮은 집단이 사회적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즉 사회구성원의 특성에 따른 단체참여를 활성화하여 대인신뢰와 사회규범 의식을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가치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사회자본형성에 적합한 근린지역사회에서 사회구성원이 주체가 된 사회자본의 확충이 필요하며, 지역사회의 공동문제해결과 공익의 추구라는 관점에서 지역사회 구성원의 참여를 통한 거버넌스 구축이 요구된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지역사회운동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 기회공정성 인식,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엄승범 ( Eum Seung-bum ),김재우 ( Kim Jae-woo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1 한국사회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의 격차를 설명할 수 있는 연결고리로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이들의 관계를 중재하는 요인으로서 사회경제적 가치관에 초점을 맞춰 각각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세계가치관조사 7차 한국 자료의 전체 표본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추정하였다. 주요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의 행복은 사회계층적 위치에 의해 직접적으로 좌우되지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수록 교육, 취업, 직장에서의 승진 승급, 정규직화에 있어서 더 공평한 기회가 주어져 있다고 평가하며 그 결과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가 증가한다. 둘째, 자유로운 경쟁 속에서 노력을 통해 성공할 수 있다는 가치관을 가질수록 사회계층에 따른 기회 불평등 인식의 격차가 완화되며 지각된 공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정적 관계 역시 약화된다. 셋째, 소득이 노력한 만큼 차등적이어야 한다는 신념이 강하거나 또는 생계에 대한 개인의 책임을 중시하면서 국가에 의한 소득 재분배를 부정적으로 볼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기회공정성 인식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처럼 한국사회에서 기회의 평등을 추구하는 것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한 행복 불평등을 부분적으로 완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다. 나아가 본 연구는 경쟁과 노력의 미래 가치가 보장받지 못한다면 사회계층을 따라 기회공정성 인식은 물론 주관적 안녕감의 격차가 심화될 수 있으며, 생계의 책임을 개인에 두지 않고 소득 재분배를 지향하는 경우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만족이 기회공정성을 둘러싼 평가로부터 보다 자유로워질 것이라는 시사점을 남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equality of opportunities as a link that can explain socioeconomic disparities in subjective wellbeing and also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oeconomic value systems in search for intervening conditions. To this end, we estimat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the 7th wave of the World Values Survey data for a representative national sample of Korean adults. First, we found that the happiness of Koreans is directly affected by their social class position, and a part of SES-based subjective wellbeing is attributable to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quality of opportunities across education, employment, promotion, and the transition of fixed-term to full-time workers. Second, perception of opportunity equality is less influenced by socioeconomic status and its association with happiness is weaker among those who tend to believe that competition is good and hard work, not luck or connections, brings a better life. Third, subjective wellbeing is more vulnerable to perception of opportunity equality among people who follow the equity principle or oppose income redistribution by the state in favor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In conclusion, pursuing the overall equality of opportunities in Korean society seems to be one of ways in which happiness inequality across socioeconomic strata can be partially weakened. Our findings also indicate that if rewards for hard work and fair competition are not guaranteed, the gaps not only in perceived opportunity equality but also in subjective wellbeing may deepen between high and low SES groups. Furthermore, more egalitarian social values may mak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Koreans free from the evaluation of equality in opport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