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여 林川郡 城隍祠와 庾黔弼

        김효경(Kim, Hyo-gyoung)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 No.26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에 위치한 成興山城 안에 고려 太師 庾黔弼을 모신 사우가 있다. 이 사우는 고려시대로부터 행정관청에서 주관하던 城隍祠로 추정된다. 임천군은 통일신라시대로부터 국가 祀典의 하나인 小祀의 제장으로 인식되어 종교적인 공간으로 인식되었고, 금강의 주요 물길과 직접 연결되어 군사적, 행정적 요충지로 백제시대로부터 부각되었다. 이러한 토대 속에 고려의 후 삼국 통일 후 요구되는 사회적인 욕구 즉 지역 내에 면면히 흐르고 있던 후백제의 극복이라는 정치적 측면까지 복합되면서 유금필이라는 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게 된다. 후백제의 잔당의 횡포로 인해 피폐해진 지역사회를 회복시키는 공을 세웠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지역의 신령은 인간적인 치적보다는 종교적인 심성을 자극할 수 있는 것이 계기가 되어야 한다. 많은 지역에서 실존인물이 신령으로 좌정하는 경우에 그의 역사적 인물평이나 공적 보다는 지역민에 대한 선행이 원인이 되었다. 유금필 역시 동일한 차원에서 주신으로 봉안된 것으로 여겨진다. 백성에 대한 진휼, 즉 사회적으로 가장 절실한 문제를 극복해준 존재였기에 신령으로 탄생된 것이다. 유금필을 모신 성황사는 변화를 겪으면서도 지금까지 존속되었다. 『東國輿地勝覽』(15세기 중반)에는 백제 때 축성된 성흥산성 안에 위치했다. 그러나 『與地圖書』(18세기 중반)에는 산성 밖으로 옮겨지고 건물로 이루어진 성황사에서 제단의 형태인 성황단으로 바뀐다. 『湖西邑誌』(19세기 후반)에 수록된 지방도에 성황사와 성황단 모두 표기되어 있다. 산성 안의 성황사에는 유금필 태사가 모셔져 있는데, 주민들 사이에서 오래도록 숭앙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렇다면 성황단이 건립된 후에도 여전히 성황사가 존속했으며, 그 신당의 主神은 여전히 유금필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남아 있는 성흥산성 안의 유금필 사당은 고려시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줄곧 관치제가 베풀어지던 성황사이며, 그 주신은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태사직을 수행한 유금필이다. 현재의 사당 안에는 유금필과 더불어 그 가족이 신령으로 봉안되어 있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 1명, 딸 2명이 봉안되어 있는데, 이것은 실제의 가족관계와는 무관하다. 그러나 부모와 아들, 딸로 구성된 조화로운 가족구성원은 화평하고, 안정된 가정의 본보기가 된다. 이러한 신령의 존재는 결국 화평과 안정을 이끄는 존재로 간주되며, 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군민들은 그러한 신령의 영향속에서 동일한 화평의 세계를 맞게 된다. 이처럼 신령으로 탄생된 유금필은 그가 지닌 인간적인 武人으로서의 모습이 아닌 주민의 어려움을 돌보고, 지역을 돌보는 자애로운 성격을 지니게 된다. 부인을 비롯하여 아들과 두 딸을 거느린 여느 가정의 가장처럼 고을의 좌장이 되어 지역신으로 숭앙되고 있다.

      • KCI등재후보

        근대 이전 우리 땅의 종교 지명 - 1872년 지방지도를 중심으로 -

        최진성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9 기전문화연구 Vol.40 No.1

        This article noted the religious place-names derived from religious landscapes (religious facilities) established by the state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At that time, it was recommended to install Hyanggyo, Sajikdan, Yeodan and Sunghwangdan at the national level, and at the same time prescribed the direction in which they were built. The place where these religious landscapes were built appears to have gradually been replaced by a religious place-names.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were 304 county prefectures that can be identified in "1872 local map".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type of place-name of the Hyanggyo and Sajikdan had a stronger influence on the national or regional level compared to the place-name of Yeodan or Sunghuangdan. Next, at the local level,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place-names and spatial range in Eupchi was looked at as an example of Jeolla Province as an example. In the case of Jeonju, the spatial range of Eupchi was well revealed by religious place-names (Hyanggyo, Sajikdan, Yeodan, and Sunghwangsa) located in the periphery of administrative landscapes (Gammyeong and Buyeong) corresponding to the center. In the case of Namwon,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Hyanggyo and Sajikdan is well illustrated by the Confucian architectural ritual of Hyanggyo on the left, Sajikdan on the right(左廟右社). In addition, cases of religious place-names affecting village names in Eupchi were found in various county prefectures in Jeolla Province. Although there have been no cases of place-names of the Yeodan or Sajikdan in the Jeolla provinces, you can find the examples of Sajik-dong in Gwangju or Seonghwang-dong in Gwangyang in the current topographic map. 이 글에서는 조선 초기부터 국가가 주도하여 세운 종교경관(제사시설)들에서 유래한 종교지명에 주목하였다. 당시에는 국가적 수준에서 향교(문묘), 사직단, 여단, 성황단 등을 모든 군현마다 설치하기를 권장함과 동시에 이들이세워지는 방위까지 규정하였다. 이들 종교경관이 세워진 장소는 점차 그 장소를 대체하는 종교지명으로 대체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1872년 지방지도로 누락된 군현을 제외한 304개의 군현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향교 및 사직단 지명의 유형은 여단이나 성황단 지명에비해 전국적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 더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추정된다. 다음으로 지역적 수준에서 종교지명과 읍치 영역성의 관계를 전라도를 사례로 살펴보았다. 전주부의 경우, 중심지에 해당하는 행정경관(감영과부영 등)의 주변부에 위치한 종교지명(향교, 사직단, 여단, 성황단)들로 인해읍치의 영역성이 잘 드러난다는 점이 확인된다. 남원부의 경우, 향교의 문묘와 사직단의 배치가 객사 또는 관사를 중심으로 ‘좌묘우사(左廟右社)’라는 유교적 예제에 따른 공간 배치 경향성이 잘 나타난다. 또한 종교지명이 읍치의마을지명에 영향을 준 사례를 전라도 여러 군현들에서 찾을 수 있었다. 여단이나 사직단 관련 지명 사례를 전라도 고지도에서는 없었으나, 현재 지형도에서는 광주시 사직동이나 광양시 성황동의 사례들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기 城隍祠 입지를 둘러싼 양상과 그 배경

        최종석(Choi Jong-Suk) 한국사연구회 2008 한국사연구 Vol.143 No.-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most of the Gun and Hyeon units were equipped with a Sajik-dan/社稷壇 altar, a Yeo-dan/?壇 altar, a Seonghwang-sa/城隍祠 shrine, and a Munmyo/文廟 shrine. In most of the regions Sajik-dan and Yeo-dan were located respectively in the Seogyo/西郊(Western outskirt) and Bukgyo/北郊(Northern outskirt) areas, and even with the passage of time such location virtually never changed. In the meantime, the location of Seonghwang-sa units significantly varied from region to region, and from period to period. The Seonghwang-sa shrines in the early days of Joseon showed even distribution in terms of direction, and the trend of placing the shrine at an obligatory spot, the Namgyo/南郊(Southern outskirt) area, was simply weak or not existent. Yet《Yeoji Doseo/輿地圖書》, published in the 1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dicates that such trend came to existence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Such trend was vivid in the Gyeongsang-do region, while being relatively weaker in other regions. This trend, just like the trend of placing Sajik-dan and Yeo-dan in the Seogyo and Bukgyo areas, had something to do with embracing the Hongmu-era ceremonial protocols. In terms of local Seonghwang services, Joseon dynasty completely denounced the Goryeo era practices, and tried to observe local Seonghwang ceremonies based upon the Hongmu-era ceremonial protocols, and after a series of enhancing and reasserting, the Joseon society and government finally completed the local Seonghwang memorial service institution, based upon Hongmu protocols,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Inspired by the Seonghwang-dan altar of wind, cloud, thunder, rain, mountain and streams(風雲雷雨山川城隍壇), the Joseon people came to place Seonghwangdan units in the obligatory spots, Namgyo areas. Unlike Sajik-dan and Yeo-dan, which had not existed before, Seonghwang-sa shrines which housed local Seonghwang figure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most of the regions during the early days of Joseon, and most of them had been there since the Goryeo dynasty period. In structural terms they were not altars(祭壇) but shrines(祠廟), and were not located in Namgyo areas. So in order to observe and abide by Hongmu protocols and establish Seonghwang- dan altars, the existing Seonghwang-sa shrines had to be brought down and abolished('廢祠設壇'). Yet such practices were not being done by the government in a unilateral fashion, and were only being conducted inside local areas in a random fashion. And to the Hyangri clerks and ordinary people the existing Seonghwang-sa shrines were still very important. So in the Joseon dynasty's early days, only few regions showed such changes, and in most of the regions the Seonghwang-sa shrines continued to exist and be respected. This situation remained the same for quite some time. But as the people'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grew, a new world perspective that considered the Sino-centric order based upon ceremonial protocols & teaching to be universal values and source of obligation spreaded throughout the local regions. Such practices started to occur in a concentrated fashion everywhere in the country, roughly around the 1670s. And that was the reason that the 'Namgyo' trend became vivid in this period,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In the meantime, because the practice of 'abolishing shrines and establishing altars(廢祠設壇)' happened everywhere inside local communities at the time, conflicts between local administrators & local Sajok influentials and local Hyangri clerks and ordinary civilians continued to occur over the issue, reflecting various situations that existed inside local regions. They displayed both a general trend and also regional characteristics, while some regions did not display such practice at all. That resulted in the 'Namgyo trend' and other various kinds of activities in local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