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철의 교외별전 : 성철의 “거짓말”에 속아야 할까, 속지 말아야 할까?

        변희욱 한국선학회 2017 한국선학 Vol.48 No.-

        Sŏngch’ŏl(性徹, 1912~1993) makes us confused. Sŏngch’ŏl said, “One should not explain the dharma.”, although he provided us with long explications about the dharma; he also said, “I have earned my keep now that I published two books.”, even though he pursued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he teaching”(敎外別傳). Sŏngch’ŏl delivered numerous sermons on Buddhism on one hand, but he said, on the other hand, “Do not be fooled by my words because I always lie.” Why did Sŏngch’ŏl take these seemingly inconsistent positions? This article raise three questions: First, how did Sŏngch’ŏl deliver the special transmission outside the teaching? Second, why did Sŏngch’ŏl call his sermons “lies” and tell us not to be fooled by them? Third, should one be fooled or not by Sŏngch’ŏl’s “lies”? Sŏngch’ŏl’s warning, “Do not be fooled by my words,” may be the “extraordinary gate” (格外關門 kyŏg'oe kwanmun), In other words, Sŏngch’ŏl used the paradoxical way of expression to lure the audience into a trap, by which they are ultimately led to the enlightenment. Only when trapped, the audience may break through the “lies,” namely, the “extraordinary gate” created by Sŏngch’ŏl, thereby removing(殺) the old self(熟) and recovering(活) the original self(生). 성철(性徹, 1912∼1993)은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성철은 길고 친절하게 설명했으면서도 “설파하면 안 됩니다.”라고 했다. “교외별전”을 견지하면서도 “책 두 권 냈으니 나는 이제 부처님께 밥값 했다.”라고 했다. 또 수 없이 법문했으면서도 “내 말에 속지 말라.”, “나는 늘 거짓말만 하니까.”라고 했다. 성철은 왜 우리를 혼란스럽게 할까? 이 글에서는 질문한다. •성철은 교외별전을 어떻게 전했을까? •왜 성철은 자신의 법문을 “거짓말”이라 했고, “내 말에 속지 말라”라고 했을까? •성철의 “거짓말”에 속아야 할까, 속지 말아야 할까? 성철의 “내 말에 속지 말라.”는 함정, 격외관문이 아닐까? 성철은 대중을 함정으로 유인하려 모순도 불사하지 않았을까? 성철이 파놓은 함정에 빠질 수 있다면, 성철이 설치한 격외관문, “거짓말”을 돌파할지도 모른다. 기존의 자기(熟)를 해체하고(殺) 본래의 자기(生)로 회복할 수도 있다(活).

      • KCI등재

        성철의 삶과 범어사

        김광식 한국정토학회 2022 정토학연구 Vol.38 No.-

        This review is an article that summarizes the history of Beomeosa Temple by Seongcheol, who is famous as a high priest of the modern era of Korea. Various studies on Seongcheol have been conducted so far, and it is imprinted that Seongcheol is from Haeinsa Temple. In other words, he was a monk at Haeinsa Temple, a head of Haein Chongrim Bangjang, Ipjeok, the construction of a monument, Mundo Headquarters(Baekryeonam temple), and a memorial service. However, in my opinion, Seongcheol's life has many connections with Beomeosa Temple. Therefore, I would like to reveal the cross-section related to Beomeosa Temple in this article. Through such a cross-section, I would like to shed new light on Seongcheol's life. He is summarized by content as follows. First, Seongcheol's gift is a movable property. Since Dongsan is a monk representing Beomeosa Temple in the modern era, Seongcheol is clearly related to Beomeosa Temple. Second, the vein of Seongcheol was the vein that led to Baekyong-Hadongsan-Seongcheol. It was noted that Seongcheol also recognized this legal vein. Third, Seongcheol's relationship with Beomeosa Temple can be mentioned, such as the suggestion of the ritual house of Beomeosa Temple in Dongsan, the review of moving into Wonhyoam Hermitage, the refusal of Hyanggokmundo Island, and the worship of the Dongsan monument just before the entry. Fourth, Seong-cheol acknowledged the spirit of purification of his benefactor, Dongsan. Therefore, Seongcheol promoted spiritual Buddhist purification, and positively evaluated the movement to purify the garden when writing the Dongsan inscription. We hope that the above will be a reference to Seongcheol's life, Dongsan Mundo, and modern Beomeosa Temple. 본 논문은 한국 현대기 고승으로 유명한 성철의 범어사 인연과 그 관련 내용을 고찰한 글이다. 지금껏 성철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그 흐름에는 ‘성철은 해인사의 출신’이라는 점이 각인되어 있다. 즉 그의 출가, 해인총림 방장 역임, 입적을 비롯해 그의 비석 건립과 문도 본부(백련암), 추모 제사 등이 모두 해인사와 연관이 있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성철의 삶에는 범어사에서의 연고나 인연도 많다. 그래서 이 글에서 범어사와 관련된 단면을 들추어내고, 그 단면을 통해 성철의 삶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내용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철의 은사는 동산이라는 점이다. 동산은 현대기 범어사를 대표하는 승려이기에 성철은 범어사와 연고가 분명하다. 둘째, 성철의 법맥은 용성→동산→성철로 이어진 맥이다. 이 법맥을 성철도 인정하였음을 주목했다. 셋째, 성철의 범어사 인연은 동산의 범어사 조실 제안, 원효암 입주 검토, 향곡문도 거부, 입적 직전 동산 비석의 참배 등을 거론할 수 있다. 넷째, 성철은 그의 은사인 동산의 정화 정신을 인정하였다. 그래서 성철은 정신적인 불교정화를 추진했고, 동산 비문을 작성할 때 동산의 정화운동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이 성철의 삶, 동산문도, 현대기 범어사 등의 역사 탐구에 참고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성철 법맥의 재인식

        김광식 한국정토학회 2024 정토학연구 Vol.41 No.-

        본 고찰은 한국 현대불교사에서 고승으로 유명한 성철의 법맥에 대한 문제를 시론적으로 거론한 글이다. 지금껏 성철에 대해서는 수행과 사상적인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그의 특성, 위상에 대한 학술적인 조명이 있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그의 법맥에 대한 조명은 없었다. 이는 법맥의 문제가 민감하고, 관련 문헌 자료가 희소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이 글에서 ‘성철법맥’에 대한 관련 문헌, 증언을 총동원하여 성철의 법맥의 여러 문제를 들추어 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측면을 주목하였다. 첫째, 보편적인 법맥계승의 정리와 함깨 성철이 인식한 법맥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성철 법맥의 연원인 백용성의 법맥 문제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백용성의 계맥과 선맥이 동산(범어사)에게로 전달되었음을 피력하였다. 셋째, 동산법맥이 성철에게 전달되었음을 정리하였다. 이에 대한 관련 문헌으로 1965년 5월, 『대한불교』에 기고한 법연의 충격적인 글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그에 대해 비판한 박석우가 『대한불교』에 1965년 6월에 기고한 글을 소개하였다. 넷째, 백용성의 법맥이 동산에게서 단절되었고, 동산의 법도 의심을 하였던 법연의 글을 치열하게 비판한 성철의 글을 발굴 소개하였다. 1965년 가을 무렵에 성철이 집필한 그 글은 선종의 역사, 관행을 고려하면서 백용성 – 동산으로 이어진 법맥은 분명하고, 그 법맥이 은연중 성철에게 있음을 피력한 것이다. 다섯째 동산이 성철에게 전한 전법게문은 없지만 1963년 무렵 동산이 자신의 후계자를 성철로 지정하고, 범어사 조실을 맡긴 편지가 있음을 밝혔다. 여섯째, 동산의 법맥이 성철에게 전해졌음을 이해할 수 있는 보충적인 내용을 발굴하였다. 그는 범어사 주지를 역임한 덕명의 증언(범어사 조실로 성철의 초빙), 동산의 영결식 직후의 문도들의 공론(성철을 동산의 후계자로 추대해야 함), 동산 비문을 쓴 성철의 인식, 성철이 그의 도반인 향곡이 시도한 운봉문도 편입을 강력 거부한 것, 성철이 입적 직전에 은사인 동산의 부도를 참배한 사실 등이다. 이런 증언은 성철이 동산의 법맥을 계승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는 보충적인 사례로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다룬 이 고찰은 백용성–동산–성철로 이어진 법맥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나아가서 범어사와 해인사의 현대사, 근현대기 한국 선종사, 성철 연구에 참고가 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rticle that poetically discusses the issue of the dharma lineage of Seongcheol(성철법맥), a famous monk in the history of modern Buddhism in Korea. So far,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Seongcheol in terms of his practice and ideology, and academic light has been shed on his characteristics and status. However, there was no light on his legal lineage covered in this article. This is because the issue of the legal system is sensitive and related literature is scarce. Nevertheless, in this article, the author seeks to expose various problems in Seongcheol’s dharma lineage by mobilizing all relevant literature and testimonies on ‘Seongcheol’s dharma lineage.’ To this end, the author focused o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contents of the dharma lineage recognized by Seongcheol were presented along with the general summary of dharma lineage succession. Second, the issue of Baek Yong-seong'(백용성)s legal lineage, which is the origin of Seongcheol's legal lineage, was organized. Through this, it was revealed that Baek Yong-seong's lineage and lineage were passed on to Dongsan(동산, Beomeosa Temple). Third, it was established that the Dongsan Dharma lineage was passed on to Seongcheol. As related literature, we introduced Beophyeon's shocking article contributed to Korean Buddhism in May 1965. And Park Seok-woo, who criticized him, introduced an article he contributed to Korean Buddhism in June 1965. Fourth, Baek Yong-seong's dharma lineage was cut off from Dongsan, and Seongcheol's writings, which fiercely criticized Beopyeon's writings, which were also suspicious of Dongsan's dharma, were discovered and introduced. The article, written by Seongcheol around the fall of 1965, takes into account the history and practices of Zen Buddhism and expresses that the lineage of the law that leads to Baek Yongseong and Dongsan is clear, and that the lineage of the line of law implicitly lies in Seongcheol. Fifth, although there is no text of Jeonbeop that Dongsan delivered to Seongcheol,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letter from around 1963 in which Dongsan designated Seongcheol as his successor and entrusted him with the care of Beomeosa Temple. Sixth, supplementary information was discovered to help us understand that the Dharma lineage of Dongsan was passed down to Seongcheol. He includes the testimony of Deokmyeong, who served as the abbot of Beomeosa Temple (Seongcheol's invitation to Beomeosa Temple's Josil), the disciples' public opinion immediately after Dongsan's funeral ceremony (Seongcheol should be promoted as Dongsan's successor), the recognition of Seongcheol as the author of the Dongsan epitaph, and Seongcheol's support for his disciples. These include the strong rejection of Inhyanggok's attempt to incorporate Unbongmundo, and the fact that Seongcheol visited the stupa of Dongsan, a royal monk, just before his death. This testimony can be seen as a supplementary example that allows us to understand that Seongcheol inherited the legal lineage of Dongsan. This study, which covers the above contents,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line of law that leads to Baek Yong-seong, Dong-san and Seong-cheol. Furthermore, it will be a reference for research on the modern history of Beomeosa Temple and Haein Temple, the history of Korean Zen Buddhism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era, and Seongcheol.

      • KCI등재

        퇴옹 성철의 불서 인용과 유필노트

        최원섭(Choe, Won-Sup)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0 佛敎學報 Vol.0 No.90

        퇴옹 성철(1912-1993)의 주요 저술은 옛 글을 인용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성철이 불서를 인용하는 방식에 ‘오류’가 있다는 비판이 있다. 성철의 저술은 원 텍스트 그대로 인용하지 않고 임의로 삭제하거나 변형하거나 첨가한다는 것이다. 이 글은 퇴옹 성철의 대표 저술인 『선문정로』의 불서 인용 방식이 한문 문화권의 전통적인 방식을 따른다는 점에서, ‘오류’라고 판단하는 근대 학문적 시각과는 차이가 있다는 입장이다. 특히 성철이 남긴 유필노트를 활용하여 불서 인용을 확인하였다. 성철이 불서를 열람하면서 필요한 부분을 직접 필사한 노트가 50권 이상 전하는데 이 자료를 활용하여 『선문정로』 등을 저술한 것으로 보이므로 이 노트를 통하여 성철이 불서를 인용한 방식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이 시도한 것은 성철의 유필노트가 단순히 옛 문헌을 필사하고 정리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성철의 판본’이었음을 상기시키려는 것이다. 성철은 무작정 불서를 인용한 것이 아니라 내용을 살펴보고 자신의 주장에 부합하도록 조정하고 변형하였다. 이것은 지금의 시각으로 ‘표절’이나 ‘왜곡’으로 말할 수 없는 한문불교의 특징이다. 오래 전 문헌을 인용한다는 것은 그것을 원전으로 삼아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려는 목적이다. 서적 형태의 원전을 필사본으로 재연함으로써 성철은 우리에게 또 다른 원전을 제시하였다. Ven. Toe-ong Seongcheol (1912-1993)s representative books mainly consist of sentences quoted from old Buddhist texts. However, critics say that there are errors in his way of citing texts, and that he arbitrarily deleted, modified, or added without quoting in the original text. This paper argues that the quoting way of the Seonmun-jeongno, the masterpiece of Ven. Toe-ong Seongcheol, follows the traditional method of Chinese writing culture, and is different from the modern academic view which it deems to be an error. In particular, in this paper, the quotations were confirmed using the notes he left behind. There remain more than 50 notebooks where he had hand-written the necessary parts while reading the texts. Appearing to have been used to write his books, these notebooks directly identify the way he quoted Buddhist texts. What this paper attempted was to remind you that Ven. Seongcheols notes were not merely a manuscript of the old literature, but a kind of ‘Seongcheols edition.’ He did not just cite the Buddhist scriptures, but he reviewed the contents and adapted them and modified them to suit his own argument. This is a characteristic of Chinese Buddhism, which cannot be described as ‘plagiarism’ or ‘distortion’ from this point of view. Citation of the old texts is intended to use it as a original text to create new contents. By reenacting the original books as manuscripts, Ven. Seongcheol presented us with his own manuscript.

      • KCI등재

        성철의 꿈과 김룡사 운달산 법회(1966)

        김광식 대각사상연구원 2020 大覺思想 Vol.33 No.-

        This review explores the history and history of Kimryongsa Temple, which was omitted from Seongcheol's previous research. I would like to highlight the outline and character of Undalsan of public lecture(1966) during the Kimryongsa period, which has been perceived as negligent in Sungcheol's research until now. Through this, we want to explore the historical activities related to Seongcheol's intellect and ideas. To this end, the following points will be explored in this consideration: First, I would like to outline Seongcheol's days as Kimryongsa Temple(1965-1966). Second,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outline and character of the Undalsan public lecture, which was conducted twice at Kimryongsa Temple. Third,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background of Sung-chul's 10 years of seclusion before Kim Ryong-sa Temple and his public career as he moved into Kimryongsa Temple. Sung-chul wanted to shed light on why he publicly emphasized his ideas from Kim Ryong-sa Temple. In other words, Seongcheol strongly expressed Buddhist innovation and Buddhist revival during the Kim Ryong-sa period, which is to be noted. Fourth, during the days of Kim Ryong-sa Temple in Seongcheol, there was a visit by members of the Association of University Student Buddhists (the Salvation Sect) to explore the history of this. Fifth, we no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aw carried out at Kimryongsa Temple and the one at Haein Temple. Research on the Baekil public lecture has deepened, bu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outline and content of the lecture carried out at Kimryongsa Temple. Therefore, the Undalsan public lecture raised the need for research. The content of this review will be an important subject in the track record, thought and reform of the seas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s rais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point of view in the history of Buddhist Jiseongsa, Jeonghwa Movement and Reform Movement in the 1960s. 본 고찰은 성철스님의 그동안의 연구에서 누락되었던 김룡사 시절의 행적과 역사성을 탐구한 고찰이다. 지금껏 성철 연구에서 소홀하게 인식되었던 김룡사 시절의 운달산 법회(1966)의 개요와 성격을 조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성철의 지성 및 사상에 관련된 역사적 행보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찰에서 탐구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철의 김룡사 시절(1965∼1966)의 개요를 정리하고자 한다. 둘째, 김룡사에서 두차례 행해진 운달산 법회의 개요와 성격을 탐구하고자 한다. 셋째, 성철이 김룡사 이전에서는 10년간 은둔적인 행보를 가다가, 김룡사에 입주하면서 공개적인 행보를 간 배경을 탐구하고자 한다. 왜 성철은 김룡사에서부터 그의 사상을 공개적으로 강조하고 나섰는가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즉 성철은 김룡사 시절에 불교혁신, 불교중흥을 강력하게 피력하였는데, 이를 주목하고자 한다. 넷째, 성철의 김룡사 시절에는 대학생불교연합회의 회원(구도부)들의 왕래가 있었는데, 이에 대한 역사를 탐구하고자 한다. 다섯째, 김룡사에서 행해진 법문과 해인사에서 있었던 백일법문과의 상관성을 주목하였다. 백일법문에 대한 연구는 심화되었지만, 김룡사에서 행해진 법문의 개요, 내용은 거의 주목하지 않았다. 때문에 운달산 법회가 연구해야 됨을 제기하였다. 이와 같은 본 고찰의 내용은 성철의 행적, 사상, 개혁 등에 있어서 중요한 대상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기된 내용은 1960년대 불교 지성사, 정화운동사, 개혁운동사에서도 중요한 관점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퇴옹성철의 역할

        서재영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8 No.-

        봉암사 결사는 1945년 ‘부처님 법대로’라는 기치아래 문경 봉암사에서 행해진 스님들의 수행 결사를 말한다. 현대 한국불교의 서막을 열었던 이 결사는 4명의 조계종 종정과 7명의 총무원장을 비롯해 여러 명의 고승들을 배출한 기념비적 사건이다. 이는 봉암사 결사에 참여했던 인물들이 현대 한국불교의 근간을 이루어 왔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수행전통은 이들에 의해 조계종의 종풍(宗風)으로 계승되면서 한국불교의 보편적 전통으로 확산되었다. 이 같은 의미를 지닌 봉암사결사에서 성철스님의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성철스님은 청담스님과 함께 봉암사 결사를 주도적으로 조직하였다. 청담스님 역시 봉암사 결사의 준비와 운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1947년 봉암사 결사가 출범할 당시에는 동참하지 못했다. 따라서 봉암사 결사를 조직하고 결사의 기틀을 잡은 것은 성철스님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둘째, 성철스님은 ‘전체적으로나 개인적으로나 임시적 이익관계를 떠나서 오직 부처님 법대로만 살아보자’라는 것을 결사의 원칙으로 내세웠다. 당시 시대적 상황은 일본불교의 영향으로 대처승(帶妻僧)들이 교단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갖가지 미신과 비불교적 요소들이 만연해 있었다. 성철스님은 이 같은 상황을 일소하고 정법(正法)을 회복하기 위해 ‘부처님 법대로’라는 사상적 원칙을 통해 봉암사 결사의 정신적 근간으로 삼았다. 셋째, 성철스님은 공주규약(共住規約)이라는 엄격한 수행규칙을 통해 쇠락한 불교의 교법을 복구시키고자 했다. 모두 18개 조항으로 구성된 공주규약은 봉암사 결사의 성격을 고스란히 담고있으며, 당시의 수행생활을 생생히 보여주고 있다. 공주규약은 헤이해진 승가의 규율을 바로잡고 결사의 정신을 대중들과 공유하는 근거가 되었다. 넷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를 통해 깨달음을 위해 매진하는 올곧은 수행자의 모습을 정립했다. 당시 승려들은 갖가지 기복적 의례를 행하는 것을 출가자의 중심적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것은 부처님께서 부정하셨던 제사장의 역할에 매몰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성철스님은 각종 기복적 의례를 폐지함으로써 왜곡된 출가자의 이미를 혁파하고, 수행자 본연의 모습을 확립하고자 했다. 다섯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에 참여한 수행자들에게 세속적 가치와 질서로부터 초연한 탈속적 승가상을 확립했다. 출가자라면 누구나 생사윤회로부터 해탈하겠다는 원대한 꿈을 가져야 하며, 세속적 가치와 질서로부터 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정신적 원칙을 통해 시대적 혼돈으로부터 불교를 지켜내고 불교의 정신을 재정립했다. 여섯째, 성철스님은 봉암사 결사를 통해 노동과 수행을 병행하는 선농일치(禪農一致)의 가풍(家風)을 되살렸다. 봉암사 대중들은 의례를 통해 얻어지는 시주물을 거부하고 사찰 소유의 토지에서 나오는 소작료도 거부했다. 대신 걸식과 노동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선종의 수행전통을 회복하고자 했다. 이상과 같은 봉암사 결사의 정신과 전통은 왜색불교(倭色佛敎)로 인해 와해된 승가상을 다시 복원하고 한국불교의 정통성, 나아가 불교의 정통성을 확립해 내는 계기가 되었다. 나아가 이 같 은 결사의 전통은 조계종의 사상적 근간으로 수용되면서 현대한국불교의 전통으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할 수다. In 1945, under the banner of 'living like the Buddha's dharma' an association was formed at Bongamsa in Mungyeong. The Bongamsa association that heralded modern Korean Buddhism is a landmark event that produced four supreme patriarchs, seven presidents, and several illustrious monks of the Jogye order. This mean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association played fundamental roles in developing modern Korean Buddhism. They passed down the spirit and practic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as the spirit of the Jogye order, establishing it as universal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This study summarized the monk Seongcheol's role in forming the Bongamsa association as follows. First the monk Seongcheol, along with Cheongdam, played a leading role in organizing the association at Bongamsa. But the monk Cheongdam failed to participate in the foundation of the association, though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preparing the foundation. Thus, the monk Seongcheol led the organization and initial development of the association. Second,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principles of the association that tell people to 'live like the Buddha's dharma' beyond individual or group's temporary interests. At the time,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ese Buddhism, married monks became mainstream. In addition, a variety of superstitions and non-Buddhist factors were prevalent across the nation. Therefore, in an effort to sweep away such inappropriate practices and restore dharma, he set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association called 'live like the Buddha's dharma'. Third, the monk Seongcheol tried to restore degraded Dharma through strict rules of conduct called Gongjugyuyak. Gongjugyuyak which consists of 18provisions is the embodiment of the features of the Bongamsa association and vividly shows the way people practiced Buddhism at the time. Gongjugyuyak tightened the relaxed rules of Buddhism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share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with the public. Fourth,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appropriate attitudes of monks to ceaselessly make efforts to gain enlightenment. At the time, lots of monks regarded performing a variety of rituals seeking blessing as their main role. This indicates monks were preoccupied with administering rituals which were denied by Buddha. The monk Seongcheol tried to abolish all kinds of rituals to lead monks to discard the distorted attitudes of monks and establish themselves as proper followers. Fifth, the monk Seongcheol established the unworldly image of the monk who was not disturbed by the value and order of the material world. That was because he believed every monk should dream of being liberated from an ongoing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nd be free of the value and order of the material world. Based on this principle, he protected Buddhism from turbulent social situations and reestablished the spirit of Korean Buddhism. Sixth, the monk Seongcheol restored the monk-farmer principle, under which monks were required to practice Buddhism and, at the same time, work for food. Monks at Bongamsa refused donations made through rituals and did not receive rent income gained from the property of the temple. Instead, they tried to follow the traditional way of Zen Buddhist practice to gain food by working or begging. The spirit and tradition of the Bongamsa association became an opportunity to resuscitate the image of monk degraded by Japanese Buddhism and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Korean Buddhism. Furthermore, the tradition of the association developed into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Jogye order, establishing itself as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

        돈오점수에 관한 일고(一考): 견성론을 중심으로

        김용환(Kim, Yong hwan),서왕모(Seo, Wang mo)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3 No.-

        돈점의 문제는 불교 수행에 있어서 수행자가 올바른 관점으로 들어가게 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그것은 바로 실천의 문제이다. 성철이 제기한 지눌 비판은 한국 불교계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불교학계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분명하다. 성철의 비판에 대한 지지 또는 반대의 의견을 제시하는 많은 논문이나 책들이 출간되었고, 사람들의 입에 회자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연구의 흐름을 보면, 견성론의 견지에서 돈점 문제를 직접적으로 궁구한 연구는 그렇게 눈에 뜨이지 않는다. 또한 대체로 성철의 관점 또는 보조의 관점 중 어느 한 쪽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상대편의 관점을 비판하거나, 또는 두 가지 입장을 종합하여 이해하려는 형식으로 전개된 연구가 많았던 것 같다. 이 논문에서는 사전에 성철이나 보조의 어느 한쪽을 지지하는 입장에서가 아니라, 원효가 제시하는 견성론(見性論)이라는 보다 객관적인 견지에서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검토한다. 즉, 원효가 『열반종요(涅槃宗要)』에서 제시하는 견성론이라는 공통의 준거틀을 근거로 하여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조망하고, 양자가 가진 견성관의 본질적인 문제를 드러내며, 양자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먼저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돈점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견성 사상의 토대가 되는 『대반열반경』에서 말하는 ‘문견(聞見)’과 ‘안견(眼見)’이라는 견성의 두 가지 유형을 소개하며, 이에 대하여 원효가 제시하는 견성의 세 가지 관점인 견성의 구경성(究竟性), 편재성(遍在性), 증득성(證得性)을 제시한 다음, 이를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에 적용하여 분석할 것이다. 그 결과 우리는 견성의 구경성, 편재성, 증득성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보조와 성철의 견성관을 고찰할 때, 양자 사이에 본질적인 차이가 있지 않다는 흥미로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이 타당하다면, 이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중요한 점을 시사점과 과제를 제시해 준다. 첫째, 돈점 논쟁의 핵심이 견성론에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것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둘째, 돈오점수 체계와 돈오돈수 체계의 상호 관계성을 어떻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인가? 셋째, 한국불교의 정체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결론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The sudden-gradual issue is an essentially important enterprise that practitioners have to undertake with right perspectives, and it is indeed a matter of praxis. Seongcheol’s critique of Chinul have sparked immense repercussions through out Korean Buddhist communities. In academia, a large number of research papers and books have been published against or in support of Seongcheol. Nevertheless, it is found from the literature tha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to rigorously investigate the sudden-gradual issue, directly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a theory of seeing the Buddha-nature. Most research is polemical in nature, taking a position ex ante to support one of the two Seon masters while criticizing the other. In this paper, rather than taking a position in support of either Bojo or Seongcheol, we rely on Wonhyo’s theory of seeing the Buddha-nature - a more objective ground for investigation - to examine two masters’ perspectives on seeing the Buddha-nature. So, on the basis of a common framework suggested by Wonhyo in his Doctrinal Essentials on the Nirvana Sutra, our focus is on the two masters’ perspectives on seeing the Buddha-nature. This reveals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ir point of views and the source of two masters’ different viewpoints as well. In our analysis, a striking result is obtained that there is essentially no difference between two masters’ perspectives. Further implications on this unexpected conclusion are discussed in the paper.

      • KCI등재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 극복으로서의 성철(性徹)의 간화선 사상

        김선근 ( Sun Keun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1

        필자는 이 논문에서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 극복으로서의 성철(性徹, 1912∼1993) 간화선 사상을 考究했다. 오늘날 우리는 기능적 가치관과 시장형 인간관으로 인간 존엄성 상실과 소외, 핵전쟁의 공포,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의 문제, 공업화에 따른 빈부의 격차, 자원의 고갈, 환경의 오염 등으로 인류의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게 하는 위기의 문제들에 봉착하고 있다. 이런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의 뿌리인 見濁(drsti-kasaye, the decay of views)을 치유할 수 있는 중도의 정견(samyagdrsti)을 성철(1912∼1993)의 간화선 사상에서 찾고자 했다. 이를테면 혜능(638∼713)이나 대혜(1089∼1163)의 禪은 그들의 시대에 있었던 문제의식과 그것에 대한 해결책이었다. 禪이 표방하는 중생이 곧 부처라는 명제는 시간과 공간을 일관하는 초시간적이고 초공간적인 禪적 진리이다. 스님께서 주장하는 중도는 단순히 교학적 이론이 아니라 궁극적 실재를 증득한 깨달음의 경지로 인식해야 한다. 그래서 중도는 깨쳐야만 알 수 있는 증지소지비여경(證知所智非餘境)이다. 중도는 깨달아야 아는 경지이므로 성철 스님은 화두를 참구하는 간화선 수행을 철저히 강조하셨다. 또한 성철 스님은 다음과 같이 불공의 의미와 방향을 분명하게 말씀하셨다. 우리 불교에서는 근본 생활을 불공하는 데 두어야 합니다. 모든 존재, 모든 상대가 부처인 줄 알면서 부처님으로 섬기고 존경하고 봉양한다면 극락세계를 따로 갈 필요가 없습니다. 이대로가 극락세계가 아닐래야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니 모든 인간이 모든 생명이 본래 부처라는 것부터 알아야 됩니다. 스님은 부처님의 가르침은 자성(自性)을 바로 깨치는 길, 즉 깨치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근본이다라고 새삼스럽게 강조 하셨다. 이런 강조는 스님 당시의 기복중심적인 신앙풍토 속에서 부정되고 사라져 버린 자각(自覺)의 전통을 다시 일깨우려는 뜻이다. 스님의 시대적 상황은 종단 내적으로나 국가적 차원으로나 무서운 병은 분열과 갈등이었다. 원효(元曉, 617-686)스님이 화쟁(和諍)의 원리로써 삼국의 분열과 갈등을 치유했던 것처럼, 스님이 중도(中道)와 불공(佛供)사상을 강조한 것은 전체 불교사를 재정립한 것이며 시대를 향도(嚮導)한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Seong- cheol`s Ganhwa Seon Thought as a Principle of reconcilation of the Mental Crisis of Modern Man.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ere have been enormous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have practically changed the face of the earth. But in spite of the great achieve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we find that there prevails a certain chaos and confusion at all levels - individual, social, moral, religious, politi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We find people going from bad to worse everyday. There is confusion and anarchy at all levels of human existence. In the face of these circumstances the need of the hour is the spiritual regeneration of human society. Master Seong-cheol(1912-1993) was a mentor who lived with us in the same age. In the Seonmun- jeongro, he delivered the preaching of the middle path. From the viewpoint of Seong-cheol Seon, Sudden enlightenment-gradual cultivation is incomplete theory of Enlightenment. Nevertheless, it has been regarded as a guiding principle of Seon practice for last over 8 hundred years of Korean Seon. Therefore Seong-cheol criticize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 strongly, and expounded the true meaning of ultimate Enlightenment which can be attained only through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The meaning of Seong-cheol Seon in the history of Buddhism lies in the fact that he clarified the supreme principle of Buddhim is the Middle Path in his Dharma Teachings. The distinguishing points in His understanding of the Middle Path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him, the meaning of the Middle Path is blocking up of both sides of one`s viewpoint, that is, giving up relative contradiction entirely. To get the great freedom of one`s mind, one must leave from both sides of the practical world, and then one can reach a point where both the sides are illuminated totally. This world of the Middle Path is regarded as ``a realm without hindrance``. Second, according to Master Seong-cheol, all beings of the world are empty.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at they are nothingness. All beings are empty in the sense of the Middle path, that is, that are empty beyond the contradiction between affirmation and negation. It is because not only all living beings have Buddha-nature but also their own nature is empty that we can see Self-nature and realize nirv?na from sa?s?ra by means of removing avidy? or fundamental ignorance. Since Buddha resides in every home, your parents are Buddha. So serving your parents is a genuine Buddhist offering. Since Buddha lives on every str eet, the poor and the weak are Buddha. So serving them is a genuine offering. Since Buddha is everywhere, we have an eternity of incalculable offerings to make. The joy of living can be found in serving and making offerings to all these countless Buddhas! Serving Buddhas everywhere is the noble vow of all Buddhas and Bodhisattvas, and the very basis of Buddhism. So we should be eternally grateful to the Buddha S?kyamuni for teaching us this noble law, and we should lead a life full of genuine Buddhist offerings. The Middle Path and Buddhist offering form the crux of his philosophy and represent the metaphysics and ethics he preached and practised. Hence I prefer to call Seong-cheol`s philosophy metaphysical ethics.

      • KCI등재

        성철 선사상의 서구철학과의 비교

        주광순(Joo, Kwang-sun)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0

        필자는 성철 선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다. 그래서 필자는 상호문화철학의 유비의 해석학을 이용하여 성철을 서구 철학과 비교한다. 비교는 한 쪽에 다른 쪽을 포섭시키는 것이 아니라, 양자 사이에 관계를 하나 형성하는 것이다. 우선 데카르트는 성철과 의심이라는 지점에서 겹친다. 양자 모두 모든 것에 대해서 주체적으로 그리고 극단적으로 의심한다. 그러나 데카르트가 의심을 확실한 지식을 발견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반해서 성철은 어디에도 안주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망상으로부터 해방되려고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성철은 근대의 시초인 데카르트보다 근대 비판가들인 마르크스나 프로이트와 더 많이 겹친다. 마르크스는 인간이 생산관계의 이데올로기적 반영과 반향에 사로잡혀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프롬에 따르자면 사회가 의식을 구성한다. 성철은 혁명을 꿈꾸지 않는다. 다만 깨달음을 통해서 마르크스나 프로이트가 주목하는 것을 포함해서 온갖 망상으로부터 해방되기를 원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meanings of Seongcheol’s Seon-thought. For this reason I am going to compare him with Western philosophy by means of the analogical hermeneutic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o compare means not to integrate one into the other, but to build a relationship between both sides. Descartes’ doubt overlaps with Seongcheol’s doubt. Both of them put everything in doubt independently and radically. However, Descartes uses doubt as a means to find true knowledge, whereas Seongcheol never stop to doubt. So, in the aspect of freeing oneself from illusions, he is more similar to critics of modernity like Marx and Freud than to Descartes. Marx shows that people are captured by the ideological reflexes and echoes of the relations of production, and according to Fromm the consciousness is constituted by society. Seongcheol dreams of freeing oneself from all illusions including the ones of Marx and Freud only by means of enlightenment.

      • KCI등재

        百日法門에 보이는 퇴옹 성철의불교 인식과 근대불교학 활용

        최원섭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5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Sermon of One Hundred Days delivered by Ven. Teo-ong Seongcheol (1912~1993) who was the first supreme master of the Hae-in Chongnim, or the comprehensive monastic training complex. Using two frames, the succession of Buddhist tradition and the acceptance of modern Buddhist studies, I examined how he used a key word of his sermon, or the Middle Path, and how he provided his key to people in the 20th century, when he delivered his first sermon as the supreme master. First, using his voice recording of the sermon and his lecture notes, I listened to the whole sermon that he delivered from December 4, 1967 to January 23, 1968, and understood his ability of free using the old and the new tradition. Secondly, I asserted that the Buddhist tradition of the Sermon of One Hundred Days is East Asian Buddhism that uses Chinese texts because Ven. Seongcheol identified himself as the Seon master and supreme master. Lastly, I understood that he accepted modern Buddhist studies as one of his skillful means, or a tool that can help the realization of enlightenment. So I criticized those who misunderstood that he was influenced by Japanese imperialistic modern Buddhist studies. 이 글은 해인총림 초대 방장 퇴옹 성철(1912~1993)의 개당설법 ‘백일법문’ 의 핵심인 중도가 어떤 맥락에서 설정되었으며 그것을 어떤 방편으로 20세기에 전하는지를 퇴옹 성철의 불교 인식과 근대불교학의 활용 측면에서 살펴본것이다. 먼저 성철의 육성 녹음과 백일법문 강의노트를 바탕으로 1967년 12월 4일부터 1968년 1월 23일까지 진행된 백일법문 전체의 내용과 구성을 파악하여옛 것과 지금의 것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는 성철의 면모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백일법문이 전체 불교 교리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개론서와 같은 성격을 갖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총림 방장이라는 선사의 정체성을 굳건히 지키고 있기 때문에 백일법문에 보이는 성철의 불교 인식은 한문 문헌 중심의 불교임을 언급하였다. 선사의 정체성을 굳건히 지키면서 설해진 백일법문답게 퇴옹 성철은 철저하게 한문 문헌 중심의 불교를 ‘진실’로 삼아 상황에 따른 ‘방편’을 도입한다. 근대 과학과 근대 불교학의 성과를 활용하는 일 역시 방편 차원으로 이해할수 있다. 따라서 백일법문의 ‘중도’ 역시 제국주의적인 일본의 근대 불교학의성과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설명은 백일법문의 기본 입장을 오해한 부분이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