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새로운 성장체제의 모색과 중소ㆍ중견기업의 성장동력화

        조영삼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19 미래성장연구 Vol.5 No.1

        최근 한국 경제의 기존 성장 패러다임이라 할 수 있는 수출 대기업 중심의 성장체제가 갖는 구조적 한계에 대한 문제 제기가 적지 않다. 이 글은 대기업체제의 낙수효과와 대기업체제 하 중소ㆍ중견기업의 성장 경로별 혁신성 분석을 통해 성장체제로서의 대기업체제의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낙수효과가 약화되고 있으며, 과거 중소ㆍ중견기업의 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수직적 하도급 분업구조가 호혜성이 약화되고 하도급거래 중소ㆍ중견기업의 혁신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한국 경제가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을 모색해야 함을 시사하며, 그 기본 방향은 특정 부문에 의존적이지 않고 건강한 기업군의 저변이 튼튼한 경제를 만드는 것이다. 새로운 성장체제에서 중소ㆍ중견기업 부문은 기존의 보완적ㆍ수동적 역할에서 벗어나 독립적이고 능동적인 경쟁주체로 자리매김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절실하다.

      • KCI등재

        비대칭 성장판 성장 억제를 이용한 사지 각 변형의 교정

        장우영(Woo Young Jang),최윤성(Yun Seong Choi),유원준(Won Joon Y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2

        성장이 남아있는 소아 청소년에서 사지의 각 변형은 정형외과 영역에서 드물지 않게 만나는 문제이다. 각 변형을 교정하는 수술적 방법 중, 비대칭 성장판 성장 억제술 또는 성장 조절법은 성장 중인 골에 지속적인 외력을 가하여 소성 변형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비대칭 성장판 성장 억제술의 원리를 이용한 수술법에 사용되는 내고정물로는 스테이플, 성장판 통과 나사못 및 8자 금속판으로 대표되는 긴장대 금속판이 있다. 스테이플을 이용한 일시적 반골단판 유합술은 각 변형 교정에 있어 약 60%-80%의 성공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장판을 통과하는 나사못을 이용한 골단판 유합술은 스테이플이나 8자 금속판에 비해 더 우월한 점은 피부 절개가 더 작고, 수술 시간도 더 짧으며, 수술 후 고정이 필요 없이 빨리 일상 생활에 복귀할 수 있다는 점이다. 8자 금속판은 스테이플이나 성장판을 통과하는 나사못에 비해 각 교정의 moment arm이 길어서 각 변형 교정에 더 유리하고 주변 정상 성장판의 성장을 덜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비대칭 성장판 성장 억제술은 소아 청소년의 사지 각 변형을 교정하는 데 있어서 간편하면서도 강력한 효과를 가진 수술법이다. 세 가지 종류의 내고정물들은 서로 장단점이 있고 아직까지 교정력이나 합병증에 있어 확실한 우열을 가리기 힘들기 때문에 환자 개개인의 특성을 잘 평가하여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내고정물을 선택하여야 한다. Angular deformity of extremiti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residual growth is not a rare condition in orthopaedics. Asymmetrical physeal suppression or guided growth method, one of the surgical techniques for correction of angular deformity, is a method of inducing plastic deformation by application of constant external force to a growing bone. Internal fixation devices used for asymmetrical physeal suppression include staples, transphyseal screws, and tension band plates, most representatively the 8-plate. Temporary hemiepiphysiodesis using staples is reported to show a success rate of 60% to 80%. Epiphysiodesis using transphyseal screws has several advantages over staples or 8-plates; smaller skin incision, shorter operation time, no postoperative splint or cast, faster return to daily life. Advantages of 8-plates over staples or transphyseal plates include a longer moment arm, which enables better correction of angular deformity and less suppression of the growth of the nearby normal growth plate. Asymmetrical physeal suppression is a simple and effective surgical method in correcting angular deformity of extremit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Each of three internal fixation devices discussed in the current article ha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superiority in terms of angular correction power and complication rate,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herefore, the most appropriate devic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each patient.

      • KCI등재

        신성장동력산업의 입지현황 및 집적특성에 관한 연구 - 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

        김희철,홍성조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4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경쟁력 상실에 따라 새로운 성장동력산업의 발굴과 육성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신성장동력산업을 선정 및 분류하고 육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기존의 전통산업이나 첨단산업 중심의 산업 유치 및 집적정책에서 나아가 신성장동력산업에 기반한 지역산업정책의 수립 및 실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어떠한 신성장동력산업이 특정 지역에 적합하며, 실제 발전가능성이 높을지 예측할 수 있는 기초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즉, 신성장동력 산업을 육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신성장동력산업의 입지나 집적특성과 같은 공간분포에 대한 기초연구가 선행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부의 신성장동력산업 분류에 따른 산업의 입지현황과 집적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1995년, 2000년, 2005년, 2009년의 4개년의 사업체 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신성장동력산업의 업종별 사업체 수를 읍면동단위로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를 바탕으로 입지 중심점과 표준거리를 통하여 산업별 입지패턴과 그 변화를 분석하고, 최근린지수(NNI : Nearest Neighbor Index)와 EG지수(Ellison-Glaeser's Index of Industry Concentration)를 통하여 산업별 집적도와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기본적으로 산업별로 정리되지만 전체적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신성장동력산업의 입지중심점이 많이 입지하는 지역은 수원시(18), 과천시(9), 군포시(7) 순으로 나타나며, 수원시는 녹색기술산업, 과천시와 군포시는 첨단융합산업의 중심지로 분석된다. 두 번째, 표준거리는 녹색기술산업(46.95km), 고부가서비스산업(42.42km), 첨단융합산업(41.41km)순으로 나타났으며, 표준거리가 가장 작은 산업은 콘텐츠산업(26.59km)이었고, 가장 큰 산업은 먹는샘물산업(79.88km)이었다. 세 번째, 최근린지수 분석결과, 고부가서비스산업이 가장 집적된 입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고부가서비스산업 중에서도 교육서비스 없이 가장 낮은 최근린지수(0.478)를 나타낸다. 네 번째, EG지수의 지표 값은 대분류 산업 사이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EG 지수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산업은 첨단철도 산업(0.1465)이었다. 본 연구는 현재 정부가 선정하여 육성 중인 우리나라의 신성장동력산업의 분류에 따라 산업별 입지와 집적형태를 분석한 연구로서, 기존의 산업분류에 따른 산업입지연구가 가지는 활용상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방정부가 해당 지역에 유치가능성이 높으며, 산업의 성장가능성이 높은 적합한 신성장동력산업을 선정하고 지역산업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Recently, government had introduced policies and plans to develop New Growth Engine Industries. These policies and plans should be based on locational distribution and agglom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se industries. However, it is hard to find studies about New Growth Engine Industr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cational distribution and agglomeration characteristics of New Growth Engine Industries. We used economic census data from Statistics Korea. We analyzed locational distribution by locational center point & standard distribution, and analyzed agglomeration characteristics by NNI(Nearest Neighbor Index).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2005, moving patterns of industrial locational center points are categorized three groups: keep moving to the south; moving back to the north; turning to the east. Second, standard distance of Green-Tech Industry and Conversion Industry is increasing, however, standard distance of High-Value Service Industry is decreasing. Third, New Growth Engine Industries' degree of agglomeration is not big as high-tech industries such as IT & BT. Fourth, agglomerated regions of service related industries are Yeouido, Gangnam, Seocho in Seoul and Yuseong in Daejeon, and agglomerated regions of manufacturing related industries are Namdong·Sihwa·Banwol industrial complexes.

      • KCI등재

        한국경제의 성장잠재력 변화 : 성장회계분석결과를 중심으로

        김종일 한국은행 2004 經濟分析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성장회계 실증결과를 중심으로 한국경제성장의 원천을 총요소생산성, 자본, 노동 등 각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것이 현재 한국경제성장에 시사하는 바를 알아보았다. 실증결과를 종합하면 한국경제는 성장과 함께 생산구조도 빠르게 효율중심의 성장체제로 전환하고 있으며 여전히 지속적인 성장을 할 여지를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최근에 문제된 낮은 총요소생산성 증가는 공업화 초기에 다른 선진국에서도 관찰되는 현상으로 앞으로 성장에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오히려 교육, 기술개발투자, 총요소생산성의 추이를 살펴볼 때 한국경제는 효율중심의 성장패턴을 1980년대 중반이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자본과 노동의 성장요인과 추이를 살펴보면 더 이상 과거와 같이 양적인 투입에 의한 성장은 가능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제조업의 고용비중이 대만이나 일본과 같은 다른 동아시아보다 빠른 속도로 감소하고, 요소투입에서 지난 40여년간 긍정적으로 작용한 요인이 빠른 속도로 소멸하고 있으므로 더 이상 요소투입에 의한 고성장을 기대할 수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현재 소득수준에 비하여 제조업의 성장정체는 앞으로 성장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취업유인이 있는 제조업의 점진적인 성장과 고생산성 서비스업의 일자리 창출이 시급하다.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growth prospect of Korean economy based on the empirical findings of growth accounting analysis. It asserts that the concern for low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growth issued from recent studies on East Asian TFP controversy does not foretell pessimistic future since the low TFP growth is a natural phenomenon observable in the early stage of industrialization. The empirical results on the trend of sources of growth show that Korea has rapidly transformed from accumulation to efficiency based growth since mid 1980s. Furthermore, in terms of TFP growth, Korea has enough room to catch up with advanced countries. However, the trends in demographic composition, savings rate, and industrial structure indicate that the rapid growth with aggressive accumulation cannot be sustained anymore. Many structural indices imply the era of rapid growth ended around early 1990s. The real concern related with future growth lies in the rapid fadeaway of environment that worked positively on past growth, which can be observed through stagnation of manufacturing sector's employment, decline of saving rate, and advance of aging society. Thus, Korea's timely adjustment to the rapid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is a key to cross the threshold to become a high income country.

      • KCI등재

        한국교회 성장동력의 분석과 평가

        조재국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6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국교회의 현실을 분석하여 성장둔화의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고, 선교의 당위성과 가능성을 찾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교회 성장학에서 논의해온 교회성장의 개념과 평가지표 및 한국의 교회성장이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에 한국의 대표적인 8개교회, 즉 서초중앙교회, 지구촌 순복음교회,여의도침례교회,신양교회,거룩한빛광성교회,만나교회,향상교회,오산평화교회에 대한 신학자들의 실증적 연구결과를 분석, 종합하고, 신학자들이 제시한 성장의 요인들을 중심으로 교회의 성장의 인과관계를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장에서의 평가지표를 염두에 두면서 공통적인 성장동력을 분석, 해석하였고, 미래교회의 새로운 모델을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다. 한국교회는 지금 장기간의 성장 둔화 및 침체기를 극복하려는 움직임으로 충만하다. 거기에는 지난 한 세기를 풍미한 전통적인 목회와 교회조직이 아니라, 새로운 성장동력의 발견을 통한 적극적인 교회갱신이 필수적인 조건이다. 필자의 생각에는 상기의 성장동력교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문제의식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고 본다. 그것은 교회의 본질에 대한 바른 이해와 더불어 교회다운 교회의 형성을 위한 전략적 차원으로서의 성장이해이다. 성숙한 신앙의 삶을 실천하여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일이 교회성장의 목적인 바, 그것은 필연적으로 신앙적, 영성적 성장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한국교회의 새로운 선교를 위해서는 교회의 이미지 개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교회의 브랜드 가치의 제고는 한국교회의 모든 역량을 다하여 달성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왜냐하면 한국의 일반인들은 개신교를 다양한 삶의 방식과 현대문화를 싫어하는 매우 배타적인 종교집단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기독교 선교에 대한 거부감을 불식시키는 일이 중요하다. 성장동력교회들이 모두 사회봉사프로그램을 통하여 섬김과 나눔을 실천하려고 하는 것도 교회에 대한 이미지 쇄신 없이는 교회성장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교회는 지난 세기에서 넘어온 부(負)적 유산, 즉 제도교회의 경직성과 이미지의 손상을 치유하지 않으면 미래교회의 성장을 맞이할 수 없다. 한국교회는 각 교회가 위치한 지역과 처지에 따라 최선의 동력을 찾겠지만, 그것은 분명 성장 동력 교회의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목회철학과 목회자의 리더십, 역동적인 예배, 교회의 거버넌스(행정)개혁, 평신도의 사역훈련, 가정 중시의 목회, 지역사회의 봉사라는 다섯 가지 가운데 하나가 될 것이다. This essay aims to analyze the cause of growth stagnation and to find out the justification and possibility of church growth in practice. At first, we seek the concept of the growth and value index 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hurches through the study on church growth. Then, we also analyze the results of a study by Korean theologians on 10 churches as follows; Seocho Central Church, Jigoochon Ful Gospel Church, Youido Baptist Church, Sinyang Church, Seodaemun Church, Geruhanbit Gwangsung Church, Mana Church, Hyangsang Church, Osan Pyungwha Church and Gunsan Sungkwang Church. We try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o assess causation of growing and emerging of those churches proposed by theologians. At last, we interpret the common growth elements of those churches with the value index as mentioned above and prospect a new model for the future church. We can propose the following contents resulting from the study. Korean churches are trying to overcome growth stagnation for the long term in order to find out a new strategy or renewal for church growth or emerge instead of a traditional church ministry or system during the last century. The above emerging churches have two tasks commonly as follows; one is the right understanding of nature for church, and the other is church growth as a strategical dimension for forming the desirable church. The purpose of church growth is to glorify God according to practice of a mature Christian life relevant to growth both in faith and in spirit. Moreover, renewing the church image to Korean churches comes first for new church growth. Korean churches have to try to restore their blended value to full capacity. Most Koreans view the Korean church as a very exclusive religious group to modern culture, so they have a negative image towards the Korean churches’ mission. To overcome it, the emerging churches are trying to practice sharing and servicing through various programs for their local communities. The Korean church cannot welcome its desirable growth in the future without solving its negative legacy from the last century due to the stiffness and image damage of the institutional church. The Korean church will find out the powerful emerging engines according to locations and situations of the church. One of them will come from ministry philosophy and leadership of minister, dynamic worship, governance renewal, layperson training, family central ministry and local community service resulted by this study.

      • KCI우수등재

        탈성장사회론과 맑스의 사회이론의 결합가능성에 대한 검토: 생산력주의와 성장주의 문제를 중심으로

        김원태(Wontae Kim)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1

        생태위기의 심각성이 드러남에 따라, 생태적 대안과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한편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녹색성장, 녹색경제, 녹색자본주의, 그린뉴딜 등이 회자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기존의 대안논의들이 생태문제를 필연적으로 초래하는 경제성장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비판하고 생태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탈성장을 구성원리로 하는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탈성장사회론이 등장했다. 그러나 탈성장사회론은 자본주의분석에서 문제가 있고, 따라서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이러한 탈성장사회론의 보완으로서 맑스의 사회이론에 주목하고, 탈성장사회론을 맑스의 사회이론을 통해 보완하기 위한 첫 단계로서 우선 맑스의 사회이론이 가진 생산력주의 혹은 성장주의의 문제를 검토한다. 특히 이 글은 맑스의 사회이론의 변화과정과 양가성을 분석함으로써, 맑스의 사회이론에 ‘성장주의적 요소’뿐만 아니라 ‘성장주의를 비판하는 요소’가 존재한다는 것을 밝히고, 맑스의 사회이론이 탈성장사회론과 결합될 수 있는 이론적 조건을 확인한다. It is becoming known how severe the ecological crisis is. The ecological alternatives and political measures also deserve attention. On the one hand, sustainable development, green growth, green economy, green capitalism, and green new deal are the topics invited to the essential discourses.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ers of the degrowth theory criticize the theory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want to create a new society based on the notion of degrowth. But the degrowth theory has a problem with the analysis of capitalism and cannot achieve its goal with it. This article focuses on Marx’s social theory as a supplement to the degrowth theory and first examines the productivism/growthism problem, which Marx’s social theory has. The article analyzes the change and ambivalence of Marx’s social theory and thereby explains that Marx’s social theory has not only the elements of growthism but also the elements criticizing growthism. This conclusion confirms the theoretical conditions that Marx’s social theory can be integrated with the degrowth theory.

      • 미래유망 성장동력 발굴 및 관리시스템 구축

        배용호,이우성,이주량,최지선,고명주,류진영,이준협,정호석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1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사회정책적 요구 부합성 - 경제·사회적 필요성: 주요 선진국의 새로운 성장산업 발굴과 그에 따른 우선 순위의 조정 및 최근의 대내외적 환경 변화에 따라 차세대 성장을 주도할 새로운 산업군의 선택과 집중 육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 - 정책적 필요성과 시의성:?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높이고 최근 국가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라도 신성장동력사업의성공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마련이 요구됨? 대부분 단기간에 걸쳐 일회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신성장동력 발굴 시스템에 대한 체계적 기획 필요? 성장동력에 대한 중장기적 관리 강화를 위해 체계적인 평가를 포함한 종합적인 관리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성장동력 특성에 따른 맞춤형 혁신정책 제언을 위한 다각적 노력이 필요 ○ 연구 목적 - 향후 우리나라 경제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산업을 도출하고 이들 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유지하기 위한 기술혁신 전략 및 정부 차원의 종합적 정책 제시(3차년도 과제로 수행) - 특히 미래성장동력의 체계적인 발굴과 육성을 위한 ‘미래성장동력 종합관리시스템’을 구상하고 이를 원활히 추진할 수 있는 하부 시스템을 상세 설계 요약 및 결론 : 정책제언을 중심으로 □ 미래유망 신기술 분석시스템 확립 ⊙ 미래유망 신기술 분석시스템의 확립을 위한 전문연구기관의 지정 - 한국미래기술지수를 활용하여 미래성장동력 상비군의 발굴/관리 체계화를 도모하고 모니터링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미래 관련 전문위원회를 만들어 미래유망 신기술 분석시스템을 주관 - 한국미래기술지수의 활용과 관련된 실무 작업은 관련 전문기관에서 담당 □ 산업/기술 맞춤형 기술혁신정책 구현 ⊙ 미래성장동력 차원에서 공통적으로 강화해야 할 정책과 미래유망 성장동력별로 맞춤형으로 추진해야 할 기술혁신전략 및 육성정책이 분리 - 맞춤형 기술혁신전략 추진을 위해서는 보다 세밀한 수준에서 미래유망 성장동력의 기술혁신 핵심요소 파악 및 이를 바탕으로 육성 정책 추진 - 연관된 혁신요소가 유사한 기술혁신정책들과 차별적인 정책들을 분석하여 정책관계망을 구축하여 체계적인 통합관리와 패키지형 정책 포트폴리오 구성 ⊙동태적인 롤링플랜식의 중장기 기술혁신전략 필요 - 세계 관련 시장 및 기술이 급속히 변화하는 점을 감안하여 기술혁신전략을 범 정부 차원에서 주기적으로 보완하는 체계 구비 □ 미래유망 성장동력 모니터링/평가체계 구축 ⊙신성장동력사업에 대한 제대로 된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신성장동력의 핵심분야별/산업단계별 기술수준 및 시장 전망, 성과 창출, 추진과정의 애로 요인 등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정책에 피드백 - 국가적 차원에서 글로벌 차원까지 과학기술 혁신환경의 변화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부처별 신성장동력사업에 대한 성과 중심의 관리 체계 구축 - 성과지표체계의 정립, 정례적 성과 분석 및 평가 시스템 도입 - 관련 데이터의 DB화를 통해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등 사후적 성과분석 지원 시스템 구축 - 관련 사업에 대한 상세한 점검 및 체계적 평가를 통해서 예산과 연동 □ 미래유망 성장동력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 미래유망 성장동력 사업이 당초 계획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사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성과를 측정하여 사업 추진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 제공 - 관련 정보를 지식 형태로 변환하여 체계적으로 저장, 검색, 공유함으로써 사업 수행에 따른 일정관리, 성과측정, 목표 대비 달성도, 경제적 효과, 사업 점검 및 개선 등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목표관리기법 및 성과측정 모형 개발 적용 □ 선택과 집중 전략의 추진 ⊙ 투자우선순위의 설정과 그에 따른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정책효과 제고 및 가시적 성과 창출 ⊙ 주요 선진국은 우리보다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가의 핵심 역량을 결집하여 취약 분야의 보완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집중 ⊙신성장동력 육성과 관련한 발전전략으로는 선택과 집중에 따른 기러기형 발전 전략 추진 - 기러기형 발전전략은 선도산업이 중심이 되어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전략

      • KCI등재

        신규진입기업의 성장정체 -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전략 -

        강태원,백철우,이정동 한국기업경영학회 2019 기업경영연구 Vol.26 No.3

        Most firms experience growth stall where growth stops or stagnates for a long time. In particular, the majority of entrants fail to maintain their initial growth rates and experience growth stall. This study aims to analyze (I) when new firms experience the growth stall and (II) how they can overcome growth stall. By merging three firm-level databases, we construct an unique panel of 780 Korean manufacturing firms observed over more than 15 years after market entry. We find that 90% of the entrants experience growth stall, and their growth stall begin around 10 years old, the size of 100 employees or sales of 24 billion won. Innovation is important to overcome growth stall. First, search activity through R&D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overcoming growth stall. Second, firms with accumulated knowledge have higher efficiency of R&D search during the period of growth stall. Third, the more firms actively explore new knowledge areas, the more likely they gain new growth momentums. Our findings suggest manageri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stainable firm growth. 현실에서 성장하던 기업들이 갑자기 성장이 멈추는 성장정체가 만연한다. 특히, 신규진입기업 대다수는 생존 이후 진입 초기 성장동력을 유지하지 못하고 성장정체를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제조업의 신규진입기업을 대상으로 성장정체가 언제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세 가지 데이터베이스를 병합하여, 진입 당시부터 최장 30년 성장경로 추적이 가능한 진입 제조기업 780개의 고유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생존한 신규진입기업 중 약 90%가 성장정체를 경험하였으며, 업력 10년, 종업원 수 100명 또는 매출액 240억원 전후로 성장정체가 시작된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혁신전략을 재정비하고 내부역량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첫째, R&D를 통한 탐색활동을 활발하게 할수록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둘째, 성장정체가 발생하기 전 축적된 지식이 많은 기업일수록 성장정체 기간 동안 R&D 탐색활동의 효율성이 증가한다. 셋째, 새로운 지식 영역으로의 탐색을 활발히 하는 기업일수록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할 확률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정체를 무조건 피해야 할 대상보다는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직과 전략의 전환 시기로 재해석하고, 지속성장을 위한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장소설로 본 「우상의 눈물」의 함의

        박선양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4 No.-

        성장소설에서는 미숙한 개인이 기성사회와 갈등하면서 어떤 관계를 맺는지에 따라 성장의 모습이 달라진다. 각 성장은 고유한 가치를 지닌다. 1970~80년대 한국의 성장소설은 대부분 아버지가 부재하거나 무능하다. 그래서 이 시기 성장주체의 기성사회 진입을 위한 계기는 주로 교육의 장에서 이루어졌다. 서술자인 유대는 문제의식과 비판의식을 가지고 기성사회의 위선을 드러낸다. 하지만 이 인식을 실천으로 옮기지 못해 가능성만 보이는 미완의 성장 상태에 놓인다. 기표는 절대적 악의 화신으로 보이지만 기성사회의 위선적 악에 희생된다. 그러나 자신이 무화될 위기에 처하자 모든 걸 버리고 떠남으로써 자신을 찾는 성장의 토대를 마련한다. 하지만 불확실한 경우여서 아직 불확실한 성장이라 할 수 있다. 형우는 기성사회를 내면화하고 철저히 대행하지만 기성사회에 진입한 것은 아니다. 형우는 갈등을 겪는 주체적 성장의 과정을 다시 시작해야만 성장할 수 있다. 성장의 정지 상태에 있는 것이다. 세 성장주체는 저항 굴종 분노의 단선적 과정과 동시적 모습을 모두 보여준다. 그리고 관계를 주고받으며 서로의 성장에 관여한다. 『우상의 눈물』은 이렇게 다양한 성장의 모습을 보여주는 열린 결말을 취하여 성장소설로서 현재적 의미를 갖는다. In the initiation novels, the modes of initiations ar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relation the immature individuals have to the established community, having trouble with it. In 1970s’ initiation novels of Korea are, most of all, the figures of father are absent or good for nothing. In this period, the moment of the initiation for entering the established community were made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narrator Judae reveals the hypocrisy of the established society, but fails to put this realization into practice and, accordingly, makes immature initiation, showing only potence. Kipyo seems to have been the incarnation of the evil but is the victim of the hypocritical evil of the established society. Facing the crisis of being nullified, he leaves everything behind to make a foundation for initiation in search of himself. Hyungwoo internalizes and acts for the established society, but is not the subject. In order to accomplish the initiation he should start the process of subjective initiation again. the three subjects of initiation show both the linear process and the coincidental appearances of resistance-submission-rage, and have each hand in others’ initiation, being related each other. 『The Tears of Idols』 is of such a deep significance in so-called hyper-period, putting an open end of showing the various initiations.

      • KCI등재후보

        기업 성장의 상대적 가치와 그 의미

        이주일(Ju Il Lee),김성구(Sung Gu Kim),김현제(Hyun Je Kim),노규영(Kyu Yeong Roh),원주희(Ju Hee Won),박경민(Kyung Min Park)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12 연세경영연구 Vol.49 No.1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성장의 상대적 가치를 살피고, 언제 어떤 전략이 기업의 시장가치 증대에 기여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Mass(2005)는 실무적으로 성장 전략을 택할지 혹은 이익향상 전략을 택할지에 대한 기업의 선택이 명확하지 않다고 말한다. 이에 그는 성장의 상대적 가치라는 개념을 제안함으로써, 성장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성장지향 혹은 이익지향을 추구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성장의 상대적 가치는 성장과 이익의 개선이 주주의 가치창출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방법으로써, 1%의 추가적인 성장의 가치를 1%의 추가적인 이익의 가치로 나눈 값을 말한다. 그러므로 성장의 상대적 가치가 1보다 큰 기업은 성장지향성 전략을 추구하는 것이 기업성과에 유리한 반면에, 성장의 상대적 가치가 1보다 작은 기업은 이익지향성 전략을 추구하는 것이 기업성과 개선에 일조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배경 하에서, 상위 200대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성장의 상대적 가치가 높은 기업의 성장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가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성장의 상대적 가치가 낮은 기업의 이익지향성은 기업성과 증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손잡이 전략은 기업성과 증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성장의 상대적 가치가 높은 기업의 다각화도 기업성과 증대에 별다른 기여를 하지 못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의사결정에 유용한 실무적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ve value of growth of Korean firms and reveals the type of strategy that helps to increase the market value of those firms more, after weighing the strengths of both growth oriented and profit oriented strategies. Specifically, Mass (2005) argued that managers do not have a clear decision rule on whether to adopt a growth oriented strategy or profit oriented strategy. Therefore he proposed the concept of the relative value of growth (RVG). The RVG approach is an analytic tool for identifying whether a growth oriented strategy contributes to higher firm value or profit oriented strategy leads to higher firm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RVG, individual firms should focus on either growth oriented strategy or profit oriented strategy. In order to test his arguments, we collected financial data on top 200 firms in Korea from Kis-Value. Our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on top 200 firms in Korea show that growth orient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rm value. Moreover, the RVG of the firms negatively moderates therelationship between profit orientation and the firm value. Therefore, our findings provide mangers with practical guidelines on corporate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