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독일의 성명법에서 성씨(姓氏)의 취득

        남윤삼(Nam, Yoon Sam)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25 No.3

        성씨와 이름을 규율하는 성명법은 독일에서 관습법으로 발전 전개되어 왔으며, 오늘날에는 민법전(BGB), 호적법(PStG), ‘성씨와 이름의 변경에 관한 법률(NamAndG)’ 등에서 규정되고 있다. 1949년 발효된 독일기본법에서는 양성평등의 원칙을 천명하고 있다. 독일민법 제12조의 성명권 보호규정은 절대적인 권리인 동시에 인격권의 실현이다. 그동안 독일에서 기본법이 선언한 인격권, 양성평등의 원칙과 혼인성씨와 성명권에 관해서 지속적으로 논쟁을 일으켰다. 독일연방헌법재판소(BVerfG)의 판결들은 성명법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양성평등의 원칙, 인격권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관련된 민법상의 규정과 법률을 새롭게 정립하기 위하여 성명법과 관련된 법률들을 제정ㆍ개정하였다. 지금까지 독일의 성명법의 역사적 전개과정과 성명법과 관련된 법률을 검토할 때 독일연방헌법재판소 판결의 영향으로 기존의 가족법상의 원칙도 헌법적 질서 내에서 조화를 찾고 있다. 또한 유럽법의 통합법 시대에 대응하는 독일의 가족법상의 변화 역시 성명법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독일 성명법의 전개 방향은 이제 혈통주의에서 벗어나 가족 구성원의 조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 이상 독일인의 성씨로 그 가족 구성원을 판단할 수는 없게 되었다. 혼인성씨에 관해서는 독일민법 규정에 아직도 혼인성씨를 정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적어도 가족관계의 일치성을 강조하는 독일입법자들의 의도를 읽을 수 있다. 혼인으로 인하여 성씨를 새롭게 취득한다는 것은 독일 성명법의 독특한 제도이다. 특히 자녀의 성씨취득과 관련하여 1997년 자녀법을 개혁한 이후부터 혼인 중의 자녀와 혼인 외의 자녀를 구별하여 자녀의 성씨취득을 결정하는 종래의 법적 기준을 전환시킨 점은 새로운 변화라 아니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독일의 성명법에서는 부모의 친권 유무에 의하여 자녀의 성씨를 정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의 현행 가족법상의 성씨 취득에 관해서 혼인성씨와 자녀성씨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범위를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하여, (1) 성씨에 관한 독일 성명법상의 기본 개념과 원칙, (2) 1900년 독일 민법전 제정 이후의 독일 성명법상의 역사적 전개 과정, (3) 혼인성씨와 자녀성씨의 취득에 관한 현행 독일의 성명법 내용 등을 검토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씨시조신화의 전승과 분포 그리고 문화권역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09 남도민속연구 Vol.19 No.-

        본 글은 한국의 성씨시조신화를 대상으로 전승유형과 함께 지리적 분포양상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문화권역을 설정하여 신화사적 맥락과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성씨시조신화는 시조가 탄생하고 그로 인해 성씨가 부여되는 일련의 이야기로, 해당 씨족집단만의 신성성이 부여되고 오늘날까지 신화적 정통성이 지속되고 있어서 현재적 신화로서 그 가치가 크다. 따라서 현재까지 파악된 자료를 토대로 성씨시조신화의 유형을 크게 천손하강형, 난생상생형, 이류교혼형, 지손용출형의 네 가지로 유형화하여 해당 내용을 살폈다. 그리고 여기에 성씨시조신화의 배경지가 곧 성씨의 본관이 되거나 그로 인해 성씨의 계파가 형성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신화의 지역적 분포 양상을 살펴보았다. 성씨시조신화는 성씨제도, 족보를 적절하게 수용하면서 정착된 신화이며, 개인보다는 집단적인 삶, 공동체적 삶을 반영한 신화이다. 따라서 성씨시조신화는 최소한의 신화적 원형을 보유하고 있으면서 고정된 형태로 전승되기보다는 역사라는 무대에서 문화적 양태를 적절히 수용하면서 변화를 거듭하였다. 그리고 전승의 주체인 성씨집단은 성씨시조신화에 끝임 없는 신화적 상징과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존속을 가능케 했던 것이다. 이러한 문화사적 수용과 정통성을 지닌 성씨시조신화의 분포영역을 살펴본 결과, 난생상생형 신화는 지리적으로 신라문화권 중심으로 안착된 난생상생 신화소가 이후 시대를 내려오면서 북쪽으로는 하음봉씨, 파평윤씨 시조신화가 전승되고,서쪽으로는 남평문씨 시조신화가 전승되고 있다. 즉 박혁거세신화 이후 난생상생형 신화는 새로운 성씨 씨족집단과 신화소가 결합하여 경기도, 전라도까지 지리적으로 전파, 계승되어 한국 신화의 한 계통을 잇고 있다. 이에 반해 이류교혼형 신화는 지리적으로 백제문화권 중심으로 안착된 이류교혼 신화소가 이후 시대를 내려오면서 북쪽으로는 평강채씨 시조신화가, 동쪽으로는 창녕조씨 시조신화가 전승되고 있다. 즉 서동설화 이후 이류교혼형 신화는 새로운 성씨 씨족집단과 신화소가 결합하여 강원도, 경상도까지 지리적으로 전파, 계승되어 한국 신화의 또 다른 계통을 잇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is to research the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types of the Myth of Family Name of the great grand father, and to divide cultural areas to study mythical context and its meaning. The myth is a series of stories about the great grand father’s born and the origin of the family name. It has a great value of myth. This study classified myths into 4 types by data; the descent of the son of god, born from an egg, born between human and god, born from the ground. This studied the background of a myth, a home of the family name, and groups of the family name Born from an egg type myth is alternated by the descent of the son of god type, flowed in, settled down and transmitted to the southern area centered in Gyeon-ju and Gimhae. It is distributed around Silla cultural area. The mythes of Hauem Bong and Papyeon Yoon in the northern area, and the myth of Namyeon Moon in the western area have been transmitted. After Parkhyeokgeose myth was created, Born from an egg type myth combined with new family groups and mythical characters and have been distributed to Gyeongi-do and Jeonla-do to continue to be a series of Korean myths. Contrarily, the myths of Gyeon, Namown Jin, and Choongjoo Eo, Born between human and god types, are settled down and distributed around Baekje cultural area. The mythical characters are transmitted to the myth of Pyeongang Chae in the northern area and that of Changnyeon Jo in the eastern area. After Seodong myth was created, the type was combined with new family name groups mythical characters and distributed to Ganwon-do and Gyeongsang-do to ontinue to be a series of Korean myths.

      • KCI등재후보

        성씨시조담의 전승과 이해 지평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오늘날 구전되는 다양한 성씨시조담을 대상으로 신화적 의미와 전설, 민담으로 변이되는 양상 그리고 성씨현조담을 통해 이에 대한 이해 지평을 검토한 글이다. 성씨시조담은 성씨 시조의 탄생과 得姓에 관한 이야기로, 확장된 신화적 개념에서 본다면 조상에 대한 신성성, 성씨에 대한 당위성, 제한적 혈연적 지속성 등의 특성을 온전히 갖추고 있다. 이러한 성씨시조담은 집단의 세계관을 반영하고 가치관을 함축하면서, 역사시대에 적합한 신화적 질서를 최소한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정 씨족집단에게는 분명 신화적 기능과 그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나 해당 문헌에 기록된 신화내용이 구전을 통해 전승되는 것과는 차이를 드러낸다. 성씨시조신화는 그 씨족집단에서는 신화로 기능하기에, 그에 따라 시조를 숭앙하고 시조의 탄생지를 성지화하고, 得姓碑를 세우는 여타의 노력들이 강구된다. 그러나 씨족을 벗어나면 신성관념이 약화되어 신화가 아닌 전설이나 민담으로 변이 된다. 이는 인간의 합리적인 사고와 일상적인 인식이 성씨시조담의 다양한 변이를 초래한 것으로, 특정집단에서는 온전한 신화를 이야기하면서도 다른 전승집단에서는 다양한 전설이나 민담을 파생시켜 구전의 순기능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성씨시조담을 구연하는 전승 주체의 확대로 인해 민담으로의 다양한 출구를 마련함으로써 끊임없는 재창조의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고, 이를 통해 사회적 통념이 가미된 성씨의 일반적 의식 세계를 표현하고 있다. 한편, 성씨집단이라는 특정의 씨족 범주와 그 씨족의 인물에 관한 성씨현조담은 씨족의 특출한 인물의 출현을 통해 내적으로 진정한 씨족의 부흥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성씨시조담의 확장으로 볼 수 있다. 성씨시조담은 시조라는 인물 출현을 통해 성씨의 근원적인 시작을 이야기한 반면에, 성씨현조담은 씨족의 부흥과 융성을 새로운 각도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성씨현조담은 후손들에게 씨족에 대한 우월감을 재차 확인하는 현재적 신화로 가능하고 있다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a manifold of the tales of the progenitor of family name which is transmuted into the tale of mythical significance, legend and folktale, 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them through the salient ancestor of family name. The tale of the progenitor of family name is related to the birth and acquirement of its progenitor, a tale that is, for the extended mythical ideas, full of the quality of the divinity of ancestry, the validity of the family name and a blood relation for durability. It is to be construed as its mythical function for the special phratries that some respect or other may be specified in which the tale is a reflection of the collective’s Weltanschauung and values, and takes a minimum of a mythical order relevant to recorded history. However, the sacred idea, which gets out of the phratries, becomes so weak that it turns out to be a variant of a legend or tale rather than a myth. This represents a sound myth of a group and various legends or tales of other group derived from it. The tale thus identified leads to a various transition the tale of which is brought out by the rationalization of human beings and their ordinary knowledge, and makes an arrangement of the proper function in oral tradition. Moreover, with an extension of the subject handing down its tale, various ways toward the tale get arranged, indicating that they leaves open the possibility of a constant recreation. This will, therefore, leads to the world of general consciousness to which a social common notion is added. Meantime, the tale of the progenitor of family name is that when pursuing the true restoration of the clan through the advent of a great figure, it is identified with an extension of it. Whereas the tale of the progenitor of family name begins with a new family name ascribed to a figure as progenitor, the salient ancestor of family name functions as an on-going mythology which draw on the restoration and prosperity of the clan from a new angle.

      • 위만조선과 낙랑의 성씨

        전진국 ( Jeon Jin-kook ) 한국계보연구회 2020 한국계보연구 Vol.10 No.-

        한국의 본관성씨 제도는 고려 초에 시작되었지만, 성씨를 쓰는 사례는 삼국의 역사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이 글에서는 위만조선과 낙랑 시기부터 성씨를 쓰는 문화가 있었음을 검토하였다. 위만조선과 낙랑에서 확인되는 주요 성씨는 한씨와 왕씨이다. 한씨는 위만 앞의 고조선 왕족이 왕위를 빼앗긴 뒤에 사용한 성씨였다. 고조선 왕족이 한씨를 썼던 정황은 『위략』과 『잠부론』에서 확인된다. 『사기』 조선열전에 등장하는 한음과 왕겹은 위만조선에 존재했던 한씨와 왕씨의 인물이다. 한씨와 왕씨는 중국계 성씨이며, 이 당시 중국에서는 이미 왕족부터 일반 서민에 이르기까지 성씨를 쓰는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었다. 그러한 중국의 성씨 문화가 위만조선에 전해졌다고 판단한다. 왕씨와 한씨는 위만조선 멸망 뒤 그 땅에 두어진 낙랑군에서도 확인된다. 주로 무덤에서 발견되는 글씨가 새겨진 유물을 통해 성씨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함께 발견되는 유물과 그 유물이 발견되는 무덤의 양식을 통해서 보면, 그 성씨를 썼던 사람들은 고조선계 토착 주민이었다. 위만조선과 낙랑의 성씨는 삼국시대의 성씨로 그 계보가 이어지지 않지만, 지배층 사이에서 성씨를 쓰는 그 문화는 전수되었다. 따라서 위만조선의 한씨와 왕씨는 한국사에서 성씨 문화의 시초라 할 수 있다. In Korea, the system of adding the Choronym(Pon’gwan, 本貫) to family names began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the use of family names can also be found in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Furthermore, there was a culture of using family names from the Weimanchosǒn(衛滿朝鮮) and the Lolang(樂浪) periods. The main family names found in Weimanchoson and Lolang periods are Han(韓) and Wang(王). Han was the family name used by the Old Chosǒn royal family after they lost the throne to Weiman(衛滿). The records of the Old Chosǒn royal family writing Han are found in Weilueh (魏略) and Qianfulun(潛夫論). Hanum(韓陰) and Wanggyeop(王唊), who appeared in the Chosǒn(朝鮮傳) in Shiji(史記), were the people of Weimanchosǒn who used Han and Wang as family names. Han and Wang were family names used in China, and it was already common in China at that time to use surnames ranging from royalty to ordinary people. Such Chinese family name culture would have spread to Weimanchosǒn. Wang and Han are also found in Lolang, which was placed on the land after the collapse of the Weimanchosǒn. The existence of the family name can be confirmed mostly through the inscriptions found in tombs. Based on the relics and the style of the tombs, the people who used the family name were indigenous people of Old Chosǒn. The family name of Weimanchosǒn and Lolang were not directly linked to the family name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the culture of using family names was spread among the ruling class. Therefore, Han and Wang of Weimanchosǒn were the origin of the family name culture in Korean history.

      • KCI등재

        백제 성씨문화의 이해

        박윤선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9

        Surnames in China were, first, an intensive expression of the social tradition of patrilineal descent and patrilocal residence. The name was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agnate kin. Second, they were both an indication of patrilineality and social status. For a formation of a patrilineal or matrilineal, thus unilineal line of descent, the prevalent marriage tradition must be exogamy and the patrilocal residence. However while possibilities of endogamy are spotted in Baekje, those of patrilocal residence are not.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ascertain agnatic kinship while ruling out matrilineality. It seems safe to assume Baekje wanted the foundation to realize surname culture. Even the royal family, who were certain to have surnames, didn’t routinely use surnames in records. They also used different surnames between father and son, showing surnames failed in serving their purpose to indicate patrilineality and unite the members of kin. It is also hard to assume the existence of surnames in Baekje at all. It is thought that the kings of Baekje would use surnames in exchanges with China to express a cultural homogeneity and promoting a diplomatic expedience. Thus the role surnames played was different to its origin. Namesakes, who show possibility of names developing into surnames, tend to take after the names of kings. “Goyi”, “Dongsung”, “Giru”, and “Sam-geun” are names of Baekje kings used by later members of the royal family. Out of these, “Goyi” seems to have developed in to a surname while “Dongsung” has failed to reach that level. “Giru” could be an indicator of matrilineal kin or an indigenous Baekje word. “Cho-go”, “Gu-su”, and “Gae-ru” seem to be simply reused names of earlier kings. While every name differs in its function, the namesake of the names of earlier kings display the fact that the owners are royalty, thus serving its function to show social status. “Hae”, an honorary title of Buyeo, developed into a Baekje surname. “Mak-go”, “Gap-bae” were not surnames but were titles showing social status. Surnames in Baekje weighed more toward showing social status than indicating patrilineality. People’s names in general in Baekje would actively adopt terms that indicated social status, thus being homogeneous in nature to said surnames. Early Baekje was introduced to surnames and was socially adapting to the concept. The surnames failed to full realize their function and were partially integrated into society. This is in part due to the disparity between actual kinship and the kinship surnames expressed, and is also due to the disparity between Baekje’s intent in using surnames and their original function. 중국의 성씨는 첫째, 부계(父系) 혈통율과 부거(夫居)의 거주율이 원리였던 사회적 관습의 집약적 표현으로 부계친족집단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이름이다. 둘째, 부계 표지이자 신분 표지로 형성되었다. 부계나 모계의 단계(單系) 출계집단의 형성을 위해서는 동성불혼의 외혼의 관습(exogamy)이, 부계중심의 친족집단 형성을 위해서는 부거제적 혼인 방식이 지배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백제에서는 동성혼의 가능성이 포착되고, 부거제는 확인되지 않는 한편 처거제적인 혼인사례가 추론되며, 따라서 모계를 배제한 부계 중심의 친족집단이 형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없다. 즉 백제사회는 성씨문화가 구현될 수 있는 기반을 가지고 있지 않았던 것 같다. 백제에서 성씨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 확실한 왕족집단의 경우에도 인명표기에서 성씨를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백제 인명에서 성씨가 반드시 포함되어 있다고 전제할 수 없다. 또한 부자 사이에도 다른 성씨를 사용하는 등 부계 출계 표지나 동일 친족집단의 구성원임을 드러내고 결속하는 것과 같은 성씨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 백제왕들은 중국과의 교류에서 성씨를 사용하여 중국과 문화적 동질감을 표현함으로써 외교적인 편의를 도모했다고 생각된다. 성씨 사용 목적이 본래의 역할과 다른 것이다. 성씨의 가능성이 있는 이름으로서 살펴본 동명이인들에는 왕명이 상당히 많다. 고이, 동성, 기루, 삼근 등 백제왕의 이름들을 후대 왕족들이 사용하였는데, 그 가운데 고이는 성씨 단계에 진입하였고, 동성은 아직 성씨화에 이르지 못한 단계였다고 생각한다. 모계 친족집단명 혹은 백제 고유 단어의 가능성이 있는 기루, 단순히 후대왕들이 재사용한 선조왕의 이름인 초고·구수·개로 등의 이름들은 각각 그 성격과 내용이 다르다. 그러나 선조왕의 이름을 사용하여 왕손이라는 사실을 과시한다는 점에서 신분표지적인 역할을 공통적으로 행한다. 그 밖에 부여계 존칭 해는 백제에서 성씨화되었고, 백제 고유의 막고·갑배 등은 성씨가 아니지만 신분과 지위를 보여주는 호칭이었다. 백제 인명에서는 이와 같은 사회적인 지위와 신분을 드러내는 호칭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으니, 다른 사람들에게 재사용된다는 점에서 성씨와 비슷해 보였고, 역할은 성씨와 다르지 않았다. 백제사회는 성씨를 수용하여 사회적으로 적용해가고 있었는데, 성씨 본연의 의미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불완전하게 사용되었다. 그것은 한편 성씨가 표현하는 친족집단과 백제의 실제 친족집단과의 괴리에서 기인한 바였고, 다른 한편 백제에서 성씨의 활용 양상과 성씨의 본연의 역할과의 차이로부터 비롯된 것이었다.

      • KCI등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씨본관 항목 개발 연구

        양창진 동아시아고대학회 2020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5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대한민국이 해방 이후 40여 년에 걸쳐 이룩한 한 국학 연구 성과의 결정체이다. 수록된 양이 방대한 만큼 한국문화를 상징하거나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약 7만여 개의 표제어를 수록하고 있다. 사실 상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문화 요소들을 거의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백과사전에는 아직도 수록되지 않은 내용이 많다. 그래 서 현재도 수정 증보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것이다 이 중 하나가 ‘성씨본관’이다. 성씨본관은 인물 항목과도 관련된다. 이 사전에 수 록된 전체 7만여 항목 중에서 약 18,000여 항목이 인물 항목이다. 그런데 인물 항 목과 마찬가지로 한국인에게 성씨본관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이면서 한국문화의 독특함을 알려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그래서 오늘날 한 국인은 대부분 성씨본관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성씨본관 항목은 한국문화의 핵심 요소이지만 동시에 수많은 논쟁 요소를 지니기 때문에 이 백과사전에 수록되지 않 았다. 소모적인 논쟁으로 비화되는 것을 줄이고자 하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논쟁을 야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씨본관 항목은 이 백과사전에 수록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백과사전에 제외된 성씨본관 항목 집필을 위 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성씨본관 정보의 기술을 위해서는 논쟁을 야기하는 요 소인 성씨본관의 명칭, 성씨의 시조, 성씨 관련 인물의 선정, 참고문헌의 선정 등으 로 나누어 명확한 집필 기준을 정한 후, 이에 따라 집필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해관계자들과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성씨본관 항목은 논쟁을 동반하는 주제이다. 그러나 이 백과사전이 한국 대표 백과사전을 자임하기 위해서 는 논쟁을 꺼리지 말아야 하며 오히려 논쟁의 중심에 서야 한다. 성씨본관 항목은 이 사전의 권위를 다시 확인하는 시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of Korean studi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achieved over 40 years after liberation. This encyclopedia contains approximately 70,000 headings that are recognized as important in symbolizing 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In fact, it contains almost every cultural element of Korea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However, there is still much to be added to this encyclopedia. This is why we still carry out revised and supplementary projects. In my opinion, important contents that symbolize Korean culture are missing from this encyclopedia. One of these is the Seongssi Bongwan (seonggwan, 姓貫). Every Korean has a seonggwan which is a integrated concept of surname and family origin. This is a core element of Kore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has a number of controversial elements.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people living in modern Korea. Identity disputes are not easy to conclude. So, to avoid this controversy, the seonggwan information was not included in this Encyclopedia. A seonggwan should be listed in this Encycloped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o record seonggwan information in this encyclopedia. A seonggwan is related to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About 18,000 of the total 70,000 entry list in this Encyclopedia are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Like the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the seonggwan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Koreans to identify their identity, and it is a characteristic that shows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To write seonggwan information, it should set clear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seonggwan names, descriptions of ancestors, the selection of people related to seonggwan, and the selection of reference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controversial factors. In this way, conflicts with stakeholder can be minimized. The seonggwan is always a controversial subject in modern Korea. However, in order for this encyclopedia to become the representative encyclopedia of Korea, it is desirable not to be reluctant to debate, but at the center of the debate.

      • KCI등재

        한국 성씨한자(姓氏漢字)의 자원오행(字源五行)에 대한 고찰

        이재승(Lee, Jaeseung),김만태(Kim, Mantae)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전통적으로 성명 한자의 훈(訓)이 갖는 의미를 중시하고 있으나, 성명학적 관점에서는 한자에 내포된 자원오행(字源五行)이 더 유의미하다고 생각하므로 인명용 한자의 자원오행이 올바르게 배속되어 적용될 필요성이 있다. 이를 개선하는 그 시초 단계로서 우리나라 주요 성씨 한자들의 자원오행에 대해 고찰하여, 한자성명의 필수요소인 성씨 한자의 자원오행에 대한 체계를 세우고 성씨 한자의 자원오행이 바르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자 자원오행 배속의 11원칙을 세운 후 이를 바탕으로 잘못 배속(配屬)되고 있는 성씨한자 자원오행을 검토했으며 100대 성씨한자의 자원오행성(字源五行性)을 각각의 오행별로 강(强)·중(中)·약(弱)·무의미(無意味)·불명(不明)으로 분류하였다. 성씨 한자의 자원오행은 이름[名] 한자의 자원오행들과 조합을 이루고 있음에도 작명 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고려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성씨한자의 자원오행성이 분명하다면 한자이름 짓기에서 성씨 한자의 자원오행도 중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성씨 한자의 자원오행이 최적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오행성이 분명한 성씨한자와 모호한 성씨한자를 구분하여 한자이름 짓기를 시행하는 이론 체계를 제안하였다. Korean society places emphasis on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thought of praying for blessing in this world for names, but from a scholarly standpoint, needs the change of perception to realize that the five elements in characters that Chinese characters connote and manifest are actually more effective than the meaning. For this, the correct assignment of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s is demanded above all.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the error in assigning five elements in characters in current practice is serious an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 for surname as the first stage in resolving this problem. 11 principles in assigning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s were established and the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 for surname that had been misused were corrected based on the principles and the five elements in 100 Chinese characters for surnames were categorized into Strong, Mediocre, Weak, Meaningless, and Obscure based on the five elements. but, Despite forming a harmony with the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 for given name, there is no consideration for the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 for surname in the naming fields. this study established a theoretical system in naming science which varies the naming method by distinguishing the case where the five elements in Chinese character for surname are clear and the case where they are meaningless and obscure.

      • KCI등재

        高句麗 貴族姓 淵氏와 蓋氏 硏究

        이동훈 고조선단군학회 2022 고조선단군학 Vol.49 No.-

        고구려 말기 최고의 권력자였던 연개소문(淵蓋蘇文)가문은 평양 천도 이후에 등장한 신출 가문이 아니라 고구려 초기부터 등장한 고구려의 유력한 전통귀족가문이었다. 연개소문 가문의 시조 전승(傳乘)에 의하면 연개소문 가문의 시조는 ‘물’에서 기원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고구려 제2대 유리왕은 ‘사물택(沙勿澤)’이라는 지역에서 고구려왕에게 내부한 재지 유력자에게 ‘사물(沙勿)’이라는 이름과 ‘위(位)’라는 성씨를 수여했다. 여기서 ‘위(位)’는 고대 한국어와 친연관계가 있는 일본의 만요가나(万葉仮名)에서 ‘ウィ/wi’라고 발음되는데, ‘정(井)’과 발음이 같다. 그러므로 ‘위(位)’는 ‘우물’ 즉 ‘물’과 관련이 깊은 고구려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개소문의 정변을 기록한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연개소문을 ‘이리가수미(伊梨柯須彌,イリカスミ)’라고 표기하였다. ‘이리(伊梨)’는 ‘물, 하천, 우물’을 의미하는 고구려어 ‘얼(ərV/irV)’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삼국사기』에는 ‘정(井)’ ‘천(泉)’ ‘연(淵)’으로 표현된다. 그러므로 ‘위(位)’나 ‘이리(伊梨)’나 모두 연개소문의 성씨인 ‘연(淵)’과 동일한 의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위(位)’라는 성씨를 가진 ‘사물(沙勿)’은 연개소문 가문의 조상이라는 것이 확인된다. 한편 부여와 고구려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해(解)’씨는 태조왕(太祖王) 이후 사료에 등장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본고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수록된 ‘양명(羊皿)설화’에서 연개소문의 성씨를 ‘개씨(蓋氏)’라고 한 것에 주목했다. ‘개씨(蓋氏)’는 중국의 역사서에 의하면 고구려 왕실의 성씨인 고씨(高氏)와 통혼 관계를 형성할 정도로 고구려에서 지위가 높은 귀족 가문의 성씨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씨(蓋氏)’의 역사에 대해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런데 고대 한국어에서 ‘개(蓋)’와 ‘해(解)’의 음가는 동일하였다. 모두 /kai/ 로 발음되었기 때문에 상호 치환될 수 있는 한자였다. 본고는 이에 근거하여 고구려 초기에 ‘해(解)’를 성씨로 삼았던 집단이 고구려 중기부터 그들의 성씨 표기를 ‘개(蓋)’로 변경한 것으로 이해했다. 고구려에서 성씨의 사용은 그 역사가 길다. 그런데 고구려는 독자적인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중국의 한자(漢字)를 빌려 그들의 성씨를 표기하였다. 고구려어를 한자로 표기하는 방식은 한자 사용이 보급되고 한자에 대한 이해가 심화됨에 따라 음차(音借)표기에서 훈차(訓借)표기로 바뀌는 경향이 나타났다. 성씨 표기도 마찬가지였다. 연개소문 가문은 초기에는 음차표기 방식을 이용하여 그들의 성씨를 ‘위(位)’ 또는 ‘이리(伊梨)’라고 하였고, 후에는 훈차표기 방식을 이용하여 ‘연(淵)’으로 표기했다. 해(解)씨에서 개(蓋)씨의 변화도 음차표기에서 훈차표기로 이해할 수 있다. 이것으로 ‘개씨(蓋氏)’ 가문 역시 그 연원이 오래되었으며 그 위상은 고(高)씨에 버금갔다는 것이 확인된다. 이것이 바로 고구려 말기에 이르러 왕실의 성씨인 ‘고(高)’씨를 넘어설 정도로 그 위상이 높았던 연개소문의 성씨를 ‘개(蓋)’씨로 이해한 ‘양명(羊皿)설화’가 탄생한 배경이 되었다. 고구려 귀족성 연씨와 개씨 연구를 통해 고구려 초기 지배 세력이 평양 천도 이후에도 고구려의 지배 세력으로서 위상을 유... The family of Yeon Gaesomun(淵蓋蘇文), the most powerful person at the end of Goguryeo, was not a new family that appeared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eongyang but a traditional noble family of Goguryeo that had been influential from the beginning of Goguryeo. According to the stories about the founder of Yeon Gaesomun’s family, the founder of Yeon Gaesomun’s family originated from ‘water’. According to 『Samguksagi(三國史記)』, in a region called ‘Samultaek(沙勿澤)’, King Yuri, the second king of Goguryeo, awarded the name, ‘Samul(沙勿)’, and the surname, ‘Wi(位)’, to the local influencer who adhered to the king of Goguryeo. Here, ‘Wi’ is pronounced as ‘ウィ/wi’ in Japan’s Manyogana that is related to ancient Korean, and the pronunciation is the same as ‘jeong(井)’. Therefore, we can see that ‘Wi(位)’ is a Chinese character that represents a Goguryeo word which is deeply related to ‘well’, that is, ‘water’. Also, 『Ilbonseogi(日本書紀)』 dealing with the revolution of Yeon Gaesomun marks Yeon Gaesomun as ‘Irigasumi(伊梨柯須彌, イリカスミ)’. ‘Iri(伊梨)’ consists of Chinese characters that represent a Goguryeo word, ‘eol(ərV/irV), that means ‘water, river, or well’. In 『Samguksagi』, it is expressed as ‘Jeong(井)’, ‘Cheon(泉)’, or ‘Yeon(淵)’. Therefore, we can see that both ‘Wi(位)’ and ‘Iri(伊梨)’ have the same meaning as ‘Yeon(淵)’, the family name of Yeon Gaesomun. This confirms that ‘Samul(沙勿)’ who had the surname of ‘Wi(位)’ was one of the ancestors of Yeongaemun’s family. Meanwhile, the surname of Hae(解) that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history of Buyeo and early Goguryeo does not appear in historical records after King Taejo. Concerning that,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Tale of Yangmyeong(羊皿)’ contained in 『Samgukyusa(三國遺事)』 in which the family name of Yeon Gaesomun is referred to as ‘Gae(蓋)’. According to Chinese history books, ‘Gae’ was the surname of such a high-positioned noble family in Goguryeo that it formed a marriage relationship with the surname of Ko(高氏) which was the last name of the royal family in Goguryeo. Despite that, nothing is known about the history of the family of ‘Gae’. Yet, in ancient Korean, ‘gae(蓋)’ and ‘hae(解)’ sounded the same. Since they were both pronounced as /kai/, the Chinese characters could be replaced with each other. Grounded on that, this researcher has figured that the group that used ‘hae(解)’ as their last name in early Goguryeo changed their family name to ‘gae(蓋)’ from the middle of Goguryeo. In Goguryeo, the use of surnames had a long history. However, since Goguryeo did not have its own characters, they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o mark their surnames. As Chinese characters came to be distributed more and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s got deepened, the way of marking Goguryeo words with Chinese characters tended to change from sound-based(音借) to meaning-based(訓借) marking. The same was true of marking the last names. In the beginning, Yeon Gaesomun’s family used the way of sound-based marking and marked their surname as ‘Wi (位)’ or ‘Iri(伊梨)’, but later, they adopted meaning-based marking and marked it as ‘Yeon(淵)’. The change from Hae(解) to Gae(蓋) can also be understood with the change from sound-based to meaning-based marking. This confirms that the family of ‘Gae’(蓋氏), too, has a long history and its status is comparable to that of the family of ‘Go(高)’. This was the very background about the birth of ‘the Tale of Yangmyeong(羊皿)’ which understood Yeon Gaesomun’s last name as Gae(蓋) that had such a high status even exceeding that of the royal family’s surname, ‘Go’, around the end of Goguryeo. Through research on Goguryeo’s aristocratic surnames, Yeon and Gae, ...

      • KCI등재

        한국의 姓貫制와 本貫 ‘慶州’ 姓氏

        김창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이 글에서는 한국의 성씨들 중에서, 특히 신라의 왕경이었던 경주를 본관으로 표기하는 성씨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한국 성씨와 본관의 특징을 언급하고, 이어서 본관을 경주로 하는 성씨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본관을 경주로 하는 성씨의 수는 시대에 따라 달랐다. 전통시대에는 세종실록지리지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慶州府 本府의 성씨로는 신라 宗姓 三姓 및 六部姓과 回鶻系 偰氏가 있었다. 이 성씨의 후예들이 늘어나 인구수가 많아지고, 또 일부가 주거지를 옮겨 생활하면서, 서로간에 혈족의 계통을 구분하고 先代와 出自를 분명하게 할 필요에서 새로운 성을 칭하고 다른 지역명을 본관을 사용하였다. 그리하여 성씨간에 혈통의 근원과 출자는 동일 하다고 하면서도 성과 본관을 달리하는 성씨가 많아졌다. 더구나 조선 후기에는 大姓名門 중심으로 성과 본관을 변경하는 추세가 있었는데, 여러 群小 성씨들은 신라 또는 경주와 연계성이 있는 본관과 성을 선택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전통시대 뿐만 아니라 근현대에도 여전하여, 많은 한국인들은 성과 본관을 달리하면서도 그 출자와 연원은 신라 종성과 6부 의 성에서 유래하였고 또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즉 ‘新羅出自說’ 을 자처하며 우월감과 자긍심을 갖는 가문과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의식은 한말에 신분제가 폐지되고, 더구나 2000년대에 이르러 법적으로 성과 본관의 개정과 창설이 가능해짐에, 이에 따라 옛 신라의 왕경이라는 역사문화적 특별성을 지닌 경주를 본관으로 표기하는 많은 성씨가 생겨나고 있다. 그리하여 오늘날 본관을 경주로 표기하는 성씨의 수는 물론 여기에 따른 총가구수와 인구수가 폭증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백제의 중국식 이름문화 수용 과정의 고찰 - 백제왕과 왕족의 이름을 중심으로 -

        박윤선 ( Park Youn-sun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백제왕의 이름은 성씨와 시호 등 중국식 이름 문화를 수용하면서 그 내용과 구성에서 변화를 겪는다. 백제의 전체 시기는 백제왕명의 변화양상에 따라 전통식 왕명시기, 성씨 도입기, 중국식 왕명시기 등의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전통식 왕명시기는 백제왕이 전통방식의 한 개의 이름을 가졌던 시기이다. 시조 온조왕부터 제12대 계왕까지로 즉위 전후나 생전과 사후에 모두 한 가지 이름을 사용하였다. 두 번째는 성씨도입기이다. 백제왕들은 전통방식의 이름과 ‘부여’ 혹은 그 축약형인 ‘여’ 성씨 등의 두 가지 이름을 가졌다. 이때 성명은 전통식 왕명의 이름자를 취해서 성씨에 붙이는 방식으로 만드니, 전통과 신문화의 과도기적 양상이 왕명에서도 그대로 보인다. 근초고왕부터 삼근왕까지이다. 이전시기와 마찬가지로 전통방식의 이름이 일상적으로 사용되었고, 성명은 중국과의 교류 등 특정 경우에 제한적으로 쓰였다. 세 번째는 중국식 왕명시기이다. 동성왕이 시호를 가지게 되면서 백제왕의 이름은 살아 있을 때 사용하는 성명과 사후의 시호 등 두 가지 이름으로 체계화하였다. 하지만 이 시기의 왕명에도 전통성은 남아 있다. 휘를 먼저 만들고, 성씨를 나중에 붙이는 초기 성명 방식의 흔적이 보이며, 전통식의 이름이 존재하기도 하고, 일상적으로 성씨 없이 이름(휘)만으로 지칭되는 것 또한 그러하다. 성씨 도입기에 백제왕은 전통식의 이름을 쓰다가, 즉위 즈음에 중국과 교류상 요구 등의 필요에 의하여 성씨를 넣은 이름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성씨의 사용이 대내외적으로 왕자(王者)임의 과시와 상징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백제에서 왕족집단 구성원 모두가 일상적으로 성씨를 사용한 것이 아니었던 사실은 부계혈족집단의 표지라는 성씨의 내용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백제의 실제 친족집단과 (중국식의) 성씨집단 사이의 괴리가 그 원인일 수 있다. 중국식 왕명시기에도 여전했던 백제왕명의 전통성은 백제사회에서 성씨문화의 이해와 수용의 한계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names of the kings of Baekje undergo a change in their content and composition while adopting Chinese Naming Customs such as family names and posthumous epithets. The history of Baekje can be divided into the traditional name era, early family name era, and the Chinese name era. First, the traditional name era is when the kings of Baekje had a single name according to traditional customs. From the founder King Onjo to the 12th ruler King Gye, rulers would use one name before or after their reign or death. The second era is the early family name era. The kings of Baekje had two names, one of the traditional method and the other using “Buyeo” or the abbreviation “Yeo” as a family name. Names during this time were formed by attaching the first name of the traditional regnal name to a family name, showing the transitory nature of tradition and new culture in the names of kings. This era is from King Geunchogo to King Samgeun. Like the former era, the traditional name was used in daily life, and the family name was added only in certain circumstances such as exchanges made with China. The third era is the Chinese name era. As King Dongsung used a posthumous epithet, the names of kings were systemized into a name during their lifetime and a posthumous epithet. However the names of kings during this time show vestiges of tradition. There are traces of early naming customs such as first names being made first and family names being retroactively attached, traditional names, and being referred to by first name only in daily life. In the early family name era, the kings of Baekje would first use a traditional name and move on to using a full name with a family name around their time of accession, necessitated by occasions such as exchanges with China. The use of a last name would symbolize and display their status as royalty. The fact that not all royal families of Baekje would routinely use a family name shows that the family name as an indication of a patriarchal society was not yet fully realized. This might have been due t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group of royal relatives and the group using family names. The prevalence of the traditional nature of Baekje names show the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and adopting the family name cus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