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수동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과정 및 특성 연구

        김상현(Kim, Sang hyeon),이한나(Lee, Han na)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6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7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일대는 최근 한국의 브루클린으로 불리며 놀러가기 좋은 곳으로 각광받고 있다. 과거 수제화 제조공장과 주택이 혼재한 도시 내 준공업지역이었던 성수동의 이러한 변화는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이해된다. 지역의 낡은 창고를 개조하여 패션쇼, 광고촬영등이 이뤄지는가 하면, 카페, 공방, 갤러리 등이 성수동에 새로 들어서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가 상승을 동반하였고, 이에 지역사회에서는 홍대앞이나 신촌에서 있었던 젠트리피케이션이 성수동에서도 일어나는 것은 아닌지 우려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성동구는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조례」를 제정하였고, 서울시도 「젠트리피케이션 종합대책」을 발표하였다. 성동구와 서울시는 소상인들의 영업권을 보장하고, 임대료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을 막으려 하고 있다. 연구자들은 성수동에 더 유효한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대책을 위해 젠트리피케이션의 진행 과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성수동”을 보도한 언론 기사를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수집하여 분석하고, 해당 기간동안 성수동의 지가 변동, 공장의 폐업, 카페 등의 음식점 개점 동향 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성수동 상권의 맥락 파악을 위해 현지 주민과 상인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성동구의 젠트리피케이션은 타 지역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동구에 현재 영업중인 상인 중 다수는 주된 고객층이 성수동 주민이 아니다. 이들은 성수동 외부에서 온 방문객을 대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을 보호하는 것이 성수동 지역사회를 보호하는 것과 동의어가 되기는 힘들다. 성수동의 현재 특징을 제대로 보호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을 막는 방안은 단순한 상행위 보장 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지역 상인들간의 네트워크 형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seongsu-dong in Seoul is called “Brooklyn”, became famous place as good for going to hang out. Seongsu-dong was urban manufacturing area where mixed houses and shoes making factories.. It can be as gentrification phenomina that the transfiguration of seongsu-dong. The Old warehouses-Daelim warehouse- in seongsu-dong have been remodeled, and held a fashion show at there. old warehouse. A lot of shops - cafe, workshop, gallery – are opened in seongsu-dong. As the new shops grows, the lent also rose. this has, therefore, raised concerns about recur of the case of gentrification phenomena in sinchon or front of hongik university areas. It was announced that a new municipal ordinance to prevent gentrification. In a municipal ordinance, chief of seongdong-gu office and mayor of seoul were by guaranteeing a right of small shop owners to suppress rising of rents. We believe that for the more efficiency measure to preventing gentrification, analysis of process of spital gentrification is necessary. To figure the characteristic of gentrification process of seongsu-dong out, we crawling news from 2000 to 2015 about seongsu-dong, and calculating the text networking structure. Also, we collected a data of rent, business registrations, and restaurant registrations in seongsu-dong. We had conducted interview with local residents and shopkeepers, to find out a context of gentrification of seongsu-dong. We can find out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fentrification of seongsu-dong. It was not main customer for most of brand new shops-workshop, gallery, cafe, etc- in seongsu-dong who residents of seongsu-dong. So, we recommend that making a network between local residents and shopkeepers of brand new shops to maintain social unity of local society.

      • KCI등재

        고양 원각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조각승 성수

        최선일 ( Choi Sun-il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1 石堂論叢 Vol.- No.79

        본 논문은 고양 원각사에 소장된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성수(性修, 性守) 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2018년 5월에 사찰의 의뢰를 받아 수종(樹種)과 연륜연대(年輪年代) 등을 조사하던 중에 바닥 면에 적힌 조성묵서가 확인되어 조선후기 지장보살상 연구에 기준 작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목조지장보살좌상은 높이 45㎝의 중소형으로, 민머리의 성문비구형(聲聞比丘形)이다. 지장보살은 상체를 앞으로 약간 내밀고, 불신(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보살은 전신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편이지만, 머리에 비해 어깨가 좁아 다부진 느낌을 주고, 무릎 높이가 낮고 폭이 넓어 안정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대의는 목 뒷부분이 약간 접혀 있고, 양 어깨에는 대의를 걸친 조선후기 전형적인 착의법이다. 다만 오른쪽 어깨에서 내려온 대의자락이 목에서 허리로 반원을 그리며 흘러내리지 않은 점은 특이하다. 그리고 한 벌의 대의를 더 걸쳐 보살상 뒤쪽에 왼쪽 어깨에 앞에서 넘어온 대의자락이 엉덩이까지 길게 흘러내리고, 그 안쪽에 왼쪽 어깨부터 오른쪽 허리까지 대의자락이 대각선으로 늘어져 있다 조성묵서(造成墨書)에 의하면, 순치(順治) 7년인 1650년에 화주(化主) 덕인(德忍)이 발원하여 조각승[畵員] 성수와 경성(敬聖, 敬性)이 제작하였다. 또한 이들은 1650년 6월에 화주 덕인이 발원한 무주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전북 유형문화재 216호)을 무염과 같이 제작하였다. 따라서 원각사와 관음사 목조보살좌상은 화주와 작가가 동일하여 아미타삼존상으로 제작되었다가 이후 다른 사찰로 이운 했을 가능성이 있다. 성수의 조각승 계보는 각민(-1605-1614-)→행사(-1606-1648-)→무염(-1633-1656-)→해심(-1633-1654-), 성수(-1633-1674-)→경성(-1648-1684-)으로 계승되었다. 또한 성수와 해심은 활동 시기와 집단 내 위상 등을 고려하면 사제지간이 아닌 선후배로 보인다. 조각승 성수가 목조지장보살좌상을 봉안한 사찰에 관한 단서는 남아있지 않지만, 전북 고창과 완주, 전남 영광, 충남 논산 등에서 활동한 것을 보면 현전하는 보살상 2구도 호남의 북부 지역 사찰에서 조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조각승 성수는 1600년 전후에 태어나 1610년대 후반에서 1620년대까지 불상 제작에 보조화승으로 참여하고, 1630년대 전반 조각승 무염이 만든 불상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여 최소한 1640년대 중반쯤에 수화승으로 불상을 조성했을 것이다. 성수는 1650년에 원각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무주 관음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제작에 수화승으로 참여하고, 1653년 고창 문수사 대웅전과 명부전 불상을 수화승 해심과 같이 제작하였다. 조각승 성수가 만든 불상의 인상이나 착의법 등이 유사한 불상은 제주 본태박물관 목조여래좌상, 보령 중대암 목조보살좌상, 부여 정각사 목조보살좌상 등으로, 이들 불상은 1650년대 무염의 계보에 속한 조각승이 만들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a study on Monk Seongsu(性修), which produced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housed in Wongaksa Temple in Goyang. While identifying the species and dating the woods of the Bodhisattva at the request of the temple in May 2018, a manuscript written on the floor was identified and was used as a standard work for the study of the Ksitigarbha Bodhisattva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s a 45cm-tall, small and medium-sized statue with a bald head. The Bodhisattva's upper body is slightly extended forward, and the two hands, which are made separately from the body, are placed against the thumb and the middle finger. The face of Bodhisattva has a large proportion of the entire body. But compared to the head, the shoulders are narrow, giving a determined feeling, and the height of the knees are low and wide, making them in a stable posture. The skirt are slightly folded at the back of the neck, and the skirt of both shoulders are typical of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it is unusual that the skirt from the right shoulder did not flow down in a half circle from the neck to the waist. And one more skirt flows from the back of the bodhisattva's left shoulder to the hips, and inside it, the skirt stretches diagonally from the left shoulder to the right waist. According to the manuscript, this Bodhisattva statue was commissioned by the Hwaju(化主) Deokin in 1650 and produced by the sculptor Seongsu and Gyeongseong(敬聖, 敬性). In addition, they produced the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Muju Gwaneumsa Temple (Jeonbuk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216), which was offered by the Hwaju(化主) Deokin(德忍) in June 1650 along with Monk Sculptor Muyeom(無染). Therefore, the 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of Wongaksa Temple and the Wooden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Gwaneumsa Temple may have been produced as Amitabha Triad because the Hwaju and the Sculptor were the same, but later transferred to another temple. Seongsu's Sculpture Genealogy was succeeded by Gakmin(-1605-1614-)→ Heangsa (-1606-1648-)→Muyeom(-1633-1656-)→Heasim(-1633-1654-), Seongsu(-1633-1674-)→Gyeongseong(-1648-1684-). Also, considering the timing of the activities and the status of the group, Seongsu and Haesim seem to be seniors and juniors, not teacher-student relations. Although there are no clues about the temple where the Monk Sculptor Seongsu enshrined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two existing Bodhisattvas were also created at temples in northern Honam, as they were active in Gochang and Wanju of Cheonbuk province, Yeonggwang of Cheonnam province and Nonsan of Chungnam. Seongsu, a Monk Sculptor, was born around 1600 years ago and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Buddha statue from the late 1610s to the 1620s,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statue created by a Monk Sculptor Muyeom in the early 1630s, creating the statue as a leading sculptor at least around the mid-1640s. In 1650, he participated as a leading sculptor in the production of the Wooden Bodhisattva Statue of Wongaksa Temple and the Wooden Bodhisattva Statue of Muju Gwaneumsa Temple. In 1653, he produced the Daeungjeon Hall of Gochang Munsusa and Myeongbujeon Buddha statue with the monk Haesim. Similar statues of Buddha made by a Monk sculptor Seongsu are the wooden Buddha statue of the Jeju Bontea Museum, the wooden Bodhisattva statue of Daejongam in Boryeong, and the wooden Bodhisattva of Jeonggaksa Temple. Therefore these Buddha sculptures are believed to have been made by sculptors belonging to the genealogy of Muyeom in the 1650s.

      • KCI등재

        황해도굿 성수치마의 의미

        최정연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0 No.-

        The shamanism that has been independently viable within the lives of people has the outspoken feature that is directly interlocked with the lives of general public. The shamanism had the convergence and conflict with the inflow of foreign religions under the long history in a way of integrating naturally into the lives of general people as the base religion. With the effort to conserve the tradition of changing and forgetting shamanism, the studies have been undertaken by a number of scholars and the state is making effort to inform the general public about the shamanism culture by preventing the change of intrinsic features by designating it as cultural heritage. Under this study,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 shamanism ideology of Korea, the representative shamanism in Hwanghae-do is sought, and the shamanism in Hwanghae-do represented by Gangsinmu (spiritualistic shaman) could not be done in the region due to the division of the country. Even though it could not be exercised in the region for the demarcation, it influences to other areas around the Incheon region. The shaman attire that is displayed in the gutgeori (shaman dance performance) in Hwanghae-do is consisted of various types and it has the style on the basis of traditional costumes style with the colors fundamentally in obangsaek (five traditional colors of Korea) to have the attention in the gutgeori. In addition, its splendor is even more advanced with the traditional pattern-filled embroidery ornaments and tassel decoration. And as for the shaman attire found only in Hwanghae-do, there is the ‘seongsu-chima’, and as for its study, it has taken a look at the concept of 'seongsu' in the context of the shamanism in Hwanghae-do. The seongsu means the deity in general, and it is concept to include those masters that had the spiritual experience not present in the earthly world and those beings that the masters enshrine as their deity that it is an important term in the shamanism in Hwanghae-do until this present day. Through the analysis of implication for the seongsu-chima it is intended to prepare the frame to understand the transparent base culture and religion in shamanism. As a result, the seongsu-chima contains the endeavor to place value in effort and tradition to keep the rule and order in the shamanism in Hwanghae-do as well as the endeavor to protect such effort. Furthermore, together with the shamanistic thought as a characteristic of Gangsinmu, it is interpreted as the symbolic implication to demonstrate the emphasis of connectivity with god and power of shamanism. This article analyzes the implication of ‘seongsu-chima’ that i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istics in the shaman attire in Hwanghae-do in a wa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manism in Hwanghae-do to further understand the traditional ideology of Korea that is transparent in the base religion and its implication could be found by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shamanism in studying of tradition and base ideology of Korean today. 민중들의 삶속에서 자생해온 무속은 민초들의 삶과 직결되는 솔직함이 묻어있다. 한국의 무속은 오랜 역사 속에서 외래종교의 유입으로 융합과 갈등을 꽤하면서 기층종교로서 평민들의 삶에 자연스럽게 융화되었다. 오늘날 무속문화는 변화되고 잊혀져가는 무속의 전통성을 보존하려는 노력으로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지고 있으며, 국가는 문화재 지정을 통하여 무속의 변질을 막고 무속전통을 대중들에게 알리는데 힘쓰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무속사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대표적인 황해도 무속을 살펴보았는데, 강신무로 대표되는 황해도 무속은 국가의 분단으로 그 지역에서 행할 수는 없으나 오늘날의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타 지역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강신무에서는 무복이 신과 만날 수 있는 기능을 함으로써 황해도 무속에서 무복은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황해도굿거리에서 볼 수 있는 무복은 다양한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태는 전통복식에 바탕을 두고 색상은 오방색을 기본으로 하여 굿거리에서 주목성을 가질 수 있게 구성되었다. 또한 전통 문양으로 된 자수 장식과 술 장식으로 그 화려함을 더하고 있다. 황해도 무속에서만 볼 수 있는 무복으로 ‘성수치마’ 가 있는데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우선 황해도 무속에서의 ‘성수’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성수는 기본적으로 신을 뜻하였고, 자연신이 아닌 현세에 계시지 않는 영험이 있으셨던 스승님, 또 스승님이 신으로 모셨던 분들까지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황해도 무속에서 중요한 용어로 오늘날까지 전해져 오고 있다. 성수치마는 아래 단이 치마 색상과 달리하여 무복을 입기 전 허리에 착장하는 무복으로 황해도굿거리에 빠지지 않는 의복이다. 이에 성수치마의 내포된 의미를 분석하여 황해도 무속을 이해하고, 무속 사상에 투영된 기층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성수치마는 황해도 무속에서의 규율과 질서를 지키려는 노력과 전통을 중시하고 이를 지키려는 의지가 투영되었다. 또한 강신무의 특성인 샤머니즘적 사고와 함께, 신과의 연대성을 강조하고 강한 무속의 힘을 보여주려는 상징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었다. 이 글은 황해도 무복에서 특수성으로 대표되는 ‘성수치마’의 의미를 분석함으로서 황해도 무속과 무복의 특성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기층 종교 사상에 투영되어 있는 한국의 전통 사상을 이해함으로서 오늘날 전통과 한국인의 기층사상을 연구하는데 있어 무속의 중요성을 깨닫고자 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KCI등재

        IPA 기법을 활용한 문화주도적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의 도시관광 활성화 전략 연구

        최성민,정욱,김홍범 한국관광연구학회 2020 관광연구저널 Vol.34 No.5

        본 연구는 문화주도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인 성수동 일대의 도시관광 현황을 진단하고, 향후 보다 긍정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수동 지역을 도시관광 목적지로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성수동 지역의 여러 도시관광자원 항목별 중요도, 만족도 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 수집은 설문조사법을 택하였다. 설문조사는 편의표본추출 방식으로 2019년 11월 10일에서 11월 30일 까지 총 21일 동안 성수동 지하철 역사, 성수동 서울숲, 성수동 가죽거리, 성수동 먹자골목 일대, 성수동 내 호텔 거리에서 수행하였다. 총 300부 중 불량설문 32개(10.7%)를 제외한 268개(89.3%)의 표본을 토대로 IPA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특색 있는 지역음식, 지역의 독특성 등이 중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고, 만족도는 다양한 편의시설, 광장 및 공원, 역사적 건축물 등이 높은 순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박물관 및 미술관, 역사적 건축물은 중요도 대비 만족도가 가장 높았던 항목으로, 향후 이들에 대한 홍보 및 자원집중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그간 학계의 관심이 낮았던 성수동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지며, 한정된 지자체의 도시관광자원을 어느 부분에 집중해서 활용해야 하는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인도 불전도의 성수(聖樹)의 의미와 표현

        손태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0 불교문예연구 Vol.0 No.16

        석가모니는 무우수 아래에서 태어났고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뤘으며 사라쌍수 아래에서 열반에 들었다. 탄생, 정각, 열반은 부처님 일 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3대 사건이기에 무우수, 보리수, 사라수는 역시 불교에서 중요한 나무(聖樹)로 여긴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불교 3대 성수가 정확히 어떤 식물이고, 어떻게 경전에 언급되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불전도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연구하였다. 그 결 과 무우수는 실제 무우수와 같은 형태로 표현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형식화된 모습으로 마야부인 머리 위에 천개 형태로 표현되었다. 보리수는 무불상시대 부처님을 대신하는 상징으로 많이 표현되다가 간다라 불전도부터 본격적으로 부처님과 함께 등장한다. 초기 불전도에서는 실제 보리수의 모습과 흡사하게 표현하였으나 그 후 형식적인 나무 모습 으로 변해갔다. 그 형태로는 ‘두광형‘과 ’천개형‘으로 구분된다. 보리수는 사르나트 이후 점차 두광으로 역할이 대체되어갔다. 사라수는 열반 에 든 세존의 좌, 우 두 구루를 배치하여 사라쌍수를 표현했지만 일부 세 구루인 경우도 있다. 불전도의 3대 성수 표현은 간다라 양식의 사실적 묘사에서 점차 형식적으로 변하고 그 비중이 축소되었다. 이점은 실 존인물인 석가모니가 초월적 부처님으로 점차 인식이 변한 것과 연관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불전도 연구의 깊이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한다. Shakyamuni was born under the ashoka tree, achieved the enlightenment under the bodhi tree, and entered nirvana under the twin sal trees. Considering that birth, enlightenment, and Nirvana are the three most important events in the biography of Buddha, the ashoka tree, the Bodhi tree and the twin sal trees are also considered important trees(聖樹) in Buddhism. This paper examined what type of plants are the three sacred trees of Buddhism and how they are mentioned in the scriptures. I also studied how they are depicted in the Buddhist reliefs describing scenes from the life of Shakyamuni. As a result, the ashoka tree was sometimes depicted in the same shape as it is in reality, but in most cases, it was formalized in the form of canopy over Queen Maya's head. The Bodhi tree was often served as a symbol of Buddha in the age of absence of statues in Buddhist art, but appeared full-fledged with Buddha from the Gandhara Buddhist reliefs describing scenes from the life of Shakyamuni. In the early Buddhist reliefs the Bodhi tree was depicted in a similar way to the actual tree, but later it changed into a formalized tree. Its shape is divided into the "halo type around the head" and the "canopy type". After Sarnath, the role of the Bodhi tree is gradually replaced by the halo around the head. In the case of the sal tree, there are two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uddha in Nirvana. This is represented by twin sal trees, but in some cases there are three. The depiction of the three sacred trees in Buddhist reliefs describing scenes from the life of Shakyamuni has gradually changed from the realistic portrayal of the Gandhara style to a formal style, and their role has been reduced.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perception of Shakyamuni was gradually changing from a real person to the transcendental Buddha. I hope this study helps deepen research on Indian Buddha's Life Relief

      • KCI등재

        주역선해(周易禪解) 연구

        최일범 한국유교학회 200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9 No.-

        A Study on 「Zhouichanjie (周易禪解)」 ‑ Centering on Xingxiubuerlun(性修不二論) / Choi IlBeom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on of no difference between 'Fo xing(佛性 :the nature of Buddha)' and 'Xiuzheng (修證 : the practice of Buddhahood)' mentioned in the explanation of 'Qiangua(乾卦: the hexagram of sky) and Kungua(坤卦: the hexagram of land) within「Zhouichanjie (周易禪解)」. To be more concrete, it is to disclose the view of the world in the 'Xingxiubuer(性修不二 :no difference in the nature and the practice of Buddhahood)' and the theory of study brought out by the 'Hwayan(華嚴)', 'Tiantai(天台)' at 「Zhouichanjie (周易禪解)」. Then analyze how they are used to 「Zhouichanjie (周易禪解)」. 'Xing(性:nature)', shown at the 'Xingxiubuer(性修不二)', refers to the innate basis of human being able to attain Buddhahood. The practice, refers to the actions performed by the humans to attain Buddhahood. From the viewpoint of ontology, the Buddhahood is the metaphysical essence, and the practice of Buddhahood is the physical phenomenon. Then it can be said that 'Xingxiubuer(性修不二)' impl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s and the phenomenon. The unique view of the 「Chanjie (禪解)」is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Buddha(佛性), and the practice of Buddhahood(修證) by the theory of no difference of 'Tiantai(天台)' and 'Hwayan(華嚴)'. And furthermore inter-connect the concept with 'Yili(易理: the principle of Yi)'. Indeed, Zhixu(智旭) explains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ixty-four hexagrams at the Hwayan(華嚴)'s 'Xingqilun(性起論)' and Tiantai(天台)'s 'Xingjulun(性具論)' at 「Zhouichanjie (周易禪解)」alo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iji(太極) and Yinyang(陰陽). The philosophy of Zhixu(智旭)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thought shows the inter-relation between Neo-confucianism and China's advanced Mahayana Buddhism at the end of Ming Dynasty. A Study on Zhouichanjie (周易禪解) Centering on Xingxiubuerlun(性修不二論) / Choi IlBeom

      • KCI등재

        성수기 지역별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 간의 정보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전해정 한국감정평가학회 2019 감정평가학논집 Vol.18 No.2

        In this study,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housing sales price and the Chonsei price is analyzed by GARCH model. The temporal range is monthly data from January 2006 to February 2018, and the spatial range is set to nationwide, metropolitan area, non-metropolitan area, and Seoul. The peak season of the housing market was set to January, February, August, and December of each year. As a result of the GARCH (1,1), the current volatility impact in all regions affects the volatility of the next period. As a result, there was asymmetric information transfer effect in the peak season housing market. The policy implication is that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housing market by strengthening the monitoring of the housing market in the peak season as the housing market has the effect of the peak season. 본 연구는 성수기 지역별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간의 정보비대칭성에 관한 연구 로 GARCH 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6년 1월 부터 2018년 2월까지의 월별 자료이며 공간적 범위는 전국, 수도권, 지방권, 서울 로 설정하였다. 주택시장 성수기는 매년 1월, 2월, 8월과 12월로 설정하여 전체기 간과 성수기를 비교분석하였다. 주택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의 GARCH(1,1) 분석결과, 모든 지역에서 현재의 변동성 충격은 다음기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증분석결과, 지역별로 차이는 존재하나 성수기 주택매매시장과 전세시장에 는 비대칭적 정보이전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는 정책적 시사점은 주택시장의 특성상 성수기 효과가 존재하는 만큼 성수기에는 주택 시장 모니터링 등을 강화해 주택시장 안정화를 기할 필요성이 있다.

      • 산업·특정개발진흥지구에 대한 지방세감면의 타당성 평가: 성수IT지구를 중심으로

        박혜림,정세희 한국지방세연구원 2022 한국지방세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2022 No.21

        □ 연구목적 ○ 서울시는 2007년부터 서울형 전략산업과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산업·특정개발진흥지구 제도를 운영중이나, 실질적인 감면 혜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진흥지구 활성화 측면에서는 부진한 상황임 - 2010년 진흥지구 감면조례안의 부결로 진흥지구에 대한 세제 지원이 부재한 상황에서 진흥지구 활성화를 위해 해당 지구 입주기업에 대한 지방세 감면의 타당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상황임 ○ 지구계획에 대한 지원이 구체화된 성수IT지구에 대한 세제지원으로 서울시는 취득세, 법인 지방소득세, 지방소비세에 대한 신설 검토를 요청함 ○ 취득세 감면조례 신설 건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7조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1조제2항제8호나목에 따라 지정·고시된 성수IT 산업·유통개발진흥지구 내에서 「서울특별시 전략산업육성 및 기업지원에 관한 조례」 제2조에 따른 권장업종을 영위하는 경우 2024년까지 취득세를 경감함 · 근거법: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조제1항제2호 · 감면대상자: 권장업종시설 용도로 직접 사용하거나 그 권장업종시설 용도로 사용하려는 자에게 분양 또는 임대하려는 자 · 감면대상물건: 2024년 12월 31일까지 취득하는 부동산 · 감면세목: 취득세 · 감면율: 50%(신축·증축으로 취득하는 경우는 75%) · 감면기간: 2년 - 2년간 취득세 예상 감면액은 3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25.3억원~60.1억원으로 추계됨 ○ 법인지방소득세 감면조례 신설 건의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7조제2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1조제2항제8호나목에 따라 지정·고시된 성수IT 산업·유통개발진흥지구 내에서 「서울특별시 전략산업육성 및 기업지원에 관한 조례」 제2조에 따른 권장업종을 영위하는 경우 법인지방소득세를 감면함 · 감면대상자: 진흥지구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입주한 법인이 진흥지구내에 사업장을 설치·운영하는 경우 · 감면세목: 감면대상사업장에서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사업연도의 개시일부터 3년 이내에 끝나는 사업연도에 대한 법인지방소득세 · 감면율: 50% · 안분세액: 지방세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을 준용하여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산출한 금액 - 법인지방소득세는 현재 서울시 총괄납부로 인해 성수IT지구에 대한 예상감면액 산출이 어려운 상황이라 감면추계액은 부재함 ○ 지방소비세에 대한 조례신설 타당성 평가 요청 - 과세체계상 특정사업장에 대한 감면이 가능한지 여부 - 입법기술상 감면규정 신설이 가능한지 여부 ○ 이에 본 연구는 성수IT지구를 중심으로, 서울시 진흥지구에 세제지원 신설안의 도입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함 □ 주요내용 ○ 타당성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됨 □ 정책제언 ○ 상기의 연구결과에 준하여 볼 때, 취득세 감면은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평가됨 - 경제성분석과 형평성 분석은 타당하며 정책성 분석에서도 정책의 완결성·정책수단의 합목적성·제도 설계의 자기완결성과 적절성 평가항목에서는 타당함 - 정책성 항목 중 지방세특례제도로서의 일관성 항목에 속하는 제도적 정합성은 중간으로 평가함 · 1) 해당지구는 지특법상 지식산업센터, 벤처기업, 창업중소기업 등에 대한 감면과 중복되고 감면율이 동일한 경우도 있어 지특법이 적용되지 않는 감면에 한해 감면신설안의 실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2) 해당 지구내 용적률 완화를 통한 재정지출과도 어느 정도 중복성이 인정되어 제도적 정합성은 중간으로 평가함 - 취득세는 지방세특례제도와의 제도적 정합성 부분을 제외하고는 감면에 대한 타당성이 대체적으로 인정됨 ○ 법인지방소득세 감면은 지방세특례제도와의 제도적 정합성 부분 이외에도 정책의 일관성, 지방재정효과, 유사지구와의 형평성, 성수IT지구내의 형평성 측면에 우려가 있는 부분이 있어 타당성이 충분히 인정된다고 평가하기 어려움 - 정책의 일관성 측면에서, 지특법상 대기업이 아닌 창업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에 대한 지방세감면을 허용하고 있는데 반해 해당 신설조례안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감면율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국가정책과의 일관성이 낮음 · 현재 해당 지구내 대규모 사업체는 없으나 향후 대기업 유입시 중소기업과 동일한 감면혜택을 제공할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형평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국가정책과 상충될 우려가 있음 - 서울시의 재정여건은 양호하나, 최근 세제개편안에 따르면 법인세율 인하 예정에 있어 이는 법인지방소득세수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법인지방소득세에 대한 감면은 지방재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 취득세의 경우 일회성 감면에 그치나, 법인지방소득세 감면의 경우 3년간 지속적 감면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취득세 감면액보다 법인지방소득세의 감면액이 더 클 수도 있음 · IT업종의 경우 종사자수 규모에 상관없이 법인지방소득세수가 클 수 있고 그에 따른 감면액도 커지게 되는 우려가 있음 · 따라서, 법인지방소득세를 감면세목에 포함시킬경우 감면액 공제한도를 설정하여 지방재정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게 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음 - 조례신설시 형평성 분석은 대 평가항목의 하나로 평가되는 만큼 새로운 감면신설안이 형평성을 훼손하지 않는지는 중요한 평가항목이나, 해당 신설안인 법인지방소득세 감면은 형평성 훼손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조례신설의 우려를 표함 · 특히, 서울시 조례의 유사지구에 대한 감면이 취득세(문화지구, 전통시장 등)나 법인지방소득세 단일(사회적협동조합)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해당 조례신설안은 취득세와 법인지방소득세 모두를 감면세목으로 포함하고 있어 서울시 내 조례감면정책과의 형평성 저해 우려가 있음 · 더욱이, 해당 지구내 동종산업임에도 불구하고 법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개인사업체를 감면에서 배제한 것은 담세력이 낮은 감면주체를 배제시킨 것으로 수직적 형평성을 악화시킴 · 취득세는 일회성 감면인 반면, 법인지방소득세는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사업연도의 개시일부터 3년 이내에 끝나는 사업연도에 대한 지속적인 감면이고, 규모가 큰 사업체에도 동일한 감면율을 적용함으로써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형평성 훼손 문제도 있을 수 있음 ○ 이에 따라 취득세 감면에 대한 타당성은 대체적으로 인정되나, 법인지방소득세 감면은 경제성 분석에서 중립적이고 형평성 분석에서 서울시 내 유사 지구 및 해당 지구 개인사업체와의 형평성 훼손우려가 있어 감면신설안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임

      • KCI등재

        일본 高麗美術館 소장 1569년 작 〈치성광여래강림도〉의 도상해석학적 고찰

        김현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2

        The Tejaprabha Buddha painting, located in the Korai Museum in Kyoto, Japan, was made in 1569 when Joseon Dynasty was in his 14th year under SeonJo? ruling, and is only one of Tejaprabha Buddha paintings from the early Chosun dynasty. With its well preserved state, the painting allows clear indications of all icons and list of names that were written, and the record region also has minimal deterioration. This Buddhist painting is a GumSeonMyoHwa which is drawn with gold lining on red hemp cloth and has a relatively small dimension of 84.8×66.1 cm. With the Tejaprabha Buddha in the center, the painting has two unidentified Bodhisattvas, Navagrabha, Rahu, Keto, YiSipPalSoo (28 constellation of the eastern philosophy), SipYiGoong (12 zodiacs of the western philosophy), SamDaeYookSung, and BookDooChilSung (the Big Dipper), all of which provide resourceful materials for constellation worshipin the Joseon era. This painting has a crucial representation of the overall Tejaprabha Buddhism - a type of constellation worships -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Even though the composition does seem to be affiliated with the paintings from the Koryo dynasty, there are meaningful transformations that reflect changes in content into constellation worship in Joseon dynasty. As a part of the Tejaprabha Buddha, SipIlYo has become a center of the painting, but with reduced guidance and off-centered ?eolpe (star)? the painting deteriorates the concept of SipIlYo? composition. Furthermore, addition of Taoistic constellation beliefs, such as JaMiSung (The purple Tenuity Emperor of the North Pole), OkHwangDaeChae, and CheonHwangJae, eliminates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aoistic and Buddhist constellation worships. Unlike the Chinese Tejaprabha Buddha painting, the concept of YiSipPalSoo (28 constellation of eastern philosophy) in this painting clearly reflects Korean CheonMoonDo? approach to constell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its uniqueness of the constellation worships. The fact that the Big Dipper and ChilWonSungKoon (Buddha of the Root Destiny Stars of the Northern and central Dipper) are simultaneously drawn can also be interpreted as the increase in importance of the constellation worship at the time as well. 乾隆 3년(1569)에 제작된 일본 교토(京都) 高麗미술관 소장의 〈熾盛光如來降臨圖〉는 조선 전기 치성광여래강림도상으로는 현재 유일한 것이다.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작품 내 거의 모든 도상과 旁題銘의 판독이 가능한 상태이며 화기 부분도 크게 손상되지 않았다. 작품은 홍색을 올린 바탕에 금니화로 84.8×66.1cm의 비교적 작은 크기의 불화이다. 이 작품은 화면 중앙 치성광여래를 중심으로 하여 존명이 적혀 있지 않은 양대보살, 十一曜와 天皇星, 玉皇上帝 및 二十八宿, 黃道十二宮, 三台六星, 北斗七星 등이 배치되어 조선시대 성수신앙의 일 단면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이 작품의 도상은 고려본 치성광여래 강림도와 같은 계열이기는 하지만 일부 성수에서 자미성, 천황성과 같은 도교적 성수가 등장하고 여래형 북두칠성 등 의미있는 도상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조선시대 성수신앙의 전개과정을 알 수 있다. 본 〈치성광여래강림도〉는 주요 권속으로 십일요가 중심이 되긴 하였으나 계도성이 생략되고 월패성도 중심에서 벗어나 있어 십일요 구성에 대한 개념은 약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자미성, 옥황대제, 천황제와 같은 도교의 성수신이 포함되면서 도교와 불교 성수신의 뚜렷한 구분이 없어지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이 불화에 나타난 이십팔수의 별자리 그림은 중국의 치성광여래도와는 달리 우리나라 천문도의 별자리 그림을 정확히 반영하고 있어 성수신앙의 독자성도 엿볼 수 있었다. 북두칠성과 칠원성군을 동시에 그려서 칠성신앙을 강조한 사실은 칠성신앙의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작품의 제작 수준으로 보아 대시주 ‘崔氏徒令’은 유복한 계층의 어린아이일 가능성이 높아, 이 작품이 자손의 延命, 消災 등을 기원하면서 제작된 호신부적 성격의 불화였을 것으로 추정해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