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령기 아동의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간 관계: 성별의 조절효과와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노주은 한국아동학회 2021 한국아동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1

        연구목적: 언어적 기술이 부족한 아동은 정서적 표현을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쉽고, 이는 효율적 의사소통 능력의 발달과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저해하여 정서적 · 행동적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선행 연구들은 어린 아동의 언어적 결함과 이후 청소년기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입증해왔는데, 학령기 아동의 언어적 능력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일상적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적 기술이 다른 하위 언어능력에 비해 정신건강과 더 밀접한 관계에 있을 것으로 보고, 학령기에 보다 성숙해지는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 이러한 메커니즘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매개변인으로 사회적 관계 및 상호작용과 관련한 변인이 지목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을 설정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언어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성별, SES의 효과가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한국아동패널데이터2008의 2017년도(10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인들의 결측치를 제외한 초등학교 3학년 537명(남=276, 여=261)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주요 변인들은 아동 화용언어 체크리스트, SDQ, CBCL 6-18 등의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가정의 SES 수준은 어머니의 최종학력 및 가정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에는 SPSS23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첫째로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가정의 사회경제적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로 또래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s macro를 이용해 매개모형의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매개모형에서도 선행모형에서 나타났던 성별이나 SES 수준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자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화용능력은 내현화 문제와 부적 연관성을 보였으며, 성별의 조절효과 모형에서 R²의 변화량은 유의한 수준(F=4.305, p<.05)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여아가 남아에 비해 화용능력은 높으나(t=-3.63, p<.001), 화용능력이 내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은 남아에게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ES는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에 대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매개모형에서는 화용능력의 내현화 문제에 대한 직접효과와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모형에서는 성별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잠재적 매개변인으로 지목된 또래관계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아동의 언어적 능력이 사회적 관계를 매개하여 내현화 문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로, 아동의 일상적 의사소통 능력인 화용능력 역시 또래와의 안정적 관계 형성을 매개로 우울 및 불안 등의 내현화 문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뒷받침한다. 한편 성별과 SES 중 성별만이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의 관계에 대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또래관계를 매개로 한 경로에 대해서는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화용능력과 내현화 문제 간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요인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비교적 사춘기를 일찍 겪는 여아의 경우 내현화 문제 발현의 위험요인이 남아에 비해 더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화용능력의 영향력이 훨씬 미미하게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및 학업성취도 간 관계 : 자기조절양식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안현숙(An Hyonsuk),최현주(Choi Hy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양식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 고등학생 329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분석과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양식은 부모의 비일관성과 진로태도성숙 간 관계를 부분 매개, 비일관성과 학업성취도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비일관성과 자기조절양식 간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여학생 집단에서는 부모의 비일관성이 높을수록 자기조절양식이 감소하는 부적관계가 나타났으나, 남학생 집단에서는 이들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자기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역시 성별에 의해 조절되어,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mode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nsistent paren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academic achiev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29 high school students in East Southern regions of South Korea.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ion mode partially mediated the path from inconsistent parenting to career attitude maturity. Moreover, self-regulation mode fully mediated the path from inconsistent parenting to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nsistent parenting and self-regulation mode. In girls, inconsistent parenting decreased the level of self-regulation mode, whereas in boys, the effect of inconsistent parenting on self-regulation mod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the mediation effect of self-regulation mode was moderated by gender, such that the mediation is significant only in girl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al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품질과 학생만족 관계에 대한 직원서비스품질과 성별 차이의 조절적 조절효과 연구

        하홍열(Ha, Hong Youl),이제원(Lee, Je Wo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1

        교육현장에서의 교육품질과 참여자 간 만족도 연구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교육서비스품질에 관한 선행연구에서는 개별적인 하위차원에 대한 연구보다는 전반적인 품질차원 연구에 초점을 둔 반면,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 차원의 개별적인 요인으로 교육품질과 학생 만족 간의 영향력 관계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과 학생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직접적 영향력을 제공하는 직원서비스품질의 조절효과와 학생들의 성별 차이에 대한 조절적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각 요인들의 세부적 영향력 관계를 증명하고자 가설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육서비스 품질의 기초적인 정보제공과 조절효과의 만족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하여 향후 교육서비스품질의 향상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육 서비스품질은 학생만족에 유의한 영향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육품질과 학생만족 간의 관계에서는 서비스제공 주체인 직원서비스품질의 수준에 의해 만족도의 결과가 조절된다는 결과가 증명되었다. 특히 조절적 조절효과는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특별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직원의 서비스품질수준이 낮을 때, 교육품질과 학생만족의 관계는 성별차이에서 차별적 결과를 나타냈으며 여성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직원서비스품질 수준이 높을 경우, 교육품질과 학생만족은 남성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성별차이는 직원서비스품질의 수준에 따라 조건적으로 나타나며, 조건에 따라 모든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도 아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품질-학생만족의 관계는 추가 투입되는 조절변수들에 대해 조건부함수로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on university service quality have mainly focused on overall service quality compared to individual sub-dimensions of service quality,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how individual service quality has an effect on student satisfaction. In so doing, we test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between educational quality and student satisfaction using staff quality and gender difference. To examine the proposed research hypotheses, we collected a total of 507 usable data from two universities(e.g., metropolitan-based and local-based universities). The findings show that educational quality directly affects student satisfac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structs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staff quality. In particular,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s are quite interesting. First, when staff quality is low,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quality and student satisfaction is only significant in women. Second, when staff quality is high, the same relationship is only significant in men. That is, gender differences appear conditionally depending on the level of staff quality and their impacts vary. We conclude that the effect of individual quality on the proposed relationship is a function of the condition.

      • KCI등재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 간에 친사회적 행동과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

        주순란(Joo Soon Ran),구본용(Khu Bon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문헌 고찰을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더욱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친사회적 행동을 선정하였고, 그 관계가 성별의 조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 총 66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PROCESS macro 모형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자원봉사자의 동기부여(자기지향적 동기, 타인지향적 동기)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간에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와 친사회적 행동,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의 간에 성별(남자, 여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성별(남자)의 조절효과를 보면,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으로 가는 직접 영향을 조절하여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남자)의 조절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서서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별(여자)의 조절효과를 보면, 자원봉사자의 타인지향적 동기가 친사회적 행동으로 가는 직접 영향을 조절하여 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여자)의 조절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원봉사활동 만족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와 실제 자원봉사 현장에서 성별에 맞는 친사회적 행동 및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Volunteer 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ith volunteering,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volunteering. selected pro-social behavior as a factor that further increases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test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model to determine whether the relationship can vary depending on gender control. Method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those who had volunteer experience in Gyeonggi-do, and data from a total of 661 respondents were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model verification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was significant between motivation (self-oriented motive, other oriented motive)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and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other oriented motive and prosocial behavior, volunteer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male, female) was significant among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male), the effect o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by regulating the direct influence of other-oriented motives toward pro-social behavior showed that as the control level of gender (male) increase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gradually decreased. appeared to be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female), the effect on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by controlling the direct influence of other-oriented motives toward pro-social behavior was found to gradually decrease as the control level of gender (female) increased. appeared to increas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the study and way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pro-social behaviors and volunteer activities according to gender in actual volunteer work were discussed.

      • KCI등재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대학생의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

        최인선 ( Insun Choi ),주은지 ( Eunjee Jo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주목적은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257명이며 SPSS 22.0와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홉 가지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계획 다시 생각하기,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는 마음챙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하위요인들에서 성별 조절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즉, 남학생은 계획 다시 생각하기에서, 그리고 여학생은 자기비난, 타인비난에서 마음챙김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마음챙김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남학생과 여학생에 따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중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파악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담장면에서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상담개입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mindfulness of college student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he subjects were 257 college students and SPSS 22.0 and AMOS 23.0 program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main result indicated that among nin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refocus on planning, self-blaming, other-blaming and catastrophizing were influencing on mindfulness. It was prov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moderating effect on these subfactors by gender. In other words, focus on planning is found to be greater in the effect on mindfulness in male students than female. Self-blaming and other-blaming had negative effect on mindfulness for female students than male.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what kind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enhance mindfulnes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lso, this study stress the need and importance of counseling intervention according to gender.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 요인 및 성별조절효과에 관한 국내·외 연구 메타분석

        김보경,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size on career success of employees in corporations,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betwee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and related factors. This purpose was accomplished by utilizing the meta-analysis technique of research integ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jectiv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were influenced by a various of factors, which includ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well as human capital, psychological attributes of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Second, income was more affected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the number of promotion was more affected by the human capital variables. Plus, among the effect sizes of variables on career satisfacti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howed high priorities. In addition, organizational support has the common effect on career success regardless of the properties. Third, the moderation effect of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and related factors for male and female employees in corporati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career success.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further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other variables that was not dealt in this study. Second, since employees in corporations could be categorized based on culture, further research needs to identify effect sizes on career success and its variables by category. Third, further research needs to evaluate and select qualitative paper using meta-analysis. Fourth, it is proposed to develop gender differentiated career development system in corporations and utilize them in the policy. 이 연구의 목적은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관련 연구를 종합하여 변인들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구명하고, 관련 변인이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별의 조절효과를 구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 관련 변인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종합하기 위한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성별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경력성공과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매우 다양하며, 이는 인구통계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인적자본 및 개인의 심리적 속성과 조직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둘째, 임금은 인구통계 변인이, 승진횟수에는 인적자본 변인이, 경력만족의 경우 개인의 심리가 보다 큰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지원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과 관련 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는 경력성공의 평가 기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기초하여, 기업근로자의 경력성공과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 문화권을 고려한 집단 간 비교 연구, 메타분석 방법 면에서 대상 연구물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고안, 성별 차별화된 경력개발 제도 및 정책의 활용 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성별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

        박재춘(Jae-Chun Park),유준(June Yoou),설현도(Hyun-Do Seol)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혁신행동을 강화하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의 효과를 규명함과 동시에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구성원들의 성별과 회복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였다. 전국 제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 1,026명을 대상으로 SPSS 회귀분석과 PROCESS macro를 활용한 조절효과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높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혁신행동의 긍정적인 관계는 구성원들의 성별에 따라 조절되었다. 즉, 여성과 달리 남성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낮은 수준에서 높은 혁신행동을 보였으나,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높은 수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혁신행동을 보였다. 셋째,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 성별 및 회복 탄력성의 조절된 조절효과가 실증되었다. 먼저, 회복탄력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가 높을 때, 여성들의 혁신행동이 남성보다 높게 강화되었다. 반대로 남성들의 혁신행동은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는 관계없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탄력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와 관계없이 남성이 여성에 비해 혁신행동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연구 한계 및 향후 과제 등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limate(FFOC) on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members’ gender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innova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empirically analyzed 1,026 employees of manufacturing companies in South Korea using SPSS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are as follows. First, the FFOC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gender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fically, men showed higher innovative behavior than women at the low FFOC level, but women showed higher innovative behavior than men at the high FFOC level. Finally,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gender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FOC and innovative behavior. ① When the FFOC was high, in the employee group with a low level of resilience, womens innovative behavior was higher than that of men. On the other hand, mens innovative behavior remained at a certain level regardless of FFOC. ② Also, in the employee group with a high level of resilience, the innovative behavior of men was higher than women regardless of FFO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검증

        염희정,한창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2 사회복지연구 Vol.53 No.4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social support influences depression among youth and whether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is moderated by gender. In addition, this study categorizes social support into 3 types (significant others, family, and friends) and analyze whether the effects of 3 types of social supports on depression are moderated by gender. This study used ‘A Surve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Youths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data has 3,018 youth aged 19 to 34. The Process Macro method was utilized t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th with more social support is less likely to experience depression. Second,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was moderated by gender. Of the three types of social support, while the three types of social support are negatively related to depression, only family social support effect o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gender. This study concludes with serveral policy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가 청년의 우울에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추가적으로 제공 대상(의미있는 주변인, 가족, 친구)에 따라 분류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청년층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분석대상은 3,018명이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13)의 PROCESS macro의 model을 활용하여 총체적 검증, 조건부 효과 검증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를 제공 대상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가족’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의해 조절되는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친구의 사회적 지지 효과는 성별에 의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의미있는 주변인’에의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의해 제한적으로(marginally significant) 유의미하게 조절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년층의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과 현재 시행 중인 청년정신건강지원 사업의 확대 및 청년의 사회적 지지체계 형성을 위한 정책 형성에 대한 함의 그리고 성별 차이를 고려한 제도 마련의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성별과자기제시동기의 조절된 조절효과

        이선민,이주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Moderate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Self-pres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Seonmin Lee & Jooyoung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and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For this purpose, 431 college students completed Pathological Narcissism, State-Trait Anger,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through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vulnerable narcissism, self-present motivation, and trait anger. Second, there was not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present motivation between vulnerable narcissism and trait anger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gender. This study suggests that gender-sensi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are required for high levels of anger that are easily experienced by people with high vulnerable narcissism. Especially for females, self-presentation motiv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therapeutic target to decrease their trait anger. Key Words: Vulnerable Narcissism, Trait Anger, Self-present Motivation, Gender, Moderated Moderation Effect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성별과자기제시동기의 조절된 조절효과이 선 민**ㆍ이 주 영***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취약성 자기애가 특성분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431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을 활용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 및 자기제시동기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취약성 자기애와 특성분노의 관계에서 자기제시동기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특성분노에 대한 취약성 자기애와 자기제시동기의 조절효과는 성별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결론 및 제언: 취약성 자기애 성향이 강한 사람들이 쉽게 경험하게 되는 높은 수준의 분노에 대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히 여성은 특성분노에 대해 자기제시동기가 치료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취약성 자기애, 특성분노, 자기제시동기, 성별, 조절된 조절효과 □ 접수일: 2022년 10월 29일, 수정일: 2022년 11월 2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주저자의 2020년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을 일부 발췌・수정한 것임. ** 주저자, 동덕여자대학교 아동·심리학과 석사(First Author, Master, Dongduk Women’s Univ., Email: lsunmiiin@gmail.com)*** 교신저자, 동덕여자대학교 아동·심리학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duk Women’s Univ., Email: jylee7694@dongduk.ac.k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