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계층의 교차를 통해 본 20대 대학생의 성별분업에 대한 인식

        민가영(Min Kayoung) 한국여성학회 2016 한국여성학 Vol.32 No.2

        본 논문은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이 급속하게 균열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현재의 20대들, 그 중에서도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중간 계층 안에서 성별분업 모델이 그들의 계층적 조건과의 관계 속에서 성별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비교 검토하려는 연구이다. 젠더의 작동이 그에 따른 경제적, 사회적 보상과의 관계 속에서 작동한다는 점을 상기할 때 성별분업에 대한 한 개인의 인식은 그가 위치한 계층적 조건과 젠더와의 교차를 통해 형성될 것이다. 현재 20대는 생계의 문제가 자아실현을 압도하는 시대에 살며 부모세대를 통해 경제적 불안정성을 익히 경험한 세대이다. 또한 생계형 맞벌이가 보편화되고 있지만 성별분업의 근간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어서 경력단절과 취업 여성의 이중부담이라는 단어가 사회의 상식적 언어가 되고 있고, 결혼에 관해 ‘선택의 자유’라는 담론을 ‘계층적 현상’이 대체하고 있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IMF 경제위기 이후에 성장한 20대들의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와 차이를 통해 앞으로 성별불평등의 변화 가능성에 대해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남성들은 점차 불안정해져 가는 남성 노동자의 위치라는 계층적 조건을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참여라는 성별분업의 해체를 통해 해소하고 싶어 하는 반면 여성들은 고용시장에서의 여성 노동자의 열악한 현실과 이중부담이라는 젠더 권력관계를 남성 생계부양자라는 계층적 가능성을 통해 해소하고 싶어 하는 상반된 태도를 보여주었다. 남성과 여성의 성별분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공통으로 가로지르고 있는 것은 성별분업에 대한 이해와 전망에 계층적 조건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남성들이 자신의 계층 조건 속에서 더 이상 성별분업을 유지하기 어려워졌다고 인식하는 반면 여성들은 자신이 원하는 계층적 삶의 가능성 여부로 성별분업을 평가한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경제적 불안정 시기에 남성 생계부양자 모델이 균열되어가고 있는 자리를 채우고 있는 새로운 양상 중 하나는 성별분업을 계층적 삶의 양식으로 이해하는 의미체계의 강화로 보여진다. 이러한 점은 경제적 상황이 불안정해진 현실 속에서 변화하고 있는 젠더와 계층이 교차하는 작동방식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In Korean society, male breadwinners have been reclined since neoliberal economic system. This paper starts with question of attitude or estima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ur involved marriage among 20’s college students. In contrast of collapsing male breadwinner system, works of caring family are still considered women’s work. Witnessing these social change, college students reveals gendered attitude toward gender division of labour. Male students show a critical tendency for a notion of male breadwinner while they less thought about responsibility of domestic work. In addition to that, they reveals a strong desire for exemption from a burden of head of family. Women shows a different tendency from men’s. Unfair in neo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ur leads women to fortify desire for male breadwinner. It causes women to criticize double income model that double burden for work and caring family and inferiority of women’s labour market. Women wants solve the problem of double burden of work and family by individual efforts. Here it is worth to note that it is husband’s economic power that they expect as their individual source the most. Women expect male breadwinner while men are skeptical for male breadwinner expecting double income model without their contribution for domestic work.

      • KCI우수등재

        개인화와 성별분업

        허은(Heo, Eun) 한국사회학회 2017 韓國社會學 Vol.5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들의 성역할 태도가 가족형성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성별분업의 향방을 가늠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조사(KLoWF)의 1차년도(2007년)에서 5차 년도(2014년)의 자료를 병합하여 해당 기간 중 24세에서 37세 사이의 연령대에 있었던 여성들의 성역할 태도와 가족형성기 주요 생애사건들 간의 관계를 패널로짓 확률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 사이에서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의 규범적 구속력은 약화되었지만, 그렇다고 성별분업이 적극적으로 거부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여성들은 취업이나 출산을 계기로 변화하는 가족생활의 조건에 맞춰 성역할 태도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성역할 태도에서와는 달리 미취학자녀 양육 태도에서는 규범적 견고함이 확인된다. 특히 교육수준이 높은 여성일수록 성별분업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미취학자녀는 어머니가 직접 돌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규범을 견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셋째, 성별분업에 동의하지 않으면서도 어머니가 미취학자녀를 직접 돌보는 것을 바람직하게 여기는 태도로 전환될 확률은 성별분업에 동의하지 않고 어머니 역할 또한 유연하게 인식하는 태도로 전환될 확률 못지않게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행위 성향은 특히 고학력 여성 집단에게서 두드러진다. 이는 여성 교육이 확대될수록 성별분업의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운 행위 양식만큼이나 어머니 역할 규범에 맞춰 성역할 태도를 조정하는 행위 양식 또한 현저해질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개인화가 성별분업에 모순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여성의 교육 및 취업 기회의 확대는 성역할 분리 규범을 약화시키지만, 교육수준의 상승은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강도 높은 헌신을 요구하는 모성 규범을 강화한다. 따라서 개인화는 직업 활동을 통해 ‘자신을 위한 삶’을 추구하는 행위를 촉진하는 한편으로, 직업 활동의 목적과 참여 여부, 헌신의 정도를 어머니 역할을 중심으로 조정하는 행위 양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개인화가 진행되면서 어머니 역할을 우선에 두고 성역할 태도를 조정하는 행위 양식이 보다 일반화될 경우, 직업 활동이 여성의 삶에서 배제되지 않더라도 일차적 부양 역할은 남성의 몫으로 규정되고 자녀양육은 여성에게 우선적인 책임 영역으로 설정되는 형태로 성별분업이 재구조화될 가능성이 높다. This article is aiming at understanding how the attitudes of women in terms of gender role change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the family. It analyzes the influence of life even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family formation affecting the attitude of gender role of women aged 24 to 37, based on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KLoWF) (1th-5th).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men have tendency to adjust the gender role attitudes to the condition of their family life, which changes after getting jobs and giving birth. Second, women that have a higher level of education are probable to oppose gender division of labor, but agree to the idea that it is necessary for a mother to stay home for taking good care of her children. Third, it appears that there is high probability of the attitude changes among women to turn against the gender role, and yet become to agree with the mother’s role as a home-maker for their children before the age of schooling, as high as that of the attitude change to take opinion opposing the gender role and the role of a mother as a home-maker. This results imply that individualization have contradictory influence on gender division of labor.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women’s education and employment undermines the base of traditional gender role rules; however, ironically, more education for women tightens the rules of mothering, as something that the mothers should sacrifice more for the children. Therefore, individualization encourages women to pursue the life for themselves, while it may adjust their attitude on setting a goal and participation or commitment to career-related activities to place duties of a mother as central. If the latter pattern of behavior spreads out and becomes more common sense, then—although the activities in career development are not excluded from women’s lives—the gender division of labor would be re-structured as the ‘male-breadwinner and female-carer’ composition in which women have to perform the primary role of child-rearing even if they have a career.

      • KCI등재

        조(부)모 양육지원이 취업부부의 성별분업에 미치는 영향

        김양지영(Kim yang Ji young) 한국가족학회 2017 가족과 문화 Vol.29 No.1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지원은 취업부부에게 대표적인 보육대안이 되고 있다. 조(부)모 양육지원이 취업 부부의 돌봄을 둘러싼 젠더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초기 양육기부터 조(부)모 지원을 받아온 전일제 취업 여성ㆍ남성들을 심층면접해 분석하였다. 전일제 취업 부부는 2인 소득자 모델로서 취업 여성의 가족 내 협상력이 높을 것으로 간주되는 이들로 실제 가족 내 협상력을 발휘해 배우자와 돌봄을 분담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협상력은 조(부)모의 돌봄이 전제된 분담이라는 한계를 갖는다. 취업 부부는 조(부)모 지원을 받고 있어 돌봄 문제로 갈등하지 않는다. 갈등은 새로운 역할분담에 대한 조율 가능성을 담고 있으나 돌봄이 조(부)모 지원으로 해결됨에 따라 부부 공동의 과제로 설정되지 않고, 그만큼 돌봄은 여성의 몫이라는 기존의 성별 분업을 해체할 가능성 또한 낮다. 오히려 아이 돌봄의 갈등 주체는 (시)조모와 딸(며느리)로 돌봄이 세대 간 여성 연대를 통해 해결되고 있다. 그러나 세대 간 여성 연대는 동등한 공동 양육 책임자간의 결합이 아닌 조(부)모를 주요 양육자로 하고, 취업부부가 지원을 하는 세대 간 분업 형태를 띤다. 취업 부부는 최소화된 돌봄 조건 속에서 여남 간의 ‘육아 대 가사’라는 새로운 성별 분업 형태를 보인다. 게다가 전통적인 성별 분업 인식을 가진 조(부)모는 사위/아들이 생계 부양자로서 가사육아를 하지 않도록 지원하고, 딸/며느리가 돌봄 제공자로서 역할을 다 하면서 시장노동을 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여남 간의 성별 분업을 유지시킨다. 결과적으로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 지원은 취업부부가 돌봄을 분담하며 성별분업을 해체하기 보다는 오히려 자녀세대가 돌봄을 최소화하도록 지원할 뿐 아니라 그러한 지원을 통해 성별분업을 유지ㆍ강화시키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research analyses the effect of grandparents’ supports for child rearing on gender relations of working coupl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Full-time working couples is a dual-earner model. Working women are considered that they have a high bargaining power in the family. In fact, working couples have shared care work with their spouse. Even though the working couples share the burden of childcare, which implies gender equality in childcare, this sharing of childcare is only practiced when grandparents take a full responsibility for childcare. Not only working fathers, but also working mothers contribute to childcare as little time as possible. In other words, grandparents mostly take caregiving, especially childcare, and this shows us that the female solidarity is an essential relationship for taking care of household, rather than the equal sharing of care work between young mothers and fathers. In the female bonding for care work, grandmothers become the primary care taker and full time working mothers come to be a second caretaker, meanwhile working young father takes the smallest part of caregiving. Furthermore, the recognition of grandparents’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labor strengthens the gender division of working couples. As a result, grandparents’ care support has an impact on strengtheni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rather than letting the couple share their care work and dismantle the gender division.

      • KCI등재

        동아시아 기혼여성의 성별분업에 관한 태도와 실천 : 한국, 일본, 대만 비교 연구

        이재경,나성은,조인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2 여성학논집 Vol.29 No.2

        이 글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를 통해 근대적 성별분업이 도전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 내 성 평등이 지체되는 현실에 주목하고,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3개국 여성들의 성 평등의식과 현실 간의 불일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EASS 자료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여성들의 연령, 교육기간, 가구소득,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 부부 각각의 노동시간, 가족지원망이 가사분담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각 국가별 특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대만은 성별분업에 대한 보수적 성향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의 실질적 가사부담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일본의 경우 여성들의 진보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실제 가사부담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대만, 한국과 일본 여성들의 평균 노동시간에 기인하는데, 한국과 대만 여성들의 경우 전일제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가사 노동시간을 줄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만은 가족 특성이, 한국은 여성경제활동의 성격이 가사부담률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세대 동거가구의 비율이 높은 대만은 부모로부터의 돌봄 지원이 가사부담을 줄이는데 기여하며, 한국에서는 여성의 교육기간이 길수록 가사부담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고학력 여성의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활동 참여가 가사노동에서의 협상력 약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가사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노동시장 성격이나 구조, 가족 형태 등 제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성별분업 연구에서 개인과 부부의 특성뿐 아니라 거시적 요인에 대한 요인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delayed situations for gender equality in South Korean, Japanese, and Taiwanese families despite the challenge to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modern society, and to analyz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notions of gender equality and the experiences women face in East Asia countries. Using EASS data, we analyze the effective difference over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according to women’s age and length of school time, attitude for gender division of labor, couple’s labor time, and family network. In South Korea and Taiwan, men’s actual ratio of household division is higher than Japanese men’s. On the other hand, Japanese women’s ratio of household division is the highest in spite of their progressive attitude for gender equality. It is due to the difference of women’s working time among the countries. In South Korea and Taiwan, women tend to work in full time job, so that they seem to inevitably reduce the time for household labor. The family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the women’s ratio of household division in Taiwan, and the feature of women’s employment does in South Korea. The high percentage of three-generation household contributes to the reduction of housework burden in Taiwan. In South Korea, the higher women’s education levels, the higher the women’s ratio of household division. Women’s weakened bargaining power for household labor is due to the relatively low level of high-educated women’s economic participation in South Korea. This paper reveals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We propose the necessity of the macro-level analysis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personal and conjugal feature.

      • KCI등재후보

        취업 여성의 ‘남편’과 일-가족 문제

        강이수(Yi-Soo Ka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 젠더와 문화 Vol.4 No.1

        이 연구는 맞벌이 가구의 남편의 존재형태, 역할 책임의 유형, 가사 참여 정도 등을 심층면접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있다. 연구 시기는 산업화 이후 여성의 취업 확대와 성별 분업 규범의 변화 양상에 따라 90년대 이전과 이후 두 시기로 구분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전통적 성별분업 규범이 아직 견고하던 90년대 이전, 맞벌이 가구 남편은 생계부양 역할 여부와 상관없이 가정 내에서 권위적인 위치에 있었고, 가사분담의 책임에서도 벗어나 있었다. 또한 하층 맞벌이 가구의 경우 남편의 생계부양 역할은 잦은 이직, 부채 등으로 지속적인 취업을 하고 있는 부인에 비해 불안정한 생계부양자인 경우가 많았다. 90년대 이후 신전통적 성별분업 시기의 남편들은 부인의 취업을 당연시하고 인정하게 되나, 가사분담의 양상은 여전히 불균등하다. 취업 여성들은 남편에 대해 공평한 가사분담을 요구하기 보다는 부모의 지원을 통해 가사노동을 대체하거나 최소화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전 시기 취약한 생계부양 역할을 해도 가정 내 남편의 권위가 유지되었다면, 90년대 이후에는 훨씬 불안정해지고 인정받지 못하는 존재가 된다. 즉, 가정 내 성별분업의 불평등한 관계의 지속과 남성 부양자 권위의 흔들림과 균열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nalyzed husbands’ attitudes of employed women to the breadwinning role, domestic work, and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n dual-earner families from the 1960’s Korean industrialization to present. This period is subdivided into two phases as follows. The first phase, 1960-1990, was characterized by the rigid sexual division of labor, negative attitudes towards women’s employment, and strong authority in financial decision-making belonging to husbands. Many husbands earned less than their wife in low strata families. But they did not perform any domestic work and they kept their authority concerning financial and family decision-making. The second phase, 1990-present, is characterized by positive attitudes towards women’s employment and the weakening of authority of husbands concerning financial decision-making. But there still remained an unequal sharing of domestic work. So the sexual division of labor is the only area where attitudes remained unchanged.

      • KCI등재

        유럽의 저출산 관련 정책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이재경(Lee Jae Kyung),조영미(Cho Young Mi),이은아(Lee Euna),유정미(Yoo Jeong Mi)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3

        본 연구는 출산율 변동에 젠더관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저출산 현상에 대한 국가의 정책적 개입 방향과 출산율과의 상관관계를 유럽의 저출산 정책을 통해 분석하였다. 유럽의 출산 관련 정책을 공/사 영역에서의 성별분업에 대한 지향에 따라 성별 분업 해체(스웨덴), 성별분업 부분적 변형(프랑스), 성 중립(영국), 전통적 성별분업 유지(독일, 스페인)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의 일/가족 양립이 어려운 전통적 성별 분업 유지 유형에서는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부족하여 출산율이 급격히 하락한 반면, 성별 분업 해체 유형에서는 출산율이 비교적 안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럽에서는 여성의 노동 참여를 장려하고 여성과 남성이 일과 가족을 양립할 수 있는 정책 시행이 출산율 제고에 효과적이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한국이 현재 당면한 저출산 현상과 관련하여 인구학적 변화나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병렬적으로 이를 분석되는 것에서 나아가 젠더 관계의 갈등을 진단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 방향 도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자 한다. The causes of the low fertility have been regarded with the increase of marriage age and first birth age or the decrease of the marriage rate and increase of the divorce rate. The raise of the women's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in employment sector is also considered as a major factor causing the avoidance of bearing children in married couple.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low fertility from the gender-sensitive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 for policies enhancing the fertility rate. It is assumed that the decrease of fertility rate is the result of conflict gender relationships between the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While the dual-earner family increases, the policies for women being able to be compatible with work and family, such as the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or parent childcare leave, are not sufficiently provided. Dual parenting or men's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are still far way to be fulfilled in individual families. We divide family policies in Europe into four types in accordance with how extent each policy aims to overcome the gender division of labour in public/private sphere. It proves that the policy type which aims explicitly to achieve the gender equality is effective in stabilizing the fertility. Policies for providing the public child-care facilities under 3 and full-paid long term parental leave as well as parity-specific family allowances are to be recommended for achieving the high fertility rate and the norm of equality between gender. It implicates that policies for the low fertility require the transformation of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challenge the norm of traditional family and marriage.

      • KCI등재

        중국과 대만의 여성지위 비교연구: 경제활동참여를 중심으로

        이경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0 中國硏究 Vol.83 No.-

        This study attempts to recognize Chinese and Taiwanese women’s status level and its limitation by analyz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in both countries. First of all,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n China is gradually decreasing as Chinese system converted to socialist market economy, whereas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in Taiwan is becoming higher. Meanwhile, age-specific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Chinese urban women and Taiwanese women shows similar figure forming a reversed U-shape. Next, in the aspect of gender division of labor(industrial, occupational, employment status and regular/non-regular distribution), China and Taiwan have contrary features. First, in the aspect of industrial distribution, proportion of Chinese women participating in primary industry is still high, while Taiwanese women take huge proportion in tertiary industry. Second, in the aspect of occupational distribution, Taiwanese women’s gender division of labor is evenly distributed compared to China. Third, in the aspect of employment status distribution, high proportion of Chinese women participate in self-employment, while high proportion of Taiwanese women participate as employees. Fourth, China has high proportion of non-regular women workers compared to Taiwan. Lastly, gender pay gap in China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after entering into socialist market economy. On the other hand, gender pay gap in Taiwan has been consistently decreased as the economy become developed and the society has been democratized. In conclusion, the reason why women’s status is becoming lowered is because after Chinese economic reform, patriarchy under market economy has been reinforced again, and this caused gender discrimination(gender division of labor, occupational segregation by gender and gender pay gap) to be intensified. On the other hand, women’s status in Taiwan is becoming higher due to increased women’s economic role and activation of women’s rights movement which caused patriarchy to be gradually weakened. 본 연구는 중국과 대만 여성의 경제활동참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양국 여성지위 수준을 이해하고, 나아가 그 사회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중국은 사회주의시장경제체제로 전환되면서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다. 반면, 대만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편, 여성의 연령별 경제활동참가율은 중국 도시여성과 대만여성이 모두 ‘역U자형’으로 유사하다. 다음, 성별분업(여성의 산업, 직업, 종사상 지위 및 정규직/비정규직) 상황을 분석하면, 중국과 대만이 서로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첫째, 산업별 분포에서 중국여성은 1차 산업의 비중이 여전히 높고, 대만여성은 3차 산업의 비율이 월등히 높다. 둘째, 여성의 직업별 분포에서, 대만여성의 직업이 더 고르게 분포하여 성별분업이 더 완화되어 있다. 셋째, 종사상 지위 분포에서, 중국여성은 자영업자의 비율이 높고, 대만여성은 임금노동을 하는 피고용자의 비율이 높다. 넷째, 중국여성은 대만여성에 비해 비정규직 비율이 매우 높다. 마지막으로, 중국은 사회주의시장경제를 도입한 후, 성별임금격차가 점차 확대되었고, 대만은 경제발전과 민주화가 진행됨에 따라 성별임금격차가 꾸준히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중국에서 여성지위가 낮아지는 원인은, 국가에 의해 억제되었던 가부장제가 개혁개방 후 시장경제와 상호작용 하에 다시 강화되어, 성차별 현상(성별분업, 성별직종분리 및 성별임금격차)이 심화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대만에서 여성지위가 향상되고 있는 원인은, 여성의 경제적 역할이 증대되고 여권운동이 활성화되어 가부장제가 점차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독일통일 이후 일-가족 조화정책과 여성경제활동

        김해순(Kim, Hae-Soon)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3 젠더와 문화 Vol.6 No.2

        본 논문은 독일통일(1990년) 이후 노동시장정책 및 가족지원정책과 연계해 시행된 일-가족 조화정책이 여성경제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연구한 글이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독일의 일-가족 조화정책은 여성이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을 전담하고 남성은 가족부양자로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성별분업에 토대를 두고 있다. 성별분업은 여성차별을 내포한 분업구조이다. 여성의 낮은 임금과 고위직의 어려운 진출이 그 예가 되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일-가족 조화정책은 한계를 보인다. 둘째, 성별에 의거한 노동시장정책은 여성의 노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여성은 서비스분야, 저임금 그리고 시간제 근무에 집중되어 있고 노동시장에 수직적으로 통합되었다. 자녀보육시설이 확보되지 않아 여성은 전일제 근무가 어렵다. 그래서 대부분 여성은 연금이나 사회보험 등에 가입이 어렵고 남편에게 재정적으로 의존한다. 수입이 낮은 여성은 경제적 빈곤과 후에는 노후빈곤을 면치 못한다. 셋째, 일-가족 조화정책은 여성의 증가된 경제활동욕구를 만족시키고 남녀평등을 목적으로 하지만, 그 실현은 아직도 먼 곳에 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and women’s employment after the unification of Germany (1990) with a focus on gender segregatio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can be summarized in three points: First, German work-family balance policy encourages a division of work based on gender segregation. The woman is in charge of housework and care of children. The man is a breadwinner on the labor market. This division of work discriminates against women expressed by low incomes and difficulties in being promoted into high position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stands in the way of solving these problems. Second, the labor market policy follows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Women are concentrated in the service sector. They are vertically integrated in the labor market based on gender discrimination: they work in part time, low-wage jobs that often lack pensions and social insurance. They must combine housework and child-care. Child-care facilities have not developed enough to allow women to work full time. Thus they become financially dependent on the husband. Woman with low incomes leads to poverty in their declining years. Third, the work-family balance policy does not offer a solution of women’s problems. Gender equality has yet to be fully realized.

      • KCI등재

        돌봄은 ‘덫’인가 ‘피난처’인가? : 20∼30대 기혼여성들의 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김은정(Eunjeong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1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돌봄 문제를 안고 있는 20~30대 기혼여성들의 일에 대한 개인의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서 성별 분업의 문제점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정에서의 성별 분업 특히, 돌봄과 가사의 주체라는 여성의 위치가 여성들이 ‘기대하는 일’과 ‘실제 할 수 있는 일’의 틈을 키움으로써 여성 노동의 딜레마가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돌봄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타협할 수밖에 없는 현재의 일에 머무는 20~30대 기혼여성들의 ‘현재 상황’과 ‘미래의 기대’ 사이의 간극에 주목하였다. 사례의 여성들이 말하는 일은 ‘현재 가능한 최선의 일’과 ‘미래에 기대하는 일’로 나누어진다. ‘현재 가능한 최선의 일’은 현실적 제약의 다양한 요건들로 인해 더 많은 분절의 형태를 보인다. 현재 그들에게 가능한 최선의 일은 육아 때문에 시간이 제한된 상황에서 선택한 시간제 생계형 일이지만, 자신들의 품위를 지킬 수 있는 일을 찾기 전까지 그 일은 ‘한시적인 일’에 머문다. 여성들이 말하는 미래에 기대하는 일은 일 자체를 ‘노후보장의 조건’으로 규정하거나, ‘멋진 엄마, 당당한 와이프’가 되고자 하는 꿈을 반영하고 있다. 즉 현실적으로 도달 불가능한 현재의 일이 미래에 기대하는 일로 투영되어 현재 상황과 다른 결을 보여준다. 이렇듯 여성들이 인식하는 일을 통해 돌봄은 현재하고 싶은 일을 못 하게 발목을 잡는 ‘덫’이 되기도 하지만, 만족스럽지 않은 현재의 일을 하는 자신을 정당화하는 기제인 ‘피난처’로 작동하기도 한다. 그래서 사례의 여성들은 돌봄 때문에 일을 못 하거나, 이 정도 일밖에 못 하지만 정규직의 만족할만한 일자리를 얻을 수 있다면 지금이라도 돌봄을 박차고 나갈 수 있다. 이런 양면성은 현재 경제활동참가율의 ‘M-커브(M-curve)’의 가장 하단에 분포하는 여성들의 ‘굴곡진 속마음’을 잘 보여준다. 그동안 기혼여성의 경력단절이나 불공정한 지위에 머무는 현상에 대한 사회 구조적인 분석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심층 면담을 통해서 기혼여성 특히, 비교적 젊은 세대인 20~30대가 가지고 있는 일에 대한 인식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결론에서는 연구 사례들을 바탕으로, 신자유주의 질서 속에서 여전히 지속하는 성별 분업의 불평등성을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사회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work of marrie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experiencing care problems.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improve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Among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hom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women are the subject of caring and housework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work of present’ and ‘the work of future’. Because of this, the dilemma of women’s labor continu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gap between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expectations’ of marrie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staying in their current jobs because they have to perform care. In the meantim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ocial structural analysis of the phenomenon of career interruption or unfair status of married women.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aling with the perceptions of married women, especially the relatively young 20s and 30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s it through in-depth interview cases. The work of women in this study case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work of present’ and ‘the work of future’. ‘The work of present’ is divided a lot because of the various requirements of practical constraints. Representatively ‘the work of present’ is a part-time livelihood job that is unavoidably chosen in a situation where time is limited because of care. ‘The work of future’, which women say, defines work itself as a “condition of retirement security”. Or, there is an expectation of becoming a “nice mother, a proud wife”. In this way, for the women in the case, work becomes a ‘trap’ that prevents them from doing what they want to do now because of caring, or becomes a ‘refuge’ representing the present work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is duality shows the ‘double inner mind’ of women who are distributed at the bottom of the ‘M-curve’ of the current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case, I present a practical social alternative to improve the inequality of the gender division of labor that still persists in the neoliberal order.

      • KCI등재

        그림자 노동의 (재)발견: 자본과 노동의 성적 분할과 계급 위계 - 식민지기 ‘남의집살이’ 여성의 노동을 중심으로

        소영현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7 아시아여성연구 Vol.56 No.2

        In this article, I have traced how the value of women’s labor is constructed and invisible - that is, how the hierarchy of capital, gender, and class surrounding women’s labors have operated a gender repositioning mechanism of capital and labor. I reviewed changes in perceptions of working women focusing from the mid-1920s, when the social activities of women began to be discussed as “occupations”, to the late 1930s,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der division of family and occupation became clear, in the utilization of the “good wife and wise mother” ideology. I deemed the housemaids, especially “Chosun Omom/Omoni” who has an in-between status in terms of capitalist and caste systems in the process of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profession. This confirms that a house-“wife/maid” exchanging mechanism has been working in the process of naturalizing gender division of labor, and that the hierarchical structure is concealed within women’s work. In terms of the question of the mechanism itself that creates the difference, and the division of labor and non-labor, this article shows how the issue of women’s labor has a fixed gender and class differentiation 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It is expected that the attempt of this study, to illuminates the reorganization of household labor, social reproduction, and the gendered arrangement of capital for women/labor, on a macroscopic level, will be re-ignited as a full-scale discussion surrounding the value of shadow labor. 본고에서는 여성노동의 가치가 어떻게 구축되고 비가시화되었는가, 즉 여성을 둘러싼 자본, 젠더, 계급의 위계화가 어떤 방식으로 자본과 노동의 성별 재배치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가를 추적해보았다. 우선 여성의 사회활동이 ‘직업’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1920년대 중반에서 현모양처론의 활용 속에서 가정과 직업의 성별 분업의 성격이 뚜렷해진 1930년대 중후반까지를 대상으로 직업여성에 대한 인식 변화를 검토했다. 노동의 성별 분업과 직업의 직분적 분할이 진행되는 과정을 남의집살이 여성들, 그 가운데에서도 특히 자본과 신분의 차원에서 끼인 위상을 갖는 ‘조선어멈/오모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노동의 성별 분업이 자연화되는 과정에는 주부/하녀의 교환 메커니즘이 작동하고 있으며, 거기에는 직업여성 내의 계급적 위계의 구조화가 은폐되어 있음을 확인했다. 노동과 비­노동의 차이와 분할을 만들어내는 메커니즘 작동 자체에 대한 질문이라는 점에서 여성노동에 대한 본고의 문제제기는 자본에 의한 근대적 세계 재편이 어떻게 젠더적, 계급적 차별화를 부르고 또 그 위계화를 고착화하는가로 압축된다. 가사노동의 재가치화, 사회적 재생산, 여성/노동에 대한 자본의 젠더적 배치가 직조된 면모를 거시적 차원에서 조명하는 본고의 시도가 그림자노동의 가치를 둘러싼 본격적인 논의로 재점화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