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오늘날의 성화 ―공동체적 성결

        장혜선 ( Heasun Chang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2 神學과 宣敎 Vol.64 No.-

        한국성결교회(KHC)는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한국에 세워진 교회다. 웨슬리의 성결운동과 19세기 미국 성결운동의 영향을 받은 한국성결교회는 성결을 핵심적인 교리로 삼고 성결체험을 강조하였다. 19세기 성결운동은 웨슬리보다 순간적 체험을 강조하며 성결을 성령세례로서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차이점은 이후로 성결신학은 두가지 흐름으로 구별된다. 존재적 성결은 성령세례로 인해 죄성이 제거되는 성결체험을 강조하며 관계적 성결은 하나님의 형상회복을 근거로 하나님 사랑과 이웃사랑과 윤리실천에 초첨을 맞춘다. 한국성결교회의 성결론은 원리상 두 가지를 다 포함하고 있으나 존재적 성결을 우선적으로 강조한다. 본 논문은 이런 두 가지 입장이 서로를 보완하며 통합되어야 하는데, 그것은 실천의 장인 공동체적 차원에서 가능함을 주장한다. 성결의 교리는 구원론적, 종말론적 차원을 갖지만 실제적인 체험과 성결한 삶이 펼쳐지는 곳은 교회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각 사람이 구원받고 거룩함에 이르기를 원하시며 또한 교회를 거룩하고 흠이 없는 신부로 준비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신다. 성결은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의 특징이다. 그간의 성결의 교리에 대한 논의가 개인의 체험에 관련한 것에 집중되었다면, 앞으로는 교회 공동체적인 성결추구가 더욱 요청된다. 필자는 이것을 공동체적 성결이라고 명명하며, 교회공동체로서 성결을 추구해야 함과 더불어 성결이 교회 공동체를 통해서 이루어짐을 강조하였다. 현시대 속에서 성결교회는 성결의 교리를 먼저 살아내어 성결공동체의 정체성을 드러내야 한다. 또한 교회가 마주한 시대적 문제들에 대해 성결공동체가 자신의 정체성에 맞는 기준과 태도를 갖춘다면, 성결의 빛을 드러내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현대 신학자 몰트만의 오늘날 성화에 대한 이해를 참조하였다. 또한 성결공동체로서 성결을 성취하고자 한 실제적인 사례로서 나사렛교회의 동성애 관련 대응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통찰과 실천을 길잡이 삼아 오늘날의 성화를 위한 방향키를 삼을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n Holiness Church (KHC) is a church established in Korea to preach the gospel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The Korean Holiness Church, influenced by Wesley’s holiness movement and the American holiness movement of the 19th century, took holiness as its core doctrine and emphasized the experience of holiness. The holiness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emphasized momentary experience more than Wesley and claimed that sanctification was possible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fter this difference, holiness theology is distinguished into two streams. Ontologic holiness emphasizes the experience of holiness in which the sinful nature is removed through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and Relational holiness focuses on loving God, loving neighbors, and practicing ethics based on the restoration of God’s image. The holiness theory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includes both in principle, but emphasizes ontologic holiness first. This thesis argues that these two positions should complement each other and be integrated, which is possible at the community level, the field of practice.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has soteriological and eschatological dimensions, but it is the church community where practical experience and holiness life unfold. God wants each person to be saved and reach holiness, and also says that the church must be prepared as a holy and blameless bride. Holiness is a characteristic of the body of Christ, the church. If the discussion on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past has focused on matters related to individual experiences, the pursuit of sanctification in the church community is more requested in the future. I named this communal sanctification and emphasized that sanctification must be pursued as a church community and that sanctific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the church community. In the present age, the Holiness Church must first live out the doctrine of holiness and reveal the identity of the holiness community. In addition, if the holiness community has standards and attitudes suitable for its own identity regarding the problems of the times that the church faces, it will be able to suggest a direction to reveal the light of holiness. For this purpose, modern theologian Moltmann’s understanding of sanctification today was referred to. Also, as a practical example of achieving holiness as a holiness community, the response of the Church of the Nazarene to homosexuality was examined. Using their insights and practices as a guide, we intend to use them as a direction key for today’s sanctification.

      • KCI등재

        선교적 관점에서 본 한국성결교회 기원에 대한 연구

        노윤식 한국선교신학회 2020 선교신학 Vol.59 No.-

        본 연구에서는 한국성결교회의 기원에 대하여 선교적 관점에서 현지 참여관찰과 원자료 분석 방법론을 통하여 한국성결교회가 동양선 교회에 그 기원을 둘 뿐만 아니라, 동양선교회의 창립자들을 동양에 선교사로 파송하고 선교 목적, 선교 교육, 선교 내용과 신학 그리고 선교 방법 등을 지원한 만국성결교회가 한국성결교회의 모체임을 증명 하고자 한다. 한국성결교회 창립의 과정에서 직접적인 역할을 한 단체는 카우만과 길보른 그리고 나까다가 세운 동양선교회(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동양선교회는 한국성결교회를 창립하고 그 이후 후원하는 과정에서 선교 목적, 선교 교육, 선교 내용과 신학 그리고 선교 방법 등에서 만국성결교회의 지원과 후원을 받았음이 원자료들을 통하여 밝혀졌다. 그러므로 한국성 결교회가 동양선교회의 협력으로 창립되고 유지 발전하였으나, 그 기원을 찾아 올라가 보면 미국의 만국성결교회로부터 비롯되었음이 증명되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prove not only that the Korean Holiness Church has its origin in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but also that the International Holiness Church is the mother of the Korean Holiness Church by using the method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analysis of original texts. The IHC had sent the founders of the OMS to the East and provided them with missionary goals, mission education, theology of mission, and methods of mission. The OMS that played a direct role in the process of founding the KHC cannot be denied as being established by Cowman, Kilbourne, and Nakada. However, it was revealed through the original sources that the OMS was supported by the IHC in theology and the methods of miss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supporting the KHC.

      • KCI등재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교회개척의 현황과 진단(2000-2015)에 관한 연구

        김남식(Namsik Kim)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1 No.-

        이 연구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개척 현황을 파악하고 성서적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이 연구 목적은 과연 기독교대한성결교회가 성서적인교회개척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향후 교회개척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함에 있어 성서적, 역사적, 실천적 연구를 바탕으로 하였다. 첫째, 성서적 측면의 연구에서는 초대교회의 특징과 바울의 개척론을 중심으로 성서적 교회개척의 기준을 제시했다. 특별히 현대한국교회의 교회개척에서 사람과 건물 중 어느 요소가 우선하는지의 화두와 관련하여 성서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역사적인 측면에서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 백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교회개척운동, 즉 ‘3천 교회 100만 성도’라는 교단적 운동의 현황을 점검하였다. 또한 앞서 제시된 성서적 기준에 의거하여 교단의 백주년 개척운동을 평가하였다. 동시에 유사한 교회개척운동을 펼쳤던 남침례교단(Southern Baptist Convention)의 교회 개척운동에 대한 평가를 함께 비교하였다. 셋째, 실천적 측면에서 미래 교회개척의 대안으로 서울신학대학교에 교회개척 석사과정을 설치하여 기존의 목회학 석사과정 학생들이 복수 전공을 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다. 또한 교회개척 인턴십 제도를 설치하여 신생과정에서 자립과정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로 개척된교회에서 인턴으로 사역함으로써 교회개척의 이론과 실제를 배울 수있도록 제안하였다. 더불어서 교회개척자로 부르심을 입은 평신도들을 위한 평신도 교회개척과정을 서울신대 평생교육원에 설치하여 신학적, 실천적 훈련을 실시하도록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y of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KEHC) from 2000 to 2015 in order to evaluate it in terms of biblical criteria of church planting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future strategies. This study approaches three aspects to reach conclusion such as biblical, historical, and practical. First, in the biblical perspective, the church planting strategies of the early church are investigated in order to reveal the biblical criteria of church planting. In the process, Paul’s strategical approaches of church planting also are discussed. Second, in historical aspect, the church planting movement of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KEHC is explored. KEHC has set the slogan:3000 churches, a million of KEHC’s member for the anniversary in 2007.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church planting movement before and after 2007. At the same time, this study compared the church planting movement of KEHC with Southern Baptist Convention of US. Third, for the practical aspect, this study makes three suggestions: establishing M.A of Church Planting at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Internship for Church Planting, and Continuous Education for Church Planting for the future church planting.

      • KCI등재

        일제 말기 성결교회의 수난과 교단 해산

        김승태(Kim Seung-Tae)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5 No.-

        성결교회의 수난과 교단 해산 사건은, 일제가 교회의 신념과 교리를 문제 삼아 교단을 해시킨 전형적인 종교 박해사건 가운데 하나이다. 1942년 6월 일본 본토에서 이 사건의 전조가 되었던 일본기독교단 제6부와 제9부에 소속된 성결교회 계통의 세 교파 교회의 지도자들을 교리를 문제 삼아 대거 검거, 처벌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식민지 한국에도 영향을 미쳐 총독부가 1943년 5월 하순경부터 성결교회 교역자들을 전국적으로 검거하여, 전국에서 교단 통리였던 이명직 목사를 비롯한 34명의 성결교 지도자들을 입건 취조하였다. 그리하여 총독부가 1943년 12월 교단 해산성명을 발표하게 하고, 당시 성결교회에 소속되어 있던 모든 교회를 해산하게 한 것은 성결교회의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라는 4중복음 가운데, 재림이 “근본적으로 국체의 본의”에 적합지 않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신사참배 거부와 함께 이러한 재림교리와 종말론 설교를 문제 삼은 일제의 탄압은 다른 교파 교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같은 성결교회의 지방 교회였던 강원도 금화성결교회 사건과 경북 군위성결교회 사건만 하더라도 주도자의 개별적 처벌에 그쳤지만, 일본에서의 동일 계열 탄압사건의 여파가 한국교회에까지 미쳤던 것이다. 총독부는 성결교회의 해산성명 발표와 동시에 그 날로 교단 소속 전국 190개 교회의 포교소 폐지계를 받아들이고, 성결교회유지재단에 속한 모든 재산을 적산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한편, 각 교회의 부동산 및 비품 일체까지 그들의 지시를 받아 잔무정리위원들이 처리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강압에 못이긴 것이라고는 하더라도 형식적으로라도 자발적인 해산을 하고, 더욱이 교단 해산은 교단 총회에서 결의해야 할 사항인데도 불구하고 불법적으로 교무회에서 결의하여, 각 교회에 일방적으로 교단 해산을 통고하는 한편, 잔무정리위원을 두어 일제 당국의 지시를 받아 교회 재산을 처분하여 일제에 바치도록 한 행위는 교단의 변질 못지않게 반성해 보아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The sufferings and dispersion of the Holiness Church in 1941-44 was a typical case of religious persecution, not caused by its certain activities, but by its certain belief system and doctrines. The Japanese Government arrested and punished the leaders of three denominations of the Holiness Church in Japan affiliated to the Japanese Christian Church in June, 1942. A similar persecution followed in the colonial Korea. The General-Governor Government in Korea arrested 34 leaders of the Holiness Church, including Rev. Yi Myong-Jik, in May, 1943, and forced them to issue a statement of the dispersion in December. The reason of the dispersion was that the Government thought that the doctrine of the Second Coming of Christ, one of the four-fold gospel of the denomination, did not suit "the real intention of the nation-state" fundamentally. Along with the refusal of the Shinto shrine worship, the doctrine of the Second Coming and the sermons on eschatology became the cause of the persecution of the other denominations as well as the Holiness denomin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rural areas, only some individual leaders of the local churches were arrested and persecuted. Overall the persecution of the Holiness Church in Japan proper affected the religious policy in the colony and the persecution of the denomination of the Holiness Church was repeated in Korea. When the General-Governor Government in Korea enforced the dissolution of the denomination, the leaders of the church decided its formal dispersion by voting at the committee of the church affairs, not at the general assembly, and notified the decision to each church without the lawful process. Moreover they donated the selling price of the church property to the colonial government. Thus the process of the dispersion of the Holiness Church revealed another case of collaboration with Japanese imperialism.

      • KCI등재후보

        일제 말 한국성결교회와 일본의 식민통치 ―‘저항’과 ‘복종’의 관점에서

        김성호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6 No.-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s of “resistance” and “obedience” used to understand the life of Dietrich Bonhoeffer by Bethge. “Resistance” and “obedience” was according to the will of God.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wed more aspects than “obedience” whose sole purposes were ministry, revival and evangelical preaching like the early days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They were actively resistant in most cases even though they were unfortunately passive at the moments when they should resist the issues against God's words and confession of faith. What tasks did their resistance and obedience leave for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here and now? The first task is to restore the passion for pure evangelical work that the Gospel Mission Hall sought after and also obedience, prayer, devotion, and service demonstrated by the members of the Evangelical Holiness Church during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The second task is to inherit the spirit of “resistance” of Kim Bok-hee and the children at the Ganggyeong Church that had to give up a comfortable life and endure expulsion before the issues of confession of faith and belief. The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uld inherit the spirit of nonviolent resistance like Kim Bok-hee and the children at the Ganggyeong Church and resist the era of mammonism and desire in the belief of holiness and purity even in attacks like Mammon's tsunami whose weapon is desire. And the third task is to perform obedience and resistance shown in the process of merger of the press and school and closure of churches at the end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in a way that is fit for the reality and timely. Today’s Christians need to have spiritual discernment about the types of obedience and resistance for what is happening to them and the phenomena taking plac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based on the Fourfold Gospel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As it was closer to the end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resisted the Japanese demands to keep their faith and church and eventually made the “lilies of the thornbush” blossom. The Korean Church of the 21st century and especially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face a historical task of “new resistance” and “new obedience” fit for the will of God based on the timely harmony of resistance and obedience at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t the end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under the Fourfold Gospel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Second Coming. 본 논문은 일제치하의 한국성결교회를, 베트게(Bethge)가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삶을 조명했던 ‘저항’과 ‘복종’의 관점을 빌려, 하나님의 뜻에 따른 ‘저항’(resistance)과 하나님의 뜻에 따른 ‘복종’(obedience)의 관점에서 조명했다. 한국성결교회는 일제치하 초기처럼 목회, 부흥, 복음전도만 목적으로 하는 ‘복종’ 일면도의 모습만 보이지 않았다. 하나님의 말씀과 신앙고백에 반하는 문제에 대해 저항해야 했던 순간에는 소극적이었던 아쉬운 면도 있지만, 대부분 적극적인 저항을 했다. 지금, 여기에서 일제치하 성결교회의 저항과 복종이 남긴 성결교회의 과제는 무엇인가? 첫째, 복음전도관이 지향했던 순수 복음전도를 향한 열정, 일제치하 선배 성결교인들이 보여주었던 복종과 기도, 헌신과 섬김을 회복해야 한다. 둘째, 신앙고백과 믿음의 문제 앞에서, 자신의 삶의 안락을 포기하고 퇴학을 감수해야 했던 김복희 선생과 강경교회 어린이들의 ‘저항’정신을 계승해야 한다. 욕망을 무기로 하는 맘몬의 쓰나미 같은 공격에도 성결교회는 김복희와 강경교회 어린이들처럼 비폭력 저항의 정신을 계승하고, 물질만능주의와 욕망의 시대에 맞서 성결의 믿음으로 저항해야 한다. 셋째, 일제 말 언론과 학교 통폐합 그리고 교회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보여주었던 복종과 저항을 현실적합하고 시의적절하게 수행해야 한다. 오늘 우리에게는 자신에게 발생하는 일과 한국사회에서 벌어지는 현상들에 대해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사중복음을 근거로 어떤 복종을 하고 어떤 저항을 해야 하는지 영적 분별이 요구된다. 일제 말로 가면서 한국성결교회는 분명 일제의 요구들에 대해 그때마다 믿음과 교회를 지켜내기 위한 저항을 하며 결국 ‘가시밭의 백합화’를 피워냈다. 일제 말에 진행되었던 한국성결교회의 저항과 복종의 어우러짐을,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라는 사중복음 아래 시의적절하게 조화를 이루며, 하나님의 뜻에 합당한 ‘새로운 저항’과 ‘새로운 복종’을 펼쳐나가는 것이 21세기의 한국교회, 특히 기독교대한성결교회에 부여된 역사적 과제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영국의 웨슬리 성화운동과 미국 A.B. Simpson의 사중복음 ― 성결교 신학의 토대: 연속성과 발전과정을 중심으로

        김영택 ( Young Taek Kim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2 No.-

        전도운동으로 1907년 시작된 한국의 성결교회(기성, 예성)는 한국 개신교의 3대 교단이라고 할 만큼 외적인 성장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성결교회의 신학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일은 외적인 성장을 따라잡지 못하였다. 여전히 성결교회 신학의 정체성에 관한 다양한 신학적 견해들이 경쟁하며 공존하고 있다. 기성과 예성의 대부분의 웨슬리 학자들은 웨슬리 신학이 성결교회의 신학의 기초임을 주장하는 데 반하여, 또 다른 학자들은 사중복음을 성결교 신학의 정체성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이 상호배타적이거나 대립적인 신학체계가 아니라 신학적으로 연속선상에 있으며 발전과정에 있다는 것이다. 웨슬리신학이 아니라면 사중복음이라는 방식의 either/or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양자택일의 방식으로 몰아가는 것은 웨슬리 신학과 사중복음에 대한 강한 역사적/신학적 편협성의 결과이다. 이러한 학자들의 간의 신학적 불일치에 의하여 현장의 목회자들과 신학생들은 성결교 신학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제 이러한 혼란을 불식시키고 무엇이 성결교회의 신학인가를 다음세대의 성결교회 지도자들에게 분명하게 밝혀 줄 시기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반응하기 위하여 한국 성결교회의 신학적이 기반이 되는 존 웨슬리의 성화론과 A. B. 심프슨의 사중복음을 연구하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한다. 즉, 성결교 신학의 정립을 위해서는 존 웨슬리의 성화론을 연구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아울러 A. B. Simpson 의 사중복음에 대한 연구 또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한국의 성결교회는 어느 날 갑자기 진공상태에서 탄생된 교단이 아니다. 기독교 역사의 큰 물줄기의 한 흐름 가운데서 시대적 요청에 의하여 필연적으로 생성된 교회라고 할 것이다. 기독교 역사의 물줄기에는 항상 “성화”에 대한 강조점이 있었다. 웨슬리는 이 성화교리를 강조하며 발전시켰으며 19세기 북미를 초교파적으로 휩쓴 성결운동의 신학적 토대가 되었다. 북미의 성결운동은 성결 교리를 중심으로 사중복음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사중복음이라는 용어를 신학적으로 정리하고 최초로 사용한 인물이 A. B. Simpson이다. 그리고 웨슬리의 심프슨의 성결운동은 한국 성결교회에 역사적/신학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이들의 신학적 특징 내지 공통점은 곧 성결교회 신학의 특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성결론을 중심으로 웨슬리의 구원론과 심프슨의 사중복음을 연속성과 공통점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작업은 한국 성결교회 신학의 정체성을 찾아 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신학적 작업이 될 것이다. Since its foundation in 1907, Korea Holiness Church (including Jesus Holiness and Christ Holiness) has experienced a significant outward growth in terms of its membership and the number of local churches. However, it has failed to build up its theological foundation and identity. As a result, there has been different theological views and diversities in the denomination. For this reason, the members of the church and the theological students of the theological seminaries which belong to the denomination have been confused for their theological identity. While Wesley scholars in the denomination argue that John Wesley`s theology is the theological foundation, other historical-theology scholars insist that the four-fold gospel (regeneration, sanctification, divine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of Christ) should be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denomination. Some argue that if Wesley`s theology is the foundation of denomination, there is no the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Methodist Church and the Holiness Church. They argue that, therefore, the four-fold gospel should be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denomination. However, there is one thing we should remember: John Wesley`s theology and the four-fold gospel are not mutually exclusive but complementary each other. In order to articulate a theological foundation for the Holiness church, Wesley`s theology, as well as, A.B. Simpson`s four-fold gospel should be studied. Korea Holiness Church has its significant root historically and theologically derived from John Wesley and A. B. Simpson. John Wesley`s doctrine of sanctification has deeply influenced on the 19th century holiness movement of North America. And the movement was the direct influence for the foundation of Korea Holiness Church. Therefore one should not neglect any of these two theological streams. With special reference to Wesley`s doctrine of sanctification and A.B. Simpson`s four-fold gospel, one should focus on their theological development and continuity rather than discontinuity.

      • 제 6 발표 : 한국 성결교회 전도부인의 활동과 복음전도 활성화에 관한 연구

        김경한,구병옥,조재국 한국실천신학회 2015 한국실천신학회 정기학술세미나 Vol.2015 No.05

        본 논문은 한국 성결교회에 소속된 전도부인의 양성 배경과 과정, 그들의 실태와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복음전도 활성화에 끼친 영향을 상세하게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하여 필자는 오늘날 한국 교회 가운데 적용될 수 있는 복음전도활성화의 제언들 을 찾아보려 하였다. 강력한 세속화의 영향아래 지속적으로 위축되어져 가는 한국교회 가운데, 온전한 복음을 전하며 직접전도 본위의 활발한 전도활동을 추구해갔던 한국성결교회 전도부 인의 활동을 복음전도 활성화의 모델로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 된 것은 한국성결교회 전도부인의 활동 중 가장 주된 활동이 직접전도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같은 직접전도활동은 성결교회 내에서 뿐 아니라 국내외 복음전도를 통하 여 하나님 나라를 확장하는데 있어서 커다란 역할을 감당하였다. 복음전도 활성화를 위한 제언은 전문적인 전도자로서 교육을 받은 전도부인의 삶 이 오늘날도 재현될 수 있기를 소망하는 마음에서 시작된 연구이다. 오늘날 특별히 재 현되어져야 할 전도부인의 삶의 특성들은 말씀 중심의 삶, 현장 중심의 전도, 지속적 인 기도와 삶의 간증 준비, 치열한 영적전투의 싸움, 지속적인 심방과 돌봄 등이다. 이 처럼 복음전도의 본질적 요소들을 몸소 체험하고 실현하는 삶이야말로 당시 한국성결 교회 전도부인의 삶이었다. 이름도 빛도 없이 활동하였던 전도부인의 삶을 오늘날 구체적으로 조명해보고자 했던 이유는 그들 안에 복음전도의 본질로 무장된 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부디 오늘날 한국교회의 복음전도에 관한 열정이 회복되어지기를 간절히 소망하며 전도학 적인 관점에서 조명한 ‘한국성결교회 전도부인’의 모습이 더욱 알려지고 훗날 더 깊이 재조명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한국성결교회 성장기(1965−1991)의 설교에 관한 연구

        정인교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2 神學과 宣敎 Vol.40 No.-

        ‘The growth period’(1965­1991)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KEHC) must be given a special meaning in the history of KEHC. This period carried the role of a turning point, which overcame the serious crisis of the disbandment of KEHC by the force of Japan(1943), the leadership vacuum by the kidnap of the leaders of KEHC to the North Korea in Korea War(1950) and the schism of KEHC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KEHC experienced a noteworthy development during this period, which provided it with the basis as one of the influential denominations in Korea. A study on the 265 sermons of this period putted in its denominational journal, “Living Water,” comes to the conclusions that the preachers, on the one hand, tried to keep the faithful and theological tradition of KEHC and to accept new trends of theology, on the other hand, to extend the theological tradition and to open the door to the society and history. KEHC preachers emphasized on the domestic mission, the mission to the North Korea and Asia,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for the contemporary nation and society. Moreover, we can find out that the preachers stressed on the positive thinking and the gospel of the blessing, which, at that time, were one of the popular preaching themes in Korea. Most of all, the best expression of the character of preaching of this period is ‘diversity,’ from old tradition to the new tendency, from the deductive to the inductive. So many homilies were printed all around the nation at this period, and KEHC was interested in preaching style and preaching education strongly so that it provided preachers with a variety of opportunities concerning preaching education. Generally, the growth period was the time not only in achieving developments in many aspects, but also in setting the tasks to solve the problems and to build the new future plan. 성결교회에서 ‘성장기’(1965­1991)는 일제에 의한 교단 해산, 6. 25전쟁시 지도자 납북으로 인한 리더십의 공백, 기성 예성으로의 교단 분리라는 최악의 위기를 딛고 새로운 역사를 향해 나아가는 전환기로서의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교단적으로 이 시기는 많은 발전을 이루었고 본격적인 교단으로서의 기틀을 공고히 했다. 교단 기관지인 「활천」에 실린 성장기 설교 265편을 분석한 결과 성결교회 성장기 설교는 성장기의 설교를 「활천」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 성결교회의 전통을 지키려는 강한 몸부림과 새로운 신학적 사조에 대한 포용적인 분위기가 감지되며 국내선교, 북한 선교, 아시아 선교 등 선교에 총력을 기울이는 움직임이 교단내에 팽배했고 시대와 민족, 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의 고양이 두드러졌다. 나아가 당시 한국 교회를 휩쓸던 긍정적 복음이나 축복의 복음에 대한 강조가 성결교회에도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이 시기의 설교를 특징짓는 가장 적합한 단어는 다양성이다. 여전히 성결교회의 전통적 가치인 개인의 성결, 체험적 신앙, 청교도적 윤리의 준수 등은 이 시기에도 가장 보편적인 설교의 주재였다. 그러면서도 이런 개인적 신앙차원 외에 교회의 공동체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경향도 눈에 띤다. 전통적으로 죄에 대한 지적이 설교의 주된 임무가운데 하나였다면 이 시기 들어서는 스트레스 같은 의학적 용어가 현대인의 중대한 문제로 지적되며 이의 해결을 설교에서 다룰 만큼 현대적 감각을 보여준다. 다양한 설교집의 출판, 교단 차원의 설교 및 설교교육에 대한 관심 등도 이전 세대와는 구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설교 형식은 연역적 설교라는 전통적방식이 여전히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성결교회 설교가 전반적으로 권위적임을 드러낸다. 하지만 일부 설교자들 사이에서는 귀납적 설교, 이야기식 설교가 시도되기도 하였다. 전체적으로 성장기는 성결교회에서 많은 것을 이룬 시기이자 동시에 많은 숙제를 안겨준 시기였다. 이 시기의 설교는 교회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는 자긍심과 더불어 전통의 고수와 열린 신앙이라는 변화의 공존이 엿보인다. 나아가 이 시기의 설교는 미래를 향한 발전의 초석을 놓았다는 조심스런 평가가 가능하리라 본다.

      • KCI등재

        1974-1989년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성장과 그 요인들 – 교단, 동양선교회, 『활천』

        윤은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rowth period of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KEHC) from 1974 to 1989. During this period, the KEHC showed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churches and members. The number of believers exceeded 570,000 in 1989 from 180,000 in 1974, and the number of churches increased from 740 to 1,549 during the same period. The number of believers increased more than three times and the number of churches more than doubled. Therefore, this study historically analyzes the factors of this growth. There are three main topics to be dealt with in this study. First, the growth of the church at the time was a denominational plan. During that period, the denomination presented growth goals and methods and improved the system. The second was the support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OMS). The OMS, the parent of the KEHC, has been an important supporter of the growth period of the KEHC. Finally, the types of planting church were analyzed. This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monthly journal of KEHC, the Living Waters. In conclusion, the growth of the KEHC took plac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EHC with the active cooperation of the Oriental Missionary Society and the cooperation of numerous individuals and chu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1974년부터 1989년까지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성장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기간 기독교대한성결교회는 교회 수와 신도 수에서 급격한 성장을 보여주었다. 1974년 18만 명 정도였던 신자 수는 1989년에 57만 명을 넘어 섰고, 같은 기간 교회 수는 740개에서 1,549개로 증가하였다. 신자 수는 3배 이상, 교회 수는 2배 이상 성장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성장의 요인이 무엇 인지 역사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다룰 주제는 크게 셋이다. 먼저 당시 교회의 성장은 교단 차원의 계획이었다는 것이다. 해당 기간 동안 교단은 성장 목표와 방법을 제시하였고, 제도를 개선하였다. 두 번째로 동양선교회의 지원이었다. 한국성결교회의 모체인 동양선교회는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성장기에 중요한 후원자가 되어주었다. 마지막 으로 교회 개척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것은 교단의 기관지인 『활천』 분석으로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성장은 교단 주도하에 동양선교회의 적극적인 협조와 수많은 개인과 교회의 협조 속에 이루어졌다.

      • KCI등재후보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과 사중복음의 대화 —중생과 성결을 중심으로

        김성호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9 神學과 宣敎 Vol.57 No.-

        This paper pres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church by Dietrich Bonhoeffer(1906‐1945) and his conversation with the discourse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For this, the study sorted out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dogmatics in the Wesleyan Fourfold Gospel, proposed an ecclesiological viewpoint to understand regeneration around Bonhoeffer's Sanctorum Communio, developed a new doctrine of sanctification by building some grounds to understand sanctification spread around The Cost of Discipleship, and presented it as a timely doctrine of sanctification. At the current point of the 21st century,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uld develop its discourse of sanctification into an ecclesiological doctrine of sanctification.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with too much emphasis only on the Baptism of the Spirit(2:1‐4) tends to characterize a sanctification discourse only based on whether there is a baptism of the spirit or not. It has thus restricted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form displayed by the church in the Acts of Apostles(2:43‐47). The Church and the Korean Church should discuss the responsibility as an answer to life in relations with others granted to the disciples living with “Christ existing as Church‐community” re‐established through the regenerated disciples or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church, as well as the sanctification of extraordinariness, hidden character, and simplicity. They also need to build practical discourses of “costly Holiness” against the backdrop of “ecclesiological doctrine of sanctification” discussed in the viewpoint of “poverty” and “renunciation.”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의 교회 이해와 ‘중생’과 ‘성결’에 관한 담론과의 대화이다. 이를 위해 웨슬리안 사중복음 교의학의 이해에 따른 중생과 성결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정리하고, 본회퍼의 성도에 교제 의 내용을 중심으로 중생을 이해하는 교회론적 시각을 제시한 후, 나를 따르라 의 내용을 중심으로 확장된 성결 이해를 위한 근거 마련을 통한 새로운 성결론을 전개하고, 이를 하나의 시의적절한 성결론으로 제안했다. 21세기 현 시점에서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성결담론은, 교회론적 성결론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성령세례(행 2:1‐4)만 지나치게 강조하는 성결론은 성령세례의 유무로 성결 담론을 특징지어버려 더 이상의 사도행전(행 2:43‐47) 교회가 보여주었던 형태의 성결담론을 제한시켜 왔다고 여겨진다. 교회와 한국교회는 중생된 제자들, 즉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통해 재정립된 ‘공동체로 탈존하는 그리스도’(Christ existing as Church‐community)와 함께 살아가는 교회된 제자들에게 부여되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삶의 응답으로서의 책임, 그리고 비범성, 은밀성, 단순함의 성결을 논의하고, ‘가난’과 ‘포기’의 관점에서 논의되는 ‘교회론적 성결론’을 배경으로 하는 ‘값비싼 성결’의 실천적 담론들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