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건강 간호 장애의 개념분석

        한정원(Jeong-Won Han)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2

        본 연구는 성건강 간호 장애의 개념을 정립하고 정의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은 혼종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은 4명의 대상자와 성건강 간호 장애와 관련된 문헌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 성건강 간호 장애는 5개의 차원과 6개의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성건강 간호 장애의 정의는 성건강 간호요구와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하고 있으나, 성과 관련한 접근의 어려움, 편견, 고정관념,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성관련 지식부족으로 대상자들에게 전문적인 성건강 교육 및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성건강 간호 장애를 줄이기 위한 전략수립을 위하여 성건강 간호장애를 평가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성건강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성건강 간호 장애를 줄이기 위한 선행 과제로 성건강 간호 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성건강 간호 장애를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and clarify the concept of barriers to sexual health nursing care. A hybrid model was used to perform a concept of barriers to sexual health nursing care. To accomplish this, we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4 participants as well as from available literature regarding. We categorized barriers to sexual health nursing care were identified to have five dimensions and six attributes. The definition of barriers to sexual health nursing care recognizes the need and necessity of sexual health nursing care, but due to difficulty in accessing sex, prejudice, stereotypes,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lack of knowledge related to sex, the subjects are provided with professional sexual health nursing education and it is found that the service was not provided. This study is a basic data for evaluating barriers to sexual health nursing care as a prerequisite for reducing barriers to sexual health nursing care experienced by nurses to provide sexual health nursing care. Besides, the results may serve as a basis for proposing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o reduce barriers to sexual health nursing care.

      • KCI등재

        노년기 성 건강과 행태특성에 관한 질적 연구

        유지혜,강창현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노인들의 성 건강과 성 건강 행태에 관한 질적 연구이다. 성 건강을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사회적 성 건강으로 분류하여 성 건강 인식을 파악하였다. 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행태특성은 삶의 만족도, 성적친밀감, 소통유형, 결혼 만족도, 배우자 만족도로 나타났다. 분석의 결과 배우자와의 관계와 성적친밀감, 소통방식의 행태특성이 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성공적 노화는 행복감에서 시작하므로 성 건강은 노후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 건강과 행태특성을 반영한 성 건강 교육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xual health and sexual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Sexual health was classified into mental,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sex health, and gender health awareness was identifie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sexual health were life satisfaction, sexual intimacy, communication type, marriage satisfaction, and spous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lationship with the spouse, sexual intimacy,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methods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sexual health. Successful aging begins with happiness, so sexual health is a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of old age. It is suggested that follow-up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sex health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ex health and behavior shown in this study are needed.

      • KCI등재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 개념과 정책제언

        장필화(Pilwha Chang),이명선(Myoung Sun Lee),노지은(Jieun Roh),김성애(Sung Yae Kim)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7 여성학논집 Vol.34 No.1

        본 연구는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을 지난 20여 년간 국제사회가 합의해온 여성의 인권과 발전, 여성 임파워먼트와 성평등에 기여하는 데 주요한 개념으로 가져오면서, 이러한 성재생산건강권을 보편적으로 보장하고 증진할 수 있도록 정부 정책이 포괄적인 전략을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하에 한국의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 관련 정책을 분석 하고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 조사 연구를 바탕으로 크게 세 가지 연구 내용으로 구성된다. 첫째,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의 필요성과 개념을 이 해하기 위하여 국제사회에서의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 논의에서 나온 주요 쟁점들 을 살펴보았다. 둘째, 「제4차 여성정책기본계획」(2013-2017), 「제5차 청소년정책기본계 획」(2013-2017),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2020) 등 국내 여성/청소년/건강 관련 주요 기본 계획에 나타난 여성청소년 성재생산건강권 관련 정책 방향과 주요 정책 내용 분석을 통해 그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여성청소년의 개인적, 사회적 인권으로서 건강권 및 성평등한 사회를 위한 보편적 접근권으로서 성재생산건강권을 위한 정책 제언으로 여성/청소년/건강으로 각 분리된 정책을 아우르는 여성청소년 성재생산 건강권을 명시하는 정책 관점 및 정책 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government policies connected to th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SRHR) of Korean adolescent girls and seeks new policy alternatives for the future. The study argues that government policies should provide a comprehensive strategy for universally guaranteeing and promoting SRHR for women and girls that have contributed over the past two decades to women s rights, development, empowerment and gender equality with full sup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study wa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consists of three main section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SRHR for adolescent girls and how they are conceptualized, an overview is given of the major arguments appearing in discussions that have taken place in global society. Seco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women,youth and health policy focusing on adolescent girls were analyzed through an analysis of policy directions appearing in basic governmental plans including the 4th Basic Plan for Women s Policy(2013-2017), the 5th Youth Political Action Plan(2013-2017) and the 3rd Health Plan 2020(2011-2020). Third, the study demonstrates the need for policy perspectives and new concept specifying SRHR policy for adolescent girls and encompassing separate policies for gender/youth/health. This will promotes the values of health rights and gender equality as individual and social rights as well as universal access to human rights.

      • KCI등재

        WHO 성 건강에 근거한 노인 성 건강 특성과 영향요인

        유지혜,강창현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each area by considering the gender health of the elderly as the integration of mental,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gender health based on the WHO gender health. The sexual health of the elderly is significantly different by gender, academic background, and region, and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mental, physical, emotional sexual health and social sexual health. The mental, physical and emotional sexual health of the elderly in urban areas, those with high education and male is high, but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s, those with low education, and female are high in social sexual health. The factors affecting sexual health are as follows. Ment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atisfaction of sexual life and sexual knowledge. Physic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life and spouse satisfaction, and emotional sexual health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sexual relationship, spouse satisfaction, sexual life satisfaction and sexual knowledge. Social sexual health has a negative (-) effect on spouse satisfaction and sexual relationships. Integrated sexual health in old age can affect subjective health and quality of life, leading to successful aging. Sexual health education is needed to form a safe and healthy sexual lif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ex’ that appears as a cumulative trajectory of life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accurate sexual health awareness and sex education that encompasses all generations. Therefore, in the composition of sex health educ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components that can enhance the sensitivity of adulthood to strengthen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of spouse. 본 연구는 WHO 성 건강에 근거하여 노인들의 성 건강을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사회적 성 건강의 통합으로 보고, 영역별 특성과 영향요인의 파악에 목적이 있다. 노인들의 성 건강은 성별, 학력별, 지역별 차이가 크고,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과 사회적 성 건강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도시지역, 고학력, 남성 노인들은 정신적,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농촌 지역, 저학력, 여성 노인들은 사회적 성 건강이 높게 나타난다. 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정신적 성 건강은 성생활 만족도와 성 지식에서, 신체적 성 건강은 삶의 만족도와 배우자 만족도에서, 감정적 성 건강은 이성 교제, 배우자 만족도, 성생활 만족도, 성 지식에서 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 건강은 배우자 만족도와 이성 교제에서 음(-)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노년의 통합적 성 건강은 주관적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쳐 성공적 노화로 이어질 수 있다. 안전하고 건강한 성생활과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성 건강교육이 필요하다. 누적된 삶의 궤적으로 나타나는 ‘성’은 모든 세대를 아우르는 올바른 성 건강 인식과 성교육이 수반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성 건강 교육프로그램 구성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강화하는 성인지 감수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요소를 반영함이 필요하다.

      • KCI등재

        노인 성 건강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천안시를 중심으로

        유지혜(JiHye, Ryu),강창현(ChangHyun, Ka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9 OUGHTOPIA Vol.34 No.2

        본 연구는 천안시 거주 노인들의 성 건강유형을 파악하고, 성 건강 유형의 특성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대상은 천안시 노인복지관과 경로당 이용 노인 405명에게 일대일 대면 설문조사로 진행하였다. 이 중 성 활동과 성 태도의 유형별 성 건강 연구 대상자 256명을 분석하였다. 면담 대상자의 10명에 대한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통계적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적극적 성 활동 긍정적 성 태도를 보이는 노인들의 성 건강이 높다. 둘째, 성 건강은 유 배우자, 남성, 고 학력, 저위 연령층에서 높고, 고혈압, 당뇨의 질병은 성 건강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셋째, 성 건강 높음 유형은 성 문제를 낮게 인식하고, 성 지식이 높으며, 성 욕구와 대처에서 적극적이고 이성 교제와 성 교육의 필요성에 긍정적이다. 넷째, 성 건강 낮음 유형은 성 문제를 높게 인식하고, 성 지식과 성 욕구가 낮으며, 성적 욕구를 억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 건강 유형과 그 특성을 파악하여, 성 건강을 높일 수 있는 차별화된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sexual health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an City an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one-on-one survey of 405 senior citizens from senior welfare centers and senior centers in Cheonan City. Among them, 256 people were analyzed for sexual health study by types of sexual activities and sexual attitudes.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supplemen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0 people among the interviewed. First of all, the sexual health of the elderly who have active sexual activities and positive sexual attitudes is high. Second, sexual health is high among one with the spouse, male, the highly educated and the low-aged, and the diseases, like high blood pressure and diabetes do not affect sexual health significantly. Third, type with high sexual health not only has high subjective health awareness, but is active in sexual desire and response, and positive for the need for romantic relationships and sex education. Fourth, the type with low sexual health is highly aware of sexual issues, has low sex knowledge and sexual desire, and tends to repress sexual desire. Thus, in this study, we propose a differentiated sex education program that can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exual health type and improve sexual health.

      • KCI등재

        한국 성소수자 건강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이혜민(Hye Min Lee),박주영(Joo Young Park),김승섭(Seung-Sup K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6

        본 연구는 한국에서 진행된 성소수자 건강에 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필요한 연구들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3년 12월 31일까지 출판된 성소수자의 건강 관련 연구들을 검색하였다. 검색엔진으로는 국외 웹 데이터베이스인 Medline, Embase와 국내 웹 데이터베이스인 Koreamed, RISS를 사용하였다. 검색어는 성소수자를 가리키는 모든 용어를 포함하고자 했으며, 검색결과 총 2,131편의 논문이 검색되었다. 그 중 다음의 4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논문은 총 123편이었다: (1)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2) 건강 관련 변수 또는 결과를 가지고 있는 연구, (3) 성소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한 연구, (4) 한국에서 진행된 연구. 이 논문들은 임상적 연구 98편과 사회적 건강 연구 25편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이 논문들의 인용문헌을 검토했을 때 기존의 검색어로 찾을 수 없었던 임상적 연구 3편, 사회적 건강 연구 2편을 추가하여 총 128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101편의 임상적 연구는 3가지 유형, 즉 사례보고(58편), 임상검사(22편), 그리고 임상수술(21편)으로 나뉘었다. 임상적 연구는 1980~1990년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이후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인구집단 별로는 간성(Intersex)에 대한 연구가 74편(73.3%)으로 가장 많았고, 트랜스젠더 연구가 22편(21.8%)으로 뒤를 이었다. 27편의 사회적 건강 연구는 주제별로 13편이 정신건강, 4편이 성적행동, 2편이 폭력피해에 관한 연구였으며, 기타 주제의 논문이 8편이었다. 13편의 정신건강 연구 중 9편은 성소수자 정체성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고 있었다. 27편의 사회적 건강에 대한 연구 중 26편(96.3%)이 2000년 이후에 출판되었고, 24편(88.9%)이 남성 동성애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편(74.1%)이 양적 연구였다. 한국 성소수자의 건강 연구 128편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결과에 비추어볼 때, 기존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임상적 연구의 경우 트랜스젠더의 성전환 수술이나 간성의 사례보고에, 사회적 건강 연구의 경우 동성애자 정체성과 관련한 스트레스에 제한적으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으며, 만성질환을 비롯한 다른 건강결과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둘째, 성소수자의 규모와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연구가 부재했다. 셋째, 성소수자들의 의료접근성, 즉 의료보장과 관련된 정책적 연구나 의료서비스를 받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차별에 대한 연구가 없었다. 넷째, 성소수자들이 겪을 수 있는 차별, 낙인 등의 부정적인 사회경험이 건강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Background Despite a growing global concern about health conditions of lesbian, gay, bisexual, and transgender, questioning, and intersex (LGBTQI) populations, the topic has not been systematically discussed in South Korea. Methods This research sought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public health studies on LGBTQI populations in South Korea which have been published until 2013. Online academic databases in English (Medline and Embase) and in Korean (Koreamed and RISS) were used to find those articles by applying a variety of keywords including all possible terms indicating LGBTQI population. We identified relevant article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inclusion criteria: (1) human subjects, (2) health related researches, (3) LGBTQI population as study participants, and (4) studies from South Korea. Results Among 2,131 articles from the online databases, 123 met the four inclusion criteria. After examining the references of the 123 articles, we added 5 more articles. We analyzed 101 clinical studies and 27 social health studies (non-clinical research) in total. Clinical researches include case reports (N=58, 57.4%), clinical test (N=22, 21.8%), and surgery (N=21, 20.8%). The majority of clinical articles were about intersex (N=74, 73.3%) and transgender (N=22, 21.8%). Among the 27 social health studies, 13 were about mental health, 4 about sexual behaviors such as condom use, 2 about experience of violence, and 8 about other topics. Most of social health studies (N=25, 92.6%) were about gay and lesbia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dentified several critical knowledge gaps of the previous health studies among LGBTQI population in South Korea. First, only a few health conditions have been explored in the previous research. Most of clinical studies were about case reports of intersex or sex reassignment surgeries for transgender people, whereas social health studies mainly focused on the stress related to homosexual identity. Few articles dealt with other relevant health conditions such as chronic diseases among LGBTQI populations. Second, no national-level survey on LGBTQI populations has been conducted in South Korea, which makes it difficult to have a comprehensive picture of their health status. Third, we could not find any previous research about healthcare accessibility of the LGBTQI populations. Finally, few researches were found related to the health impact of negative social experiences (e.g. discrimination and stigmatization) among LGBTQI populations in South Korea.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구윤정,홍선연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2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229부로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Jeon(2004)의 성지식, Ho(2009)의 성태도, Jo(2014)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여학생의 성지식이 높았으며, 생식건강증진행위 교육은 저학년이 적절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지식이 높을수록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높아 생식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이 여전히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식건강을 위한 상담과 교육에 활용할 생식건강증진행위의 교육자료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tools utilized were sexual knowledge measurement tool by Jeon(2004), sexual attitudes measurement tool by Ho(2009),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asurement tool by Jo(2014). A total of 300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and 229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post 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IBM SPSS Statistics 21.0. Fe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sexual knowledge, and it was evident that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education is appropriate during lower academic years. Additionally, the indication that higher sexual knowledge corresponds to highe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suggests the ongoing necessity for sexual education to enhanc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coul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nursing college students' reproductive health.

      • KCI등재

        간호사의 암환자 성건강 간호에 대한 태도와 수행

        정연선,박정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22 No.2

        연구배경: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암환자 성건강간호에 대한 태도와 수행을 파악하여 간호사의 성건강 간호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11월 7일부터 10일까지 강원도 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암환자 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52명을 대상으로 성건강 간호 태도와 수행 도구(SHCS-A, SHCS-P) 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간호사의 암환자 성건강 간호에 대한 태도는 51점만점에 평균 26.59±6.80점이었으며, 암환자 성건강 간호에대한 수행은 21점 만점에 평균 2.63±3.23점으로 21개 항목중 2-3개 정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환자 성건강 간호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단 3명(2.0%)이었으며, 성건강 상담 공간의 부족과 상담시간 부족을 호소하였다. 성건강 간호 수행은 40세 이상의 군과 혈액종양병동에 근무한 대상자에서 높았으며, 대상자의 성건강 간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0.33, 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를 위한 암환자 성건강 간호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며, 시뮬레이션이나 가상현실교육 등의 다양한 교육 방법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노년의 성과 사랑을 위한 성 건강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

        유지혜 한국미래교육학회 2024 미래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에서는 노년의 성과 사랑을 이해하는 성 건강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성 건강의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 과정을 파악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은 WHO 성 건강 프로그램 가이드와 PLISSIT 모델을 참조하였고,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성 건강 영향 요인을 반영하여 구성하였다. 사전 조사를 통한 욕구 분석으로 감정수용, 정보제공, 지지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개입 이후 스킨십과 성관계 빈도가 높아졌고, 성적친밀감과 욕구 표현 및 배우자 이해의 감정적 성 건강이 향상되었다. 여성 노인의 신체적, 감정적 성 건강과 성 지식 향상이 두드러졌다. 성교육을 통한 성 담론 형성이 남성 노인에게는 생활의 즐거움으로, 여성 노인에게는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성 지식 습득의 만족감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성인식은 폐쇄적이고 억압적이며, 성별, 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가 컸다. 노년기 성 건강을 위해서는 성적친밀감 형성과 소통을 통한 사랑의 이해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향후 지속적인 성 건강 교육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진단 도구와 욕구 대응 및 효과성 제고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이 보완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성 건강 교육의 대상과 프로그램 다양성을 위해 다학제간의 참여와 환류를 통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is study applied a sexual health program to understand sexuality and love in old age to identify the proces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sexual health. The program structure was based on the WHO Sexual Health Program Guide and the PLISSIT model, and reflected the sexual health influencing factors found in previous studies. A pre-survey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 participants into emotional acceptance, information, and support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the frequency of touching and sexual intercourse increased, and the emotional sexual health of sexual intimacy, desire expression, and spousal understanding improved. Improvements in physical and emotional sexual health and sexual knowledge were more pronounced among female older adults. The formation of sexual discourse through sexuality education was expressed as enjoyment of life for male older adults and satisfaction with spousal understanding and sexual knowledge for female older adults. Older adults' coming-of-age rituals were closed and repressive,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nd spousal status. Forming sexual intimacy and understanding love through communication were important for sexual health in later life.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diagnostic tools and evaluation tools to assess need and effectiveness remains a challenge for continued sexual health education. We recommend further research with multidisciplinary participation and feedback to diversify sexual health education targets and programs.

      • KCI등재

        남녀 노인의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결과

        김기영,박희봉 단국대학교 융합사회연구소 2023 공공정책과 국정관리 Vol.16 No.4

        This study analyzes how different the factors affecting sex life according to the elderly men and women, considering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ex life.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exual life of the elderly are examined. The effect of basic demographic differences such as age,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 sexual life of the elderly wa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Third, how the sexual life of the elderly affects the lives of the elderly was examined. We investigated whether sexual life will affect relationships with family, friends, neighbors, etc., and how much improvement in these relationships will affect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n than women.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more active sex life and the more frequent sex life. Howev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pouse did not affect sexual life, unlike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sex life of the elderly had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elf-confidence, life satisfaction, social activitie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ong with income. The older males feel higher in physical health, have high self-confidence, and are engaged in many social activities than female seniors. In addition, while active sex life positively affects most daily life such as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confidence, life satisfaction, social activity, family relationship, neighbor relationship, friend relationship, and relative relationship, the number of sexual activities in the elderly male, the number of sex lives doesn't affect the old men’s life. On the other hand, female seniors have relatively active friendships and relatives compared to male seniors. In the elderly women, the influence of active sex life is lower the elderly men. Also, unlike the male elderly, the number of sexual lives has a positive effect on many daily lives such as mental health, self-confidence, neighbors, and relatives. This results show that sex life has a very important effect on improving daily life and human relationships for both men and wome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ctive sex life had a stronger influence than any other variable for the elderly mal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성생활에 있어서 남녀 간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기존 연구를 점검한 후 실제로 남녀 노인의 성생활 영향요인 및 성생활 효과가 얼마나 다르게 나타날지를 살펴보고, 그 원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분석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적극적 성생활을 성생활 횟수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배우자 유무는 기존 연구와 달리 성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남녀 노인의 성생활은 소득과 함께 육체적· 정신적 건강, 자신감, 삶의 만족, 사회활동, 인간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상생활에 있어서 남성 노인은 여성 노인보다 육체적 건강을 높게 느끼고 있으며, 자신감이 높고 사회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남성 노인은 적극적인 성생활이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자신감, 삶의 만족, 사회활동, 가족관계, 이웃관계, 친구관계, 친척관계 등 대부분의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생활 횟수는 일상생활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이와 달리 여성 노인은 남성 노인에 비해 친구관계와 친척관계가 상대적으로 활발하다. 그리고 여성 노인은 적극적인 성생활이 육체 건강, 자신감, 삶의 만족, 사회활동, 가족관계 이웃관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적극적 성생활이 소득에 비해 일상생활에 낮은 영향을 나타냈으며, 남성 노인에 비해 적극적 성생활의 영향력이 낮았다. 여성 노인은 남성 노인과 달리 성생활 횟수가 정신적 건강, 자신감, 이웃관계, 친척관계 등 다수의 일상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남녀 노인 모두 육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자신감, 삶의 만족, 사회활동 등 일상생활과 가족, 이웃, 친구, 친척 등 인간관계를 높이는데 성생활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남성 노인에게는 적극적인 성생활이 대부분의 일상생활이 다른 어떤 변수보다도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 관련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젊은이와 같이 성생활을 매우 중요한 고려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