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계곡 낙석 원인조사 및 대책방안

        조용성(Yong-Sung Cho)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2

        설악산국립공원은의 총면적 398.5 km2로 인제군과 고성군, 양양군과 속초시에 걸쳐 있는데 인제 방면의 내설악, 오색 방면의 남설악, 그리고 속초시와 양양군 및 고성군으로 이루어진 동쪽은 외설악이라고 부른다. 설악산은 주봉인 대청봉을 비롯하여 화채봉, 한계령, 마등령 등 30여개의 높은 산봉우리가 웅장하게 펼쳐져있다. 외설악의 비선대에서 대청봉에 오르는 계곡은 마치 천개의 불상이 꽉 들어차 있는 듯한 모습 때문에 천불동계곡이라 부른다. 계곡을 따라 급애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비선대 등 설악산의 대표명소가 많은 곳이다. 본 연구는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계곡 병풍교에서 발생된 낙석에 대한 현장조사 내용을 바탕으로 낙석에 대한 대책방안 등을 서술하였다. The total area of Seoraksan National Park is 398.5 km2 and it is divided among the areas of Inje-gun, Yangyang-gun, and Sokcho-si. Naeseorak(lnner) is in lnje, Namseorak(South) is the area from Hangyeryeong(Ridge) to Osaek, and Oeseorak(Outer) lines in the eastern area across Sokcho-si. Yangyang-gun, and Goseong-gun. Including its main peak, Daecheongbong, Seoraksan has a total of 30 imposing peaks spread across its territory such as Hwachaebong, Hangyeryeong, and Madeungryeong. Naeseorak(linner) got its nam from the fact that many rocks shaped likea thousand of Buddhas are formed in the valley from Biseondae(Cliff) to Daecheongbong(Peak). Along with the valley, there are lots of cliff and representative places such as Biseondae(Cliff), and so on.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nalysis for behavior of rockfall movement that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in the Cheonbulong valley Seoraksan National Park and it is effective measures that rockfall movement would be possible based on the monitoring and scientific survey results.

      • KCI등재후보

        지역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한 설악산국립공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권헌교(Heon-Gyo Kwon),한상열(Sang-Yoel Han)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본 연구는 산업연관모델을 이용하여 설악산국립공원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국립공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이해 증진과 자연 보전 정책의 정당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설악산국립공원 인근지역 파급효과는 생산파급 685억원, 소득파급 163억원, 부가가치파급 374억원, 고용파급 1,219명, 도내 파급효과는 생산파급 1,218억원, 소득파급 418억원, 부가가치 1,015억원, 고용파급 3,707명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regional input-output (I-O) model and present the justification of nature conservation policy, better understanding role and function of National Park. The regional I-O analysis indicate that visitors’ total expenditur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neighborhood generated output impact of 68.5 billion Won, income impact of 16.3 billion Won, value-added impact of 37.4 billion Won, and employment impact of 1,219 full-time jobs. In Gangwon province generated output impact of 121.8 billion Won, income impact of 41.8 billion Won, value-added impact of 101.5 billion Won, and employment impact of 3,707 full-time jobs.

      • KCI등재후보

        설악산국립공원 서북주능선 일대의 관속식물상에 관한 연구

        박기현(Ki-Hyun Park),손장익(Son Jang Ik),권재환(Gwon Jae Hwan) 국립공원연구원 2011 국립공원연구지 Vol.2 No.1

        설악산국립공원의 주 능선인 서북주능선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40목, 101과, 345속, 517종, 1아종, 79변종, 8품종으로 총 60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중 가장 많은 식물이 H(Hemicryptothytes)이며 160분류군으로 약 27%의 비율로 나타났고 G(Geophyte)가 147분류군, 24%, 그리고 Th(Therophytes)가 83분류군, 14%, N(Nanophanerophytes)이 68분류군, 11%, MM(Megaphanerophytes)이 57분류군, 9%, M(Microphanerophytes)이 48분류군, 8%, Ch(Chamaephytes)가 26분류군, 4%, HH(Hydatophytes)가 10분류군, 2%, 마지막으로 E(Epiphyten)가 6분류군으로 1%의 점유율을 나타내었다.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은 기생꽃(Trientalis europaea L.), 산작약(Paeonia obovata Max.), 솔나리(Lilium cernum Kom.), 자주솜대(Smilacina bicolor Nakai), 털개불알꽃(Cypripedium guttatum var. koreanum Nakai), 홍월귤(Arctous ruber (Rehder et Wils.) Nakai)등 6종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특산종이 41종, 특산변종이 7종, 특산품종이 1종으로 발견되어 총 49분류군(8.09%)의 특산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급이 설악눈주목을 비롯한 24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IV급은 개석송을 포함한 14분류군, 그리고 III급은 분비나무를 비롯한 25분류군, II급은 다람쥐꼬리를 비롯한 37분류군, I급은 속새를 포함한 36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총 136분류군으로 나타났으며 서북주능선 총 출현종인 605분류군 대비 22.47%의 출현율을 나타내었다. Vascular Plants around the Seobuk-Ridgeline of Seoraksan National Park are investigated to be total 605 taxa including 40 orders, 101 families, 345 genera, 517 species, 1 subspecies, 79 varieties, and 8 formas. The plant of those which took up the most was H (Hemicryptothytes) which had 160 taxa and occupied about 27%. And G (Geophytes) had 147 taxa and took up 24%, Th (Therophytes) showed 83 taxa and occupied 14%, N (Nanophanerophytes) had 68 taxa and took up 11%, MM (Megaphanerophytes) had 57 taxa and occupied 9%, and M (Microphanerophytes) had 48 taxa and took up 8%. Ch (Chamaephytes) had 26 taxa and took up 4%, HH (Hydatophytes) had 10 taxa and occupied 2%, and lastly E (Epiphyten) had 6 taxa and took up 1%. As the Preservation species class II of protected species, this study found 6 species: Trientalis europaea L., Paeonia obovata Max., Lilium cernum Kom., Smilacina bicolor Nakai, Cypripedium guttatum var. koreanum Nakai, and Arctous ruber (Rehder et Wils.) Nakai). And it was investigated regarding endemic plants that 41 endemic species, 7 endemic varieties, and 1 endemic breed were discovered, so total 49 taxa (8.09%) of endemic plants was inhabiting in it. With regard to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of floristics, it was found that class V had 24 taxa including Taxus caespitosa Nakai., class IV had 14 taxa including Lycopodium annotinum L., class III had 25 taxa including Abies nephrolepis (Trautv.) Max., class II had 37 taxa including Lycopodium chinense Christ., and class I had 36 taxa including Equisetum hyemale L., so the total was 136 taxa. They showed 22.47% appearance ratio compared with 605 taxa, the total species appearing in the Seobuk-Ridgeline.

      • KCI등재후보

        서식지 환경에 따른 고라니의 행동생태 연구

        김의경(Eui-Kyeong Kim),김태근(Tae-Geun Kim),김혜리(Hye Ri Kim),임상진(Sang Jin Lim),박영철(Yung Chul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 사람 거주지 인근 지역의 농경지에서 서식하는 고라니와 양구생태식물원의 산림 임연부 지역에서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와 활동패턴을 조사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행동권은 0.176㎢(Kermel 95%)이며 이중 중심지역은 0.039㎢(Kermel 50%)였다. 서식지가 잘 보전된 양구생태식물원 고라니의 행동권은 0.597㎢(Kernel 95%), 중심지역은 0.129㎢(Kernel 50%)였다. 고라니의 일일 행동권의 평균 면적은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경우 0.041±0.031㎢였으며 평균 이동거리는 50m이하로 활동이 활발한 시간은 6시, 12시, 19시, 22시였다.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는 고라니의 일일행동권 평균 면적은 0.134±0.058㎢였고, 평균 이동거리는 100m이상으로 15시에 가장 활발한 활동을 나타냈고 13시부터 17시 사이에 활동이 집중되었다. 인위적 교란이 있는 설악산국립공원 장재터에 서식하는 고라니와 서식지가 잘 보전된 양구생태식물원에 서식하고 있는 고라니의 행동권 및 행동 특성은 차이를 나타냈다. Home range and daily activity have been monitored in a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which lives in farm place near Jangjaeteo of Seoraksan National Park and another water deer which inhabits the forest edge of the mountains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The home range of the water deer in Jangjaeteo is 0.176㎢ (Kermel 95%) with core area of 0.039㎢ (Kermel 50%), whereas home rang and core area of the water deer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is 0.597㎢ (Kernel 95%) and 0.129㎢ (Kernel 50%), respectively. Average area of daily home range of the water deer in Jangjaeteo was 0.041±0.031㎢ and average distance of daily migration range was under 50m and the time when the water deer has shown high activity was 6:00, 12:00, 19:00, and 22:00. The average area of daily home range of water deer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was 0.134±0.058㎢ and average distance of migration range was higher than 100m. They become active mainly from 13:00 to 17:00 with highest activity at 15:00. Use pattern of home range and daily activity pattern exhibited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deer which lives in the disturbed habitats in Jangjaeteo and that which inhabits well-conserved habitats in Yanggu Eco-Botanical Garden.

      • KCI등재후보

        설악산국립공원 설악폭포 분비나무와 잣나무 1 m 수고생장 기간 조사

        최은비(En-Bi Choi),박준희(Jun-Hui Park),김진원(Jin-Won Kim),김요정(Yojung Kim),서정욱(Jeong-Wook Seo)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2

        설악산국립공원 설악폭포에 위치한 아고산대 침엽수인 분비나무와 잣나무의 수고생장 기간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를 위해 분비나무 고사목 2본(SAPPAND01, 02)과 잣나무 고사목 1본(SAPPPKD03)을 선발하였다. 높이별 수고생장 기간을 조사하기 위해 뿌리와 줄기 경계를 기준으로 높이 0, 10, 20, 30, 40, 50, 60, 80, 100 cm에서 디스크를 채취하여 나이테(이하, 연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사연도 분석을 위해 생육중인 분비나무 15본에서 생장편을 채취하여, 연구지를 대표하는 연륜폭연대기를 작성하였다. 연륜 분석 결과, 분비나무인 SAPPAND01과 02의 생육 기간은 각각 102년(1915-2016)과 97년(1918-2014)이었으며, 잣나무인 SAPPPKD03은 62년(1926-1987)이었다. SAPPAND01과 02의 고사 시기는 각각 2016년 가을-2017년 봄과 2015년 여름-가을이었으며, SAPPPKD03의 고사 시기는 1987년 가을-1988년 봄이었다. 100 cm까지 수고생장을 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SAPPAND01이 41년으로 가장 길었으며, SAPPAND02와 SAPPPKD03은 각각 17년과 18년으로 조사되어 수종보다는 개체 간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대상목 모두에서 수고 20 cm 전후까지 생장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공통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아고산대 침엽수 수령조사의 정확성을 향상 시키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height-growth duration of Abies nephrolepis and Pinus koraiensis which are the tree species growing in the subalpine area at Seorak Falls of the Seoraksan National Park. For the study, two dead Abies nephrolepis (SAPPAND01, 02) and one dead Pinus koraiensi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height-growth duration, 9 disks were collected at the height of 0, 10, 20, 30, 40, 50, 60, 80, 100 cm height from the collar to upward from the sample trees, and then their ring-width were measured. The site master chronology used to the reference to date the death years of the sampled trees was established using the increment cores from 15 living Abies nephrolepis. Through the tree-ring analysis, the ages of SAPPAND01 and 02, and SAPPPKD03 were verified 102 (1915-2016), 97 (1918-2014), and 62 years (1926-1987) years, respectively. The death seasons and years of SAPPAND01 and 02, and SAPPPKD03 were autumn in 2016 - spring in 2017, summer - autumn in 2015, and autumn in 1987 and spring in 1988, respectively. The height-growth durations up to 100 cm from the collars of SAPPAND01 and 02 and SAPPPKD03 were -41, 17, and 18 years, respectively, so that it was verified that the height-growth duration was not changing depending on tree species but individual trees. During the juvenile periods growing up to approximately 20 cm from the collar, however, all sample trees showed relatively taking long times. All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ould b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the accuracy of examining the age of conifers in the subalpine areas.

      • KCI등재

        CVM 기법을 적용한 국립공원 설악산의 관광자원 가치 측정에 관한 연구

        강정길,이승곤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4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is study estimated the value of the Seoraksan National Park. Particularly, it compared the non-market value of the national park when it had a cable car and when it had not. Data were collected from 403 visitors of the national park on May of 2009. Results showed that the benefit value of the national park could be from 45.7 to 52 billion won per year when it had a cable car in the park. However, the benefit value could be only from 2.9 through 3.6 billion won per year when there was no cable car in the park. This suggested that the benefit value of the national park could be 15 times larger when the park had a cable car.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considered 'appreciation of beautiful scenery' as the major attraction of the Seoraksan National Park. The respondents also tended to think that installation of cable cars could be a new method of inducing tourists as well as preventing environmental damage of the Seoraksan National Park. CVM은 자연자원과 같은 공공재의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 연구기법이다. 이 논문은 CVM을 응용하여 국립공원설악산의 자연자원의 가치를 측정한 연구이다. 지금 설악산 지역에서는 설악산 내에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찬반논쟁이 대립하고 있다. 지역주민들은 침체된 관광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 환경단체는 시설공사로 인한 환경훼손을 염려해서인데, 서로가 경제적 편익이 크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악산 내에 케이블카를 설치했을 때와 설치하지 않았을 때 어느 쪽이 그 경제적 편익가치가 큰지 학문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카를 찬성하는 사람에게는 케이블카 사용료를, 반대하는 사람에게는 설악산 입장료를 각각 얼마나 지불할 수 있는지 최대지불의사금액을 질문하여 CVM 선행연구 기법에 따라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였고, 그 과정에서 지불의사는 이분선택형을, 지불의사금액은 직접질문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설악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했을 때의 편익가치 더 큰 것으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케이블카가 지속적으로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설악산의 환경훼손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도 케이블카를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설악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것은 설악산의 관광이미지를 새롭게 변모시키는 획기적인 시도가 될 것이다. 관광지의 이미지는 관광객의 동기분석과 관광목적지와 관련된 여러 요인들을 결합하여 감동과 충성도를 가져 올 수 있도록 구축이 되어야한다. 연구결과 설악산 관광객 속성과 자연자원 요인을 결합하여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감동과 충성도를 가져 올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케이블카이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개발’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자원의 가치를 케이블카라는 개발과 보존의 개념이 대립되는 변수를 적용한 선험적 연구로써 앞으로 이와 유사한 사례에 있어 지역주민과 자치단체, 정부부처간의 갈등을 조정하며,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이루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