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명담화에 나타난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의 화용 특성

        이수진 ( Su-jin Lee ),김화수 ( Wha-soo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의 설명담화를 보다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화용 및 오류 특성을 검토하고 이를 의사소통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 및 K도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초등학교 1∼2학년 경계선지능 언어장애(BI-LI)아동 10명과 언어연령이 일치하는 일반아동 10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그림 설명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아동들이 표현한 설명담화에 대해 담화의 질, 설명담화의 이야기문법, 설명의 구체성 및 적합성 등 3가지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하위영역으로는 전반적 인상, 전체를 대표하는 문장의 시작, 전체적인 흐름, 전경과 배경, 핵심 및 시작 사건과 결과에 대한 설명, 독립적인 인물의 행동, 인물 간의 행동, 호칭 및 명칭, 표정과 기분.감정, 비유적 표현을 통한 설명(직유), 원인 및 이유를 통한 설명(추론), 간접화법 또는 다른 표현방법의 설명, 효율성 측면의 설명, 단어 사용의 맥락 적합성, 모호한 부분의 설명으로 총 15문항에 대해 체크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지능 언어장애아동들은 일반아동에 비해 설명담화의 화용적 능력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능력을 나타냈다. 이는 화용적 측면에서 볼 때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이 일반아동들과는 다른 설명하기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둘째,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이 설명담화에서 어떠한 화용적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은 일반아동들에 비해 오류 유형의 출현 빈도뿐 아니라 내용에서도 질적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들이 나타내는 학습 및 부적응에 대한 이해와,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의 조기 선별 및 적절한 중재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적용될 수 있다. Explaining, one of various speaking method that we use to communicate, is major language activity that requires logical and systematic communication of meaning in a sense of construc ting new information and make listener to understand which is essential form of speaking tha t is required in daily life to have communication of accurate knowledge and persuading power that listener demands. Research on this kind of pragmatic ability or expository discourse had begun comparatively later than research on tales and conversation, research on expository dis 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alo ng with explaining had not been done. This lack of research is resulted as difficulty in under standing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aorder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language. This causes difficulty in accurate an alyse and appropriate approach even though the group that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 s of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is included is high risk gr oup that experiences difficulty in social environment and school life.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analysed what symptoms the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 ics of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shows and error type of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 sability. Here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in ability of expositor y disclosure pragmatic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ordinary child and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showed that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uses different pragmatic exp laining functions from ordinary child.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in what pragmatic comm unication characteristics does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shows in expository disclosure,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abil ity showed difference not only in frequency of error occurrence but also in qualitative aspect. In conclusion, whe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is co mpared to ordinary children in same age rang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exposit ory disclosure in error type and qualitative aspects.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as cu rrently, no prior research indicating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d with borderli 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ability and research that explains circumstances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maladjustment and further, in appropriate mediation.

      • 그림 설명하기에서 나타난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의 화용 특성

        이수진,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16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연구는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의 설명담화를 보다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화용 및 오류 특성을 검토하 고 이를 의사소통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 및 K도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초등 학교 1∼2학년 경계선지능 언어장애(BI-LI)아동 10명과 언어연령이 일치하는 일반아동 10명, 총 20명을 대상으로 그림 설명하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아동들이 표현한 설명담화에 대해 담화의 질, 설명담화의 이야기문법, 설명의 구체성 및 적합성 등 3가지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하위영역으로는 전반적 인상, 전체를 대표하는 문장의 시작, 전 체적인 흐름, 전경과 배경, 핵심 및 시작 사건과 결과에 대한 설명, 독립적인 인물의 행동, 인물 간의 행동, 호칭 및 명칭, 표정과 기분․감정, 비유적 표현을 통한 설명(직유), 원인 및 이유를 통한 설명(추론), 간접화법 또는 다 른 표현방법의 설명, 효율성 측면의 설명, 단어 사용의 맥락 적합성, 모호한 부분의 설명으로 총 15문항에 대해 체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계선지능 언어장애아동들은 일반아동에 비해 설명담화의 화용적 능력에서 유의 미하게 낮은 능력을 나타냈다. 이는 화용적 측면에서 볼 때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이 일반아동들과는 다른 설명하기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해 준다. 둘째,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이 설명담화에서 어떠한 화용적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본 결과 경계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은 일반아동들에 비해 오류 유형의 출현 빈도 뿐 아니라 내용에서도 질적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들이 나타내는 학습 및 부적응에 대한 이해와, 경계 선지능 언어장애 아동들의 조기 선별 및 적절한 중재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적용될 수 있다. Explaining, one of various speaking method that we use to communicate, is major language activity th at requires logical and systematic communication of meaning in a sense of constructing new informatio n and make listener to understand which is essential form of speaking that is required in daily life to have communication of accurate knowledge and persuading power that listener demands. Research on t his kind of pragmatic ability or expository discourse had begun comparatively later than research on tal es and conversation, research on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 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along with explaining had not been done. This lack of research is res ulted a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 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aorder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language. This causes difficulty in acc urate analyse and appropriate approach even though the group that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is included is high risk group that ex periences difficulty in social environment and school life.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analysed what symptoms the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 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shows and error type of expository discours e characteristics of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ability. Here is the result o f the research.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in ability of expository disclosure pragmatic communication ability between ordinary child and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it sho wed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showed that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uses different pragmatic explaining functions from ordinary child. Second, as a result of analys is in what pragmatic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does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shows in expository disclosure,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 ge disability showed difference not only in frequency of error occurrence but also in qualitative aspect. In conclusion, whe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order is compared to ordinary children in same age range,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expository disclosure in err or type and qualitative aspects.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as currently, no prior research indic ating Expository discourse characteristics of child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language disab ility and research that explains circumstances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of education and maladju stment and further, in appropriate mediation.

      • KCI등재

        설명담화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언어학습장애아동의 말하기 특성

        이미림(Mi Lim Lee),이희란(Hee Ra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3-4학년 언어학습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설명담화의 유형에 따른 말하기 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3-4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 각각 14명씩, 총 28명이였다. 설명담화는 기술구조 유형과 문제/해결 유형 두 가지 과제로 제시하여 말하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발화는 총 C-unit 수, 다른 낱말 수(NDW), 평균 낱말 길이(MLC-w), mazes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설명담화를 산출하는 능력에서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은 MLC-w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언어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하지만 총 C-unit 수, NDW, mazes 비율에서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설명담화를 기술구조, 문제/해결 유형으로 나누어서 유형에 따라 설명담화 산출 능력을 살펴본 결과, 총 C-unit 수, NDW, MLC-w에서 각각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언어학습장애아동은 설명담화를 산출할 때 복잡한 구문을 사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능력이 일반아동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명담화 유형에 따라서도 언어를 산출하는 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학습장애아동의 말하기 평가를 위해서는 설명담화의 유형을 고려한 말하기 능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In the school-age, it is very important to acquire the expository discourse that delivers it after restructuring various information as well as the conversation or narra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oken language ability by examining expository discourse in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 students with language learning disability (LLD) in elementary school (3-4th grade) and 14 grades matched normal children. The language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descriptive and problem-solving tasks, and analyzed for total C-unit, number of different words, mean length of C-unit in words and maze rat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with LLD and normal children in mean length of T-units in words (MLC-w). The students with LLD had lower performance than normal children.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C-unit number, number of different word (NDW) and mean length of C-units in words (MLC-w).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ammatical complexity of expository discourse can be mapped to a rating scale to evaluate children with LLD. Also,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peaking ability of children with LLD through various types of expository discourse.

      • KCI등재

        비교/대조와 원인/결과를 중심으로 본 초등 2, 4, 6학년 일반아동의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

        김보림(Bo Rim Kim),윤효진(Hyojin Yoo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2, 4, 6학년을 대상으로 설명담화 요약하기 능력을 설명담화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로 살펴보고자 하였 다. 설명담화는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비교/대조와 원인/결과의 두 구조를 사용하였다. 방법: 초등 2, 4, 6학년 학생이 학년당 15명씩 참여하여 총 45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비구어성지능검사에서 80점 이상, 수용표현어휘력검사에서 -1 표준편차 이상, 한국어읽기검사의 읽기유창성 검사에서 표준점수 9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이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글을 읽은 후 연구자가 제시한 도식을 채우고, 도식을 이용하여 구어로 요약하도록 요구하였다. 도식과 구어로 요약한 발화를 분석하였으며, 거시구조인 조직화, 응집성, 미시구조인 언어적 표지로서 NDW, MLC-w, MNC로 나누어 채점하였다. 각 설명담화 구조별로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각 학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 비교/대조와 원인/결과 모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요약하기 조직성, 응집성의 총 점수, 그리고 하위 세부 지표 모두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적 지표인 NDW, MLC-w, MNC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 특히, 응집성은 총 점수와 세부 지표 모두 모든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년이 올라갈수록 설명담화를 요약할 때 정보를 적절하게 통합하고, 설명담화의 구조에 맞게 조직화하여 중심내용과 뒷받침하는 내용을 다양한 어휘와 복잡한 구문구조로 산출할 수 있었다. 교과과정에서 설명담화의 비중이 점차 늘어나기 때문에 학령기 언어평가와 중재에서도 설명담화 요약하기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bility of expository summarization for second, fourth and sixth grader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in two expository discourse types (i.e., compare-contrast and cause-effect structure). Methods: A total of 45 students from three grade groups participated. All participants had no problems in intelligence, language, and reading. After participants read two expository discourses, they were asked to fill in the graphic organizers, and to summarize the texts verbally using graphic organizers. Analyses of oral summaries included overall organization, with coherence as macrostructure and language markers as microstructure.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ade groups in each expository discourse, a one-way ANOVA was used.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summarizing two expository discourses, showing that organization, coherence, and language markers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udents got older. In particular, all three groups were different with each other in regards to cohere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as students got older, their summarizing skills developed. That is, students have the ability to be aware of text structure, integrate the incoming information with one’s background knowledge, identify main ideas and supporting ideas, and produce sophisticated vocabularies and complex syntactic structures. Summarizing expository discourse would be one effective way to evaluate and intervene with school-aged children because it provides knowledge of macrostructure and microstructure in expository discourses.

      • KCI등재

        초등학교 3학년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설명 담화의 구조 분석

        류정선,권순복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 the structure of explanatory discourse in social studies textbooks in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present basic data for structure-oriented discourse instruction. Methods: The frequency according to type was analyzed by dividing texts into a single structure and a complex structure. Then, the existence of a structural aspect according to the sub-topics was confirmed. Results: First, in the single structural text, collection accounted for 50% and causality 39.3%; comparative comparison and problem solving rarely appeared. Second, the complex structure showed 61% of collection+causality, 23% of causal+comparison/contrast, 9.5% of collection+comparison/contrast, 4.7% of comparison/contrast+problem solving, and the rest did not appear. Third, the frequency of appearance by sub-topic was 21.8% in geography, 58.6% in history, and 19.5% in general society. In terms of form diversity, history had a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ut the forms were not diverse; collection and causal structures were shown mainly. However, the general society showed the most diverse forms despite the frequency being low. Conclusions: Both the frequency and form of explanatory statement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econd semester. In addition, in both the single structure and the complex structure, the form containing the causal and the collection was the most frequent, while problem-solving was the rarest. The structure that frequently appeared differed depending on the sub-topic. Therefore, the explanatory discourse guidance reflecting these results may help children understand the explanatory discourse. 목적: 초등 3학년 사회 교과서의 설명 담화 구조를 알아봄으로써, 구조 중심 담화 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담화 유형에 따른 빈도를 단일 구조와 복합 구조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하위 주제에 따라 나타나는 구조적 양상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단일 구조 텍스트는 빈도 측면에서 수집 구조가 50%, 인과 구조가 39.3%를 차지하였고, 비교 대조 구조와 문제 해결 구조는 드물게 출현하였다. 둘째, 복합 구조에서는 수집+인과가 합쳐진 구조가 61%, 인과+비교/대조가 합쳐진 구조가 23%, 수집+비교/대조가 합쳐진 구조가 9.5%, 비교/대조+문제 해결이 합쳐진 구조가 4.7%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는 출현하지 않았다. 셋째, 하위 주제별 설명 담화 출현 빈도는 지리 영역이 21.8%, 역사 영역은 58.6%, 일반 사회 영역은 19.5%로 일정하지 않게 나타났다. 형태의 다양성 측면에서 역사 영역은 설명 담화의 출현 빈도는 높았으나 출현 형태가 다양하지 않고 주로 수집과 인과 구조가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사회 영역은 출현 빈도는 낮은 데 반해 형태는 세 하위 영역 중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결론: 설명 담화의 빈도와 형태 모두 2학기에 확연히 증가하였다. 또한 단일 구조와 복합 구조 모두에서 인과 구조와 수집 구조가 포함된 형태가 가장 빈번했으며 문제 해결 구조가 가장 드물게 출현하였다. 그리고 하위 주제에 따라 자주 출현하는 구조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반영한 설명 담화 지도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설명 담화의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담화모드와 담화유형을 고려해서 본 초등 고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의 담화 이해력

        이정민(Joungmin Lee),장우정(Woojeong Jang),원효은(Hyoeun Won),배소영(Soyeong Pa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2

        배경 및 목적: 초등 고학년 발달성 난독 학생의 담화 이해력을 담화모드와 담화유형을 고려하여 살피고자 한다. 담화모드는 읽기모드와 듣기모드로, 담화유형은 이야기담화와 설명담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방법: 초등 5-6학년인 발달성 난독 학생 16명과 학년일치 일반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담화 이해력을 측정하였다. 발달성 난독 학생은 이야기담화과 설명담화를 읽거나 듣고 총 32개의 질문에 써서 답하도록 하였다. 각 담화는 3문단으로 구성하였으며, 평균 문장 수는 19개, 평균 어절 수는 188.75개였다. 담화유형과 담화모드는 순서 효과가 배제되도록 진행하였다. 결과: 일반 학생(t=7.720, p<.001)과 발달성 난독 학생(t=9.879, p<.001) 모두 읽기모드보다 듣기모드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발달성 난독 학생은 이야기담화보다 설명담화에서 수행력이 듣기(t=5.000, p<.001)와 읽기(t=8.125, p<.001) 모두에서 낮은 반면, 일반 학생은 담화유형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담화모드, 담화유형을 함께 고려하여 발달성 난독 학생의 담화 이해력을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발달성 난독 학생은 담화모드와 담화유형이 모두 담화 이해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일반 학생은 담화모드가 담화 이해력에 영향을 끼치나 담화유형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나아가 한국어에 DIER 모델의 글 유형을 고려한 확장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Korean developmental dyslexic upper grade children’s text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the mode of texts (reading vs listening) as well as the type of texts (narrative vs expository). Methods: Sixteen 5th to 6th graders with developmental dyslexia (DD) and grade and cognition-matche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participated in 4 text comprehension tasks. Each child responded to 32 questions, 8 in each text, tapping comprehension of texts counterbalancing the effect of mode and type of texts. Results: First, children with DD performed lower than TD children in text comprehension, reflecting developmental dyslexic Korean children’s performance cross linguistically even with the high orthographic transparency of Hangeul. Second, children with DD performed better in the mode of reading compared to the mode of listening, which was the same as the TD children. Third, the effect of type of text was meaningful to only children with DD, while TD children’s performance between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 was not different. Conclusion: Korean upper grade children with DD seemed to rely heavily on the mode of reading in comprehending texts similarly to their grade-matched children, while children with DD had greater difficulties in comprehending the expository texts both in reading and listening modes compared to the narrative texts. Each child with DD’s developmental level of the type and mode of texts needs to be considered to support his/her text comprehension abilities. Further studies need to be extended to the Korean language considering the type of texts with the DIER model.

      • KCI등재

        대통령 사과담화문의 언어 전략 분석

        김병홍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통령들이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대국민담화문의 언어 전략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문은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의 담화문인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국민담화문의 내용에서 어휘 계량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고빈도 어휘는 ‘국민, -있다, -하다, 여러분’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통령에 따라 수사학적으로는 설명 전략과 설득 전략을 각각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문은 설명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노무현 대통령은 설득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셋째,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문에서 내용적으로는 수용적 태도와 방어적 태도를 조화롭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방어적 태도는 입지 강화, 책임 전가, 희생양 만들기, 불가피성 등이 있고, 수용적 태도로는 사과, 인정, 개선 행위 등이 있다.

      • KCI등재

        담화유형에 따른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구문사용 특성

        이현정(Hyun-jung Lee),김영태(Young-Tae Kim),윤혜련(Hea Ryun Yu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3 No.1

        배경 및 목적: 저학년은 종속절의 발달을 통해 구문발달이 일어나고, 다양한 목적을 위해 여러 가지 담화를 학습하고 사용하는연령이다. 따라서 학령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평가는 다양한 담화 안에서 양적․질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이 일상과 학교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대화(conversation)와 설명 담화(expository discourses)에서 어떤 구문 복잡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고담화 유형을 확대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2~3학년의 단순언어장애아동 12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1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12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대화를 실시한 후 설명 담화를 유도하였다. 결과: C-unit 당 평균낱말길이(MLC-w), C-unit 당 평균 절의 수(MNC), C-unit 당 관형절 사용률, 부사절 사용률이 대화보다설명담화에서 더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C-unit 당 평균 절의 수와 C-unit 당 명사절의 사용률은설명 담화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C-unit 당 구문오류율은 대화와 설명 모두에서 단순언어장애 집단이 생활연령일치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구문오류유형도 담화유형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논의및 결론: 구문사용은 담화유형과 집단에 따라 양적‧질적으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저학년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을 적절하게 평가‧중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담화 유형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subordinative development and they use various discourse for diverse purpose. Thus various discourse genres need to use in evaluating i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yntactic complexity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Two types of discourses (conversational and expository discourses) were selected because these are frequently used types in school and daily routin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2nd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SLI group), 12 chronological age matched children (CA group); and 12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LA group). Each participant engaged in two types of discourse (conversation and expository discourse) because these are frequently used discourse types in school and daily routines. Results: Mean length of C-unit in word (MLC-w), Mean number of clauses per C-unit (MNC), the percentage of C-units containing relative clauses and adverbial clauses were higher in expository discourse than conversational discourse. MNC and nominal clauses in expository discourse were lower in SLI group than in the CA control group. The percentage of syntactic errors per C-unit (both in expository and conversational discours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LI group than CA and LA control groups.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are significant group and discourse genre effect in syntactic complexity. These results have clinical implications. that different discourse genres could be used in evaluating and correcting language problems in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SLI

      • KCI등재

        실어증 환자의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담화 속 문장이해 능력 비교

        김혜림,성지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실어증 환자의 언어이해 결함을 담화수준에서 알아보기 위해 통사적 복잡성을 달리한 담화 내 문장이해 능력을 평가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령과 교육년수를 일치시킨 실어증 환자 14명과 정상 집단 15명을 대상으로 통사적 복잡성이 다른 문장이 포함된 단순한 담화(능동문 및 접속문 삽입)와 복잡한 담화(피동문 및 내포문 삽입)를 이해한 후, 제시되는 판단문장의 정반응률을 분석하였다. 통계처리는 이원혼합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담화 내 통사적 복잡성에 따른 단문이해(능동문 및 피동문)및 복문이해(접속문 및 내포문) 과제에서 모두 실어증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단문과 복문 유형 모두에서 통사적 복잡성과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담화 내 마지막 문장이해에서 실어증 환자의 경우 통사적으로 단순한 담화 및 복잡한 담화에서 모두 정상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률을 보였으나, 담화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실어증 환자의 경우 통사적으로 단순한 문장으로 구성된 담화 내용의 이해에 비해 복잡한 통사구조로 이루어진 담화이해에서 더 큰 어려움을 보였다. 또한, 실어증 중증도와 전반적인 담화이해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의 담화수준에서의 문장이해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수학 교사의 설명 담화 분석: 교사 설명 속의 다양한 수학적 목소리

        주미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세 학기 동안 진행된 실습 상황에서 수집한 수학과 예비교사의 교실담화 자료를 분석 하여 설명 담화를 기능별로 분류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수학 교사의 설명은 교과서적 지식을 전달 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학 교사의 설명은 학 생들의 수학적 주장을 조명하면서, 동시에, 교사 자신의 수학적 관점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였 다. 이처럼 수학 교사의 설명은 다양한 수학적 주체가 제기한 수학적 주장이 학생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들 사이의 수학적 의미 협상 과정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수학의 공동체적 구성 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수학 교사의 설명 담화가 수학적 절차와 기능을 전달하는 것 이외에 수업 상황에서 등장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수학적 목소리를 조명하고 합법적 위치를 부여하면서 통합하는 기능을 수행함을 보여주었다. 연구참여자의 설명 담화 변화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은 효과적인 설명 역량 이 합법적인 수학적 주체에 대한 예비교사의 신념체계와 함께 변화하며, 교실공동체의 관행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주체에 의해 표현되는 수학적 자원의 특징과 그들 사이의 연결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개발되어 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raditionally, teacher's telling has been conceptualized as discursive strategy to present mathematical facts and demonstrate procedural skills. This conception of teacher's telling reflects only the partial aspect of mathematics as fixed collection of definite truths. Based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mathematics as historicocultural practice of human engagement, this research is to reconsider the role of teacher's telling, that is, what function does teacher's telling carry out in the context of classroom practice? In order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analyzed a preservice teacher's telling. In addition to presenting mathematical facts and demonstrating procedural skills, this research showed that teacher's telling functions as a discursive strategy to highlight an emerging student's mathematical perspective and to integrate his/her own mathematical voice into the classroom practice of mathematics. These functions of teacher's telling are involved to confer the legitimacy to and to position diverse agents such as mathematics community, students, and a teacher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practice in class. Teacher's telling ultimately interweaves mathematical voices of these agents into the collectiv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Reflective journals showed that these functions of teacher's telling is based on a teacher's awareness of the power of different voices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practice. Also,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er's telling needs further inqui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