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서 선정에 관한 국·영·수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남가영,맹은경,고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 국어, 영어, 수학 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인)정 교과서 선정 과정을 살피고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는 1)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은 무엇이며 교과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교과서 선정 과정에 중요하다고 인식한 기준과 실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 사이에는 차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를 정량 분석한 결과, 첫째,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된 기준이 교과별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가 기준별로 가중치나 배점을 달리하거나 교과서 선정 맥락에 부합하는 기준을 선별하는 등 교과서 선정 기준을 체계화하고 교과별로 특화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기준과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반영한 기준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실제에 부합하도록 이끌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합리적 소통을 보장하기 위해 교과서 선정 과정과 절차를 체계화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with respect to the selection of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for Korean secondary school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selecting textbooks and analyzes teachers‘ perceptions on evaluation areas and standards for selecting textbooks. The study also compares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eachers on the selection criteria. A survey was conducted and 278 secondary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frequencies, cross-tabulation analysis, MANOVA, and paired t-test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teachers, regardless of their subject area, mostly used the general standard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hen they were selecting a textbook for their school. Second, the degrees and orders of perceived value and applied value of the teachers on the general textbook selection criteria appeared different. Overall, they perceived 'Content Selection (4.02)’ as the most important area of the textbook selection criteria, and 'Assessment (3.98)' as the second most important area. They considered, however, 'Content Selection (3.65)' and Content Organization (3.65)' the most important sub-standards, followed by 'Assessment(3.83)', when they were actually selecting their textbooks. In addition, 'motivating', 'appropriate levels of content', and 'appropriate amount of materials' were perceived, in that order, as important sub-standards. Third, the results of the above perceptions varied according to teacher subject area: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 KCI등재

        중학생을 위한 독서자료로써 그림책의 선정 기준에 관한 연구

        김송희,소병문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3

        이 연구는 중학생을 위한 독서교육의 자료로써 그림책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안하고 이를 도서 선정에 적용이 가능한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하여 독서자료로써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와 학문 분야별 그림책 선정 기준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다양한 그림책 선정 기준의 공통점을 일러스트와 텍스트, 그 외로 구분해 범주화하여 통합한 후, 중학생을 독자로 선정해 적용할 수 있는 선정 기준을 구안하였다. 통합된 그림책 선정 기준을 내용으로 현직 사서교사에게 중학생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선정할 때 고려할 주요한 기준을 묻는 설문조사와 그림책 교육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집중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글과 관련된 2개의 기준, 그림과 관련된 4개의 기준, 그리고 그 외 5개 기준으로 구성된 중학생을 위한 그림책 선정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선정 기준의 실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어린이도서연구회 추천 그림책(13세 이상)을 대상으로 범주별 기준의 적용 여부를 확인하였다. 중학생 대상 22권의 그림책 가운데 선정 기준의 모든 범주별 적용이 가능한 도서는 15권으로 유의미한 실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criteria for selecting picture books as various reading education material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check whether it can be applied to book selection. First, identified the educational value of picture books as reading materials and the criteria for selecting picture books by academic field through previous studies. After integrating the commonalities of various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by categorizing them into illustrations, text, and other categories. And it devised selection criteria that can be applied after selecting middle school students as readers. Based on the unified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a survey was conducted to ask in-service librarians about the main criteria to consider when selecting picture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who have experience in picture book education. As a result, the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from previous studi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with two criteria related to text, four criteria related to pictures, and five other criteria, and presented as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practicality of the picture book selection criteria, it checked the applicability of each category of criteria to picture books recommended by the Children’s Book Research Society (ages 13 and older). Out of 22 picture 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15 books could be applied to all categories of the selection criteria, showing significant practicality.

      • KCI등재

        벤처기업의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및 성과에 관한 연구

        김환진(Hwan-Jin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3

        기업 간 기술제휴 성공요인으로 적합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 및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정기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마케팅, 국제, 유통, 생산 제휴 등과 같은 일반적 제휴에 관한 파트너 선정 기준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 기준을 도출하고, AHP 기법을 활용하여 총 12명의 국내 벤처기업의 기술제휴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총 215개 벤처기업 기술제휴 담당자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과 기술제휴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4가지 선정 기준인 과업기준, 파트너기준, 학습기준, 위험기준 및 14개의 세부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위험기준, 학습기준, 파트너기준, 과업기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술제휴 파트너 선정기준과 성과와의 관계는 파트너기준과 과업기준이 기술제휴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절변수로 포함한 기업규모, 이전 제휴관계, 제휴 경험, 국적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와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lthough the impact of technological partner selection on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alliance is critical,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area of technological alliance partner selection criteri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 selection criteria and success factors of alliance. This study bridges this gap by understanding previous studies of general alliance partner selection criteria such as marketing, international, logistics and production alliances. I drew technological alliance partner selection criteria using AHP method with 12 experts who are currently in charge of technological alliance activities at Korean Venture Companies. This study found 4 criteria such as ‘task-related’, ‘partner-related’, ‘learning-related’, ‘risk-related’ criteria with 14 items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alliance partner selection showed as follows: ‘risk-related’, ‘learning-related’, ‘partner-related’, ‘task-related’ criteria.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partner selection criteria and performance, I used 215 survey data of Korean Venture Compani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tner-related’ and ‘task-related’ criteria had strong positive impacts on the success of technological alliance. Further, I put 4 moderating variables into the study model in order to see their moderating effects. However, no moderating variable showed significant effects. In conclusion section, I discussed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중학교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설정 실태 연구

        김은성,김호정,남가영,박재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nt state of selection criteria for Korean textbook in school field. Since textbook policy was changed from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to officially approved textbook, to select appropriate textbook became very important task in school field. In the state that experience and expertise related to selection of textbook is not secured to a certain level, development and supply of selection criteria for textbook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itial establishment of system. This study is basic one for development of selection criteria for textbook appropriate to the field. And first of all, the study investigated status of setting selection criteria for textbook in school field. To do this, 100 middle schools in whole Korea were selected and materials for selection criteria for Korean Textbook were collected. The sampling subjects were decided in method of stratified random sampling using materials for status each city and province where middle schools are located in whole Korea as of March 2012. Especially, it was judged that there could be differences in selection standard each region and school size. So, four categories were set - special municipality, metropolitan city, small and medium city, and eup/myeon region. And 25 schools each category were selected ar random. For material related to selection of textbook, basically, files for selection standard for Korean textbook listed on homepage for 100 schools selected at random were downloaded. Material coding system for systematic classification of collected data was developed and applied in data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were 9 schools where A type provided fro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as applied as it is; 51 schools where A type was partly revised; 22 schools where B type was applied as it is; 7 schools where B type was partly revised; 11 schools where new type was applied. As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selection criteria for Korean textbook based on analysis results, it can be known that it was passive in aspect of revision degree while it was reduction-oriented in the aspect of revision dire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을 설정한 실태를 분석하는 것이다. 국정 교과서에서 검정 교과서로 교과서 정책이 변한 이후 적절한 교과서를 선정하는 일은 학교 현장의 매우 중요한 과업이 되었다. 교과서 선정과 관련된 경험과 전문성이 일정 수준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준화된 교과서 선정 기준의 개발과 제공은 초기 제도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이 연구는 현장에 적합한 교과서 선정 기준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우선적으로 현재 학교 현장의 교과서 선정 기준 설정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학교 100개를 선정하여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자료를 수집하였다. 2012년 3월 기준 전국 중학교 시도별 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층화 무선 추출(stratified random sampling) 방식으로 표집 대상을 확정했다. 특히, 지역별, 학교 규모별 선정 기준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판단하여 특별시, 광역시, 중소도시, 읍면 지역의 4개 범주를 설정하고 범주별로 25개의 학교를 무선 표집하였다. 교과서 선정 관련 자료는 무선 표집한 100개 학교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국어과 교과서 선정 기준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자료 코딩 체계를 개발하여 자료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공한 A안을 그대로 적용한 학교가 9개교, A안을 일부 변형한 학교가 51개교, B안을 그대로 적용한 학교가 22개교, B안을 일부 변형한 학교가 7개교, 새로운 유형을 적용한 학교가 11개교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선정 기준의 변형 양상에 드러난 함의를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일반 교과용 기준과 차별되는 국어 교과의 특수성 반영의 필요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교과서 선정에 관한 국․영․수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남가영,맹은경,고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 국어, 영어, 수학 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인)정 교과서 선정 과정을 살피고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는 1)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은 무엇이며 교과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교과서 선정 과정 에 중요하다고 인식한 기준과 실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 사이에는 차이에는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를 정량 분석한 결과, 첫째,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된 기준이 교과별 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가 기준별로 가중치나 배점을 달리하거나 교과서 선정 맥락에 부합 하는 기준을 선별하는 등 교과서 선정 기준을 체계화하고 교과별로 특화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 었다. 둘째,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기준과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반영한 기준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실제에 부합하도록 이끌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합리적 소통을 보장하기 위 해 교과서 선정 과정과 절차를 체계화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공동주택 리모델링 제도에 관한 고찰 : 시공자 선정기준을 중심으로

        유한기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3

        지난 4월 4일 국토해양부는 공동주택 리모델링사업의 시공자선정과 관련된 주택법 개정안을 고시하였다. 핵심내용은 리모델링을 추진위원회에서 나름의 기준을 세워 입찰을 받고 주민총회를 통해 시공자를 선정하였지만, 이 법률이 시행된 이후부터는 정비사업과 동일하게 경쟁 입찰방식이 의무적으로 도입됐다는 점이다. 도입배경에는 임의단체인 추진위원회에서 시공자를 선정하는 것은 법적인 효력이 없고 선정과정에 있어서 투명성을 제고해야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된 것이다. 고시된 선정기준에는 개정법 시행 후 입찰공고를 하는 분부터 적용한다고만 명시하고 있을 뿐 기존사업지의 시공자 지위에 대한 경과규정이 전혀 없는 것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하는 주요 핵심 연구과제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2012년 8월 현재 약 86개 단지, 6만여세대 대다수 리모델링 사업지는 주민총회를 통해 시공자를 가선정하고 조합설립 후 정식 시공자 지위를 득하는 형태로 진행되어온 방식에 일대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 따라서 법 시행 이전에 선정한 시공자 지위에 대해 적법성 문제부터 대두되고 있고 소송 등과 같은 분쟁으로 확대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시공자 선정기준 고시 내용에 대해 간과한 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정책입안자 및 수혜자간 수용 가능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첫째, 시공자선정 고시 이전에 시공자를 선정하고 계약한 경우에는 재건축사업과 같은 예외 규정을 두어 시공자와 조합이 피해를 입거나 법적인 분쟁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제해 주어야한다. 둘째, 리모델링 추진원회와 정비업체 선정을 우선 선정하는 제도를 조속히 마련하여 문제점을 보완하여야 한다. 셋째, 정비사업의 절차적 동질성만 보고 동일한 수준의 규제를 적용하고 말고 리모델링에 성격에 맞도록 전문화된 법률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광의적 차원에서 다양한 법률로 분산되어 있는 관련 규정을 하나의 법으로 통합하는 리모델링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수학 교과서 선정 기준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유현종 ( Hyun Jong Yu ),고호경 ( Ho Kyoung K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科學敎育硏究誌 Vol.37 No.2

        본 연구는 수학 교과서 선정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교과서 선정과정 및 기준안 구성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실제 교과서 선정 과정 및 선정을 위한 내적, 외적기준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육과학기술부(교육청)에서 배부한 표준 선정 기준’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이 중 ‘학습내용조직’과 ‘학습평가’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 방식은 ‘기준에 맞추어 개인별로 점수 매긴 후 총점 합산하여 선정’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실제 선정 시 가장 많이 고려한 내적 기준으로는 ‘학습 분량과 난이도의 적절성’, 외적 기준으로는 ‘인지도’로 나타났으며 선정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은 ‘검토할 시간의 부족’이라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과서 선정 과정과 선정 기준안에서 개선되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teachers` cognition about the math textbook selecting an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about the rational process of the textbook selection and criteria based on the research. In terms of the research result about the inner and outer criteria of the actual process of the textbook selecting, they utilized the standard selection criteria distributed by Office of Education, and they considered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evalua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e selection method was that the answer ‘After scoring the grade with matching standards, selecting by adding the total score’ was the highest. In case of the actual selection, the most considerable inner criteria appeared ‘Learning quantity and propriety of the difficulty level’. The outer criteria showed ‘Awareness’, and the difficulty in the selection process was ‘in sufficient time for reviewing’.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we draw the implication that needs to be improved in the process of the textbook selection and the criteria.

      • KCI등재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평가 기준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정찬민,김창곤,이광배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 Study on the Priority of Evaluation Criteria for Selectingthe Companies in the Gwangyang Port DistriparkChanmin Jung, Changgon Kim, & Kwangbae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competitive tenant companies in the port distripark by analysing the priority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Gwangyang Port Distripark. The research method used AHP analysis, and the currently applied evaluation criteria were divided into 5 upper class factors and 20 lower class facto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port authority managers and exper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the upper class was in the order of investment and financing, business abilitt, and cargo creation plan.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lower class was analyzed in order of the reality of cargo attraction, business expertise and equity capital procurement ratio. Third, the investment and financing plan was more important evaluation criteria than the cargo creation plan, indicating that there were gaps between evaluation credits and importance of the current evaluation criteria.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hat improve the evaluation criteria and credits for the selection of the port distripark. This study has a limitation of being a case of Gwangyang Port Distripark. Key Words: Gwangyang Port, Port Distripark, Tenant Company, Evaluation Criteria, AHP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평가 기준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정 찬 민**ㆍ김 창 곤***ㆍ이 광 배****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항만배후단지에 경쟁력 있는 입주기업을 선정하기 위한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양항 항만배후단지의 선정평가기준에 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AHP분석을 활용하였으며, 현재 적용중인 선정평가기준을 5개의 상위계층요인과 20개의 하위계층요인으로 구분하고 정책담당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위계층 5개 요인의 중요도가 투자 및 자금조달, 사업능력 및 주체, 화물창출계획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계층 20개 요인의 중요도는 화물유치의 현실성, 사업 전문성, 자기자본조달비율 순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투자 및 자금조달계획이 화물창출계획보다 중요한 평가요인으로 분석되어 현행 선정평가기준 배점과 중요도 간에 괴리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항만배후단지 선정평가기준의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광양항 항만배후단지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핵심어: 광양항, 항만배후단지, 입주기업, 선정평가기준, AHP분석 □ 접수일: 2022년 5월 5일, 수정일: 2022년 5월 27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이 논문은 해양수산부 제4차 해운항만물류 전문인력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주저자,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First Author, Master’s Course, Sunchon National Univ., Email: cmchung@ygpa.or.kr)*** 공동저자, 순천대학교 물류학과 교수(Co-author, Professor, Sunchon National Univ., Email: cgkim@scnu.ac.kr)**** 교신저자, 순천대학교 물류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unchon National Univ., Email: kblee@scnu.ac.kr)

      • KCI등재

        가정과 교수․학습 자료 선정기준 및 활용 연구

        이수정(Lee Soo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가정과 교사들이 교수․학습 자료를 선정하는 데 지침이 되는 교수․학습 자료의 선정 모형(ISSUE모형)과 선정기준을 고찰하고 2007년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중 가정생활 영역에 개발된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가정 과 교사가 교수․학습 자료를 선정하고 활용하는 사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통 해 가정과 교사가 교수․학습 자료의 선정하고 활용과정에서 요구되는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적절성에 대한 감식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중학교 기술․가정과 의 가정생활 영역의 교실 수업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 자료의 선정 절차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L 교사의 수업을 통해 교수․학습 선정기준을 어떻게 적용하는지 일련의 의사결정 과 정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L교사의 수업 관찰, 심층면접을 통해 수업 과정에서 교수․ 학습 선정기준인 교육과정 요인, 학습자 요인, 학습 환경 요인, 매체 요인, 교수자 요 인 등을 종합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well-defined model of procedure and standards for selecting Instructional and Learning Materials(ILM) and to provide guides to help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and to effectively apply the standards when preparing for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one version of the ILM selection standards which reflect considerably the subject-specific education goals and contents. The selection standards of ILM could vary among different subject matters, and even among teachers by experiences and specialt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works with two particular middle school subjec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The major findings and key points this study mad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s 5 stages in the selection procedures of ILM. The 1st stage is to state goals of the subject. The 2nd stage is to select appropriate instructional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3rd stage is to select appropriate instructional and learning media and materials. The 2nd and 3rd stage interact with each oth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re are five factors which have an influence on the 3rd Stage, that is, the selection of instructional and learning media and materials, which are (1) the education curriculum factor, (2) the learner factor, (3) the instructional and learning environment factor, (4) the instructional and learning media factor, and (5) the teacher factor. The 4th stage is to utilize media and materials, and the 5th stage is to evaluate and revise the selections. At the end of the final stage, some feedback may go to the 3rd stage for better selections of ILM afterwards. Second, this study suggests the selection standards of ILM in the form of a checklist which would be the most simple form not only which teachers are mostly familar with and can easily use, especially for the reflective practice. Thurth, through such processes, this study draws a list of selection standards of ILM, mainly based on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s.

      • 대구시 LED 조명 보급활성화 사업의 선정기준과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안성조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14 대구경북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 selection standard and priority of the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business with Daegu city as an example. To perform this purpose, the meaning and cases of the LED spotlight supply vitalization have been survey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related theories and precedent studies and the part-specific weighted value and detailed business-specific priority have been analyzed through practical analysis. And, the part-specific weighted value and the business specific priority have been measured and assessed with the LED light professionals as object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ublicity, effectiveness, energy reduction, easiness of business performance and maintenance and durability were selected as the business selection standar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LED light and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business. Second, in the public part dissemination magnification as of the part-specific standard appropriateness for the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the dissemination of LED spotlight of public institute government office building, dissemination of traffic facility LED spotlight, and the dissemination of public library LED spotlight etc were higher. In the demand creation of public field, the dissemination of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lot LED spotlight and dissemination of industrial complex LED light showed to be higher in the selection standard and appropriateness. Third, the energy reduction effectiveness showed the highest weight value for each standard for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and the second best one was maintenance and durability. Fourth, as for the priority for each detailed business for LED light supply vitalization, the supply of the public institute government office building LED spotlight was showed to be highest and the following oder was supply of traffic facility LED spotlight, supply of public library LED spotlight and supply of underground shopping district and tunnel LED spotlight etc.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를 사례로 LED 조명 보급활성화 사업의 선정기준과 우선순위를 분석하는것이다. 이를위해우선관련이론및선행연구고찰을통해LED 조명등보급활성화사업의의의와사례를살펴보았고, 실증분석을통해부문별가중치와세부사업별우선순위를분석하였다. 그리고LED 조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부문별 가중치와 사업별 우선순위를 측정 및 평가하였다. 본연구의주요결과를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LED 조명과LED 조명보급활성화사업의특성을반영하여사업선정기준으로공공성, 효율성, 에너지절감효과성, 사업추진용이성, 유지관리및지속성을선정하였다. 둘째, LED 조명 보급활성화를위한부문별선정기준적합성으로는공공부문보급확대에서는 공공기관 청사 LED 조명등 보급, 교통시설 LED 조명등 보급, 공공도서관 LED 조명등 보급 등이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부문 수요창출에서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LED 조명등 보급, 산업단지 LED 조명등보급이선정기준과적합성이높은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국내외협력및홍보에서는에너지관련국제행상활용LED행사추진, LED 조명시범마을조성이 선정기준과 적합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LED 조명 보급활성화를 위한 선정기준별 가중치는 에너지 절감효과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지관리 및 지속성이 뒤를 이었다. 넷째, LED 조명 보급활성화를 위한 세부사업별 우선순위는공공기관 청사 LED 조명등 보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통시설 LED 조명등 보급, 공공도서관 LED 조명등 보급, 지하상가 및 터널 LED 조명등 보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