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중일 전면전쟁 발발 직후 국민정부의 한국독립운동 지원과 그 성격 - 조선의용대 창설·운영에 대한 군통·군사위원회의 “지원”과 대적선전전(對敵宣傳戰)에의 “동원” -

        裴京漢 역사학회 2024 역사학보 Vol.- No.262

        한국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중요한 성과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조선의용대의 창설과 관련하여 그 동안의 연구들에서는 김원봉 중심의 의열단 및 조선민족혁명당의 무장 부대 창립 노력과 그에 대한 중국 국민정부의 지원을 강조해 왔다. 이 글에서는 조선의용대 창설과 관련한 국민정부 측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다루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이 글에서는 항일전쟁에서 국민정부의 기본 전략으로 정해졌던 “장기항전” 전략에 따라 한인 청년들을 항일전쟁, 특히 대적선전전에 동원하려는 국민정부의 노력의 결과로 조선의용대가 만들어지게 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국민정부 군사위원회와 군사조사통계국에서는 한인 청년들에 대한 항일전 동원을 염두에 두고 1937년 12월 수도 남경 함락 직후부터 중앙군관학교 특별훈련반 안에 한인훈련반을 만들어 80여 명의 한인 청년들을 훈련했다. 뿐만 아니라 한인반 안에 일부 중국 청년군관 들을 포함시켜 훈련함으로써 한국독립운동 담당 전문요원으로 육성하였으며 이들은 1938년 10월 조선의용대 창설과 함께 만들어진 조선의용대지도위원회의 위원으로 임명되어 조선의용대를 지원 내지 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다. 무한 보위전에서부터 시작된 조선의용대의 활동은 중국 측의 의도대로 대적선전전에 동원되는 형식이었으니 각 전선에 분산 배치되어 일본어로 선전구호를 외치거나 반전 유인물을 뿌리고 적의 동향을 보고하는 등의 정보 선전전에 집중되었다. 이런 사실을 통하여 우리는 중일 전면전 발발 직후 진행된 국민정부의 한국독립운동 지원 정책이 사실은 대적선전전이라고 하는 중국 측의 군사적 필요를 위해 한인 청년들을 “동원”한 것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In connect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朝鮮義勇隊), which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previous studies have emphasized the efforts of the Korean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to establish armed units centered on Kim Won-bong, as well as the efforts of the Chinese Nationalist Government to support it. In this article, I tried to intensively find out what the intention of the Chinese Nationalist Government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 was. As a result,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e Korean Volunteer Corps was created as a result of the Chinese Nationalist Government’s efforts to mobilize young Koreans in anti-Japanese war, especially in “the propaganda against enemy(對敵宣傳戰)”, in accordance with the “long-term resistance” strategy set as the basic strategy of the Chinese Nationalist Government in the anti- Japanese war. Through this fact, we can confirm that the Chinese Nationalist Government’s policy to support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hich took place immediately after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All-Out War, was actually “mobilizing” Korean youth for the military needs of the Chinese side, called the propaganda against enemy.

      • KCI등재

        냉전 금제와 프로파간다 ― 반란(叛亂), 전향(轉向), 부역(附逆) 의제의 제도화와 내부냉전

        李奉範 ( Lee Bong-beo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7 No.-

        이 글은 반란, 전향, 부역 등 주요 냉전의제의 기원 및 제도화 과정과 그것이 장기 지속될 수 있었던 원천을 프로파간다에서 찾고 있다. 미소 분할점령 하 한반도는 세계 냉전체제가 본격적으로 출현하기 이전부터 냉전의 소용돌이에 갇힌다. 특히 모스크바 삼상회의협정을 계기로 국내 모든 세력이 반탁/지지로 분립되어 형성된 왜곡된 프레임의 극단적 전개는 때 이른 냉전질서가 부식되는 구조적 조건으로 작용했다. 1947년 9월 한국문제가 유엔으로 이관되면서 한반도의 대내외적 냉전화가 촉진되는데, 그것은 냉전이 한반도에서 명시화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선단정 국면을 거치며 민족국가 수립 관련 의제들의 압축적 분출과 이데올로기적 대결을 거쳐 분단의 제도화로 귀결된 뒤 국가보안법 제정을 계기로 반란, 전향, 부역 의제가 한층 강화된 냉전적 진영대립과 결합하여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의미 변용과 계기적 연쇄를 통해 한국사회에 전일적 냉전구조가 고착되기에 이른다. 여순사건은 극우반공체제가 촉진·구축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공식적으로 토벌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지리산공비토벌, 제2, 제3의 여순사건 등의 명명을 통해 재생되어 내부평정작업을 뒷받침하는 이념적 도구로 이용되면서 반란의 대명사로 고착, 각인되었다. 그 과정에서 문학, 영화, 사진의 특정 이미지 재현과 관민합동의 프로파간다를 통해 반란으로서의 여순사건에 대한 왜곡된 인식과 학살의 정당화, 공산주의에 대한 막연한 공포, 적대, 증오가 조장되었다. 국민보도연맹 창설로 본격화된 전향은 국가보안법의 뒷받침 속에 대량탈당을 통해 사회주의자는 물론이고 중도파, 자유주의자, 민족주의자까지 망라된 방대한 전향으로 현시된다. 국민보도연맹은 전향자의 포섭, 교화 단체였을 뿐만 아니라 좌익섬멸단체로서 남·북로당 분쇄를 비롯해 반정부세력 일체를 파괴하는 공작을 시행하였고, 전향-감시-동원의 권력테크닉을 구사했다. 인간의 사상을 개조한다는 어쩌면 불가능에 가까운 논리로 전향제도가 시행되었기에 이 시스템은 더욱 폭력적으로 운용될 수밖에 없었다. 문화영역의 전향은 색출, 포섭, 전향, 동원, 감시의 전향메커니즘이 잘 구현된 경우로 문화적 내부냉전구조와 상시적인 동원·감시체계를 정착시키고 반제반봉건 문화의제가 완전히 좌절되는 가운데 친일문화인의 제도적 복권이 이루어지게 된다. 반민특위 해체와 한국전쟁, 법적으로는 반민법과 부역법의 교차로 인해 이데올로기적 가치가 민족 가치를 압도한 가운데 附共 부역이 반역의 단일한 표상으로 대두한다. 친일파가 빨갱이를 단죄하는 아이러니컬한 형국이 조성된 것이다. 잔류했거나 부역혐의가 의심되거나 부역자로 입증된 문화인들은 합동수사본부와 자체 부역심사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했더라도 자신의 부역 체험을 고백, 참회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고, 그로 인해 각종 체험수기가 속출했다. 당시의 모든 체험기는 체제 우월성을 선전하고 대공전선 강화를 위한 선전전 자료로 활용되면서 공포와 적의를 고취시켜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담론 효과를 발휘했다. 일부는 자유세계로 전파, 확산되어 냉전 심리전의 자료로 활용되었다. 문화계는 부일 부역과 부공 부역을 결합시킨 민족반역프레임이 가동되었다. 한국전쟁을 계기로 좌익, 전향, 부역, 월북(남) 등의 냉전금제들이 종합적으로 재구성된 민족반역프레임이 주조, 구축되면서 국가폭력을 능가하는 규율장치로 군림하는 가운데 냉전분단체제의 문화권력을 (재)생산하는 장기지속적 장치로 기능했다. 이 같은 냉전금제들은 프로파간다를 통해 침투, 부식되었다. 대내외적 냉전구조의 정착과 대응해 한반도는 선전전(Propaganda War)의 전장으로 비화되었고, 미국의 전략심리전과 한국정부의 대북 선전전 및 대내 선무심리전이 결합적으로 전개되었다. 냉전반공을 공동의 자원으로 마음의 점령을 목표로 한 관민협동의 선전전을 통해 생성한 이미지가 반복 재생되어 고정화되고 그것이 법, 제도, 담론, 일상, 신체, 정신의 영역 전반에 이데올로기로 기능하는 회로가 구축됨으로써 疑似합의적 냉전mentality가 용이하게 부식될 수 있었다. This study finds out the origin of major Cold War taboo like rebellion, conversion, treachery and its process of institutionization and the sources it could have lasted for a long time in propaganda. In September 1947, Korean issues transfer to the United Nations and it causes to promote internal and external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means the Cold War has been clarified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an the phase of single-handed election and separate government,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compressed eruption of agenda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state are concluded by institutionalization of division. After that, the Cold War confrontation caused by enactment of National Security Law is combined with agendas like rebellion, conversion, treachery, thus, a full time Cold War structure has set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opportune connection and transformation of various ideological meaning. Yo-Soon Revolt became an opportunity to promote and construct the anti-communism and extreme right system. In that process, a fear, hostility, hatred about communism and justification of genocide and distorted recognition about Yo-Soon Revolt has been fuelled by private-public joint propaganda and the reappearance of special image in literature, film, photographs. National guidance federation, an organization for bring round convert and also annihilate left party was implement the operation that destroy the opponents of the regime and commands the power technique of conversion-surveillance-mobilize. Conversion in cultural area is instance of best implemented conversion technique of hunt down, bring round, conversion, mobilize, surveillance. Institutional reinstatement of pro-Japanese cultural artist is realized while constant surveillance-mobilize system and cultural interior Cold War structure become established and ultimately discouraged anti-imperialist and anti-feudal cultural agenda. While ideological value overwhelmed the nation value because of the Korean War, communism treachery has emerged as single representation. Treachery cultural artists had to go through the procedure of confession and repentance, it caused appearance of various memoirs of experiences. At that time, all experience records used for propaganda material to reinforce the anticommunist front by inspiring fear and hostility, which strongly demonstrates ideological discourse effect. The Korean War caused forming frame of the nation rebellion entangled with Cold War taboo like the left, conversion, treachery, defection to North Korea. It functioning as long-lasting apparatus reproducing the cultural power of the Cold War division system and reigning as discipline apparatus which surpass the state violence. Cold War taboos as above are infiltrated and rotten by propaganda. The image made by the propaganda war cooperation between the state and people which aimed at the occupation of the mind and made a Cold War against communism to common resources has been displayed repeatedly and fixed. Through this codification, the course formed and it functioning as ideology in law, system, discourse, daily life, the body, spirit so that pseudo-Consensual Cold War mentality could corroded easily.

      • KCI등재

        2차 대전기 전시 동원으로 인한 젠더의 재구성과 문화적 봉쇄-『라이프』와 『에스콰이어』 속의 여성 노동자와 군인의 묘사를 중심으로-

        김정욱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4 사총 Vol.111 No.-

        2차 대전은 여성의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전쟁 수행의 필요성은 단기간에 여성의 사회참여 비율을 급증시키면서 젠더 역할을 급격히 변화시켰고 정부가 선전전을 통해 이러한 변화를 정당화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렇듯 선전매체들이 노동자와 군인으로 헌신하는 여성들에 대한 긍정적 전형성을 선전했음에도 불구하고 당대의 젠더 이데올로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선전전의 제한적 효과는 역으로 전통적인 젠더 이데올로기의 안정성을 입증하고 있었다. 이러한 고찰은 전쟁이라는 급격한 정치적 변화가 문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과장 없이 평가해야 할 필요성을 알려주었다. 또한 선전전에 동조하면서도 이러한 전통적 가부장 가치를 얼마나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투영하는가에 있어서 문화기구별로 차별성이 존재하였다. 가령 『라이프』와 『에스콰이어』는 젠더 위협에 대한 문화적 봉쇄를 추구하였지만 그 방식은 차이를 드러냈다. 이점에서 문화기구의 상대적 자율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율성은 정부가 필요로 하는 이데올로기의 수직적 전달자로서 대중매체를 단순화할 수 없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정부의 정책적 필요에 의해 고양되는 국민주의와 전통적 가부장주의가 충돌하는 것과 같이 한 시점의 지배 이데올로기가 상호 모순적인 가운데 공존하는 상황은 젠더평등적 국민주의에 보다 경도되었던 『라이프』와 이를 거부한 『에스콰이어』의 간극이 보여주는 것처럼 대중매체의 문화적 자율성을 더욱 확대하였던 것이다. World War II made an important impact on American women’s life. The Government mobilized women in a large number for war efforts and its propaganda justified women’s enlarged social role. Though mass media including magazines constructed the affirmative images of female workers and soldiers, the propaganda did not change contemporary gender ideologies basically. It confirmed the stability of traditional gender ideologies. Cultural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propaganda war reflected patriarchal values differently. For instance, Life and Esquire tried to contain gender threats female workers and soldiers posed in different ways. Due to the relative autonomy of a cultural institution, mass media can’t be simplified as an ideological method to deliver the government's messages vertically. Moreover, the contradictions between two dominant ideologies, nationalism and traditional patriarchal ideas also increased the autonomy of a cultural institution from politics.

      • KCI등재

        김종문의 총력전 경험과 선전론 형성 -전간기로부터 냉전기까지

        김지훈 상허학회 2022 상허학보 Vol.65 No.-

        Kim Jong moon is a poet and an officer. This paper attempts to trans-war history with both the view of the Asia-Pacific War and the Korean War. With these theories, this paper solved Kim Jong moon’s experiences and ideology historically. As an experiences side view, Kim Jong moon studied in Japan and his experience in the founding of the ROK army after liberation in 1945. At the time of Kim’s study abroad, Japan was a period of totalitarianism and total war mobilized system. He has had an ideological crisis in the spirit of the times. Kim was a military officer. He appears to have been forcibly mobilized for student soldi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1945, he participated in the foundation of the ROK army. On an ideological point of view, Kim Jong moon’s overall perception and propaganda’s conception, he was an ideologues for propaganda. For him, the total war was a frame of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He saw the Cold War as an extension of the total war, arguing for ideological preparedness. For him, propaganda was a cultural practice of a total war. At the root of Kim Jong moon’s experience and ideology is Japan’s Asia-Pacific War. He learned the idea of a total war in Japan. In order to put this into practice, he became a ROK army officer. And he served in the Korean War. Kim Jong moon’s previous experience and total war ideology in Japan were mainly demonstrated after liberation in 1945. Kim changed it to post-colonial way. His previous experience envisioned his own propaganda theory on time. After the Korean War, he embraced American behaviorism. It was an extension of the projects and ideas of controlling the masses through the media. The propaganda theory of the USA, like Japan, was also a type of mass control theory that was formed around the Interwar Period. Therefore, Kim Jong-moon’s propaganda theory continues from the interwar period to the Cold War. This was a continuation of the ideological influence of total war. 김종문은 현대 시인이자 한국군 정훈장교이다. 본고는 아시아·태평양전쟁과 한국전쟁, 두 전쟁을 연속적인 시야에 두고 김종문의 경험과 사상을 역사학적으로 분석했다. 경험적 측면에서는 김종문의 도일 유학과 해방 이후 창군 참여에 주목했다. 그의 유학 당시 일본은 전체주의와 전시체제의 시기였고, 그는 당대의 사상적 위기를 체득했다. 김종문은 군 장교였다. 그는 일제시기 학병에 강제동원된 것으로 보이며, 해방 이후에는 한국군 창설에 참여했다. 그의 학병 이력은 한국군 자료를 통해 방증된다. 사상적 측면으로는 김종문의 총력전 인식과 선전론 구상에 주목했다. 김종문은 정훈국 정훈장교로서 한국전쟁 당시 선전전 이데올로그 중 한 명이었다. 그에게 총력전은 현실인식의 프레임이었다. 그는 냉전을 총력전의 연장으로 보았고, 이에 대한 사상적 대비를 주장했다. 그에게 선전전은 총력전의 문화적 실천이었다. 김종문의 경험과 사상의 근저에는 일본의 아시아·태평양전쟁이 있다. 그는 일본의 총력전 사상을 익혔고, 이의 실천으로 다시 한국군 정훈장교가 되었고 한국전쟁을 경험했다. 해방 이후 김종문은 전 시기로부터 유래한 경험과 사상 속에, 이를 탈식민적으로 변용하여 자신의 선전론을 구상했다. 그는 언론을 통한 대중에 대한 통제라는 기획과 사상의 연장에서 한국전쟁을 거치며 미국의 행태주의를 수용한다. 미국의 선전론 역시 일본과 마찬가지로 전간기 무렵부터 대중통제론의 일환으로 제기된 것임을 상기할 때, 김종문의 선전론은 전간기로부터 냉전까지의 총력전의 지적 영향 속에서 연속적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후보

        만주국의 선전전과 라디오 방송

        강희주 만주학회 2010 만주연구 Vol.- No.10

        본 논문은 만주국의 국민국가 형성과 제국 질서의 강화라는 측면에서 만주국 라디오 방송의 전개 과정과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 시도이다. 20세기전반은 국가의 통제 아래 라디오가 국민의 창출에 적극적으로 이바지했던시기였다. 만주국에서도 제국 일본의 하위 구성원이자 독립적인 국민국가만주국 선전 · 선무의 역사는 남만주철도공사 시기 철도 및 부속 지역의안정적인 지배를 위한 정보수집 및 선전 활동에서 시작되었다. 1932년 독립국가로 건립된 만주국은 괴뢰국의 이미지를 불식하고 국민국가로서의 정당성을 재확인하기 위해 대내외적으로 선전활동에 주력하였다. 특히 중일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총력전 체제를 뒷받침할 국민의 창출이 더욱 시급해졌다. 여기서 만주국은 지리적 · 계층적 경계를 뛰어넘는 월경성과 전파의동시성이라는 라디오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만주의 라디오 방송은 관동주에서 시작되어, 만주국이 건립된 이후에는수도 신징으로 방송의 중심이 옮겨 갔다. 1933년 국책회사인 만주전신전화주식회사가 설립되자 본격적인 방송사업이 전개되었다. 1934년에는 만주국과 관동주 전체를 하나의 방송권으로 묶을 수 있는 100kW 대출력 방송국이 신징에 건설되어, 중국어를 비롯한 기타 언어와 일본어의 이중방송이가능해졌다. 이와 같은 기술적 토대와 만주국 정부의 지도 아래 만주전전은 프로그램의 제작 및 송신과 수신기 보급 사업을 전개하였다. 선전도구로서 라디오가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달성되어야 할 조건은 수신기의 보급이었다. 만주전전은 염가의 전전형(電電型) 수신기를 개발하고 이를 직접 판매하는 사업까지 담당하여 적극적으로 수신기 보급 활동을 벌였으며, 청취 계약의 증가에 힘을 기울였다. 이와 같은만주전전의 라디오 보급사업은 전파를 통해 국가의 경계를 명시하고 내부의 구성원들을 하나로 묶는 ‘국가 만들기’ 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라디오 보급 사업의 중심 대상은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국계(滿系)주민이었다. 중국계 주민들은 가장 많은 (잠재적) 청취자인 동시에, 만주국이 창출하고자 하였던 ‘만주문화’의 주역이라는 점에서도 방송이 반드시 포섭해야 할 집단이었다. ‘만주문화’는 만주국이 독립국으로서의 자기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필요로 했던 독자적인 대중문화로, 만주국을 구성하는 다양한 민족들을 아우르면서도 일본이나 중국과는 다른 문화여야 했다. 만주전전은 ‘만주문화’를 방송전파 위에서 실현하기 위해 중국어 프로그램의 제작에 힘을 기울이고, 각 지역별로 러시아어, 조선어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다언어 방송정책을 펼쳤다. 이와 더불어 전통음악기록사업 등을 통해 ‘만주문화’의 내용을 채울 ‘만주적인 것’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복합민족국가 만주국에서 일본인의 지위를 위협하지 않으면서 그들의 문화와 구별되는 것을만들어내기는 쉽지 않았다. 오히려 ‘만주문화’의 모색 과정은 제국 질서 안에 존재하는 독립국가 만주국의 딜레마를 뚜렷이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다. 방송보급사업이 대내적인 ‘국가 만들기’사업이었다면, 조선 · 대만 등의식민지와 화북지역 괴뢰정권과의 연계 사업은 제국의 판도를 청각을 통해나타낸다는 점에서 대외적인 ‘제국 만들기’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만주전라는 상반된 정체성을 동시에 가진 ‘만주국 국민’을 만들어내기 위한 도구로 라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analyze development and meaning of radio broadcasting in terms of Manchukuo‘s formation of nation-state and enforcement of imperial regime. In 20th century, radio has contributed in creating nationhood under state's control. Radio was popular also in Manchukuo as a way to create 'Manchurian' who had contradictory identities as a submember of Japan empire and citizen of independent country. Therefore, radio industry in Manchukuo is an important example of state and empire's logic penetrating into people's daily lives and artificially constructing national identity. History of propaganda in Manchukuo starts with information gathering and publicizing with the purpose of stabilizing domination over railway and surrounding areas in times of South Manchuria Railway Corporation. Manchukuo,an independent state established in 1932, focused on international and domestic propaganda activities in order to eliminate impression of puppet state and to reconfirm legitimacy as authentic nation-state. Especially in the Sino-Japanese War period, producing nationhood to support total war became urgent. Manchukuo then took notice of radio in terms of its signal's synchronicity and crossability of border which overcomes regional and class boundaries. Radio broadcasting in Manchuria began in the Kwantung Leased Territory(關東州), and after Manchukuo was established, the system moved to the capital Xinjing(新京). In 1933, the state-run company, Manchuria Telegram and Telephone Corporation, or MTT, was established and broadcasting industry got into its stride. 100kW output broadcasting station was constructed in Xinjing that could link whole Manchukuo and Kwantung Leased Territory which enabled dual language broadcasting in Chinese, etc. and Japanese. Based on thes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Manchukuo government's guidance, MTT began creating and transmitting programs while supplying receivers. Receivers should be provided in order for the radios to operate as instrument of propaganda. MTT enthusiastically supplied receivers, developing MTT-Type Receiver and selling it by themselves at a reasonable price, hoping to increase listening population. MTT's radio supplying project was a kind of 'nation-building‘project that indicated state's boundary and enhanced unity among state members. The main target of radio supplying project was Chinese citizens which made up most of the population. The broadcasters showed deep interest in Chinese citizens because they had the most (potential) listeners and were supposed to be the leading force of 'Manchurian Culture'. 'Manchurian Culture' was an unique mass culture that Manchukuo needed for its identity as an independent state. It should straddle various races that make up Manchukuo but should also be different from Japanese or Chinese culture. MTT focused on producing Chinese programs and devised a multi-lingual broadcasting policy to use Russian, Korean etc. in each region in order to realize 'Manchurian Culture' through radio wave. MTT also tried to seek 'something Manchurian' that constitute 'Manchurian Culture' through traditional music recording project. However it was difficult to create independent culture without threatening Japanese culture, the culture of leading group, in Manchukuo which is the multi-racial country. Rather, seeking 'Manchurian Culture' became a good example of independent country Manchukuo's dilemma that exists within imperial regime. While radio supplying project was inwardly a 'nation-building' project, bilateral project between colonies such as Korea, Taiwan, and puppet governments in North China was outwardly a 'empire-building' project since it tries to express dynamics of the imperialism through hearing. MTTs broadcasting exchange industry had two issues; to sensually make listeners aware of empire Japan's territory,and to reconfirm Japan(ese) as leading race of Imperial Japan. Before 1941, there were active exchange of broadcast among ...

      • KCI등재
      • KCI등재

        군복 입은 ‘고아 구호’단 -『주간신보 자유세계』에 나타난 ‘구제의 시각화’와 냉전 온정주의

        공임순 상허학회 2021 상허학보 Vol.63 No.-

        이 글은 한국전쟁과 고아 심리/선전전의 두 번째 논문에 해당한다. 첫 번째 논문인 「1958년 북한 발(發) ‘고아 구제’ 담화와 남한/일본에서의 북한행 역진」에서는 국제사회주의의 친선과 우의의 상징이던 북한 전쟁고아의 위탁과 귀환 및 남한 유랑고아를 향한 ‘구제’ 담화를 다뤘다면, 이 글은 정작 남한과 이른바 자유 진영의 고아 구제의 양상은 어떠했는지를 살폈다. 북한의 고아 심리/선전전은 한국전쟁기가 아니라 1958년 이후 남한을 대상으로 파상적 공세를 펼친 고아 구제 담화에서 찾아야 한다면(4장의 그림 참조), 자유 진영의 고아 심리/선전전은 한국전쟁기의 군대와 고아—아동 간의 친밀성 정치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을 이 글은 강조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1장에서 냉전기 ‘아동—소년’의 표상을 지탱했던 ‘똘똘이’로 대변되는 어린 냉전/반공의 전사 계열과 아울러 여리고 순진무구하기에 더욱 취약하기만 한 ‘아동—소년’의 형상이 ‘고아—아동’으로 수렴되었음을 지적했다. 로라 브릭스(Laura Briggs)가 명명한 “구제의 시각화”를 전유하여 이 글은 한국전쟁기의 대표적 심리전단인 『주간신보 자유세계(Free World Weekly Digest)』를 대상으로 이 “구제의 시각화”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2장에서 논했다. 『주간신보 자유세계』는 한국전쟁 초기 심리전단에 대한 혹독한 비판을 토대로 재고안된 뉴스형 심리전단이었으며, 나아가 중국(인민지원)군 참전으로 달라진 전황에 대처하기 위한 당면한 요구도 담고 있었다. 한국어판과 중국어판이 동시에 간행된 『주간신보 자유세계』는 휴전협정 뒤에도 2년여 가까이 지속된 최장수 심리전단의 독특한 입지를 또한 자랑한다. 이 글은 2장에서 고아—아동과 관련된 기사를 발행일자와 내용별로 도표화하여 제시했다. 3장에서는 고아—아동의 후원자로 나선 군인들이 군대 내 구호를 넘어 입양으로까지 나아갔던 몇몇 사례를 통해 크리스티나 클라인(Christina Klein)이 말한 진영의 역내를 순회하는 감정 교류의 양상을 고찰했다. 고아—아동과 군인들의 사적인 친밀한 관계는 입양으로 소위 국제 가족의 ‘선례’를 만들어냈을 뿐만 아니라 냉전 온정주의의 원형적 풍경을 이루었다는 것이 3장의 주된 논지였다. “웃지 않는 아이(The Little Boy Who Wouldn’t Smile)”의 이강구(실제 이름은 이강용)와 “어니 조” 및 “샘”이라는 닉네임을 지닌 정구표와 이경수 등의 사례들은 구호에서 해피엔딩을 예고하는 입양까지의 과정을 전시하는 훌륭한 심리전(단)의 재료였다. 하지만 심리전(단)의 차원에서 이를 전적으로 반기지만은 않았음을 이 글은 심리전의 베테랑 요원이던 리오스노프(Alexander A. Liosnoff)의 보고서로 예증했다. 구호를 넘어 입양은 뿌리의 상실로 여겨져 현지인이나 적에게 반감과 적의를 살 수 있음을 우려한 것이다. 그의 걱정이 단지 기우만이 아니었음을 고아 입양을 노예 매매로 맹비난했던 북한의 역선전은 증명해주었다. 이 글은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Светлана Алексиевич)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빗댄 ‘전쟁은 고아—아동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를 4장의 결론으로 갈음하였다. 개별 고아들의 고유한 특성과 역사는 텅 빈 채 오직 구제받아야 할 고아—아동으로 과잉 단순화된 심리/선전전의 비극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This paper corresponds to the second paper on the Korean War and Orphan psychological/propaganda warfare. In the first paper, “Discourse on ‘Relief for Orphans’ of North Korea in 1958 and Exodus to North Korea from South Korea/Japan”, I dealt with discourse of ‘relief’ to wandering orphans in South Korea along with the entrustment and return of war orphans in North Korea, which was a symbol of goodwill and friendship in international socialism. This paper examined how the relief of orphans in South Korea and the so-called the Free World was. Also this paper emphasized that the Free World’s orphan psychological/propaganda warfare was to be found in the politics of intimacy between the military and orphans during the Korean War unlike North Korea’s orphan psychological/propaganda warfare was to be found not in the Korean War, but in the discourse on ‘orphans relief’(see the figure in chapter 4). To this end, this paper pointed out in Chapter 1 that the young Cold War/Anti- Communist warrior line represented by the Ttolttori(똘똘이) who supported the representation of the Cold War ‘child-boy’, as well as the ‘child-boy’ who was more vulnerable to be weak and innocent. The latter converged into orphan-children. In Chapter 2, this paper was discussed how Free World Weekly Digest, a representative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 from the Korean War period, embodied “the visual iconography of rescue” named by Laura Briggs. The Free World Weekly Digest was a news-type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 that was reconsidered based on harsh criticism of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 in the early days of the Korean War, and it contained the immediate demands to cope with the war situation changed by the participation of the Chinese(People’s Volunteer) Army. The Free World Weekly Digest, which was published simultaneously in Korean version and Chinese version, also boasted the unique position as the longest-running psychological warfare leaflet, which lasted nearly two years after the Korean Wqr Armistice Agreement. In Chapter 2, the articles on orphan-children were presented by publication date and content. In Chapter 3, I described the pattern of emotional exchanges circulating through the camps mentioned by Christina Klein, examining some cases in which soldiers serving as orphan-children supporters went beyond relief in the military to adoption. The main point of Chapter 3 was that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orphan- children and soldier not only set the so-called “preference” for international families but also formed a archetypal landscape of Cold War paternalism. Cases such as Ri Kang-Koo(real name Lee Kang-yong) of “The Little Boy Who Wouldn’t Smile,” Jung Kyoo-pio and Lee Kyung-soo with nicknamed “Ernie Joe” and “Sam” were excellent material for a psychological warfare(leaflet) that displayed the process from relief to adoption announcing a happy ending. However, I exemplified by the report of Alexander A. Liosnoff, a veteran agent of psychological warfare, that this process was not entirely welcomed in terms of psychological warfare. Adoption beyond relief could be seen as a loss of Korean roots, so he was concerned that it could lead to resentment and hostility towards locals or enemies. North Korea’s counter-propaganda, which denounced the adoption of orphans as slave trade, proved that his concern was not just unfounded fears. This paper replaced the conclusion of Chapter 4 by ‘War has no face of orphan-children’, a metaphor for Svetlana Alexievich’s ‘War did not have the face of women’. The tragedies of psychological/propaganda warfare, which were oversimplified as orphan-children who were only to be saved, is still ongoing with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individual orphans empty.

      • KCI등재

        관동군의 대(對)소련 정보사상전과 백계러시아인 정책

        김인수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人文論叢 Vol.76 No.2

        The most obvious feature of the position of the ethnic minority during the World War II in the Far East was represented through the problem of White Russians. White Russians, who were the anti-Communist groups in Russia, were the targets of the ‘Ethnic Harmony Policy’ (民族協和政 策) advocated by Manchukuo (滿洲國). They represented an ambivalent existenc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Russians on a racial and ethnic perspective. The Kwantung Army (關東軍) tried to study the intelligence warfare techniques of the Soviet Union and used the White Russians as a means of intelligence, propaganda and conspiracy warfare. It also established a buffer-zone with the Soviet Union by utilizing the agricultural immigrants of White Russians. In addition, the Kwantung Army planned to create autonomous governments for them. From the standpoint of the Kwantung Army, White Russians were both resources of knowledge about the Soviet Union and useful tools for propaganda. The White Russians were also the ones who had a desire to revert to an anti-revolutionary homeland. However, at the same time, they were considered as a danger because they were targets of espionage and vigilance, and they embodied Russian ethnicity. The attributes of White Russians were inherently conflicted and contradictory: the internal political conflicts of White Russians’ society, the clash between anti-communist ideals and the Russian national ethnicity, and the in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Red Russians (the revolutionists) and White Russians. The Kwantung Army’s intelligence warfare against the Soviet Union through the White Russians during World War II clearly shows the character of the space in which the sub-ethnic groups were located. There is a huge contradiction and ambivalence between desire and neurosis in the Kwantung Army’s policy towards the White Russians. 총력전 시대 제국 일본의 정보사상전 속에서 소수자(minority)가 처한 위치의 고유성(singularity)이 가장 극명한 형태로 표출된 것은, 만주국이 표방한 민족협화의 한 구성요소이자 소비에트연합(소련)의 정치적 반대자(‘反共’), 또 동시에 인종적⋅민족적 차원에서 러시아인(및카자크, 그루지아 등 여러 하위 민족들)의 범주 안에 들어 있었던 이른바 ‘백계러시아인’(白系露人; 白系ロシア人) 문제였다. 관동군은 이들을 정보사상전, 선전전, 모략전의 수단이자 대상으로 삼았다. 관동군은 소련의 정보사상전 기법을 세심하게 관찰, 학습했고, 이를 역용(逆用) 했다. 관동군은 백계러시아인을 정보사상전 부대로 편성하여 활용했고, 이들의 농업이민을 통해 소련과의 완충지대(buffer-zone)를 구축하려 했다. 나아가, 이들에 근거한 자치정권의 창출을 기획하기도 했다. 관동군의 입장에서 백계러시아인은 소련에 대한 이해, 견제, 개입에서 소련에 관한 지식의 자원(resources)이자 선전/모략의 유용한 도구였다. 또, 백계러시아인은 ‘반혁명 조국복귀’의 열망을 체현한 주체였다. 그러나 그들은 러시아인의 민족적 소질을 내포하고 있기에 방첩/경계의 관리대상, 위험한 존재로도 인지되었다. 백계러시아인이 지닌 속성, 이를테면 (1) 반공의 이념과 (2) 러시아인으로서의 민족적 소질은 근원적으로 상호 모순과 상충을 내포하고 있었던 것이다. 백계러시아인 사회 내부의 분파갈등, 만주국의 민족협화 정책과의 불화, (반공) 이념과(러시아인) 민족의 충돌, 적계와 백계 러시아인 식별의 한계, 그리고 결정적으로는 소련의 군사적 우세 속에서 백계러시아인을 활용한 관동군의 정보사상전은 결국 실패로 종결되었다. 관동군의 대(對)소련 정보사상전, 백계러시아인 정책은 제국들 간의총력전에서 하위 민족집단이 자리한 장소의 성격, 그리고 이를 매개로한 정치기획의 행방을 추적, 관찰하는 데에 대단히 유용한 함의를 제공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전쟁기 미군의 전쟁범죄 조사와 처리 -전쟁범죄조사단(KWC)을 중심으로-

        양정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4

        The U.S. force raised the need for organized investigation about war crimes with mentioning the concept of war crimes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s break out. It resulted in setting up a War Crimes Division. War Crimes Division was organized under the need of investigation, arrest for war criminals and the organization charged with the task of trial. The War Crimes Division was organized in judge advocate general of the U.S. Eighth Army on 13, October in 1950. It transferred to military district of quartermaster in Korea in September of 1952. This organization was released on 31, May in 1954 since the war ceased. The War Crimes Division’s task was mainly to investigate some events that were suspected of war crimes and to organize case files in the preparation of war-crimes trial after the war. It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generally through interrogation to POWs. Field trip investigations were also made to demonstrate war crimes’ evidence. Another method to obtain the evidence of war crimes was the body recovery program and collecting statements given by returnees with the exchange operation of prisoners. The investigation of the War Crime Division was focused on the prisoner of war returnees since it moved to military district of quartermaster in Korea. Its activities were performed linked with ‘Little Switch’ and ‘Little Switch’, the exchange operations of prisoners. At the same time, the investigation of the War Crime Division primarily devoted to the screening of case files and re-tabulation of statistics for the preparation of the interim report. As the result, 1,956 cases were referred to the Office of the Judge Advocate General and Army Headquarters in Washington D.C. and Far Eastern Military Headquarters. The War Crime Division not only investigated the atrocities suspected as People’s Army and People's Liberation Army committed, but also checked and preserved huge number of case files systematically. Some parts of those case files were submitted as corroborative facts to a special subcommittee on Korean War Atrocities. However, the U.S. never conducted a war-crime trial, nor took legal action against war crimes through the International Court. The POWs were exchanged. It was declared that even non-repatriated war criminals from People’s Army were not charged with war crimes. The policy of the U.S. force was not to use war criminal materials to make it easier for UN POWs to return. There was the situation of the U.S. was not immune from the suspicion of war crimes’ perpetrators behind its attitude like above. Finally, investigation activities of War Crimes Division could not be far from propaganda charging hostile countries at war and collecting evidences for the preparation in post-wartime. 미군은 한국전쟁이 발발한 직후부터 전쟁범죄의 개념을 거론하면서 조직적인 조사 활동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것은 전쟁범죄조사단 설치로 이어졌다. 전쟁범죄조사단은 한국전쟁 관련 전쟁 범죄자들에 대한 조사와 체포, 그리고 재판을 위한 운용 책임을 맡을 조직이 필요하다는 판단 속에서 조직되었다. 1950년 10월 13일 전쟁범죄조사단은 미 8군 법무과 내에 설치되었고, 1952년 9월 한국병참관구로 이관되었다. 이 조직은 전쟁이 끝나고 1954년 5월 31일에야 해체되었다. 전쟁범죄조사단의 주요 활동은 전쟁범죄로 추정되는 사건을 조사하고 이후의 전범재판에 대비하기 위해 사건 기록을 정리하는 것이었다. 조사 활동은 주로 거제도 포로 심문을 통해 이루어졌고, 전범 증거를 입증하기 위한 현장 조사가 실시되었다. 이와 함께 증거들을 획득하는 또 다른 방법은 포로교환 작전으로 회수된 미군 유해와 귀환자들의 진술이었다. 한국병참관구 이관 이후 조사단의 조사 활동은 주로 귀환한 포로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는 포로 교환 작전인 ‘Little Switch’와 ‘Big Switch’와 연계되어서 진행되었다. 전선이 고착화됨에 따라 1952년 말 조사단의 활동은 중간보고서 준비를 위한 사건파일의 검토와 재도표화에 집중되었다. 그 결과 한국에서 일어나 1956개의 사건이 전쟁범죄 조사 및 분석 대상으로 워싱턴의 법무감실과 육군 본부, 그리고 극동군 사령부에게 제출되었다. 전쟁범죄조사단은 북한과 중국군이 저질렀다고 여겨지는 잔학행위를 조사했을 뿐만 아니라 방대한 사건 기록을 체계적으로 정리ㆍ보존했다. 이 기록들 일부는 한국전쟁의 잔학행위를 조사하기 위한 미 의회 청문회에 증거 자료로 제출되기도 했다. 하지만 미국은 전범재판을 열지도 않았고 국제재판소에 제소하지도 않았다. 포로들은 교환되었고, 송환되지 않은 북한군 전범일지라도 전범혐의가 유지되지 않는다고 공표했다. UN군 포로들의 순조로운 귀환을 위해 전범 자료를 이용하지 않겠다는 것이 미군의 정책이었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전쟁범죄의 가해자 혐의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미국의 상황이 있었다. 결국 전쟁범죄 조사 활동은 상대국을 비난하는 선전전 성격과 전쟁 이후를 대비한 증거 수집의 양상을 벗어나기 힘들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