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 3대 도심 중심성 변화양상 연구

        김주일,안건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3 國土計劃 Vol.38 No.3

        서울은 1960년대 이후 한강 이남으로의 확장이 이어지면서 이른바 3핵도심 재편계획에 따라 단핵도심 구조에서 3핵 다도심구조로 재편되었으며, 이후 이들 3대 도심은 서울의 각 생활권의 중심으로 남아 있다. 이처럼 3핵도심구조는 정책적, 계획적으로 자리 잡은 서울의 도심구조임에도, 이를 바탕으로 한 서울의 도심체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계획상에 나타난 서울의 이들 3대도심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도심들의 내부적인 기능변화가 그 동안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를 살펴보고, 이의 결과로 나타나는 3대 도심 간의 중심성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제1위계 도심으로 인정되던 종로도심의 기능적 구성의 쇠퇴가 나타나는 동시에 강남도심의 약진 현상이 뚜렷해, 경제적인 고용중심성의 측면에서는 강남 제1도심의 시기로 접어든 것으로 판단되었다. 현재 서울의 각종 공간정책은 이러한 도심체계의 변화를 인식하지 않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책상의 대처가 필요한 시점이다.

      • 서울 도심 상업용도지역 내 주거현황과 시사점 - 서울 역사도심과 뉴욕 맨해튼을 중심으로 -

        최원우(Choi, Won-Woo),신중호(Shin, Jung Ho),김도년(Kim, Do-Nyu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1

        본 연구는 서울보다 일찍이 성장하여 도심 문제해결과 도시 생태계 회복을 위해 주거 공간의 제공에 노력을 기울여온 뉴욕 맨해튼 도심과의 현황의 비교를 통해 서울 역사도심의 도시생태계 불균형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주거 기능 회복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주거 공간의 총량, 주거용도 건축물 유형별 특성, 주거용도 건축물의 분포 분석을 통해 도심 상업용도지역 내 주거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 역사도심은 대부분의 공간이 상업용도에 편향되어 있으며, 도심주거에 적합한 중고밀도의 복합용도 건축물이 맨해튼 도심에 비해 현저히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울 역사도심은 복합용도 건축물이 대상지의 외곽에 인접하여 위치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서울 역사도심은 도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적절한 주거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주거 기능 회복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서울시 도심공간의 토지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종로, 중구를 대상으로 -

        김태호,여홍구 국토지리학회 2012 국토지리학회지 Vol.46 No.2

        With a rise in national income resulting from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urbaniz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been made rapidly. In the process of change, these cities were experiencing the rapid influx of population and its growth, the accelerated high-density urban development, the planar diffusion of urban space, the change of spatial structure and the urban industrial structure. Especially, with Seoul as the center, the growth and change was observed more particularl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etropolitan area within land area can be called the most intensified areas in growth and concentration across almost all field including population and industrial sectors. In addition, with the process of urban growth including the reorganization process of urban space in Seoul, It has undergone rapid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creating new towns such as Gang Nam(south district of Han River). In the process, although the city’s function was reduced than in the past, Seoul still has a competitive advantage with the possession of the history and locational benefit.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other major central agencies are concentrated and it hold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not just various commercial and business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traditional center of Seoul city and to provide direction that required for the plan and its development by analyzing land use patterns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heart of the city. By considering the urban spatial structure in Seoul through this study, As holding the center of metropolitan areas, I try to obtain empirical results after the analysis on planning element and a detailed land use in regard to a spatial structure hierarchy as the center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for the future role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우리나라는 경제개발 이후 국민생활의 소득 증가와 더불어 도시화가 급격히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변화 과정에서 도시들은 급격한 인구의 유입과 증가, 도심 고밀개발의 가속화, 도시공간의 평면적 확산과 공간구조 변화, 그리고 도시내 산업구조 변화 등을 경험하게 되었다.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수도권 일대의 성장과 변화는 더욱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수도권은 국토 공간 내에서도 인구 및 산업을 포함하는 거의 전 분야에 걸쳐 그 성장과 집중도가 가장 심화된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서울은 도심 공간의 재편과정과 함께 도시성장 과정에서 강남을 중심으로 새로운 신시가지를 조성하는 등의 급격한 개발 과정도 겪어 왔다. 이 과정에서 도심의 기능이 과거에 비해 축소되기는 하였으나, 도심공간은 여전히 서울은 역사성과 입지적 장점을 보유한 경쟁력 있는 중심공간이라 할 수 있겠다. 정부기관을 비롯한 주요 중추기관이 밀집해 있으며, 다양한 상업·업무시설뿐만 아니라 역사 및 문화자원을 보유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전통적 중심지역인 도심의 공간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중심부의 토지이용 패턴과 그의 특성을 분석하여 도심의 계획과 개발에 필요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을 통해 서울시 도심의 공간구조를 현재의 시점에서 고찰함으로써 향후 수도권을 포함한 광역 대도시권의 중심지로서의 공간구조 위계와 향후서울도심부의 역할에 대하여 계획적인요소와 세부적인 토지이용의 실증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 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상주인구와 주간인구의 계층구조 비교분석: 서울을 중심으로

        은기수(Ki-Soo Eun) 한국인구학회 2001 한국인구학 Vol.24 No.1

        이 연구는 상주인구와 주간인구의 계층구조가 어떠한지 비교분석하고 있다. 서울의 인구를 구별로 분류하여 구별 상주인구와 주간인구의 규모를 밝힌 후, 서울의 각 구에서 주간에 유입, 유출되는 인구의 규모 및 유입, 유출지를 밝히고 있다. 그 다음 서울의 각 구별로 상주인구와 주간인구의 계층구조를 분석하여 비교하고 있다. 서울에는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지역에서 주간인구의 유입이 크다. 특히 일산과 분당 등 신도시와 성남, 안양, 의정부 등의 수도권 지역에서 주간에 많은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이들의 계층구조는 어떠한지도 이 논문에서는 밝히고 있다. 이 연구결과 서울의 도심부 상주인구는 계층구조의 측면에서 매우 낮은 위치에 놓여 있지만 주간인구의 계층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간에 수도권에서 서울의 도심부 및 부심부로 유입되어 하루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주간인구의 계층구조는 서울의 지역에 관계없이 비슷한 계층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상주인구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인구, 계층연구뿐만 아니라 주간 인구를 대상으로 한 학문연구 및 정책적 고려의 중요성이 크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a comparative analysis of social stratification in the Great Seoul area using two types of population. One type of population is a resident population(常住人口), and the other is a daytime population(晝間人口). In most demographic studies, only resident population have been considered. There has been less attention to daytime population. However, a resident population have a character of night population(夜間人口). In fact. most people move and work in the areas where they do not live in everyday life in the contemporary period, which indicates that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is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a resident population. This study reveals that a number of people, on the one hand, come together to the downtown area to work or study while they live in other areas. On the other hand, resident population in downtown area do not move so much. When we analyze the social stratification structure of the Great Seoul area using a resident population, we find that the resident population of downtown area consist of those of low social status. On the contrary, the daytime population of downtown area in Seoul consist of those of high social status. This means that most people of high social status live in the southern area of Seoul or outside Seoul, but make a living in downtown area in everyday life. From this study, we find that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is as important as that of a resident population. The more residence becomes separate from work place, the more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a daytime population grows in making policy as well as in demographic studies. This study implies that we ne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oncept of daytime population in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studies.

      • KCI등재

        서울 도심의 공간 표상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독해

        이수안(Suan Lee)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3

        이 논문은 서울의 도심을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공존하는 도시공간으로서의 문화텍스트로 상정하고 젠더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독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물리적 공간과 사회적 주체 간의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를 주요 논제로 삼던 기존의 도시사회학과 인문지리학적 논의를 배경으로 하여, 근대성이 관철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서울이라는 도시 공간의 성별적 표상과 공간의 성별 분할을 파악하였다. 이미지성과 가독성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공간적 해석의 분석틀은 성별분업과 영역의 이분법,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적 재현, 그리고 근대성과 후기근대성이 이들과 조응하고 교차하는 방식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Benjamin의‘산보하기(flanerie)’의 도시문화 해석과 음미의 방식은 수용하되 이를 페미니스트 문화독해 방식으로 전화하여 은유적 방법론으로 차용하기 위하여 Irigaray의‘검경(speculum)으로 들여다보기’를 도입함으로써 도시공간분석의 새로운 해석적 방법론으로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This paper attempts to focus the ways in which Seoul as an urban space can be read and interpreted from gender perspective, assuming Seoul as a cultural text which represents modernity and post-modernity. Drawing on discussions of urban sociology and human geography which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spaces and social subjects, this paper explores the gendered segregation and representations of space in Seoul which has been constructed throug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framework of spatial interpretation of Seoul, concentrating on imageablity and legibility,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gendered division of labour and sphere, dichotomy of representations along with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the ways of interlocking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In this paper, ‘flanerie’, Benjamin’s method of interpretation of urban culture and the way of seeing with ‘speculum’ of Irigaray are adopted as metaphoric methodologies. It is an attempt to develop a new methodology to analyze and interpret urban space from gender-cultural perspective.

      • KCI등재

        1960년대 이후 도시기본계획이 서울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미친 영향

        서여림(Seo, Yeo-Rim),김기호(Kim, Ki-H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3

        서울시는 1960년대부터 단핵도심에서 탈피하고자 도시기본계획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다핵도심을 구상했다. 오늘날 서울은 사대문안, 영등포ㆍ여의도, 강남으로 이루어진 3핵이 두드러지게 발전하여, 2014년 서울도시기본계획은 3도심 체제를 설정하고 있다. 이 연구는 다핵 중에서 3핵 이 어떻게 오늘과 같이 발전하였는지 역사적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도시기본계획이 장기적인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 형성에 기여해왔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기본계획의 중심지계획 변화과정과 주요기능 시설배치 및 지하철 노선배치 측면에서의 도시공간구조 변화과정을 상호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기본계획은 장기적으로 도시공간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도시기본계획의 다핵도심구상은 정치ㆍ행정, 업무, 상업기능의 시설이 3핵을 위주로 입지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으며, 지하철 노선배치에도 영향을 미쳤다. 특히 1기 노선은 도시공간구조 형성을 고려하여 계획되었으며, 2,3기 노선은 도시구조가 3핵으로 이루어진 현실을 반영하여 계획되었다. 이같이 서울의 도시공간구조는 6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수립된 도시기본계획을 통하여 이루어 진 것이다.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continuously pursued the multi-centric city through City master plans since 1960s. Today, 3 major city centers consisting of Sadaemunan, YeouidoㆍYeongdeungpo, Gangnam were approved as major city centers in the 2014 Seoul city master p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process how the 3 major city centers were developed remarkably from the planned multi-centers and to prove that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the 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the long term. For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development of the multi-centric city concept in city master plans since 1960s. Results indicate that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the formation of spatial structure in the long term. More specifically, the multi-centric city concept of City master plan has affected facilities and func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business and commercial functions to be located in 3 major city centers and subway lines. The first subway line were planned to consider urban spatial structure. The second and third subway lines were planned to reflect that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has already 3 major city centers. Thus,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was made with City master plans since 1960s.

      • KCI등재

        서울, 자본의 도시와 교회의 비대화

        이정연 서울역사편찬원 2019 서울과 역사 Vol.- No.101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space’ to changes in the church market and meaning and function of church, and through this, tr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on and the change of the religious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spatial changes of the city. The early churches established in Seoul's old downtown, represented by the symbolic space of modernization, were heavily dependent on the spatial capital supplied by outside forces such as American missionaries and U.S. Army Military Government. However, in the 1970s, Seoul was transformed into a huge city of capital through urban development. In this process, the market and function of the church in Seoul has also changed greatly. New downtown churches formed in the city of capital began to move in line with rising land prices and real estate speculation in Seoul. Especially, the new downtown became a center for the realization of the desire of the expansion of the church. A metropolis, Seoul's dense subways and buses, convenient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high-speed internet connections have become an important means for churches to extend beyond the region. In the process of urban development in Korea, the church has been enlarged and commercialized by acquiring the spatial capital brought by the concentration of the middle class, and the rise of the apartment price, which are created by the breakdown of the community. 본 연구는 교회 시장과 교회의 기능 및 의미 변화에 ‘공간’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도시의 공간 변화에 따른 종교 기관의 생성 및 변화의 관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설명하고자 했다. 근대화의 상징적 공간으로 대표되는 서울의 구도심에 설립된 초창기 교회들은 외부 세력인 미국 선교사와 미군정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간자본에 크게 의존했다. 그러나 서울은 1970년대에 본격화된 도시개발을 통해 거대한 자본의 도시로 변모했고 이 과정에서 서울의 교회 시장과 기능 역시 크게 변화했다. 자본의 도시에서 형성된 신도심형 교회들은 서울의 지가 상승과 부동산 투기의 수익을 좇아 이동하기 시작했고 특히, 신도시는 교회팽창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각축장이 되었다. 교회는 이제 무엇보다 서울의 공간자본의 변화를 따라 생성되고 소멸하게 되었다. 거대한 도시 서울의 촘촘한 지하철과 버스, 편리한 통신수단과 초고속의 인터넷 연결망은 교회들이 지역을 넘어 포교범위를 확장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한국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교회는 공동체가 해체됨으로써 촉진되는 지대 상승과 중산층의 밀집, 아파트값의 상승을 통해 공간자본을 획득하면서 비대화되었다.

      • KCI등재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유형과 특성

        진영효(Jin, Young-Hyo),안건혁(Ahn, Kun-Hyuck)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0 No.1

        이 논문은 서울 도심부 도시형태의 1912년 역사흔적과 그 이후 다양한 변화양상을 객관화된 변화정도로 파악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유형화시켜 나타내고 그 특성을 고찰하고 있다. 도시형태의 변화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도시형태를 구성하는 길, 필지, 건물의 기본요소를 중심으로 유기적/이질적, 점진적/급진적 변화척도를 적용한 4단계 변화정도의 측정기준을 마련하였고, 각 요소의 변화정도를 통합하는 변화유형 매트릭스(8가지 상위 변화유형 M1~M8과 64가지 하위 세부유형 M1-1~M8-8)를 구축하였다. 이 틀을 토대로 GIS기법을 활용하여 서울 도심부의 역사적 도시형태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길, 필지, 건물이 모두 존속하는 M1(M1-1)에서 모두 이질적으로 변한 M8(M8-8)의 변화유형으로 나타냈다. 이 중 우세하게 나타난 M1, M2, M4, M8의 상위 4가지 변화유형과 하위 15가지 세부유형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역사적 도시형태 중 불규칙하고 조밀하며 영세한 형태가 남겨졌음을 확인하였고 이렇게 남겨진 역사흔적과 차량도로 정비, 대규모 합병개발, 길, 필지, 건물이 새로 생성된 재개발 등에 의해 변한 형태가 이질적 변화정도에 따라 구분되어 보여졌다. 이를 토대로 역사적 도시형태의 계획관리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대규모 길과 건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이질적 변화과정을 통해 역사적 도시형태가 지닌 길, 필지, 건물의 구성체계와 필지의 중요성을 보여 주었다. 이 논문에서 역사적 도시형태의 변화정도에 의해 정의된 도시형태 변화유형과 특성은 역사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도시재생과 계획관리를 위한 토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urban form changes in the city center of Seoul since 1912. This study establishes a typological framework, measuring the changes degrees of changes in the historical urban forms. The typological framework consists of the measurement standards on the degrees of changes (organic/heterogeneous and gradual/radical) with three elements (streets, lots and buildings) and their integrated typological matrix (the major 8 type and the sub 64 types). Based on this typological framework, the degrees of urban form changes were measured by using GIS. As results, the prevailing types were 4 major ones. Type M1 retains almost unchanged streets, lots and buildings; Type M2 has changed buildings; Type M4 has changed lots and buildings; and Type M8 changed all three elements. The 4 Types are articulated to have 15 sub types. While the historical urban forms remained in small, dense and irregular forms collectively within blocks, the heterogeneous changes occurred by large merges of lots, widen or constructed roads, and redevelopments. With these changes, historical urban complexities of streets, lots and buildings were transformed into wide roads and huge buildings, which resulted in centered urban formation. These identified types and their characteristics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vitalization and planning management.

      • KCI등재

        서울 도심부 변화를 바라보는 시민의 인식 - 민선시기 20대사업에 대한 정체성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

        정석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2010 서울학연구 Vol.- No.41

        Downtown area in Seoul has gone through a lot of changes during the last 15 years of local autonomy. Cheonggye-cheon has been restored, and City Hall plaza occupied by cars became pedestrian plaza. Redevelopment projects are still in progress. Dongdaemun stadium was torn down and Dongdaemun Design Plaza(DDP) is under construction. Some of the car-oriented streets have been transformed into carfree streets, and pedestrian crosswalks have been restored on Sejong-no intersection where there were only underpass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citizen’s perception and the diversity in perception by surveying and analyzing how citizens view the physical changes in downtown Seoul during the last 15 years of local autonomy. 20 major downtown projects implemented in the era of local autonomy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66 people including 200 ordinary citizen and 66 in special groups such as native Seoulites, foreigners, NGO activists, professionals, officials and councilors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analyzed respondents’ level of awareness and satisfaction. Respondents’ perception on the downtown projects’ contribution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eoul and to the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was also analyzed. The analysis shows the following findings: 1) Citizen’s evaluations on 20 major projects were quite different. Cheonggyecheon restoration and transit-oriented policy were highly evaluated. The projects on historic conservation and improvements of pedestrian environment received positive evaluation regarding satisfaction and contribution.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new city hall, downtown redevelopment projects and DDP, on the other hand, got a negative evaluation. 2) Citizen’s perception on the physical changes in downtown Seoul is quit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pondents’ social position. Ordinary citizens and foreigners showed similar perception that they remained neutral about the changes in downtown. Native Seoulites, NGO activists and professionals showed critical perception while government officials and city councilors showed very positive attitudes on most downtown projects. Based on these findings, here is a summary of the possible implications on downtown policy; to strengthen historic conservation policy, to change transportation policy from car-oriented to pedestrian and transit-oriented, and to reconsider 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projects in downtown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