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 공급사슬을 위한 객체지향 시뮬레이션 모델링

        문종혁,이영해,조동원,Moon, Jong-Hyuk,Lee, Young-Hae,Cho, Dong-Wo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2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1 No.1

        Recentl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service supply chain because the economy moves from manufacturing to services. However, most of existing supply chain research focuses exclusively on the manufacturing sector.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needs to investigate and analyze service supply chain. Simulation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techniques for analysis and design of complex system. Service supply chain is complex and large systems that require an accurate designing phase. Especially, it is important to examine closely the dynamically interactive behavior of the different service supply chain components in order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servcie supply chain. In this paper, we develop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supply chain. Then, we present a new procedure to develop simulation model for the developed conceptual model of service supply chain, based on the UML analysis and design tools and on the ARENA simulation language. The two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procedure are the definition of a systematic procedure to design service supply chain and of a set of rules for the conceptual model translation in an ARENA simulation language. The goal is to improve the knowledge on service supply chain management and support the simulation model development efficiency on service supply chain. 최근 경제는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서비스 공급사슬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공급사슬과 관련된 기존연구의 대부분은 제조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서비스 공급사슬을 조사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시뮬레이션은 복잡한 시스템을 분석하고 설계하는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법 중에 하나이다. 서비스 공급사슬은정교한 설계 단계가 필요한 복잡하고 거대한 시스템이다. 특히, 서비스 공급사슬의 성과를 예측하기 위해서 서비스 공급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 사이의 동적인 상호작용의 행위를 밀접하게 조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서비스공급사슬의 개념적 모델이 개발된다. 다음으로 개발된 서비스 공급사슬의 개념적 모델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하기위한 새로운 절차를 제시한다. 시뮬레이션 모델링의 절차는 UML 분석과 설계 도구를 이용하며 ARENA 시뮬레이션 언어로 구현된다. 제안된 절차의 두 가지 주요한 특성은 서비스 공급사슬을 설계하는데 체계적인 절차의 정의와 또한 ARENA 시뮬레이션 언어로 개념적 모델의 변환에 대한 규칙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비스 공급사슬의 지식을 개선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공급사슬 시뮬레이션 모델의 개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 KCI등재

        서비스 공급사슬에서 공급자의 비합리성을 고려한 소매상의 의사결정과 공급사슬 성과에 관한 연구

        장몽접(Meng die Zhang),서용원(Yong Won Seo) 한국생산관리학회 2016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7 No.2

        정보기술의 발달로 소셜커머스 등 서비스 재판매가 활성화되고 있다. 다수의 서비스 공급자를 대상으로 하여 가격과 구매량을 협상하고 서비스 상품을 재판매해야 하는 소셜커머스 등에게 있어서는 서비스 공급자의 의사결정을 고려하여 서비스 공급자에게 가격을 제시하는 것이 수익성에 민감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결정으로 대두된다. 최근 행동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반드시 합리적인 최적의사결정을 따르지는 않는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어, 소매상의 가격 의사결정에 서비스 공급자의 비합리성을 고려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으나, 기존의 비합리적 공급사슬 의사결정 관한 연구는 주로 물리적 제품의 유통환경의 소매상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급 용량이 제한되어 있는 서비스 상품을 공급하는 서비스공급자와 이를 일괄 구매하여 할인 재판매하는 소셜커머스업체 등의 서비스 재판매자로 구성된 공급사슬을 대상으로 하여 서비스 공급자의 비합리성을 고려한 서비스 재판매자의 최적 가격결정을 위한 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비스 공급자의 비합리성에 입각한 주관적 이익함수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모형화하고 공급사슬 성과를 분석하였으며, 수치 예제를 통하여 공급자의 비합리성 수준에 따른 가격 및 거래량 의사결정과 각 참여자 및 공급사슬의 이익의 변화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실용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급자의 비합리성에 따라 소매상의 최적 제시 가격은 낮아지며, 이 결과로 소매상은 추가적 이익을, 공급자는 이익의 감소를 입게 된다는 점을 보였다. 둘째, 공급자는 비합리성의 증가에 따라 서비스 상품의 공급 후 잔여량이 평균수요에 수렴하는 잔여량 평균수렴효과를 나타내게 된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셋째로, 이러한 공급자 비합리성이 공급사슬의 소매상 및 공급자의 이익과 공급사슬 전체 이익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수준에 달할 수 있어, 공급사슬 성과의 분석에 공급자의 비합리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recent proliferation of online service retailers such as social commerce platforms require the systematic analysis of price and quantity decisions among service suppliers and service retailer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s profits. Although progress in the behavioral operations management area suggests that the irrationality of service suppliers need to be considered in decision models, most of the related research is focused on the retailer’s decisions for physical product supply chains.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tailer’s price decisions and the supplier’s quantity decisions for service supply chains where the service supplier has a bounded supply. The decision models and profit functions are derived from the subjective profit function of the service supplier, upon which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is analyzed. We show that a pull-to-center effect exists on the unallocated service capacity of the service supplier. The analytical results provide interesting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ailer’s pricing decision. Firstly, each member’s change in profit was influenced by the supplier’s irrationality levels. In addition, the supply chain’s performance was shown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rrationality level, implying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suppliers’ irrationality when analyzing the service supply chain.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라스트마일 배송산업 공급사슬구조의 탐색적 연구

        김윤진,김용정 한국물류학회 2022 물류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에서는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을 중심에 두고 전⋅후방 산업연계구조를 분석한다. 연구방법으로 산업연관분석(Inter-industry Analysis)의 산업연쇄효과(Industrial Linkage Effect)를 이용하여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의 생산유발효과(Production Inducement Effects)와 산업시너지효과(Industrial Synergy Effects)의 유무와 그 정도를 확인한다. 또한 식별된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의 전⋅후방 산업연계구조를 공급사슬의 개념과 연결하여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을 중심으로 하는 서비스 공급사슬(Service Supply Chain)구조를 확인한다. 분석결과,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의 후방연쇄효과는 1.08, 전방연쇄효과는 0.70이었다.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은 상대적으로 전방연쇄효과가 낮았다.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은 석유제품 제조업과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이 후방산업이고 도소매 유통업이 전방산업인 것이 명확해 보인다. 따라서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은 공급사슬 상의 공급업, 제조업, 유통업의 관계를 이어주는, 즉 산업과 산업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도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제조중심의 공급사슬구조와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의공급사슬구조는 공급사슬 구성원의 유형과 관계의 방향성에 있어서 현저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스트마일 배송산업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공급라인(후방산업, 상류)은 제조업, 서비스업 그리고 서비스전달라인(전방산업, 하류)은 서비스업의 구조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술적으로는 기존 제조 중심의 전통적인 공급사슬의 개념을 서비스로 확장하여 라스트마일 배송산업 공급사슬의 산업구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서비스 공급사슬구조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산업연관분석에 의한전⋅후방 산업구조를 서비스 공급사슬의 개념과 연결한 부분은 차별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다양한 서비스 산업에 준용한다면 해당 서비스산업의 공급사슬구조를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으로는 이러한 전⋅후방연쇄효과를 활용하면 한정된재원으로 국가의 정책적 육성 산업을 선택할 경우, 투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공급사슬 파트너십에서 물류서비스 품질 요소의 중요도 지각 차이 비교

        박민숙 대한경영정보학회 2011 경영과 정보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경쟁심화와 고객서비스 욕구의 다양화로 인해 물류서비스 품질 및 공급사슬 관리에 관한 연구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물류서비스 품질 요소에 대한 공급사슬 파트너십의 구성원들의 지각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공급사슬 내에서 공급자와 수송업자, 구매자가 중요하게 판단하는 물류서비 스 품질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공급사슬 내의 공급자, 수송업자, 구매자가 중요하게 평가하는 물류서비스 품질 요소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급사슬 파트너십에서 시장지향성과 장기지향성이 높 은 공급자와 낮은 공급자간에 중요도 차이 지각을 비교한 결과, 시장지향성과 장 기지향성이 낮은 경우에는 대부분의 항목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 면, 높은 경우에는 상호작용성에 대부분의 집단 간에 중요도 평가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급사슬네트워크에서 공급자의 서비스품질 측정에 관한 연구

        이정호(Lee Joung ho) 한국물류학회 2017 물류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공급사슬네트워크에서 공급자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문헌적 공백을 메우는 시도로서 제조업체의 전략적 시각에서 공급자에 대한 서비스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기반적 구조를 밝힌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공급사슬네트워크에서 전방의 고객에 대한 서비스품질과는 차별되는 후방의 공급자의 서비스품질을 개념화한 후, 이로부터 제조업체에 대한 공급자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주요 속성들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무작위적으로 추출된 제조업체들로부터 수집된 설문응답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업체에 대한 공급자의 서비스품질은 서비스 신뢰성, 서비스 능력, 의사소통, 서비스 유연성, 재무적 신뢰, 업무환경에 의해 반영되는 2차 다차원 변수라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급사슬네트워크에서 서비스품질 전략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한편, 서비스품질의 측면에서 공급사슬네트워크의 성과관리에 관한 제조업체 또는 공급자의 이해를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of supplier through the measurement of service quality of manufacturer executing the supply chain network to the supplier, and then is to enhance the management quality strategy of business producing product or service through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of such a supplier. For this, this study proposes the service quality measurement model of supplier in order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supplier, then it is applied as an object of domestic manufacturer and its empirical analysis is made, and actually the item of service quality being deemed to be important in the relationship with supplier is derived. Through such a study like this a new possibility of service quality strategy in the supply chain network can be proposed, and the improved service quality of supplier causes to make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ment result of manufacturer, accordingly the alternative for profit creation can be proposed through the corporate quality strategy.

      • KCI등재

        A conceptional framework for the strategic application of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Park Jeong-Ah(박정아) 대한관광경영학회 2007 觀光硏究 Vol.22 No.3

        공급사슬관리는 제조업과 기업의 가치사슬에서 폭넓게 적용되어왔다. 오늘날 이 공급사슬 관리는 서비스산업의 경영에 있어서 전략적 경영 기법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환대산업 또한 서비스산업의 중요한 요소이다. 즉, 원자재나 서비스재료의 흐름, 정보의 흐름, 부서 간 통합 및 사업 단위 간 혹은 사업 단위 내의 통합에 있어서 공급사슬관리는 경영 전략으로서 뿐만 아니라 환대산업 특히 관광산업의 핵심적인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공급사슬 관리에 대한 적용은 물론 이론적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대산업에 있어서 공급사슬관리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여 적용 가능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이론적 모델을 위한 연구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위한 문헌연구와 변수의 개발을 통해 향후 실증연구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환대산업부문에서의 전략적 적용의 모델개발은 환대산업의 경영이론을 개발하여 발전시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관리의 배경변수로서는 정보기술, 파트너십, 로지스틱 통합 등을 들 수 있으며, 서비스경영 변수로서는 JIT, 품질경영, 아웃소싱 등을, 그리고 경영성과변수로는 경쟁력의 학보, 대고객서비스성과, 사업성과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모델을 통하여 이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환대산업의 경영자들에서 효과적인 공급사슬관리에 통해 서비스를 성과를 높여 기업의 경영성과로 이어짐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가 더욱 환대산업에서의 또 다른 가치 경영의 전략으로 폭넓게 사용되어지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자료 수집을 통한 실증분석이 향후 연구에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have been widely applied beyond manufacturing firms and their value chains. Increasingly,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are extended as a strategic initiative to service management. Hospitality industries have the elements of supply value chain. They have the critical components of supply chains in terms of material flows, information flows, cross?functional integration and intrabusiness coordination and inter?business processes integr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del that indicates how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are strategically applied in hospitality industries??hotel industry in particular. This paper also addresses how key supply chain practices need to be modified to be applicable in hospitality industry. This paper addresses how supply chain practices can make differences in strategic performance enhancement effort. Management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A Goal Programming Model for Logistics Network Decisions Considering Service Factors

        김상원(Kim, Sang-Wo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경영연구 Vol.28 No.4

        공급사슬관리는 공급사슬 내에서 수행되는 총체적인 활동을 의미하며, 공급사슬설계는 공급사슬관리의 구체적인 활동내용으로 공급사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필요불가결한 역할을 한다. 로지스틱스 네트워크 결정은 공급사슬설계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다. 기존의 많은 로지스틱스 네트워크 결정과 관련된 최적화 모형 연구에서는 비용 최적화 또는 수익 극대화만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의 글로벌 비즈니스 경쟁은 좀 더 현실적인 면을 반영하는 로지스틱스 네트워크 설계 및 결정(기법)을 요구하며 로지스틱스 네트워크가 성공적으로 설계되려면 고객의 서비스와 같은 성과 측정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서비스 성과 측정요소로 운송시간의 신뢰도, 운송 제품의 비결함에 대한 신뢰도, 정상운송/긴급운송에 대한 유연성, 총비용을 고려하는 로지스틱스 네트워크결정을 위한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가 기존의 연구와 다른 점 및 기여점은 이러한 서비스요소를 포함하는 동시에 목표계획법과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수학적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비선제권 목표계획법을 이용하는 수학적 모형과 수치예제를 제시한다. Supply chain management is integrated efforts and activities for a supply chain and supply chain design can be a critical factor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upply chain. Logistics network decisions are an essential part of supply chain design. Many traditional optimization models for logistics network decisions are based mainly on cost minimization. However, today’s global competitiveness requires a more realistic logistics network decisions which employ integrated performance measures e.g. cost, quality, service etc.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optimization model for logistics network decisions considering not only cost but also service factors as performance measure, where the service factors are reliability of delivery time, reliability of physical condition of products, flexibility of normal/urgent deliveries. The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we consider the service factors and use goal programming approach for the conflicting goals plus analytical hierarchical process for estimating weights. A non-linear, non preemptive, goal programming formulation is proposed with numerical examples.

      • KCI등재

        연구논문 : 환대산업을 위한 SCM 전략적 적용에 대한 개념적 틀 연구

        박정아 대한관광경영학회 2007 觀光硏究 Vol.22 No.3

        공급사슬관리는 제조업과 기업의 가치사슬에서 폭넓게 적용되어왔다. 오늘날 이 공급사슬관리는 서비스산업의 경영에 있어서 전략적 경영 기법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환대산업 또한 서비스산업의 중요한 요소이다. 즉, 원자재나 서비스재료의 흐름, 정보의 흐름, 부서 간 통합 및 사업 단위 간 혹은 사업 단위 내의 통합에 있어서 공급사슬관리는 경영 전략으로서 뿐만 아니라 환대산업 특히 관광산업의 핵심적인 요소인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적용은 물론 이론적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대산업에 있어서 공급사슬관리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여 적용 가능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이론적 모델을 위한 연구문제를 개발하고 이를 위한 문헌연구와 변수의 개발을 통해 향후 실증연구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공급사슬관리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환대산업부문에서의 전략적 적용의 모델개발은 환대산업의 경영이론을 개발하여 발전시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급사슬관리의 배경변수로서는 정보기술, 파트너십, 로지스틱 통합 등을 들 수 있으며, 서비스경영 변수로서는 JIT, 품질경영, 아웃소싱 등을, 그리고 경영성과변수로는 경쟁력의 학보, 대고객서비스성과, 사업성과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이론적 모델을 통하여 이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환대산업의 경영자들에서 효과적인 공급사슬관리에 통해 서비스를 성과를 높여 기업의 경영성과로 이어짐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연구가 더욱 환대산업에서의 또 다른 가치경영의 전략으로 폭넓게 사용되어지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자료 수집을 통한 실증분석이 향후 연구에서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have been widely applied beyond manufacturing firms and their value chains. Increasingly,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are extended as a strategic initiative to service management. Hospitality industries have the elements of supply value chain. They have the critical components of supply chains in terms of material flows, information flows, cross functional integration and intra business coordination and inter business processes integrati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del that indicates how supply chain management practices are strategically applied in hospitality industries hotel industry in particular. This paper also addresses how key supply chain practices need to be modified to be applicable in hospitality industry. This paper addresses how supply chain practices can make differences in strategic performance enhancement effort. Management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The Effect of Information Service Quality of Container Shipping Company on BSC Supply Chain Performance -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Satisfaction

        노진호(Jin-Ho Noh),이길남(Kil-Nam Lee) 한국국제상학회 2019 國際商學 Vol.34 No.4

        해운산업은 4차 산업혁명의 변화적 흐름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과거 해운산업의 성공요인이 선박, 화주, 화물 물동량의 확보라면, 현재는 4차 산업혁명기술을 통한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과 서비스의 효율성 증대가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컨테이너 선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중 4차 산업혁명과 가장 연관된 정보서비스의 품질이 서비스 이용자의 BSC 공급사슬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사이에 정보만족도의 매개효과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컨테이너 선사의 정보서비스 품질의 신뢰성과 반응성 모두 정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BSC 공급사슬성과에는 신뢰성의 경우 고객 관점과 재무적 관점, 반응성의 경우 고객 관점과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에만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정보만족도는 BSC 공급사슬성과 중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과 재무적 관점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에서는 컨테이너 선사의 정보서비스 품질의 반응성만이 정보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점과 재무적 관점의 BSC 공급사슬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다시 말하면 컨테이너 선사의 정보제공의 반응성에 따라 이용자의 만족도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공급사슬성과로서 시간단축, 유연한 대응, 단위비용 절감, 수익마진, 현금흐름의 유동성 등이 확보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컨테이너 선사의 정보서비스 제공의 변화가 필수적일 것이다. Purpose : It aims to analyze the effect for the information service quality of container shipping company on the performance of BSC Supply Chain Performance of Service User, the mediation effect of Information Satisfaction between two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questionnaire analysis has been implemented targeting the manufacturing and logistics enterprise registered in the Integrated Logistics Association and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The Demographic, Feasibility and Reliability Analysis have been implemented utilizing IBM SPSS 25.0; the test hypothesis has been implemented by build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tilizing the SmartPLS. Results : First, even though the reliability and the reactivity of Information Service Quality of Container Shipping Company all appeared to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formation Satisfaction, the significant result has been drawn from the client viewpoint, the financial viewpoint in case of reliability in the BSC Supply Chain Performance and from the client viewpoint and the business process viewpoint only in case of reactivity.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atisfaction appeared significant in the business process viewpoint and financial viewpoint only out of BSC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reactivity only of information service quality of container shipping company has been drawn to have the significant effect in the BSC Supply Chain Performance of business process viewpoint and financial viewpoint by mediation of Information Satisfaction in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of Information Satisfaction. Conclusions : The satisfaction of user increases according to the reactivity of information provision of container shipping company, time reduction, flexible response, unit cost reduction, profit margin, liquidity of cash flow, etc. appeared to be secured. Accordingly, the change for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service of container shipping company utilizing the technology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future would be essential.

      • 서비스 SCM의 현황과 향후 연구방향

        안성화,이영해 대한산업공학회 2009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5

        세계 경제의 산업구조가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서비스 산업의 중요성이 날로 커져가고 있으며 이는 정보통신 발달에 힘입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산업구조의 변화를 반영하여 최근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심이 증가하였지만 아직 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특히 기존에 기업의 경쟁우위 달성을 위해 필수요소로 인식되었던 공급사슬관리(SCM)에 대한 연구는 제조업 중심으로 되어 있어 서비스업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서비스 공급사슬관리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을 기초로 기존 공급사슬관리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며 지금까지 실시된 서비스 공급사슬관리 연구를 정리하여 앞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