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기 안병무가 바라본 서구신학의 빛과 그림자

        전철(Chun Chul)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1 신학사상 Vol.0 No.152

        이 연구는 심원 안병무(心園 安炳皮, 1922. 6. 23~1996. 10. 19)의 민중신학 형성의 사상적 동기와 발생과정의 해명을 구체적인 목표로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안병무의 전 시기에서 1952년부터 1965년까지의 시기를 그의 사상의 초기 시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에 있어서 그의 사상적 변화를 추적한다. 안병무의 민중신학은 반신학의 성격을 지닌다. 그 성격의 뿌리에는 서구신학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통한 한계와 비판이 매복되어 있다. 이 연구는 안병무의 초기 사상의 시기에 그 자신이 서구신학과 교화를 어떻게 이해하였고 비판하였는지를 분석한다. 안병무가 지적한 서구신학과 서구교회의 그림자는 다음의 두 가지이다: 1) 국가 권력과 결탁된 기독교 교회 2) 그레꼬로만 사유로 변질된 기독교 신학이다. 이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그가 바라보았던 서구신학에 대한 4가지 문제점을 분석한다. 이를 통하여 안병무가 1956년 독일로 떠났을 때 가졌던 분명한 목적, 즉 예수를 학문적으로 밝히는 과제와 구라파 교회의 실력을 가늠하는 과제가 어떻게 수행되었는지를 발생사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안병무의 민중신학의 사유 형성과 발전에 초기 안병무(1951-1965)의 서구신학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기여되는지를 선명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Ahn Byung-Mus (23.6.1922-19.10.1996) Minjung-Theologie kann als Anti-Theologie bezeichnet werden. Er studierte von 1956 bis 1965 Theologie in Heidelberg und promovierte zum Thema Das Verständnis der Liebe bei Kung-tse und bei Jesus. Obwohl er in Europa Theologie studierte, ist Ahn sehr skeptisch gegenüber westliche Theologie, weshalb Ahn Byung Mus Minjung-Theologie als Kritik an der westlichen Theologie gesehen werden kann. Nach Ahn Byung Mus Ansicht liegt die große Differenz zwischen westlicher Theologie und Minjung-Theologie in ihrem unterschiedlichen Verständnis von der Aufgabe der Theologie. Seine Kritik an westlicher Theologie zielt daher auf die wahre Suche nach Bedeutung und Ursprung der Theologie. Für Ahn Byung-Mu liegt eine Aufgabe der Theologie in der kritischen Rekonstruktion der Wirklichkeit im Hinblick auf die biblisch-christliche Uberlieferung. Er sieht eine Schwäche der westlichen Theologie darin, dass sie durch griechisch-römisches Denken verschlechtert wurde. Aus diesem Verständnis heraus erwächst als ein zentrales Anliegen in Ahn Byung-Mus früher Minjung-Theologie der Wunsch, eine Anti-Theologie zu entwickeln. Der vorliegende Aufsatz hat zum Ziel, Licht und Schatten der west1ichen Theologie in der Wahrnehmug des frühen Ahn ByungMu im Hinblick auf seine Erfahrungen mit der Theologie in Europa zu untersuchen. Dadurch so11 diese Untersuchung Klarheit darüber schaffen, wie Ahn Byung Mus gedankliche Entwicklung der Minjung-Theologie bereits-in seiner frühen Zeit (1951-1965) grundgelegt wa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안목으로 바라 본 실제적인 설교 작성법 계발 - 한국교회를 위한 탁구대 설교 작성법 -

        전태경 ( Jun Tae Kyu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8 생명과 말씀 Vol.21 No.-

        본 논문의 목적은‘오직 성경’(Sola Scriptura) 중심인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설교를 향한 실제적인 설교 작성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한국교회 강단에 적합한 표준적인 설교 작성법이 세워지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설교자들이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설교로 진일보할 수 있도록 한국교회를 위한 탁구대 설교 작성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필자는 우선, 서구적 관점의 설교 작성법과 한국형 설교 작성법의 두 가지 측면을 비교 분석하며 논문을 전개할 것이다. 첫째로는, 서구적 관점의 설교 작성법인 그레이다누스의 10단계 설교 작성법, 로빈슨의 강해설교 작성법, 또한 리차드의 7단계 설교 작성법, 알렌의 설교 패턴과 퀵의 설교 전방위 설교 과정, 맥딜의 강해설교를 위한 12가지 필수 과정, 윌슨의‘네 페이지 설교’의 설교 작성법 등을 제시 및 분석할 것이다. 이와 같은 대표적인 설교 작성법들은 이미 한국교회 뿐 아니라 전 세계 설교의 표준이 될 정도로 검증된 훌륭한 설교 작성법들이다. 필자의 한국교회를 위한 탁구대 설교 작성법도 이들의 설교학적 연구를 따랐으며 깊은 영향을 받았음을 밝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의 공통점은 서구적 관점과 서구권 설교 문화의 영역으로부터 시작된 설교학적 연구에서 비롯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많은 한국교회 설교자들이 이와 같은 서구적 관점의 설교 작성법들을 연구한 후, 자신의 설교 현장에 직접 적용하며 접목시키는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마치 멋진 이론과 실제가 다른 것처럼 말이다. 이로 인해 여전히 한국교회 설교자들은 어떤 정해진 표준적인 설교 작성법을 따르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여기저기에서 설교 작성의 좋은 장점만을 끌어다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설교의 순발력과 기술은 늘지 모르지만, 지속적인 설교의 발전과 설교의 깊이와 영향력은 점점 바닥을 드러내며 고갈된다. 그 결과, 교회 강단에서 설교자의 주장과 의견이 많아지게 되며, 오직 성장만을 위한 인기 위주의 소비중심적-인간중심적인 설교 또는 도덕주의적 설교로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필자는 이러한 한국교회의 특수성과 차이를 감안하여 실천 가능한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설교 작성법(탁구대 설교 작성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또한 서구적 관점의 설교 작성법을 수용하고 조금 더 발전시킨 설교 작성법이다. 그럼에도 필자는 이 설교 작성법을 통해 한국교회 강단에 생명의 복음이 회복되기를 소망한다. 마치 탁구 선수가 모든 힘을 다해 스매싱하여 작은 탁구공이 힘차게 왼쪽, 오른쪽으로 생명력 있게 날아오르듯, 차가워 져버린 개혁주의 신학이, 영적인 생명력을 회복하고, 설교자와 청중의 삶에서 생명력 있는 삶을 실천할 수 있는‘개혁주의생명신학적 설교’로 자라나기를 소망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lies in suggesting a practical method of sermon towards a Reformed Life-theological sermon which is centered on the ‘Sola Scriptura. ’I wish that this article would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adequate and standard homiletic method in the pulpits of Korean churches. In this article, I will suggest a concrete way of drafting a Ping-pong Table Sermon Method for Korean churches. In doing this, my purpose lies in helping the preachers to enhance their sermons into a Reformed Life-theological ones. In order to establish the method, firstly I will compare and analyse the ways of sermon-making in the Western perspective and Korean one. First of all, I will explain and analyse various Western approaches of sermon-making, such as Greidanus’s ten-step approach and Robinson’s expository sermon making, Richard’s seven-step approach, Allen’s sermon pattern and Quick’s 360 degree sermon process, McDeal’s twelve essential processes for expository preaching, and Wilson’s ‘four page sermon method.’ Such representative sermon-making methods have already been proven to be a world-standard for preaching and also in Korean churches. I also followed and have been deeply influenced by their homiletic insights in constructing the Ping-pong Table sermon-making method. Nevertheless, it cannot be denied that all of their approaches originated from the Western point of view and from the Western culture of homiletics. In other words, many Korean pr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or limitations when they try to apply such Western approaches into their own fields after studying these methods. It is like there is a gap between a fine theory and the real situations. Due to this problem, a lot of Korean preachers still tend to choose some good points here and there depending upon their situations, rather than following some standard ways of making sermons. For these reasons, while they might be able to increase homiletic techniques and agility, they fail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ir sermons. The depth and influence of their sermons gradually become exhausted. As a result, the preachers’ own arguments and opinions gradually occupy more time at the pulpit, and their sermons become degraded into a consumer-focused and human-centered ones, which aim only at church growth and popularity, or a moralistic ones. Therefore, considering these peculiarities and differences of Korean churches, I want to suggest a practicable method of Reformed Life-theological sermon-making (Ping-pong Table sermon method). This method is also one which adopts and develops the western perspective of sermon-making, but I hope that the Korean pulpits could restore the Gospel of Life by virtue of this method. When a ping-pong player smashes a small ball with all his might, it vigorously storms upward right and left. In a similar way, while the Reformed theology is growing cold and inanimate in the present situation, I hope that it might restore spiritual energy by virtue of this method; I wish that the preachers could deliver ‘the Reformed Life-theological sermons’ which might encourage a living faith in the lives of the preachers themselves and their audiences.

      • KCI등재

        상호문화철학과 자신학화(self-theologizing)

        주광순 대동철학회 2021 大同哲學 Vol.94 No.-

        이 글은 자신학화(self-theologizing)를 상호문화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한국의 보수적 선교학계에서 서구 신학의 전통을 벗어나서 스스로 신학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것이 자신학화이다. 한국 교회가 급속히 성장 하기는 했지만 그 신학은 서구 신학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은 신학적 식민주의이 다. 이런 처지를 벗어나기 위해서 히버트는 자신학화를 요청한다. 이것은 상호문화철학의 노력과 많이 유사하다. 왜냐하면 그것은 한편에서 서구 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자신의 상황 하에서 주체적으로 신학하려는 노력임과 동시에 다른 한편 극단적인 문화상대주의도 비판 하여 기독교를 사회적 유용성에 의해서만 평가하지 않고 그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하 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자신학화가 신학을 상황화하지만 종교다원주의나 문화상대주의 는 반대한다. 상호문화철학적으로 볼 때 자신학화는 강자의 중심주의인 서구 중심주의 비판이면서도 약자의 중심주의인 민족주의 비판이기도 하다. 또한 그것은 식민 제국주의의 단일문화주 의에 반대하면서도 민족주의의 단일문화주의도 비판한다. 자신학화가 한쪽 극단인 경직된 절대주의인 비상황화(non-contextualization)와 다른 극단인 상대주의인 무비판적 상황 화를 모두 피하는 비판적 상황화이다. 이것도 역시 상호문화철학과 같은 생각이다. 비판적 상황화는 결국 초문화 신학을 목표로 한다. 초문화 신학은 개별 신학들이 자기 문화의 상 황 속에서 신학하는 것은 허용하면서도 문화적 다양성과 특수성을 초월해서 신학하려는 노력이다. 이것은 상호문화철학이 온건한 상대주의는 긍정하지만 보편을 지향하는 것과 일치한다. 다만 보편적인 초문화 신학의 실현 가능성은 의심스럽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ritically examine self-theologiz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In the conservative missionary world in Korea, the need to study theology on its own outside the tradition of Western theology is emerging. It is self-theologizing. Although the Korean church has grown rapidly, its theology has not separated from Western theology. This is theological colonialism.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situation, Hebert asks for self-theologizing. This is very similar to the effort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This is because, on the one hand, it is an effort to criticize Western-centrism and theologize subjectively under one s own circumstances, and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an effort to criticize extreme cultural relativism, trying to maintain its identity without evaluating Christianity only by its social usefulness. In other words, selftheologizing contextualizes theology, but opposes religious pluralism or cultural relativism. In term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self-theologizing means a criticism of Western-centrism, which is the centrism of the strong, and nationalism, which is the centrism of the weak. It also opposes the monoculturalism of colonial imperialism and criticizes the monoculturalism of nationalism. Selftheologizing is a critical contextualization that avoids both non-contextualization, which is rigid absolutism, which is one extreme, and uncritical contextualization, which is relativism, which is the other. This is also the same idea as intercultural philosophy. Critical contextualization ultimately aims at transcultural theology. Transcultural theology is an effort to transcend cultural diversity and specificity while allowing individual theology to theologize in the context of their own culture. This is consistent with intercultural philosophy affirming moderate relativism but aiming for universality. However,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universal transcultural theology is doubtful.

      • KCI등재

        自强期 新舊學論의 新學과 格物致知學에 관한 연구

        박정심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8 No.-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covered by major journals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1894-1901) were fully dealing with a number of modern issues facing then contemporary people such as dissolution of the Confucianism – the old-fashioned ideology, achievement of modern civilization in the modern time and environment symbolized by watch and railroad and historical issues related to recovering national sovereignty.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were based on New Studies, which emerged as a new paradigm to explain the modern life styles and thought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based on New Studies was the modern ‘discoveries by science’. Unlike Neo-Confucianism intended to learn and understand the law of nature (天理體認), New Studies focused on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knowledge to realize civilization through scientific study of natural law. The achievement of civiliz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considered to be the only way to survive.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were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stemmed from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lthough the modern Western science including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was thought to be true and objective knowledge, they were, in fact, nothing but an ideology focused on Western ideas. The most fundamental problems of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affected by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could be summarized by two aspects. The first was the opportunities to discover ways other than the path to the civilization presented by the West were severely limited by accepting the idea of Western oriented perception as the academic truth and the other was it was impossible to acquire the justification to criticize the invasion of Western imperialism. Many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sisted that achieving a civilized society through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ba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was the most crucial and urgent matter; however, such ideas were constrained in the theories biased for evolution of civilization, so that they had caused the thoughts that invasion of imperialism also would give them benefits of Western civilization as a result. 自强期(1894-1910) 주요 학술지에서 다뤄졌던 新舊學論은 전근대적 이데올로기였던 유학의 해체, 시계와 철도로 표상되는 근대적 시공간 속에서 근대적 문명화를 구현하는 것, 그리고 국권회복이라는 역사적 문제까지, 당시 직면하고 있던 근대적 삶의 문제를 오롯이 담고 있었다. 新舊學論은 新學 수용을 전제로 했는데, 신학은 근대적 삶의 양식과 사유를 해명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었다. 신구학론의 신학수용론이 가장 큰 특징은 근대적 ‘과학의 발견’이었다. 성리학이 天理體認을 목표로 삼았던 것과는 달리 자연법칙에 관한 과학적 탐구[格物致知學]를 통해 문명화를 실현할 수 있는 과학기술을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과학기술 발전을 통한 문명화만이 유일한 생존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신구학론은 사회진화론적인 현실인식에 기반한 것으로, 사회진화론적 현실인식에 따른 신학수용론이 지닌 근본적인 문제는 서구중심적 세계인식을 곧 학문적 진리로 수용함으로써 서구적 문명화 이외의 길을 발견할 기회를 차단했다는 점과 열강의 제국주의적 침략을 비판할 수 있는 정당성을 확보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당시 지식인들이 사회진화론에 근거하여 신학수용을 통한 문명국의 실현을 時務라고 주장했지만, 단선적인 문명발전론에 얽매여 제국주의 침략 또한 문명의 시혜가 되기 때문이었다. 신구학론이 한국철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이유는 신구학론이 바로 전근대와 전혀다른 지금 여기 있는 한국인의 정체성이 형성에 있기 때문이다. 신구학론은 유학과 서구 근대학문의 관계맺음을 묻는 담론이었지만, 그것은 근대적 자연관과 인간관의 정립문제이기도 하였다. 신구학론이 담고 있는 사유를 성찰하는 이유는 지금 여기 있는 한국인의 정체성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지구화와 기독교 선교

        홍기영 ( Ki Young Ho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2 복음과 선교 Vol.17 No.-

        본 연구는 오늘날 교회가 지구화 시대를 맞이하여 기독교의 지구화가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지구화의 물결을 타고 기독교의 유일한 복음을 다양한 문화적 상황속에서 어떻게 전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최대 전도명령을 따라 전세계 도처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적 교회를 세우며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해야 할 사명을 가진다. 지구화는 사실 교회의 탄생과 더불어 시작되었다고 볼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빠른 속도의 지구화는 인터넷에 기초한 상호연결성에 의해 실현되었다. 지구화와 더불어 그리스도의 교회는 무엇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까? 첫째, 기독교는 지구화를 분명하게 정의하여야 한다. 기독교의 지구화는 성서적으로 그리고 신학적으로 분명히 규명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구화의 목표와 개념을 분명하게 정의해야 한다. 둘째, 기독교는 타문화권적으로 예수그리스도의 지상명령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지구화와 토착화 사이에서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기독교 선교는 건강한 교회를 추구하는 토착화와 교회를 확장하려는 지구화 사이에서 조화와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셋째, 기독교는 타문화권사역에 관여하며서 구선교사들과의 파트너십을 발휘하고 있는 비서구 선교사들을 인정해야한다. 교회는 종교다원주의와 세속화로 말미암아 잃어져 가고 있는 서구를 살리기 위하여역선교를 수행해야 한다. 넷째, 기독교는 더욱 효과적인 타문화권사역을 위하여 다양한 전도 방법들을 개발해야 한다. 타문화권 선교사들은 세계복음화를 위하여 인터넷을 활용하여 능숙하게 필요한 자료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기독교는 효과적인 세계복음화를 위하여 지구화의 장점과 약점을 이해하되 최대한 장점을 살려 세계복음화에 기여해야 한다. 지구화의 긍정적인 효과들은 극대화되고 약점들은 극소화되어야 한다. 교회는 지구화를 하나의 위대한 기회로 잡아야 하지만 또한 하나의 위대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야 한다. 실용주의에 기초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교회는 효과적인 타문화권 사역을 위하여 지구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진정으로 토착화 된 교회 없이는 진정한 지구적 교회도 없음을 인정해야 한다. 진정한 토착적 교회의 특징들 중 하나는 스스로 신학하는 것(self-theologizing), 즉 지방신학을 격려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 지구화와 토착화는하나님의 나라를 이땅에 세우기 위하여 하나님의 선교의 입장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민중신학의 서구신학 비판에 대한 연구 -안병무의 민중신학에서 구상된 서구신학 비판의 네 가지 테제를 중심으로

        전철 ( Chul Chun ) 한국조직신학회 2011 組織神學論叢 Vol.30 No.-

        Der starke politische, wirtschaftliche und soziale Wandel, der wahrend der 1970er Jahren in Korea stattgefunden hat, macht in der protestantischen Theologie Koreas eine noch starkere theologische Wahrnehmung Leidens notwendig. Minjungtheologie ist eine eigene Antwort auf diese gesellschaftlich-theologische Herausforderung. Der Ausdruck Minjungtheologie ist in den 1970er Jahren von sudkoreanishen Theologieprofessoren gepragt worden. Professor Ahn Byung-Mu ist einer der wichtigen Minjungtheologe. Die Wirklichkeit ist nach Ahn Byung-Mu grundsatzlich durch Leiden des Lebens gekennzeichnet. In diesem Sinne geht Minjungtheologie nicht um theologia gratia, sondern um theologia crucis. Ahn behauptet, dass die klassische theologische Vorstellung von Gott und die Gesellschaft sich in der Wirklichkeit nicht mehr getrennt beschreiben lassen. Daher wendet sich Whitehead gegen die statische Vorstellung von Gott und Gesellschaft in der klassischen theologischen Konzeption. Nach Ahn Byung-Mus Ansicht liegt die große Differenz der Methode zwischen westlicher Theologie und Minjung-Theologie in ihrem unterschiedlichen Verstandnis von der Aufgabe der Theologie. Seine Kritik an die Methode der westlichen Theologie zielt daher auf die wahre Suche nach Bedeutung und Ursprung der Theologie. Aus dieser methodologischen Originalit★t der Minjungtheologie hat sie in dem westlichen theologischen Bereich ein breites Echo gefunden. In diesem Sinne konnen wir fragen, was eigene Kritik an den westlichen Theologie ist und was eigene Methode der Minjungtheologie ist. Ahn Byung-Mus Kritik an der westlichen Theologie kann man bezuglich der Methode in vier Punkte einteilen: 1. Subject- Object Thinking; 2. Top-Down Thinking; 3. Individualis-tic Thinking; 4. Speculative Theory. Minjungtheologie schlagt ein neues Paradigma des "Minjung" auf der Basis dieser Kritik vor. Das Ziel dieses Aufsatzes besteht darin, die minjungtheologische Kritik an der westliche Theologie im Rahmen der Methologie zu untersuchen. Dieser Aufsatz will dadurch zeigen, dass diese Kritik sowohl fur eine neue minjungtheologische Orientiung als auch konkret fur eine neue theologische Uberlegung des 21. Jahrhundertes gilt.

      • KCI등재

        한국철학 : 자강기신구학론(自强期新舊學論)의 신학(新學)과 격물치지학(格物致知學)에 관한 연구

        박정심 ( Jeoung Sim Park ) 동양철학연구회 2011 東洋哲學硏究 Vol.68 No.-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covered by major journals during the time of enlightenment (1894-1901) were fully dealing with a number of modern issues facing then contemporary people such as dissolution of the Confucianism? the old-fashioned ideology, achievement of modern civilization in the modern time and environment symbolized by watch and railroad and historical issues related to recovering national sovereignty.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were based on New Studies, which emerged as a new paradigm to explain the modern life styles and thought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based on New Studies was the modern ``discoveries by science``. Unlike Neo-Confucianism intended to learn and understand the law of nature (天理體認), New Studies focused on the advancement of scientific knowledge to realize civilization through scientific study of natural law. The achievement of civiliz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considered to be the only way to survive.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were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stemmed from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lthough the modern Western science including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was thought to be true and objective knowledge, they were, in fact, nothing but an ideology focused on Western ideas. The most fundamental problems of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ality affected by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could be summarized by two aspects. The first was the opportunities to discover ways other than the path to the civilization presented by the West were severely limited by accepting the idea of Western oriented perception as the academic truth and the other was it was impossible to acquire the justification to criticize the invasion of Western imperialism. Many intellectuals at that time insisted that achieving a civilized society through the theories of New and Old Studies based on social evolution theory was the most crucial and urgent matter; however, such ideas were constrained in the theories biased for evolution of civilization, so that they had caused the thoughts that invasion of imperialism also would give them benefits of Western civilization as a result.

      • KCI등재

        탈식민 담론과 한국 그리스도교 신학

        김항섭 ( Hang Seob Kim )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4 종교문화연구 Vol.- No.23

        식민주의나 식민성의 문제는 과거의 문제가 아니라 여전히 진행 중인 우리사회의 현실임을 고려할 때, 탈식민적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글에서는 탈식민 담론을 살펴보고, 이 담론을 그리스도교 신학이 어떻게 수용, 대응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탈식민 담론하면 흔히 후기식민주의(포스트콜로니얼리즘)을 이야기하는데, 그 외에도 라틴아메리카를 기반으로 한 탈식민주의(디콜로니얼리즘)이 있고, 또한 그 이전에 식민지 과정에서 형성된 탈식민 비평도 있다. 따라서 탈식민 담론을 개별 담론의 공과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민족과 인간의 해방이라는 궁극적인 탈식민적 지향 아래 평가, 보완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그리스도교 신학은 대부분 후기식민주의에 초점을맞춰, 이 담론을 수용해 한국 사회나 교회를 진단하거나, 이 담론 자체를 비판적으로 수용, 보완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한국의 특수한 현실을 고려함이 없이 또 다른 수입 이론에 그칠 가능성이 있고, 후자의 경우 비판적으로 수용하나 후기식민주의의 근본적인 한계를 주목하거나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따라서 앞서 말한 탈식민적 지향이라는 관점 아래, 한편으로 기존의 탈식민 담론을 수정, 보완하고, 다른 한편으로 한국적 현실을 충분히 고려하는 탈식민적 비판이 요청된다.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postcolonial issues, because the colonialism or coloniality is the question not only in the past but also in the progress of our history and society. In this article, we are going to overview the various postcolonial discourses and then analyze how the Korean theologians accept and react to these discourses in doing theology. We can observe three types of postcolonial discourse, the postcolonialism: evolved by some scholars from the ex-colonies of England in 1980s; the decolonialism: presented by Latin American scholars in 1990s; and the postcolonial critics: concurrent with the struggle process for national liberation in many colonies. These critics had considerable effects on both anterior discourses. In this paper, we are not going to review these discourses separately and examine the merits or demerits of each discourse, but our concern is to consider the perspective of the ultimate aim of postcolonial discourses, that is, the liberation of the nation and the humanities. The Korean protestant theologians started to introduce the postcolonialism from the mid-1990s, but there was no introduction or discussion about the decolonialism until now. These theologians generally diagnose the Korean society and the church, utilizing the postcolonial analyses, or accept them critically, sometimes trying to complement them. But in the former case, the theological analyses can commit an error of introducing simply another import theory without relevant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peculiar to Korea. While 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case, their critics aren’t incompetents in realizing or overcoming the fundamental limits of postcolonialism.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 Korean theologians need to make the postcolonial discussion abundant in introducing the decolonialism and restoring the postcolonial critics emerged in the Korean history, and as well as to correct and complement the various postcolonial discourses in perspective of its ultimate purpose, considering the Korean peculiar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