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체험학습과 생태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이성도(Yi, Sungdo),김혜숙(Kim, Hye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3

        생태체험은 농촌, 도시, 공원, 호수, 바닷가, 들, 숲, 강, 습지 등 다양한 장소에서 행해진다. 생태미술교육은 자연과 인간의 문제, 미술과 인간의 문제 등을 다루며 그기저에는 생명이라는 존재가 자리한다. 오늘날 세계는 환경황폐화, 대기오염, 수질오 염, 홍수피해, 산림벌채, 생물의 다양성 상실, 기후온난화 등 산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생태미술교육은 생명교육으로 전통적인 생태학과 더불어서 사회문화적 차이, 환경황폐화 등에 기여하는 사회적 문화적, 생태학적 쟁점을 고려한다. 생태미술교육은 생명, 생태, 자연, 그리고 문화를 다루면서 융․복합 또는 통합교과로 접근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를 중심으로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미지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지속가능한 교육의 일환으로 생태적 시각을 심어주고 생태적 가치관을 향상 시키며 생태적 감수성을 일깨우는 생태체험학습과 생태미술교육의 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생태의 개념, 생태체험학습, 장소기반 생태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둘째, 생태미술과 생태미술교육의 방향 등을 제시한다. Ecological art education deals with the matter of men and nature along with issues of men and art, which are based on the existence of whole lives. Nowadays the world is facing environmental devastation, air pollution, water pollution, deforestation, loss of biodiversity and climate change. Ecological art education which is nothing but a life education, along with the traditional ecology, strongly considers social, cultural and ecological issues which contribute to bringing cultural differences and mitigating environmental abandonment. Ecological art education concerns about ecology, nature and culture, necessarily applying to interdisciplinary or multiple disciplina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both the bearings of ecological experience learning and ecological art education as a par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is expected to implant learners ecological perception, to improve learners ecological view point of value, and to awaken learners ecological susceptibility.

      •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이재영(Jae-young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시각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시각이미지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시각 생태론 (visual ecology) 을 개념화하고 적절한 미술교육적 방안을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시각 이미지는 삶의 중요한 생태환경으로 전제하고 이에 대한 시각문화미술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시각 이미지가 제공하는 생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사회/이미지간의 역동적 상관성에 초점을 둔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이끌어 낸다 이는 삶의 공간에서 시각 이미지가 인간의 인지와 의식에 작용하는 영향력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필요성을 근거로 한다. 제시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시각식 생태학, 문화적 생태학, 가상적(환영적) 생태학, 심층적(의식적) 생태학으로 구체화시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이끌어 낸다.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범주를 보다 일상적인 삶의 장연과 관계된 생태 인식과 공간에서 검토한 본 연구는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의 범주를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how to expand the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How we respond to visual images impacts our consciousness.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visual images and ourselves crates an ecosystem within which visual culture evolves as well as our knowledge. beliefs, values. interests. and consciousness are constructed. Based on this ecological approach. this paper explores the notion of ecological aspects of visual images. It primarily conceptualizes the needs for our investigation into visual ecology. The goal of VCAE does not need to be limited way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empower students to be active participants. More attempts to explore both the value and meaning of visual images and the visual environment as a habitat-where our understanding of the self. community. and society is constructed-is necessary. as this research proposes. Visual images construct a visual environment, fertilizing our evolution and adaptation of self-understanding. It makes sense of the visual ecology. The impact of the dynamic interconnection among humans, society, and images is well established. Meanings and values of this impact require our deliberation from socio-cultural. semiotic, phenomen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ven ontological points of view. In order to highlight this deliberation, more ecological analyses of visual culture, such as visual ecology, cultural ecology. digital ecology, virtual(illusory) ecology, and deep ecology, are established. The result of this theoretical discussion opens humanistic approaches to VCAE that are expected to expand our current landscape of VCAE toward visual ecology within our living context, interplayed with visual image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지향 생태미술활동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연구

        정영란,김희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 지향 생태미술활동에 관한 유아교사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생태미술활동의 교육적 의의에 대해 자연매체의 시각예술, 공동체적 가치추구, 사회구성원의 참여와 소통의 순으로, 실천하는데 장애요인으로는 교육환경의 어려움, 생태미술 수업자료 및 구체적 예시부족, 교사의 생태미술에 대한 이해부족의 순으로, 생태미술활동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누리과정 예술경험영역의 핵심역량으로 자연친화적 소통능력, 생태친화적 감수성, 창의융합능력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태미술활동을 실시하는데 예술경험영역의 자료가 충분하지 않다고 보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생태미술활동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해 거의 모든 교사가 둘 간에 연관성이 있으며, 실천에 있어서 어려운 점으로 지속가능발전에 관한 인식부족, 교재교구 및 자료의 부족, 교육정책과 지원의 부족, 연수프로그램의 미흡 등의 순으로, 이러한 교육실행을 위한 지원은 교재교구 및 자료의 확충, 교육정책과 지원 확대,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 연수프로그램 확대 등의 순으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생태미술활동에서 실천할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에서 교사들은 ‘기후변화 대응’, ‘깨끗한 에너지’, ‘물과 위생’, ‘양질의 교육’, ‘건강과 웰빙’과 ‘해양생태계’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생태미술활동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활용할 것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아, ESD 지향 생태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생태적 정체성의 내면화를 위한 가치지향 생태미술교육

        강주희(Joohee Kang),이지연(JiYeon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본 논문에서는 인간중심적이며 가치 중심적인 미술교육의 일환으로 인간개개인이 그들이 속한 환경과의 이해와 교감 속에서 자아를 이해하고 정의하여 개인적 가치를 환경적 가치로 재조직 할 수 있는 생태미술교육과 생태적 정체성대해 논의 하려한다. 생태적 정체성은 자연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자아를 이해하고 정의하는 방식으로 환경에 대한 개인적 가치와 인식을 재조직하고 환경주의적 행동 및 태도를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는 생태적 정체성의 의미와 교육 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한 미술교육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환경에 대한 이해와 교감을 통한 생태적 정체성 형성을 목적으로 하며, 체험활동을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 환경, 인간, 사회의 관계에 대한 반성, 환경 대한 애정과 관심을 형성하도록 돕고, 이러한 경험은 행동주의적 태도와 실천으로의 변화를 촉진시킨다 미술작품제작은 생태적 정체성의 내면화 과정으로 자아 지역사회 생태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제시된 사례로서의 프로젝트는 자아성찰적 과정으로서의 작품 제 작을 통해 지역사회 생태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며 환경지식을 형성함과 동시에 실천적 태도를 형성 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생태적 정체성 중심의 미술교육과 작품제작은 인간이 자기 자신‘ 타인, 그리고 자연을 정의하는 방식 즉, 정체성에 대해 숙고하고 성찰하며 의미를 모색하도록 하며 ‘ 이는 환경교육 그리고 생태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여겨진다. 또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태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생태미술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Ecological identity (Thomashow, 1996) refers to a way in which people form their self concept based on a sense of connec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 belief that the environment is important to us as a part of who we are. So, it affects the way in which we perceive and act toward the world and hopefully, it can re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o build ecological identit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s assimilating with and interacting with nature are critical. In this sense, ecological art education helps to build ecological identity. Ecological art is an art genre that uses natural resources based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leading us to introspect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as ecological approach. Sensuous experience is an essential factor in ecological art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it is based on intuitive ideas from direct and authentic experiences in nature. In this article, we studied a case of ecological identity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rt education project which was conducted at Florida State University in 2009, as an Art & Ecology Class. Also, based on understanding of ecological identity and a case study of ecological identity education, we suggested an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o build ecological identity. It is based on ecological education principles that Sobel(2008) suggested. complying with the structure of the 2011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생태주의 아동창의미술교육의 방향 및 프로그램 제안

        송수영,천미림 한국미술교육학회 2022 美術敎育論叢 Vol.36 No.3

        본 연구는 생태주의 아동창의미술교육의 의의와 지향점을 재고하기 위해 생태주의와 생태미술의 개념을 살펴보고, 그에 부합하는 교육 사례를 제안한다. 환경 이슈가 중요하게 부각되는 인류세 시대에 아동에게 관련 주제를 전달하는 것은 교육의 주요한 목표다. 현재 이러한 생태 관련 주제를 다루는 교육에서 생태주의와 생태미술은 여타 유사한 개념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주의와 생태미술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서울대학교 관악창의예술영재교육원에서 진행한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생태주의 아동창의미술교육의 방향과 교육 효과에 대해 논의한다. 교육 효과 분석에서는 창의성의 네 요소인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기준으로 자체 정성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로써 생태주의 아동창의미술교육을 통해 아동이 환경과 자신을 상호관계적으로 파악하는 생태주의적 관점을 함양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도적으로 문제해결방법을 구상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인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적 가치와 실천에 관한 연구

        김효정(Hyojung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91 No.-

        기후재난 시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자연과의 상호 의존성과 생태적 가치에 대해 배우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지향할 수 있도록 ‘생태전환교육’이 필요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주요 개정 배경인 ‘생태환경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자연생태계와 인류의 삶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생태전환적 가치’가 체계적으로 교육에 반영되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생태전환교육’의 의미와 내용에 대해서 탐색하고, 미술교육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생태전환교육을 기반으로 한 미술교육의 전개에 대한 탐색과 함께 목적과 필요성에 관해서 탐구하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생태전환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필요역량과 수업설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되는 생태전환교육에 기초한 미술교육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Eco-transition education’ is necessary so that students living in the era of climate disaster can learn about the interdependence with nature and ecological values and aim for a sustainable future. In order to prepare for ‘ecological environmental changes’, which is the main revision background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theory, ‘ecological transition values’ must be systematically reflected in education so that the natural ecosystem and human life can be balanced. Accordingly, this paper explored the meaning and content of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in art education. To this end, we explored the development of art education based o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explored its purpose and necessity, and suggested the necessary capabilities and direction of lesson design for implementing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in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art education research based o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newly introduc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플로러닝을 활용한 생태미술 프로그램 연구 -‘초록메세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조성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presenting the various directions of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which grow the sensibility for nature and aesthetic imagination through the ecological art activities using flow learning. The value and purpose of flow learning and ecological art activities is actualizing the eco-friendly life by internalizing the natural knowledge and value about natural ecology with experiencing and feeling the sensibility and affection for nature directly. 'Green Message' is the cultural art education which researcher planed using the geographical merit of Woo Jaeghil art museum which is located at the neighborhood of Mt. Moodeng and the ecological art program over the material of Mt. Moodeng as the culture resources of local community. This program modeled th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creatively through merging the recognition about nature and experiences with flow learning and art activities. And also, there is the significance that we can find the new pleasure through the recognizing and sharing nature through the flow learning by pursuing the education for environment and ecological sensibility needed to human with unit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Students were able to get the educational effect with an interest in ecology and natural art through a fusion program of ecological art and flow learning. In particular, art activities in the forest was to implement a variety of expressive activities and creativ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and aesthetic awareness of the natural ecology. If we can continuously develop the program combining ecology with art as the alternative plan of new art museum education so that adolescents can grow understanding the diverse value and culture, which will play the role of the art museum education that helps the local community with the new effect of creation and variety. 본 논문은 플로러닝을 활용한 생태미술 활동을 통해 자연에 대한 감수성과 미적 상상력을 길러주는 생태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플로러닝과 생태미술 활동은 그 가치와 목적이 자연에 대한 감수성과 애정을 직접 경험하고 느껴봄으로써 자연 생태에 대한 자연스러운 지식과 가치를 내면화하여 자연친화적 삶을 구현하는데 있다. ‘초록메시지’ 프로그램은 무등산 인근에 위치한 우제길 미술관의 지리적 장점을 살려서 연구자가 기획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지역공동체 문화자원인 무등산을 중심으로 한 생태미술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자연에 대한 인식과 체험을 플로러닝과 미술활동이 융합되어 자연과 인간 삶의 관계를 창의적으로 조형화하였다. 또한 환경교육과 생태미술교육이 하나가 되어서 인간에게 필요한 환경교육, 생태적 감수성 교육을 지향함으로써 자연에 대한 인식과 나눔을 플로러닝을 통해 새로운 즐거움을 발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플로러닝과 생태미술을 융합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생태환경과 미술에 대한 관심을 자연스럽게 가지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숲에서의 미술활동은 자연 생태에 대한 지적인 이해와 미적인식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표현활동과 창의력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이었다. 청소년기에 다양한 가치와 문화를 이해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새로운 미술관교육의 대안으로 생태와 예술이 융합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한다면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생성과 다양한 효과로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미술관 교육의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사례 분석을 통한 생태 중심 미술교육에 관한 교수⋅학습 방법 개발 : 상생의 공동체로의 확장을 중심으로

        최민아,이선혜 한국미술교육학회 2024 美術敎育論叢 Vol.38 No.1

        본 연구는 기후와 생태 환경 변화,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생태 교육의 범위를 자연 생태뿐만 아니라 사회 생태로 확장하여 미술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생태 중심 미술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생태교육의 확장을 위해 ‘생태미술마을 프로젝트’, ‘마을 중심의 대안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연 생태와 단절된 각 지역사회 속에서도 생태 중심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협력적 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생태 중심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생태의 개념을 결합하여 마을에 주목하고 생태의 의미를 사회 생태로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상생을 위한 공동체적 가치 함양에 기여하는 미술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cope of ecological education to not only natural ecology but also social ecology according to changes in climate, ecological environment, and population structure, and to propose an ecology-centered art education plan that can be used in art education fields. In order to expand ecological education, we analyze cases of the 'Ecological Art Village Project' and 'Village-centered alternative education', and through this, we suggest a new direction in which eco-centered art education can be achieved even in each community that is disconnected from the natural ecology, and cooperate. W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co-centered art education that can foster communicative and community competencies. This study combined the concepts of community and ecology to focus on villages and expand the meaning of ecology to social ecology.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sought ar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ontribute to cultivating community values ​​for coexistence.

      • KCI등재

        Implications of Eco-Aesthetics for Art and Education

        고홍규 한국조형교육학회 2012 造形敎育 Vol.0 No.43

        생태학(ecology)은 다양한 생물과 환경의 관계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영역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생태적 가치관에 기반한 하나의 세계관으로 확장되어 가치 철학(axiology)을 비롯하여 사회학, 경제학, 교육학은 물론 미학과 미술의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생태미학은 이러한 생태적 관점을 바탕으로 한 미학으로 단순히 환경을 주제로 한 미술작품을 논하는 미학적 관점이라기보다는 생태학적 가치관에 기초하여 미술전반을 이해하려는 미학적 접근이다. 연구자는 생태 담론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 맥락성 (혹은 장소성), 평등성, 조화의 세 가지 가치관이 생태 철학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가지 가치를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환경미술이라 불리는 미술작품에 대해 얼마나 맥락적 혹은 장소 특정적인 가치를 담아내고 있는지, 또 얼마나 평등한 관점을 견지하는지, 그리고 다양한 관점에서 조화로움을 추구하고 있는지를 환경미술협회와 바깥미술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더불어 생태미학적 관점이 환경미술 외의 다른 미술 장르에는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민중미술의 예를 통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생태미학의 교육적 함의에 대해 장소기반교육(place-based education), 생태정의교육(eco-justice education), 그리고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 등의 시도를 생태미학이 견지하는 가치를 반영한 교육적 시도의 예로 살펴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