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환경보호 목표로서의 “생태계 건강 (ecosystem health)”

        김완구 한국환경철학회 2008 환경철학 Vol.0 No.7

        In recent years the term 'ecosystem health' has often been used in discussions of environmental quality and also as a goa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o in the beginning I examine the attempts to define this term. However the turn towards ecosystem health is another attempt to objectify our environmental goals on the basis of science. This is because scientific definitions are usually taken to be more objective than non-scientific definitions. But this conception is misleading and unproductive. Attempts to define environmental goals on the basis of science have become increasingly problematic. In the first place, 'ecosystem health' is a value-laden term. In the second place, such definitions are interest-driven. Even scientists' evaluations and definitions of ecosystem will reflect their own specific interests and expertises. Hence we cannot usefully define ecological health or integrity simply in terms of ecological authenticity―that is, from the perspective of natural history independently of cultural history. Therefore we must develop a conception of ecosystem health which is compatible with culture and nature, and also in a way that does not maximize instrumental value. Finally, I insist that we must appropriately incorporate our values and ideals as well as our interests in our definition of ecosystem health and use it as our goal of environmental protection. 최근 ‘생태계 건강’이라는 말은 환경의 질을 논의하는데 자주 사용되고 있고 또한 환경보호의 목표로서 이용된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먼저 그러한 용어를 정의하려는 시도들을 살펴본다. 그런데 이렇게 ‘생태계 건강’이라는 말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은 과학에 근거해서 우리의 환경 목표들을 객관화하려는 하나의 시도이다. 왜냐하면 과학적인 정의들은 보통 비과학적인 정의들보다 더 객관적인 것으로 얘기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분은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별로 도움이 될 것도 없다. 환경 목표들의 토대를 과학에 두려는 시도는 점점 여러 가지 문제를 드러낸다. 생태계 건강은 가치 적재적인 개념이다. 그리고 생태계 건강에 대한 정의는 이해관계 제어적이다. 생태계를 평가하거나 정의하는 과학자들조차도 각각 자신들의 특정한 이해관계나 의견에 의존하는 상이한 변수들을 선택할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생태학적 건강이나 온전성을 단순히 생태학적 본래성에 의해, 다시 말해 자연적인 역사를 문화적인 역사로부터 떼어놓고 정의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문화나 자연의 사용과 조화를 이루는, 하지만 도구적 가치가 최대화되지 않는 방향으로 생태계 건강개념을 발전시켜야 한다. 그래서 결론적으로는 그러한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내리고 환경보호의 목표로서 이용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이해관계뿐만 아니라 우리의 가치들이나 이상들도 복합적으로 그러나 적절히 반영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환경보호의 목표와 정책적 실천에 대한 윤리 및 철학적 탐구

        김완구(Kim, Whan Ku)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3 생명연구 Vol.28 No.-

        이 글에서는 환경보호의 목표와 그것의 실천 문제와 관련한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들이 다루어진다. 21세기 생태적 파멸의 상황에 직면해 우리는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들을 경주해 왔다. 특히 우리는 환경이 문제가 되면 과학과 기술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데 환경문제는 사실 근본적으로는 철학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다. 환경을 보호하는 이유들로는 여러 가지 합당한 이유들이 있다. 어떤 이는 환경을 수단적으로 소중히 여기고 어떤 이들은 본래적으로, 즉 그 자체로 소중히 여긴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각각 환경 보호의 상이한 실천 방식들을 만들어 낸다. 그렇기에 이것은 다시 우리의 환경적 실천이나 정책적 과정에서 갈등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우리의 경우는 4대강사업을 두고 벌이는 논란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바로 여기에서 윤리적이고 철학적인 중요한 문제가 제기된다. 이러한 문제를 검토하기 위해 나는 먼저 우리의 환경보호 목표들을 언급한다. 그리고 이어서 이러한 목표를 실천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떠한 식으로 실천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논의를 하다보면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환경적 실천이나 정책 과정에서의 차이나 갈등이 발생하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것은 바로 우리가 저마다 상이한 윤리적 이론들이나 가치 가정들을 바탕에 깔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서 나는 이러한 실천상의 문제를 해소 및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비판적 검토를 한다. 그러나 환경문제는 광범위하면서도 장기적인 문제로 복잡성과 불확실성을 특징으로 하기에 결정적이면서도 완벽한 하나의 해결책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나는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 철학적 원리들에 대한 더 이상의 철저한 탐구를 제안한다. 어느 것도 확실치 않을 때 이것은 바로 우리의 지혜이자 의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동시에 나는 환경 문제의 불확실성에 직면하여 환경을 신중하고 겸손하게 다룰 것과 환경을 존중하는 품성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덕의 윤리를 한 대안으로 제시한다. In the twenty-first century, we are faced with many environmental challenges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our planet. Undoubtedly, we must protect our environment or ecosystem, and in doing so, we usually look to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e solutions. However, environmental problems have not only a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imension, but also a philosophical and ethical one. Therefore, in this study I try to examine the goal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nvironmental policy practice from a philosophical and ethical point of view. Nowadays, regarding the problem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there are various purposes and reasons of the protection advocated by various parties, which would lead to a conflict between them when they have to decide what is the best way to deal with a particular environmental problem. A good example for this is the disputes over the Four Rivers Development Project. This is why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philosophy and ethics. Hence, above all, I examine some special terms that are supposed to represent our goals, such as 'sustainability', 'life', 'biodiversity', 'wild nature and/or wilderness as an ecosystem', and 'integrity and 'authenticity'. These are mostly natural values that we must value or the intrinsic value-conferring properties. And subsequently I examine whether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se goals. But there are many conflicts in environmental practice and policy process. Main reason is because different environmental ethical theories and the value assumptions support different goal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generate different policies when it comes to the specific issues. And then I offer a detailed analysis of the ethical issues that lie behin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current policy-making. And I examine systematic methods of decision theory, philosophy of environmental policy and deliberative decision-making which are measures to solve or ameliorate conflict and dilemma. But the complexity and uncertainty ar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problem. Therefore foregoing arguments fail to give a only solution to fundamental problems. But in this global environmental crisis, if we just delay the decisions we will be at a disadvantage. So I finally propose further studying philosophical principes of environmental policy to solve the matter. At the same time I suggest that what is needed in future environmental management efforts is a recovery of those ethical attitudes of respect and reciprocity for nature.

      • KCI등재

        특집 논문 : 생태철학과 생명 ; 환경윤리에서 생명 논의의 윤리적 함축과 전망

        김완구 ( Whan Ku Kim ) 한국환경철학회 2009 환경철학 Vol.0 No.8

        오늘날 문명의 발달로 전례 없는 환경이나 생명 관련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그것들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이 두 문제는 별개의 문제가 아니고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에 같이 논의되어야 한다. 환경은 생명을 가진 존재들을 둘러싼 것을 지칭하는 말이고 그 환경에 둘러싸인 것이 바로 생명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생명의 정체를 밝히는 작업은 간단치가 않다. 그럼에도 이런저런 이유들로 사람들은 보통 생명이라는 현상은 그 자체 소중히 여겨야 할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이야기한다. 그러한 가치를 사람들은 흔히 본래적 가치라고 한다. 환경 윤리와 철학에서 논의되는 주요 문제들의 큰 줄기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한다. 생명이 가치를 가지고 그래서 소중히 여겨져야 한다면 그것을 유지시키기 위한 조건들로서 그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어떤 것들도 어떻게든 소중한 것으로 여겨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환경 윤리 및 철학적 논의에서 소중히 여겨야 하는 대상의 범위는 인간 생명에서 시작해서 그 생명을 가능케 하는 존재인 다른 생물적 환경이나 무생물적 환경에까지 점점 확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존재들의 위상 및 가치에 대해서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환경 철학과 윤리의 핵심적인 주제가 된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생명의 정의, 생명의 범위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관련한 여러 철학적 문제들이 등장하게 되지만, 무엇보다도 주목해보아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그러한 것들에 가치를 부여하고 소중히 여기는 데서 발생하는 각 개체생명들 간의 갈등 또는 각각의 개체생명과 전체생명들이라고 할 수 있는 ‘온생명’이나 ‘생태계들’과 같은 전체들 간의 갈등의 문제이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몇몇 철학적 논의들을 통해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끝으로는 인간의 생존과 지구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는 오늘날 이러한 논의들이 가지는 윤리적 함축 및 그것의 실천가능성에 대해 간략하게 탐색하면서 이러한 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을 위한 앞으로의 작업방향을 제시한다. These days, human beings face unprecedented problems occurring in the field of environment and life, with the progress of civilization. So many peoples are much concerned about these challenges. However we must explore these together,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he term environment refers to conditions surrounding a life form, and so-called life is something surrounded by environment. But It is not so easy to define and identify life clearly. Nevertheless people say that life is valuable in itself and so we must treasure it. That is the very intrinsic value problem. The main issues in the environmental philosophy and ethics start from this point. First we confer intrinsic value to the human life and in turn to all other living things. But these individual lives on which intrinsic values are conferred can`t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living things including non-living things. They have ne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to sustain their own life. If so, other living things and non-living things have to be conferred the same value. Therefore intrinsic value conferring objects are extended from human life to non-living things or life as a whole, that is, `global life`, `ecosystem` and the like. Several issues, such as the definition and the boundary of life, appear from this extensionism, but central to the process of extending intrinsic value to the several objects is the problem of conflict between an individual life and life as a whole. Thu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se arguments some philosophers have made and examine the ethical implications of this arguments. But this work is not easy. And finally I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