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성: 장애예술의 사례에 근거한 시론(試論)

        정종은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Since ‘cultural flourishment’ became one of the four government principles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nd ‘promoting humanisticㆍspiritual culture’ was officially adopted as an action plan to realize the principle, th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perspective in cultural policy has arisen. However, behind the scene, it has been rarely noted how ‘promoting humanisticㆍspiritual culture’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trategic objective of ‘promoting culture and the arts’, and thereby to realizing the principle of ‘cultural flourishm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why humanistic perspective is essentially required to promote culture and the arts, with the example of the ‘ecosystem approach’ which has recently grown into a new trend in the Korean cultural policy field. The article start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context of the ecosystem approach. It will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the approach as well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has been elevated into a key word in Korean cultural policy. On this ground, with the case study of disability arts in Korea, I will proceed to show that the ecosystem approach is very useful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y, not only for nurturing ICT or content industries, but also for culture and the art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can be guaranteed only when humanistic perspective, a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and culture, is centered on it. ‘문화융성’이 현 정부의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설정되고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 공식적으로 이 기조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로 채택되면서 문화정책에서 인문학적 관점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라는 과제가 어떠한 논리를 통해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전략적 목표와 나아가서는 ‘문화융성’이라는 국정기조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시도된 적이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새로운 트랜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생태계적 접근’을 근거로 삼아, 인문학적 관점이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진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맥락을 고찰할 것인바, 이는 생태계적 접근의 의의와 특질을 분명히 하고, 이 개념이 우리나라 문화정책계에서 핵심어로 떠오르게 된 과정과 배경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장애예술정책’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생태계적 접근이 비단 ICT산업이나 콘텐츠산업 진흥정책만이 아니라 문화예술 진흥정책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는 점, 그러나 문화예술정책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간과 문화에 대한 원천적 이해’로서 인문학적 관점이 반드시 그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 KCI등재

        특별 학술대회 팔표논문 :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서 인문학적 관점의 필요성: 장애예술의 사례에 근거한 시론(試論)

        정종은 ( Eun Chung Jong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8 No.-

        ‘문화융성’이 현 정부의 4대 국정기조의 하나로 설정되고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 공식적으로 이 기조의 실현을 위한 실천과제로 채택되면서 문화정책에서 인문학적 관점이 갖는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제고되고 있다. 그러나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이라는 과제가 어떠한 논리를 통해서,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문화예술 진흥’이라는 전략적 목표와 나아가서는 ‘문화융성’이라는 국정기조의 실현에 이바지하게 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거의 시도된 적이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새로운 트랜드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생태계적 접근’을 근거로 삼아, 인문학적 관점이 우리나라 문화예술의 진흥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화정책의 생태계적 접근’에 대한 역사적·개념적 맥락을 고찰할 것인바, 이는 생태계적 접근의 의의와 특질을 분명히 하고, 이 개념이 우리나라 문화정책계에서 핵심어로 떠오르게 된 과정과 배경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국내 ‘장애예술정책’의 실제 사례를 통해서 생태계적 접근이 비단 ICT산업이나 콘텐츠산업 진흥정책만이 아니라 문화예술 진흥정책에서도 중요한 공헌을 할 수 있다는 점, 그러나 문화예술정책 분야에서 이러한 접근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인간과 문화에 대한 원천적 이해’로서 인문학적 관점이 반드시 그 중심에 자리를 잡아야한다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Since ‘cultural flourishment’ became one of the four government principles of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and ‘promoting humanistic·spiritual culture’ was officially adopted as an action plan to realize the principle, th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humanistic perspective in cultural policy has arisen. However, behind the scene, it has been rarely noted how ‘promoting humanistic·spiritual culture’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strategic objective of ‘promoting culture and the arts’, and thereby to realizing the principle of ‘cultural flourishment’. To address this issue,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why humanistic perspective is essentially required to promote culture and the arts, with the example of the ‘ecosystem approach’ which has recently grown into a new trend in the Korean cultural policy field. The article start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context of the ecosystem approach. It will help clarify the significance and features of the approach as well a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oncept has been elevated into a key word in Korean cultural policy. On this ground, with the case study of disability arts in Korea, I will proceed to show that the ecosystem approach is very useful in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government policy, not only for nurturing ICT or content industries, but also for culture and the arts; and, more importantly, that the usefulness of the approach can be guaranteed only when humanistic perspective, as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human and culture, is centered on it.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