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 전환기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상담 사례연구

        이시현,이제경 한국상담학회 2023 상담학연구 사례 및 실제 Vol.8 No.2

        This is a single case study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utilizing Savickas' (2011, 2015)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 (CC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ent's CCI according to the Life-Design Counseling Manual (Savickas, 2015) and to presen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 individual's career story by co-constructing a life portrait, and to examine its usefulness and applicability in the field of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by identifying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this process on a middle-aged woman's career transition difficul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were able to confirm the positive meaning and effect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on middle-aged women with career transition uncertainty in the field of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the long-term effect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by confirming the changes and effects of the counseling even after 9 months after the end of the counseling. Third, even after three sessions of short-term career counseling, the applicability of short-term counseling was confirmed in that the client experienced deep reflection and reflexivity, solidified her identity through her own career story, and gained confidence and courage in making future career-related deci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Savickas(2011, 2015)의 진로구성 인터뷰(CCI: Career Construction Interview)를 활용하여 진로구성 상담을 실시한 단일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생애설계 상담 매뉴얼(Life-Design Counseling Manual; Savickas, 2015)』에 따라 내담자의 CCI를 평가한 후, 생애 초상화를 공동구성함으로써 한 개인의 진로 이야기(career story)를 만들어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러한 과정이 중년여성의 진로 전환기 어려움에 어떠한 의미와 효과를 가져왔는지를 확인하여, 진로 및 직업상담 현장에서의 유용성과 적용 가능성을 검토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및 직업상담 현장에서 진로 전환기 불확실성의 문제를 가진 중년 여성에게 진로구성 상담이 주는 긍정적인 의미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상담 종료 후, 9개월이 지난 후에도 상담을 통한 변화와 효과를 확인하여, 진로구성 상담의 효과가 장기간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3회기의 단기 진로상담에도 불구하고, 내담자가 깊은 반성과 성찰을 경험하고, 자신만의 진로 이야기를 통해 정체성을 확고히 하여, 미래의 진로 관련 의사결정에 대한 확신감과 용기를 갖게 되었다는 점에서 단기 상담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한계 등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진로 구성 상담의 효과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유우경(Yoo Woo-gyou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3

        이 연구는 성인 직장인 내담자들이 Savickas의 진로 구성 상담의 본 상담과 추수 상담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또한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진로 갈등을 겪고 있는 2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종단적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7년 상반기 중에 진로 구성 상담을 실시하였고, 이어서 상담 전반에 관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담은 연구 참여자들에게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 면담에서 드러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나를 제대로 알게 됨’, ‘자기를 바탕으로 진로를 설정함’, ‘스토리 공동 구성 작업이 유익함’, ‘관점을 유연하게 전환하게 됨’, ‘생애 초상화의 스토리가 진로 실행 과정에서 힘이 될 것 같음’, ‘실행할 수 있겠다는 자신감이 생겨남’, ‘사회적 기여와 가치를 생각함’ 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진행된 추수 상담은 2년 이내 의미 있는 변화나 성과가 발생하는 시점까지로 설정하고 3개월에 1회 간격으로 진행되었다. 20개월 경과된 시점에 2명의 내담자들 각각에게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면서 종결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진로 구성 상담의 본 상담의 효과뿐만 아니라 추수 상담에서의 종단적 효과까지 살펴 볼 수 있었다. The study provides an in-depth look at how adult workers experience and also work in Savickas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during the main and follow-up counseling sessions. To this end, a longitudinal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two participants of research who were in a career conflict. During the first half of 2017, the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conducted and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on the overall couns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counseling is meaningful to participants of research. In summary, the results of it were Getting to know me right , Setting my career path based on myself , Story co-construction working is beneficial , Shifting the point of view flexibly , The story of a life portrait appears to be a powerful energy in the time of career execution , Feeling confidence in being able to do it , Thinking about social contribution and value . The follow-up counseling was established to the point where meaningful changes or achievements occurred within two years and was conducted every three months. Twenty months later, it ended with a meaningful result for each of the two participants of research. This allowed us to see not only the effect of main counseling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but also the longitudinal effects of follow-up counseling.

      •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변화 과정

        유우경,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ing proces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of Savickas(2011) and to present a substantive theor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participa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nalyzed using the ground theory method. As a result, 169 concepts, 56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open coding process. As a result of the axis coding,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participating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esperation for solving career problems’. The caus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e phenomenon were ‘confusion of one's career’, ‘ambivalent feeling about career counseling’, and ‘awareness of importance of career design’. The contextual conditions were ‘interest in self-growth’ and ‘attitude of acquaintances’.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facilitation and assistance for story construction’, ‘dynamics in storytelling’, and ‘support of counselor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at adult clients use to solve the ‘desperation for career problem solving’ in the course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dubiousness’, ‘being at a loss’, ‘novelty’, ‘proudness’, ‘struggling to write’, ‘breaking through difficulties’, ‘establishing a new career execution plan’, ‘activating senses-making’, ‘increasing of reflection and reflexivity’. Also, as a result of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being expanded of self-understanding ’, ‘increased of self–esteem’, ‘clarity of career goal’ and ‘inclining to live life based on life portraits’ were derived. This process can be summarized in five stages: ‘ignition phase’, ‘shaping phase’, ‘specification phase’, ‘behavioralization phase’, and ‘expansion phase’. The core category of how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ere going through was ‘regeneration as the protagonist of life through story constru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process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discussed and follow-up study wa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the changing process experienced by adult clients in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was concretely identifi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d concrete information 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and prescriptions in the field of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본 연구의 목적은 Savickas(2011)의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변화 과정을 파악하여 실체 이론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진로 구성 상담 참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169개 개념, 56개 하위범주, 2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진로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진로 문제 해결에 대한 절실함’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 조건은 ‘진로 혼란에 빠짐’, ‘진로 상담에 대한 양가감정’, ‘진로 설계의 중요성 인식’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은 ‘자기 성장에 대한 관심’, ‘지인들의 태도’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스토리 구성을 위한 촉진과 조력’, ‘스토리텔링의 역동성’, ‘상담자의 지지’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의아함’, ‘난감함’, ‘신기함’, ‘뿌듯함’, ‘글쓰기에 힘을 쏟음’, ‘어려움을 타개해 나감’, ‘새로운 진로 실행 계획을 수립함’, ‘감각 만들기가 활발해 짐’, ‘반성과 성찰이 늘어남’ 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결과로는 ‘자기 이해가 확장되어 감’, ‘자긍심이 높아짐’, ‘진로 목표가 명료해 짐’, ‘생애초상화에 따른 삶을 지향해 나감’이 도출되었다. 본 과정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정리하여 보면 ‘점화 단계’, ‘형상화 단계’, ‘구체화 단계’, ‘행동화 단계’, ‘확장 단계’의 5단계로 설명할 수 있다.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치는가에 대한 핵심범주는 ‘스토리를 구성하며 삶의 주인공으로 거듭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진로 구성 상담 과정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인 내담자들이 진로 구성 상담에서 경험하는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의 결과는 진로 구성 상담을 실행하는 현장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개입과 처방을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들의 진로 설계 유형 연구

        유우경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in coming career construction counseling and adult career guidance by analyzing the career design types of adult clients who participated in it. The participants were seven adults who were working or looking for a job after college, and each of them participated in counseling to solve the problem of career transition. The counselor used six questions of career composition interviews to draw out the small stories of the clients, and they created an biographical grand career story called life portraits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on, deconstruction, re-construction and co-construction of them. In this counseling, clients became clear about their career path and became convinced that they should pursue their life as the main character of their life stor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what types of career design in the clients can be classified in this counseling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applied and the client's change design type was derived as a part of revealing the substantive theory of the change process. As a result, the client types of ‘self-expansion design type’, ‘internal defense design type’ and ‘others consciousness design typ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ient types facing the career field were discussed in various ways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adaptability. And, the benefits of career design services and the importance of storytelling with the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the process were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include the specific measures for differentiated approach according to client’s types, the need for preventive measures of career design services, and the use of storytelling intervention with the reflection and reflexivity in career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구성 상담에 참여한 성인 내담자의 진로 설계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 구성 상담과 성인 진로 지도에 효과적인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 졸업 이후 직장 생활하고 있거나 구직 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 7명이다. 이들은 각자 진로 전환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담에 참여하였다. 상담자는 진로 구성 인터뷰의 6가지 질문을 사용하여 내담자들의 작은 스토리들을 이끌어내고, 내담자와 함께 이들을 구성-해체-재구성-공동구성하여 생애 초상화라는 전기적 거대 진로 스토리를 만들어 내었다. 본 상담 과정을 통하여 내담자들은 자기 진로를 명료화하게 되었고 자기 스토리의 주인공으로서의 삶을 추구해야겠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연구 문제는 본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들의 진로 설계 변화 과정을 어떠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가로 삼았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방식을 적용하였으며, 변화 과정에 대한 실체적 이론을 밝히는 일환으로 내담자 변화 유형을 도출하고 자 하였다. 그 결과 ‘자기 확장 설계형’, ‘내적 방어 설계형’, 그리고 ‘타인 의식 설계형’ 3가지의 내담자 유형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현장에서 마주하는 내담자 유형들의 특성을 진로 적응가능성(adaptability) 관점에서 다양하게 논의하였고, 또한 진로 설계 서비스의 유익함과 그 과정에서 반성(reflection)과 성찰(reflexivity)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중요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시사점으로는 내담자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을 위한 구체적 방안, 진로설계 서비스의 예방적인 차원에서 필요성 제기, 그리고 진로 실무에서 반성과 성찰을 통한 스토리텔링의 개입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