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윤순덕(Soon-Duck Yoon),한경혜(Gyoung-Hae Han) 한국노년학회 2004 한국노년학 Vol.24 No.2

        본 연구는 노년기에 수행하는 다수의 활동들이 생산적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하여, 생산적 활동과 노인의 심리적 복지와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이러한 관련성에 있어 남녀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농촌노인이 수행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생산적 활동을 경제활동, 가사활동, 자녀원조활동, 친척원조활동, 이웃친구원조활동 등 5가지로 유형화하고, 생산적 활동 유형의 총수, 생산적 활동 유형별 참여여부 및 참여수준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대부분의 농촌노인은 다양한 유형의 생산적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모든 생산적 활동이 심리적 복지에 항상 유익한 영향만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적 활동의 유형 및 심리적 복지의 차원에 따라, 그리고 노인의 성(gender)에 따라 생산적 활동과 노인의 정신적 건강간의 관계의 정도와 방향성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the productive activitie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e rural elderly in Korea. This study defines productive activity as any action that produces valuable goods and services and contribute to the society, whether paid or not. It is classified into five types: farming work; household work; and informal assistance to children, kin, and friends and neighbors. Data used for this study comes from a nationwide survey, with a representative sample of 937 adults age 60 or older and living in rural area. A series of regression equations show that the direction and the level of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s affected by the type of activities done as well as the dimension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gender. Specifically, when control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influence of the total number of productive activity types and farming work on all meas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disappears. However, even when controlled, women who are doing household work have significantly lower loneliness, while men have lower happiness and loneliness. Also, giving help to children influence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women positively. However, giving help to kin has no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whe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or not. However, women who are providing assistance to friends and neighbors have significantly less loneliness than those who are not giving any help. In addition, the level of productive activity in which respondents were engaged accounts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less than whether they be engaged in activities or no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ndicates that productive activity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elderly's well-being and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lanning activities or providing services to the elderly.

      • 고용불안 지각, 조직기반자긍심, 반생산적 과업활동과의 관계

        조윤형(Cho, Yoon-Hyung),문명(Moon, Myung),정진철(Jung, Jinchul) 대한경영학회 2014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1

        본 연구는 고용불안 지각이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역할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반생산적 과업활동은 개인에 대한 활동과 조직에 대한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은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로 구분하였다. 먼저 주효과 가설은 고용불안 지각이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높일 것으로 예상하였다. 즉, 고용불안을 지각하는 조직구성원들은 개인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할 것으로 보았다. 매개효과 가설은 조직기반자긍심이 이들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았는데 고용불안을 지각하면 조직기반자긍심을 통해 반생산적 과업활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고용불안 연구에 가장 적합하다가고 판단된 은행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76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용불안 지각은 개인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활동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는데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기반자긍심은 고용불안 지각이 개인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이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용불안을 지각하는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에서 개인과 조직에 대한 반생산적 과업활동을 유도하는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수를 규명하는 차원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함으로써 고용불안 지각이 어떠한 메커니즘을 통해 반생산적 과업활동으로 이어지는지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job insecurity and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CWB). also investigate mediator role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OBSE) those variables. OBSE has crucial positively related to work motivation and performance. as such, employees with high OBSE tend to develop and maintain favorable attitudes and perform effectively because such attitudes and behaviors are consistent within the organiz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build up main effect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386 questionnaires a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job insecurity would increase CWB. based on result, we found that perceived job insecurity is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 to inducement CWB. Second, OBS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job insecurity and CWB The result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practical implication for management and organization. our finding of the mediating role of OBSE suggest that organization should recognize the effect of employment relationship which based on self-esteem. specifically, we suggest that it is organization`s interest to enhance employees` OBSE by promoting their perceived value as relational organization with respect to various workplace relationship.

      • KCI등재

        노년기 생산적 활동 유형과 삶의 만족도

        김도연 한국노인복지학회 2023 노인복지연구 Vol.7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생산적 활동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인의 생산적 활동 참여 정책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20년 8차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만 65세 이상 노인 4,344명을 연구 대상으로 최종분석 하였다. 생산적 활동 유형은 유급활동/무급활동/자기돌봄 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참여 유형 집단별 특성과 삶의 만족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 등을 실행하였으며, 참여유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실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절반 이상인 55.5%의 노인은 생산적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각 유형별 참여 집단의 특성은 차이가 있었다. 남성 노인의 경우, 유급활동 참여 비율이 64.5%로 높은 반면 여성은 무급활동(80.9%)에 보다 활발히 참여하였다. 자기 돌봄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다른 활동에 비하여 70대 이상(76.5%)의 고연령, 고등학교 졸업이상(43.1%)의 고학력 노인의 참여 비율이 높았으며, 공적이전소득 평균(725.82만원)과 자산총액 평균(143.83)이 가장 높았다. 둘째, 생산적 활동 유형에 참여하고 있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평균은 무위집단보다 높았으며, 참여 유형별로 삶의 만족도 수준에 차이를 보였다. 각 유형별 삶의 만족도 평균은 무급노동(68.34점), 자기돌봄(64.81점), 유급활동(64.70점), 무위(57.99점) 순이었으며, 이러한 평균 차이는 일부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생산적 활동 유형인 유급/무급/자기돌봄 활동 유형 참여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자기돌봄 유형 참여(β=.062, p<.002)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특성을 지닌 노년층을 위한 신노년 정책의 방향성과 ‘노년기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ductive activity types in the elderly on their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policies promoting productive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the elderly.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final analysis on a total of 4,344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using data from ‘the 8th Aging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in 2020. Productive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paid work, unpaid work, and self-care activitie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groups and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different participation types, w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one-way ANOVA. To verify the impact of participation types on life satisfaction,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firstly, more than half of the elderly (55.5%) were engaged in productive activitie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groups among each type. Among male participants, the participation rate in paid work was 64.5%, while females were more actively engaged in unpaid work(80.9%). Those involved in self-care activities had a higher participation rate among older individuals(76.5% for those aged 70 and above), those with higher education(43.1% with high school graduation or above) compared to other activity types, and had the highest average of public transfer income(725.82) and total assets(143.83). Secondly,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groups engaged in productive activity typ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n-participating group, and varied by participation types. The average life satisfaction scores for each type were as follows: unpaid labor (68.34 points), self-care (64.81 points), paid activities (64.70 points), and non-participation (57.99 points). These averag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ome groups. Lastly, participation in productive activity types such as paid work, unpaid work, and self-care activities was i identified as a positive(+) factor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with self-care activity participation (β=.062, p<.002) exerting the strongest impact.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for policies aimed at the elderly population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 KCI등재

        노인 생산적 활동의 복합성과 생활만족도

        김주현(Ju-Hyun Kim) 한국인구학회 2007 한국인구학 Vol.30 No.3

        현재 각 사회에서 진행되는 생산적 노년 논의가 사회적 생산성을 유지하고 사회적 부담을 해결하려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것은 노인의 활동성과 독립성에의 강한 가치부여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2004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서 노인집단 내부에 나타나는 생산적 활동의 복합적인 양상을 조명한다. 노인의 생산적 활동 중 유급노동활동과 사회지원활동 두 영역에서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의 경제적 기반과 자발성, 가족과외 관계에 따라 복합적 경향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노인의 생활만족도 분석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연구 결과, 대표적 생산적 활동인 유급노동의 경우 경제적 기반이 양호한 상태이고 참여 동기가 노인의 자율적 선택에 의한 자발적인 활동인 경우에는 생계유지를 위해 불가피하게 활동에 참여하는 노인과 비교하여 생활만족도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또 다른 생산적 활동 영역인 사회지원활동 중 가정일 및 돌봄 활동의 경우, 참여노인의 경제적 상황과 지원대상인 가족과의 관계에 따라 나누어 생활만족도를 비교했을 때 가족관계에 불만족하는 경우에 생활만족도가 눈에 띄게 떨어진다. Current discussions on productive aging are going towards the direction to sustain a social productivity and lessen a social burden, and this becomes distinct as it gives a strong value to the activity and independence of older people. This study highlights complex situations of productive activities in the group of older people by analyzing the survey of〈The Living Profile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in Korea, 2004〉Among the productive activities of older people, two areas of activities - paid labor and social support -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bility, spontaneity and family relations. This difference becomes more remarkable in the analysis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ople. In paid work, which is the most common productive activity,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those who work spontaneously and those who work inevitably to make a living. And in the comparison of life satisfaction for those who participate in homemaking and care working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ituations and family relations, those who were unsatisfied with family relations showed lower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노인의 공식/비공식적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이정훈,이한우,이옥자 한국노인복지학회 2014 노인복지연구 Vol.0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roductive activities of the elderlyon their successful aging and to test if life satisfaction mediates relation between the dependentvariabl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above, based on activity theory. The result shows thatformal and informal productive activities of the elderl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successful aging, in particular, informal activities have stronger influence on it compared toformal activities. With this result, we can see that informal activities have more important rolesin decid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rather than formal activities. Also, life satisfactionwas shown as a partial mediation in the path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productive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As as result of this study, the assessment of the value ofproductive activities of the elderly should be increased with the need of productive activities insenescence.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근거하여 노년기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노인의 생활만족도가 생산적 활동과 성공적 노화에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생산적 활동의 공식․비공식적 활동은 성공적 노화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특히 노년기비공식적 활동이 공식적 활동보다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비공식적 활동이 공식적 활동보다 노년기 비공식적 활동이 노인의 삶의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활만족도는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이르는 경로분석에서 부분매개로 확인하였다. 이에 노년기 비공식적 생산적 활동의 중요성과 함께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대한 가치평가를 보다 높여야 할 것이다.

      • 생산적 노후생활을 위한 노인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이연숙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0 임상사회사업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급격히 고령화 되어가고 있는 사회적 환경에 대응하여 생산적인 노후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주목하여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노인자원봉사활동의 관리방안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의 노인복지관과 대한 노인회, 평생교육정보센터, 전주시자원봉사센터, 예수병원, 전북대학병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 380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SPSS 1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자원봉사활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는 여성노인과 고령 노인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봉사활동 관련요인인 업무적절성과 업무인식도에서는 업무인식도만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업무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셋째, 대인관계요인으로는 관리직원과의 관계, 동료봉사자와의 관계, 대상자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관리직원과의 관계가 원만할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관리요인으로 교육, 배치, 지도와 감독, 인정과 보상, 평가 등에서는 인정과 보상만이 유의미하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만족도를 결정하는 개인적 요인, 활동관련 요인, 대인관계 요인, 관리요인의 모든 변수를 동시에 투입한 결과, 개인적 요인의 종교유무와 활동관련 요인의 업무의 인식도, 대인관계 요인의 관리직원과의 관계, 관리요인의 활동비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노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적 노후생활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여성노인과 고령노인의 봉사활동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활동업무에 대한 인식도롤 높일 수 있는 실천적 관리방안을 개발하고 보상과 인정, 활동비에 대한 현실적이고 심도 있는 논의와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과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 간의 관계: 삶의 만족감의 매개효과

        배수현,김기연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1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ctivities and future time perspective in later life. Drawn from the 7th wave of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our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6,756 older adults aged 55 and over. Complex samples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and future time perspective measured in two dimensions (i. e., life expectancy and job expectation). Results from complex samples analysis showed that productive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nd future time perspective. Employed older adults including unpaid family workers tended to have high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future time perspective (i.e., life expectancy and job expectation)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ctivities and future time perspective was mediated by life satisfaction. Findings suggest that engaging in productive activities influences better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older adults, which is eventually linked to an expansive view of the future.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at promoting productive activities in later life and age-friendly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encouraged. 본 연구는 활동적 노화의 관점을 바탕으로 노년기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에 간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제 7차 고령화연구패널(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18)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55세 이상 고령자 6,756명의 생산적 활동, 삶의 만족감과 기대수명 기대감 및 일자리 기대감의 두 차원으로 측정한 미래시간조망의 관계를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생산적 활동은 삶의 만족감 및 미래시간조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경제 활동자에 비해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 취업자일수록 삶의 만족감, 기대수명 기대감, 일자리 기대감이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생산적 활동과 미래시간조망 간의 관계는 삶의 만족감이 부분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경제 활동자에비해 무급 가족종사자를 포함한 취업자일수록 기대수명 기대감 및 일자리 기대감이 높아지는데, 이는 높아진 삶의 만족감의 영향에의한 결과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기 생산적 활동이 활동적 노화의 목적인 노년기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미래를 긍정적으로 확장하여 조망하기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년기 생산적 활동을 제고하기 위한정책적 함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생활시간사용으로 본 노년기 생산적 활동

        김주현(Kim Ju-Hyun)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4

        본 연구는 현재 구성되기 시작한 '생산적 노년' 논의가 한국 사회의 노인 생활세계에서 나타나는 반응과 결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의 수준에 머물렀던 노년기 생산성을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 활동의 존재와 수준을 통해 규명한다. <2004년 생활시간조사>자료를 통해 한국 노인의 생산적 노년의 실태를 살펴보고, 유형구분을 통해 노인의 생활세계를 분석한 결과, 노인의 다양한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볼 수 있는데 특히 성별에 따라 노년기 생산적 활동이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 참여 생산적 활동의 영역이 다르며, 포괄적 정의에 의한 생산적 활동의 시간 사용량은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훨씬 많은 시간을 생산적 활동에 투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여성노인의 사회구성원의 역할을 소극적으로 평가했던 기존 논의와 달리 실제 여성노인들이 노년기에 다양한 활동들로 사회적 생산성에 기여하고 노년기에 활발하게 적응하는 측면을 드러낸 결과라고 하겠다. 그리고 군집분석을 통해 노인집단을 생산적 활동이라는 기준을 통해 가정활동형, 소극형, 현역유지형, 자기향유형으로 구분하였는데 이는 노인의 생활세계가 동질적 세계가 아니라 생산적 활동 참여에 있어서 다른 욕구 및 특성을 보이는 상이한 생활구성을 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sponse and consequence seen in the Life-World of older people as Korea starts to hold a productive aging as a central value. It classifies the group of older people based on the data taken from <2004 Time Use Survey> that helps examine the Life-World of older people materialized through productive activities. Especi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ive activities by gender. Male and female older people were also different in major participatory area, and it was found that female spent much more time in productive activities than ma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time spent in productive activities by a broad definition. The group of older people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of characteristics in terms of productive activities. This classification suggests the Life-World of older people is not homogeneous but it is multifaceted, showing their different desire and characteristics when participating in productive activities.

      • KCI등재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문정란 ( Jung Ran Moon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3 No.-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발간된 ``2009년 국민생활시간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여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고 각 변인에 대한 설명력의 정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통계청의 ``2009년국민생활시간조사``의 결과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65세 이상 대상자인 5,392명을 전수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 하루생활시간 중에서 노인들이 생산적 활동시간에 참여하는 시간은 평균 291분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가정관리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참여하였고, 다음으로 일관련활동, 사회적 참여활동, 가족 돌봄 활동의 순으로 참여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 성별, 연령, 배우자 유무, 경제활동경험여부, 요일, 농가여부변인은 생산적 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주관적 인식요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간부족감을 느낄수록 생산적 활동시간이 많았고, 생활시간만족감의 경우 시간을 사용하는 데 대한 만족감이 낮을수록 생산적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s that have effect on the productive activity of elderly Koreans, making use of the result of 2009 national life time research published in the agency of statistics and to give an account of each variabl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found the time that the elders participate in productive activity was average 291 minutes. Among their life of a day, they spent the most time on home manage activity including household labour and next they spent their time on work related activity, social participating activity, family care activity. Also there was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productive activity of the elders according to sociological variables such gender age day the experience of economic activity, the level of education the existence of spouse. On the, other hand, the result according to subjective recognition factor was found the more lack of their time they felt the more the productive activity they have, and the lower satisfaction of their life is the more productive activity they have.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policy-related implications and proposals are presented.

      • KCI등재

        예비은퇴자의 생산적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주희(Ju Hee, Yu),조옥선(Ouk Sun, Cho),박종원(Jong Won, Park) 한국정책개발학회 2018 정책개발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은퇴자의 생산적 활동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예비은퇴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효과적으로 은퇴 이후의 생산적인 노후를 준비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예비은퇴자의 생산적 활동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예비은퇴자의 월평균소득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예비은퇴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적 활동과 관련한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한 결과, 교육프로그램, 여가활동욕구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은퇴자들을 위한 소득수준과 근로조건의 개선, 재취업활동, 자원봉사활동, 자아실현활동 분야의 교육프로그램, 성별로 세분화된 여가시스템 도입과 같은 정부와 기업의 정책과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e-retiree s productive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re-retirees and to find an alternative to prepare productive retirement after retirement effectively.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retiree s productive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the pre-retirees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working conditions(daily workers) had a negative influence. A result of identify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productive activitie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pre-retire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programs, second, the needs for living after retirement were rank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policies and service strategies of government and corporations such as improvement of income level and working conditions for retirees,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re-employment activities, voluntary activities, self-realization activities, and introduction of leisure system subdivided by gender for pre-retir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