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중공통요인 모형을 이용한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이영훈(Young Hoon Lee),장혜리(Hayley Ja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18 한국경제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1983년부터 2010년까지 기간 동안 전자부품 산업을 대상으로 생산성 결정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실증분석을 하였다. 선행 실증 연구에서 다양한 통제변수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면 관심 변수의 계수추정치는 편의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다수의 생산성 결정요인을 회귀 모형에서 고려하였다. 연구개발 투자와 같은 기업의 생산성 결정요인이 산업 전체의 연구개발 수준과 같은 공통요인(common factor)과 기업의 고유 특성을 나타내는 요인부하(factor loading)에 의해 결정된다는 가정을 하고, 다중공통요인 모형(multiple common factor model)을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다양한 변수를 잠재적인 공통요인으로 회귀 모형에 포함하고 공통요인 수의 추정 및 공통요인 식별 과정을 거친 결과, 외국인 직접투자 비중, 해외직접투자 비중, 연구개발 비중, 수입침투율,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 원유가격이 전자부품 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다. 각 공통요인에 대한 요인부하는 기업 간에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국가 전체 연구개발 투자 흐름에 대한 기업 반응은 차이가 있었으며 그에 따라 생산성의 차이가 있었다. 산업 전체를 고려하면 해외직접투자, 연구개발,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생산성에 양의 영향을, 수입침투율과 원유가격은 음의 영향을 주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on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y for the period of 1983~2010. Since the restriction on available data, most empirical studies on the TFP determinants did not fully consider all the factors of TFP in their regression models and this might cause the omitted variable problem. This study tries to consider all possible determinants by applying multiple factor model with observed common factors. We assume that total factor productivity has factor structure with common factors and individual-specific factor loading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FDI inflow, FDO outflow, R&D expenditures, import penetration ratio, female participant ratio in labor market, oil price affect the productivity of a firm in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industry and the effects of common factors are heterogeneous to individual firm. R&D expenditures of Korea have positive effects on TFP of young firms while those have deteriorated effects on TFP of old firms. On average, FDI inflow, FDI outflow, R&D expenditure, women’s labor participation rate raised TFP but import penetration ratio, oil price affected negative effects on TFP.

      • 한국 유통산업 총요소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분석

        전일명(Il Myung Jeon) 한국동서경제학회 2006 한국동서경제연구 Vol.18 No.1

          본 논문은 한국유통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하고 총요소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유통산업의 총요소생산성을 1981~2004년까지 업종별(도매업, 소매업, 일반소매업, 종합소매업, 백화점, 기타종합 소매업)로 측정하고 총요소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결정요인을 직접요인, 간접요인,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다. 총요소생산성 측정을 위해 사용한 방법론은 Jorgenson의 트랜스로그 성장회계모형이다. 총요소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초로 도시인구비중, 인구증가율, 1인당소득 증가율, 도로혼잡도증가율, 지가변동률을 환경적 결정요인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유통산업에서 Verdoorn의 법칙 성립 여부 및 유통산업 업종간 총요소생산성 상호작용과 광고비, 연구개발비 요인이 총요소생산성을 향상시키는지를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and to investigate its determinants in Korean Distribution Indust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 the translog production function and growth accounting approach method which have been commonly used in this area.<BR>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TFP from the multi regression for Korean distribution industrie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rate of TFP growth measured in the first step.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rate of output growth, labor, capital, raw material, capital-labor ratio, entertainment cost, advertising cost, R&D cost, city-population ratio, population growth, per capita income and land price. The main results from the multi-regression are as follow.<BR>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FP and the output growth. Hence, the so called Verdoorn"s law can be adopted for Korean distribution industries except for other general merchandise stores.<BR>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FP and advertising cost in distribution industry and general merchandise stores. And also there is positive relation between TFP and R&D cost in department store.<BR>  There is positive relation between TFP and per capita income distribution industries except for general retail trade. There is negative relation between TFP and population in retail, department store, other general merchandise stores.

      • KCI등재

        한국 제조업의 총요소 생산성 변화와 그 결정요인 분석

        조상규 ( Sang Kyu Jo ),강상목 ( Sang Mok Kang ) 국제지역학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제조업의 기술효율, 규모효율 및 규모의 경제, Malmquist 생산성지수를 측정하고, 기술효율과 생산성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1991~2003기간 동안 우리나라 제조업의 업종별 기술효율은 1990년대 중반에 기술효율이 높았고 그 이후 급격히 하락했다. 1991~2003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제조업의 총요소생산성은 7.0% 성장하였다. 외환위기 이전인 1991~1997년 기간 동안의 총요소생산성은 6.2% 증가하였고 그 이후 7.9% 증가하였다. 총요소 생산성 증가에 기술발전이 주된 기여를 하였다. 기술효율과 총요소 생산성 변화에 대한 결정요인으로는 기술효율의 경우 설비투자효율, 가동률지수, 노동장비율, 제조업 내 생산액 비중, 생산능력지수가 정(+)의 관계를 보였고 수입원유의 가격, 노동생산성은 부(-)의 관계를 보였다. 총요소생산성의 경우는 전기(t-1) 기술효율, 수입원자재 중 원유의 가격, 노동생산성이 부(-)의 영향을 미쳤고 설비투자효율, 가동률지수, 노동장비율, 해외투자금액, 수입비중에서는 정(+)의 영향을 보였다. This paper purposes to measure technical efficiency, scale efficiency and Malmquist productivity and to examine determinants of technical efficiency and Malmquist productivity in Korean manufacturing. The technical efficiency in Korean manufacturing was high in the middle of 1990`s and decreased after that. The change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was 7.0% for 1991-2003. Technical change contributed more than efficiency change in TFP change. The efficiency of plant and equipment investment, operating ratio index, per capita plant and equipment, and production capacity index are all significant and positive(+), but oil price, production index and labor productivity are signigicant and negative(-) in deciding technical efficiency. While the last year technical efficiency, labor productivity and oil price are significant and negative(-), efficiency of plant and equipment investment, operating ratio index, and per capita plant and equipment are significant and positive(+) in deciding productivity growth.

      • KCI등재

        공사기간 영향요인에 따른 생산성의 OLAP 분석과 의사결정트리 분석

        류한국 한국건축시공학회 2011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1 No.2

        As construction duration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performance and the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s,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manage the impact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duration. Recently, intere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rising due to the recent change in the construction legal system, and the competition among the construction companies on construction time. However, the impact factors are extremely diverse. The existing productivity data on impact factors is not sufficient to properly identify the impact factor and measure the productivity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subcontractor, time, crew, work and so on. In this respect, a multidimensional analysis by a data warehouse is very helpful in order to view the manner in which productivity is affected by impact factor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a method that effectively takes the diverse productivity data of impact factors, and generates a multidimensional analysis. Decision tree analysis, a data mining technique, is also applied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supply construction managers with appropriate productivity data on impact factors during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 건설공사의 공사기간은 건설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하여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건설 제도적 변화로 건설공사의 공사기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건설 프로젝트의 공사기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매우 다양하며, 각 요인들 중 어떤 요인이 어느 정도 작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데이터의 체계적인 활용이 부족하다. 또한 특정 프로젝트, 특정 작업, 특정 협력업체 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또는 전체 프로젝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는 것조차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나 데이터 웨어하우스 기술의 다차원 분석을 활용함 으로써 다양한 각도에서의 공사기간 영향요인이 미치는 생산성을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영향요인에 따른 작업 생산성 데이터를 다차원적으로 분석하고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생산성 데이터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기업 규모별 총요소생산성과 종업원보상

        안동환,조승호,유시용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12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구성된 기업-연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총요소생산성과 종업원보상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총요소생산성은 Levinsohn and Petrin(2003)의 측정방법을활용하였고 종업원보상은 종업원 1인당 현금보상으로 측정하였다. 실증분석방법으로 pooled-OLS와 고정효과모형을 비교하였으며 기업규모를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으로 나누어 규모별 영향을 살펴보았다. 추정 결과, 총요소생산성은 종업원보상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에서 총요소생산성을 개선하여생산효율을 증가시키면 종업원은 더 높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기업규모별 실증분석으로 pooled-OLS 분석 결과 모든 기업규모에서 총요소생산성이 종업원보상에 양(+)의 영향을 미쳤고, 고정효과모형 분석 결과 대기업을 제외한 기업규모에서 총요소생산성이 종업원보상에 긍정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다음의 관점에서 의의가 있다. 먼저 종업원보상 결정에 총요소생산성이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기업 수준에서 경영자가 최대 산출을 통한 기업이익 증대를 추구할 때 지표로 총요소생산성을 고려하며 종업원보상을 결정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종업원보상 결정 시 노사 양측의 입장을 고려할수 있는 재무 데이터와 고용 관련 변수를 사용하였고, 기업규모별 분석을 통해 중견기업 및 중소기업의 종업원보상에도 총요소생산성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AHP를 이용한 스마트폰 앱 구매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김유정(Kim Yoojung),김돈한(Kim Donha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1 No.1

        최근 스마트폰이 급속하게 보급됨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앱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들과 이들 요인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스마트폰 앱 기획이나 개발,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앱 구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들 요인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스마트폰 앱 개발시 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우선, 스마트폰 앱 개발이나 마케팅과 관련된 기존의 선행연구 및 예비조사를 통해 스마트폰 앱 구매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추출된 요소들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유료 앱 다운로드 경험이 풍부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모두 7가지의 앱 구매결정 요인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스마트폰 앱 구매결정 요인들간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AHP 기법을 통해 산출하여 향후 스마트폰 앱 개발을 위한 지침으로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앱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인은 앱의 완성도(0.280), 경제성(0.172), 정보접근의 용이성(0.128), 서비스 품질(0.122), 기능의 혁신성(0.118), 관리의 용이성(0.102), 인터페이스 (0.088) 순으로 나타났다. Following the recent and rapid growth of smart phone market it can be observed that understanding the needs and requirements of smart phone users while purchasing applications are crucial information for the smart phone application planning, development and creating marketing strategy. In this thesis all the factors which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purchase were examined and then those factor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according to their relative importa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very important facts and should be taken under consideration while smart 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First, in this thesis factors which have a direct influence on smart phone purchase were extracted through the existing advanced research and preliminary study of the connections between application development and marketing. Next, extracted factors data was used in a survey where subjects with rich experience in smart phone retail application purchase related topics answered questions. After the survey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ll 7 factors of purchase decision were presented. Finally, all the extracted factors of purchase decision were recalculated and recomposed according to their relative importance with use of the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and after that suggested as guidelines for smart phone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tical researches done in the thes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while smart phone application purchase are as follows perfection(0.280), economy(0.172), information access(0.128), quality of service(0.122), functionality innovation(0.118), administration ability(0.102) and interface(0.088).

      • KCI등재

        지역별 총요소생산성과 공간효과를 고려한 결정요인 분석

        박광서 국토연구원 2011 국토연구 Vol.71 No.-

        Growth of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is affected by inputs of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and capital, and improvement of total factor productivity(TFP). To sustain constant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regions, improvement of TFP is preferred to increase of traditional production factors. The theoretical arguments and substantive importance of TFP have vastly introduced in diverse academia, however, less well-known are the rate of return of each production factors to determine TFP and its determinants to explain the TFP.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stimate TFP and its determinants for metro-level cities and provinces during the periods of 1995 to 2009 in Korea. We found that TFP tended to be increased during the periods, but increasing trend of its rate of return has been diminished. We also found that rate of return of TFP for metro cities is lower than that of provincial regions. Diverse determinants have been identified to increase the level of TFP. Among others, capacity building of superior human resources, improvement of financial independence, expansion of welfare budget were important factors that enhance the TFP. The present study also vindicate the effects of urbanization economy and localization economy is smaller than expected a priori. This finding implies that in order to increase TFP, reinforcing networks among diverse innovative agencies is more important than functional integration of geographical autonomy. 지역내총생산의 증가는 크게 생산요소의 투입량과 생산성에 영향을 받는다.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자본, 노동과 같은 생산요소 투입의 증가보다는 생산요소 투입에 따른 단위당 생산성 향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09년까지 시·도를 단위로 총요소생산성을 추정하고, 어떤 경향을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2005년부터 2009년을 대상으로 공간계량모형과 일반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해 총요소생산성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 대상기간 동안 총요소생산성은 전체적으로 개선되고 있지만, 개선효과가 적을 뿐만 아니라 점차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도권은 비수도권에 비해, 시(市)는 도(道)에 비해 총요소생산성이 떨어지고 격차도 점점 커지고 있었다. 총요소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우수인력 양성, 재정자립도 향상, 복지예산 확충, 산업재해율 감소 등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도시화경제와 지역화경제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단순한 지리적 집적보다는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 강화 등 혁신체계를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서비스산업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하봉찬(Ha Bongch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이미 상당부분 진행되어 온 경제의 서비스산업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의 자료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그 결정요인을 찾아 검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0년~2011년 사이의 한국신용평가에서 제공하는 6,106개 기업의 KIS VALUE 재무자료를 사용하여 (1) 도매 및 소매업, (2) 운수업 (3) 숙박 및 음식점업 (4) 출판, 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서비스업 (5) 부동산업 및 임대업 (6)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7)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 (8) 교육서비스업 (9) 예술, 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으로 분류하여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본투입의 경우 운수업, 숙박업·음식점업, 사업시설·사업지원서비스업, 예술·스포츠·여가관련 서비스업 등에서 노동생산성 증가율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적자본은 도소매,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교육서비스업 등에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D의 경우 도소매업, 출판·영상·정보·통신서비스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 등에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른 세부 서비스산업에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이처럼 세부 서비스산업별로 생산기술의 차이가 크고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산성 효과도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으므로 각 세부 산업별로 차별적인 정책 및 지원 방안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hift to service economy in Korea and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labor productivity in the Korean service industries. We have used 6,106 firms’ financial data in KIS VALUE dataset during the period of 2001~2011. We divided the firms into 9 subindustries: (1)trade, (2)transport, (3)hotels and restaurant, (4)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5)real estate and renting, (6)professional and scientific services, (7)business support services, (8)education, (9)culture, sports, and leisure service. We have found that the labor productivity has improved significantly by more capital input in transport, hotels and restaurant, business support services, and culture, sports, and leisure service industry. Human capital input is related with the productivity improvement in trade, professional and scientific services, and education. R&D activity contribution is found only in trad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and professional and scientific services.

      • KCI등재

        16개 광역시도별 제조업 부문에 대한 절대적 및 조건부 수렴가설 검증 및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

        박추환 ( Chu Hwan Park ),신광하 ( Kwang Ha Shin ) 국제지역학회 2013 국제지역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대한민국 16개 광역시도이며,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09년의 제조업 10개년도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총생산(GRDP)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여 지역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한 절대적 및 조건부 수렴여부 및 제조업 생산성 결정요인을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절대적 수렴 및 조건부 수렴가설 모두 귀무가설(H0)를 기각함에 따라 수렴가설이 성립하고 있으며, 전국의 제조업 생산성은 수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렴속도를 살펴보면 절대적 수렴모형에서 수렴속도는 연간 4.4%가 나왔고, 조건부 수렴에서는 연간 0.73%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별 제조업의 생산성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종속변수를 1인당 부가가치로 이용했을 때, 인적자본 변수와 제조업 입지계수변수가 정(+)의 관계로 나타났고, 1인당 정부지출 변수가 부(-)의 관계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변수의 경우 지식 재산권변수만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총요소생산성의 경우 1인당 정부지출과 1인당 고정자본형성변수가 정(+)의 관계로 유의하였으며, 연구개발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analysed the absolute and conditional convergency hypothesis and the determinants of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industries from 2000 to 2009 with 16 provinces and metro-cities by using panel analysis. In terms of convergency hypothesis test, the results show that both of the convergency hypothesis, the absolute vs. conditional hypothesis, reject the null hypothesis(H0) implying the labor productivity of the 16 province and metro-cities converged to the steady state equilibrium. Also, the speed of the absolute and conditional convergency for the 16 province and metro-cities are average 4.4% and 0.73%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determinants of the labor productivity in manufacturing industry show that human capital and manufacturing location coefficient affect to the value- added per capita significantly, but government expenditure per capita doesn`t affect to the value- added per capita. As for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government expenditure per capita and fixed capital per capita are important factors, but research and development doesn`t. Hence the government has to revise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to develop regional manufacturing industries for the vulnerable regions. Also, it requires more study regarding income disparities and productiv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