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역』의 생명공동체적 선(善)과 치유의 생명미학 - 경계의 구분이 없는 통합적 경계 -

        김연재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5 No.-

        본고에서는 현대사회의 병폐로서 파편화된 자아의 강박관념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 논점은 치유의 생명미학에 있다. 생명미학은 인간의 존재와 가치를 생명공동체의 연속 선상에 놓는 통합적 경계에 대한 심미의식의 차원을 지닌다. 『주역』의 세계에서 생명공동체는 천지의 틀 속에서 생명의 자생적 연결망, 그 유기적 흐름 및 변화의 양상에서 체득한 의식의 결정체이다. 그 속에서 인간은 생명의 존재론적 토대위에 생명의 율동이 자연스레 발현하는 본성의 가치론적 의미를 갖는다. 그는 자신의 본성이 자연스레 발현되지 못할 때 인생관의 왜곡, 세계관의 굴절, 가치관의 붕괴 등과 같은 본질적인 병폐가 드러나기 마련이다. 치유는 인간본성의 자연스러운 발현 속에서 생명의 이치를 도덕의 가치로 고양하는 내면적 의식의 세계와 관련된다. 이는 낙천지명(樂天知命)과 안토돈인(安土敦仁)의 변주(變奏)로 특징지을 수 있다. 치유의 생명미학은 생명공동체적 선(善)의 연속선상에서 인간 본성의 자연스러운 발현을 지속적으로 회복하는 방법론적 성격을 지닌다. 이는 인간의 존재론적 열망과 가치론적 목표가 합치되는, ‘경계의 구분이 없는 통합적 경계’를 추구하는 것이다. 여기에 생명의 본성의 자연스러운 발현 속에 선(善)과 미(美)가 일체가 되는 자아실현의 지속가능한 과정이 있다. This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the life-aesthetic argument of healing in the context of the consciousness of life-community in the Book of Changes. The reality of actual world in the Book of Changes is most concretely and most symbolically expressed in the frame of heaven and earth. Under the premise that a human being is perfect, the life where he recognizes and awakens his human nature is the ecological one. In this life he has the mature humanity and, therefore, orients toward the aim of subjective and rational life, namely, self-realization, which is characteristic of a variation of Le-tian-zhi-ming(樂天知命) and An-tu-dun-yen(安土敦仁). If a healing depends upon restoring the perfection of human existence, and then its method has to be based upon an awareness of the community of life. The community of life is an idealistic world that the pursuit of personal and social ideal is in accordance with the orientation of value. The idealistic world, filling up our emotional satisfaction, is to live the life of healing and a given condition of happy life. It is a way of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our destiny. The experience of healing is possible in the realization of our perfect character. Particularly, it is consequent that moral emotions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and their cannon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life happiness. This is because the cultivation of human characters is elevated into an extension of healing. Here is a mechanism of healing.

      • KCI등재

        생명존중의식에 기반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신영,이상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2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ife comprehension education based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4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Hwang(2005)`s test tool was used to the effects of applying a life comprehension program.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a professor-learning model for the life comprehension education based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life-related contents from 4th grader curriculum. Secon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correlation(from 0.4 to 0.7) among the low domain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ult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on the life, and have a right understanding on life. In conclusions, the life comprehension program based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cultivation of 4th graders. It is demanded that the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is study should be conducted,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follow-up activity. 본 연구는 생명존중의식에 기반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명이해교육 및 정서지능에 관한 선행연구고찰을 통하여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 현장에 적용하였다. 그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검사지는 황은영(2005)이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지를 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i-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처리하였고,정성적 분석은 연구자의 관찰 및 면담과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생명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여 나를 비롯한 모든 인간과 동․식물의 생명의 소중함을 이해하며 직접 알아보고 표현하는 여러 활동을 내용으로 하여 정서지능 함양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 및 교수·학습안을 구안하였다. 둘째, 생명존중의식에 바탕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함양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정서지능의 하위영역간 정적인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0.4-0.7)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성적 분석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생명에 대한 관심과 생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명존중의식에 바탕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가능하며, 4학년 학생들의 정서지능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기획 논문 : 기독교철학의 제문제 ; 슈바이처의 생명외경 사상 -생명공학 시대 속에서의 새로운 조명-

        김영한 ( Yung Han Kim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0 기독교철학 Vol.10 No.-

        생명 문제는 21세기 생명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인간 복제 및 인간 생명의 인위적 연장 등으로 인하여 더욱더 새로운 주목을 받기에 이르고 있다. 본고는 이 생명외경 개념을 그들의 사유에 있어서 주제화한 현대 사상가 알베르트 슈바이처(Albert Schweitzer)의 견해를 연구하고자 한다. 슈바이처는 물질주의 세계관에 의하여 실용화되고 공리주의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생명의 존엄성을 강조하였다. 생명외경 사상은 존재의 신비에서 나오는 생명의지의 요청이다. 이것은 칸트적 정언명법의 성격을 갖는다. 그러므로 생명외경 사상은 바로 생명외경 윤리가 된다. 이 점에 있어서 그의 생명관은 생명존엄성의 선구자적 역할을 하였다. 그의 생명외경 사상은 생명이 기능화되는 생명공학 시대에 생명의 조작에 대한 비판적 의식과 더불어 생명에 대한 존재론적이고 의무론적 윤리를 우리에게 깨우쳐 주고 있다. 슈바이처는 예수의 이웃사랑의 윤리를 창조물에 확대하면서 생명외경의 윤리를 창안하였다. 여기에 그는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삶의 철학을 수용하고 있다. 그래서 그의 생명외경의 착상에는 신약성서적 산상수훈의 요소보다는 윤리신비적이고 삶의 자기구속을 지향하는 윤리신비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On the issue of life have been given more and more new remarks due to the human cloning, artificial extension of human life, while the life engineering has been developing in the 21st century. This paper shall be intended to study the views of Albert Schweitzer and Hans Jonas, who have made the concept of life as theme in their thought. Schweitzer emphasized the dignity of life in the modern society which was being practical and utilitarian by materialistic worldview. In this point he played a role of frontier for the worthiness of life. The thought of respect for life is a demand of the will to life coming out of the mystery of the being. It possesses the character of Kantian Categorical Imperative. The thought of respect for life becomes the ethic of respect for life. This thought of respect for life has made us aware of an ontological and deontological ethics of life as well as a critical mind of life manipulation in the bio-engineering era, in which life has come functional. Schweitzer suggested the ethics of dignity of life, extending the ethics of love of neighborhood by Jesus. Here, he accommodates the life of Schopenhauer and Nietzsche. So, his idea of dignity of life contains the ethical-mythical elements to seek for the self-redemption rather than Jesus` teaching on the mountain in the New Testament.

      • KCI등재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엄주희 韓國憲法學會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4

        과학기술과 의학이 발전하면 할수록 인간 생명의 시작과 끝에서 생명권의 주체가 될 수 있는 경계선이 모호해진다. 생명의 끝에서 본다면, 연명치료중단, 의사조력자살이 생명권 침해나 제한에 해당되는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다. 헌법의 개정사를 통해 생명권의 근거가 되는 헌법 조항을 살펴본바 다음과 같은 결과에 도달하였다. 생명권은 기본권의 가장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보호 영역이면서 기본권 보장의 기초와 토대가 되며, 우리 헌법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제헌헌법부터 현행헌법까지 명문화된 신체의 자유, 열거되지 아니한 권리의 경시 금지 조항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고, 1962년 5차 헌법 개정에서부터 도입된 인간의 존엄과 가치 조항을 근거로도 인정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생명권은 기본권의 본질적이고 핵심적인 영역으로서 헌법에 명문 규정이 없더라도 인정될 수 있는 기본권이나, 생명권은 그 중요성과 기본권 체계 내의 질서를 감안할 때 독자적인 기본권으로 헌법에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생명의 끝과 관련한 생명권의 최근 해석을 보면, 임종기에 직면한 환자의 연명치료중단의 권리는 생명권의 침해가 아닌 생명권의 보호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서 환자의 의사결정에 의거하여 인정될 수 있는 헌법상 권리이다. 죽음이 임박한 환자에 대한 연명치료 중단은 생명권의 포기나 침해가 아닌 생명 활동의 보호이자 생명권 자체의 특성으로부터 도출되는 것으로서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와, 본인이 원치 않는 신체 침해를 배제할 권리 즉 치료거부권을 포함한 헌법상 자기결정권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다. 죽음에 이르는 과정도 삶의 일부분이며, 불치의 질병이나 신체손상에 의하여 죽음에 이르는 것이 생명활동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환자의 진지한 의사결정에 기한 연명치료중단의 권리는 생명권을 보호하는 헌법 질서와 상통하는 삶의 마지막 권리라고 할 수 있다. Scientific and medical advances have made unclear the boundary line of one's life- the object of the right. From the viewpoint of the end of life, it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whether the forgoing treatment and physician-assisted suicide apply to the violation and restriction in right to life. After studying articles of constitution through the constitutional history in Korea, I came to the conclusion as the followings. The right to life is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protection area of constitutional right. Moreover, it is the foundation and basis for protec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though it has not been clearly implied in Korean constitution. The right to life is based on the personal liberty and the article which is about the right to prohibit the disparagement of other right and liberty only because of enumeration. These articles has been implied since the first constitution of Korea. It is based on the dignity of man which has been implied since the fifth amendment in 1962. It can be acknowledged as constitutional right regardless of legalizating its regulation. However it is desired that it is implied in Korean constitution in respect of the order system of constitutional rights. The recent interpretation of 'right to life' in the end of life is the following. The right of withholding or withdrawing of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terminally ill is not the violation of right to life, but protection of the right and constitutional right which is based on the dignity of man and the constitutional right of self-determination. The process from life to death in the end of life is the part of living and natural phenomenon occurring in activity of life. Therefore the right of withholding or withdrawing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ccording to terminally ill's genuine decision-making is the last right which coincides with constitutional order system to protect right to life and the right which is based on the right to life because of the nature of itself.

      • KCI등재

        생명을 살리는 목회의 비밀로서의 십자가

        김용주 ( Yong Joo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2 생명과 말씀 Vol.6 No.-

        최근에 들어 한국 교회는 양적으로도 성장을 이루고 있지 못하지만, 더 심각한 문제는 교인들이 생명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생명력을 잃어 가는 이유에 대하여 문제 제기를 하고 있는 여러 흐름들 중에서, 특히 신학이 학문이 아님을 표방하면서 신학을 생명과의 불가분의 관계 속에 정위시키려는 백석대학교에서 출현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문제 진단에 동의하면서, 필자는 십자가에 대한 선포의 소홀이 한국교회에 생명력을 약화시켰다는 진단을 덧붙이고자 하였다. 하나님의 구원은 세상에 생명을 주시는 것이다. 그런데 하나님은 이 생명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서, 특히 예수님의 십자가를 통하여 나누어 주셨다.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볼 때도, 하나님의 생명은 예수님께서 지셨던 십자가를 통하여 나타났다. 즉 하나님은 예수님을 십자가와 죽음에 넘겨주시면서 죄인들에게 당신의 생명을 나타내주시었다. 더 나아가 사도들의 경우를 보아도, 하나님께서는 그들을 죽음에 내어주시면서 그들을 통하여 복음을 듣는 성도들에게 생명을 나누어 주시었다. 우리는 이렇게 십자가를 통하여 신자를 구하는 방식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미 16세기 종교개혁에서 강조되었고, 최근에 백석대학교의 개혁주의생명신학을 통하여 다시 강조되어지고 있는 생명 분여의 5대 원칙인“오직 성경을 통하여서만, 오직 그리스도를 통해서만,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오직 은혜를 통해서만, 오직 하나님의 영광을 통해서만”에다, “오직 십자가만을 통해서만”을 포함시킬 때, 필자는 신자에게 생명이 약동하게 될 것이라고 본다. 왜냐하면 결국 하나님은 십자가를 통해서 당신의 생명을 부여하시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리의 이성으로는 이해될 수 없음으로 ‘비밀’이라고 밖에 말할 수 없다. 개혁주의 설교가들은 십자가를 강단에서 승리의 소식으로 전파해야 할 것이다. 십자가를 선교할 때, 설교자에게 십자가가 따르고 또 신자들에게도 십자가가 따른다. 그러나 하나님은 십자가를 통하여 겉 사람에게는 환난, 박해, 시험을 당하게 하시나 속사람에게는 자유와 해방 그리고 생명을 주신다. 그러므로 설교자는 십자가를 알고 십자가를 전해야한다. 그럴 때 하나님의 생명이 성령의 역사로 교회에 충만하게 나타나진다. 그러나 교회가 십자가 복음 외에 다른 것들을, 예를 들어 자유로운 삶, 세계관, 기독교인의 성화 등을 복음 보다 더 큰 비중을 가지고 전하게 될 때, 생명력은 소진되어 질 것이다. 거꾸로 설교가들이 십자가에 집중하여 십자가를 선포의 중심에 놓고 전하게 될 때 생명을 살리는 목회가 될 것이고, 자유로운 삶도,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의 문화적 책임도, 그리스도인의 성화도 온전히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생명을 살리는 목회를 하기 위해 다시 십자가 복음으로 돌아가자! 십자가가 생명을 살리는 목회의 비밀이다. 이 비밀을 알고 전하는 자는 복이 있을 것이다. Nowadays, it is generally said that the Korean church has no more growth in church members, and futhermore that the power of life is losing its momentum in the church. Many experts have diagnosed this problem in an effort to come up with cogent solutions. This article has, first of all, agreed with a diagnose of Dr. Chang, the founder of Baek-Seok University, who criticised the division between theology and pastoral action and then proposed Reformed Life Theology as an alternative. He makes it clear that Reformed Life Theology adheres to the five ``Sola`` Proclamations of the Reformation; and he seeks to bring these principles back to life through seven movements. This article puts a special focus on the method of God giving His life to the believers. God provides, in my opinion, His life through the cross. This way of providing life was achieved, first of all, in the life of Jesus Christ. He revealed his life by handing over his body to the death. This amazing way of revealing his life was also founded in the works of his apostles. As Paul confessed, they surrendered their lives voluntarily to death for Jesus, so that the life of Jesus might be revealed in their mortal bodies. In other words, their work was characterized by death in order to produce life in the believers. Today, God still handles his children in such a way that they also work to produce life in others. He permits them to bear their respective crosses, which mean tribulation, trials, persecutions on the part of believers, but lead them eventually to a living life. The Cross is God`s wonderful way of providing life and of reviving His church. If it is to achieve its purposes, Reformed Life Theology must reflect this truth.

      • KCI등재

        단군설화(檀君說話) 생명의식(生命意識) 연구(硏究)

        서경요 ( Kyung Yo Suh ),심범섭 ( Beom Seop Shim ) 東洋哲學硏究會 2007 東洋哲學硏究 Vol.50 No.-

        한국의 생명사상은 자연생명의 모든 활동 중심은 天에 두고 있지만 그 발현은 인간이 주축이 된다는 인간중심적이면서 자연과 친화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 이기적인 인간중심주의가 아닌 자연과 조화로움을 유지하는 人間本位사상은 고대 한국의 人極중심 생명철학의 연장이다. 이러한 생명관의 기원은 단군설화이다. 三神·三才사상에 生命水의 관념이 가해져 人極중심의 생명사상으로 발전하였다. 人極은 우주 생명의 분화와 통일의 목적이며 발전과 조화의 주체이다. 이러한 사상은 생명존중사상을 확립시키고 인간의 존엄성을 인식하게 되어 한국 고유의 人間本位의 사상과 철학의 근본이 되었다. 이러한 사상이 결집된 정치구조가 三五構造이다. `三`은 三神과 三才로 상징되는 생명의 수직 구조를 의미하며, `五`는 수평구조로 현재의 생활공간이며 중앙과 四方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직구조는 시간적, 수평구조는 공간적 의미가 내재되어 있다. 수직구조와 수평구조의 교차점은 시간과 공간의 중심이며 그 위치에 人極이 존재한다. 人極은 시간적으로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와 미래의 기준이 되고, 공간적으로 자연과 만물의 중심이 된다. 따라서 우주자연의 생명은 인간을 중심으로 탄생하고 분화하며 중화를 이루게 된다. 일반적으로 한국유학, 특히 조선조 성리학의 특징 중 하나는 誠을 표준으로 삼은 『中庸』의 中和思想을 윤리실천의 기본으로 삼았다. 一中이란 수직적인 시간성과 수평적인 공간성이 교차함을 의미하며 時空을 분리하지 않는 시각이다. 『中庸』을 윤리실천의 기본으로 삼은 조선조의 성리학은 단군설화에 등장하는 人極중심의 생명정신과 정치적 三五構造의 時空間的 생명관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생명철학은 元曉의 和諍論, 退栗의 성리학, 茶山의 실학, 水雲의 동학사상으로 계승 발전하고 있다. 민족 전통의 생명의식이 반영된 한국 유학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생명의 가치는 天命의 대행자적 지위를 확보한 인간이 생명활동의 주체자로서 생명의 영속성을 유지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孝를 바탕으로 실천의 기준을 마련하고 자연과 타인의 생명의 존엄성을 인정한다. 자연을 사랑하고 타인을 배려하여 조화를 이루고 조상을 섬기고 자손을 교육하는 실천행위가 人極의 생명철학인 것이다. 韓國的生命思想,其自然生命的所有活動中心在於天,但其表現却具有以`人`爲主軸的人類中心的、與自然親和的特徵。不是利己的人類中心主義,而是維持與自然協調的`人間本位思想`,是古代韓國的`人極中心生命哲學`的延長。這樣的生命觀起源於檀君說話。三神、三才思想里,融入生命水的觀念而發展爲人極中心的生命思想。人極是宇宙生命分化、統一的目標,是發展和協調的主體。這樣的思想確立了生命尊重思想,認識了人類的尊嚴性,從而成爲韓國固有的人間本位思想和哲學的根本。這樣的思想集結而成的政治構造就是`三五構造`。`三`意味着象徵爲三神和三才的生命垂直構造,`五`作爲水平構造,是現在的生活空間,意味着中央和四方。因此,垂直構造內在着時間的含意,水平構造則內在着空間的含意。垂直構造和水平構造的交叉點是時間和空間的中心,人極存在於這個位置里。人極在時間上,在現在這個時刻是過去和未來的基準; 在空間上,又是自然和萬物的中心。所以,宇宙自然的生命以人爲中心而誕生、分化幷達到中和。通常,韓國儒學特別是朝鮮祖的性理學,其特徵之一就是將以誠爲標準的『中庸』的中和思想作爲倫理實踐的根本。所謂`一中`,意味着垂直時間性與水平空間性的交叉,是時空不分離的時刻。以『中庸』的倫理實踐爲本的朝鮮祖性理學,一貫地維持着檀君說話里出現的人極中心的生命精神和政治三五構造的時空間的生命觀。這樣的生命哲學繼承幷發展着元曉的和諍論,退栗的性理學,茶山的實學,以及水雲的東學思想。反映了民族傳統生命意識的韓國儒學中,人類的尊嚴性和生命的價値在於,確保了天命代行者地位的人類作爲生命活動的主體者,其目的是爲了維持生命的永續性。因此,具備以孝爲本的實踐基準幷認定自然與他人的生命尊嚴性。熱愛自然,關懷他人達到和協,侍奉祖先幷敎育子孫的實踐行爲就是人極的生命哲學。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비학문성 및 비학문성의 학문성, 그 평가와 전망

        장호광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3 생명과 말씀 Vol.37 No.3

        본고는 최근 들어 국내 교계 및 신학계에 적잖은 파장을 일으 키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사상, 그 중에서도 “신학은 학문이 아니 다”라는 명제적 선언에 주목하여, 그 속에 함의한 신학적 의의 및 중요성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보려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 믿지 않는 사람들로부터 비난의 대상으로 전락한 현 한국 교회의 현실에서 벗어나 재도약하고 비 상할 수 있는 가능성 여부를 개혁주의생명신학 사상의 그루터기 로 자리 잡은 ‘신학의 비학문성’에 초점을 맞춰 타진해 보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물 이런 신학의 비학문성에 내포된 의의 를 들추어내어 오늘을 살아가는 국내 그리스도인들에게 적절한 신학적 좌표와 방향성을 제시해줄 실존적 적용성 또한 빠뜨리지 않고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고는 전체 4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1장은“들어가는 말”로서 이 글을 쓰게 한 동기 및 배경을 포함해 본 글 전체 내용의 주요 논지와 방향성을 요약하여 제시해 보았다. 2장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비학문성”으로써 왜 신학의 비학문 성을 주장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이유를 신학의 사변성과 관념 성에 주목하여 전개했는데, 진리 획득을 외면에서 일방적으로 주 어진 ‘계시’가 아니라, 인간의 내면적 사유 작용에 의한 이성적 의식에서 찾으려는 데카르트와 헤겔에 중점을 두고 탐색해 보았 다. 3장은 “비학문성의 학문성”으로써 믿음이 아니라 이성적 의 식에서 비롯된 신학의 사변성과 관념성을 제거한 후 정제된 신학 의 본래적 학문성의 착점을 ‘생명’에 두고 그 의미를 추적해가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죽음이 아니라 ‘영원한 생명’으 로 인도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근간이자 종교개혁 운동을 불러 일으킨 주요 슬로건인 ‘5대 솔라’를 소환하여 이 속에 담겨 있는 신학적 의미를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나가는 말”에서는 앞서 다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비학문성, 비학문성의 학문성에 담겨 있는 주요 사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더불어 국내 신학계를 넘어 교회 영역에도 미칠 실존적 적용성의 가능성 과 방법을 제언하는 형식으로 마무리 지었다.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re- formed life theology ideas that have recently made significant waves in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ical field, especially the propositional declaration that “theology is not a science,” and to examine various aspects of theological significance and importance. Furthermore, another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 amine the ‘non-academic nature of theology’, which has become the found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taking a leap forward by escaping from the reality of the current Korean church, which has become an object of criticism from non-believers today. I'm trying to focus on it. Of course, by uncovering the significance contained in the non-academic nature of this kind of theology, we also searched for existential applicability that would provide appropriate theo logical coordinates and direction to domestic Christians living today. To this end, this paper is comprised of four chapters. First, Chapter 1 is the “Introduction,” which summarizes and presents the main thesis and direction of the entire text, including the mo- tivation and background for writing this paper. Chapter 2 ex- plains why it was necessary to assert the non-academic nature of theology as “the non-academic nature of Reformed Life Theology,” focusing on the speculativeness and idealism of theology. Rather, the search was focused on Descartes and Hegel, who sought to find rational consciousness through the in- ner thinking process of humans. Chapter 3 is “the academic na- ture of non-academic nature,” which consists of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peculativeness and idealism of theology that origi- nates from rational consciousness rather than faith, and then fo- cusing on ‘life’ as the original academic nature of refined theol- ogy and tracing its meaning. In addition, the ‘Five Sola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that will lead to ‘eternal life’ and the main slogan that gave rise to the reformed movement, were summoned and the theological meaning con- tained therein was examined from various aspects. And in the final “Conclusion”,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main ideas contained in the non-academic and non-academic nature of Reformed Life Theology discussed above was proposed, as well as the possibility and method of existential applicability beyond the domestic theological field to the church field.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과 크리스천코칭

        정희정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3 생명과 말씀 Vol.37 No.3

        본 연구는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신앙과 학문의 통합적 접근 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기반 크리스천 코칭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개혁주의생 명신학과 크리스천 코칭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기독교신자 이 면서 동시에 전문코치로 활동중인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 뷰 결과를 토대로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관점에서 분석 하여 크리스천 코치의 크리스천 코칭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33개의 크리스천 코칭에 대한 Q진 문중 크리스천 코치들이 강한 동의와 부동의를 한 18개의 진 문과 심층 인터뷰 자료를 개혁주의생명신학의 7대 실천운동(신앙운동, 신학회복운 동, 회개용서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나라운동, 나눔운동, 기 도성령운동)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개혁주의생명신학의 7대 실천운동과 크리스천 코치의 크리스천 코칭에 관한 인식은 성경 이 우리의 신앙과 삶의 유일한 표준으로 성경으로부터 출발한다 는 점에서 일치를 보였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하여 성도 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성령충만한 삶을 살고 영적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크리스천 코칭이라고 인식을 하였으며 또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7대실천운동에서 추구하는 실천적 접 근과 크리스천 코치가 하나님의 동역자로서 사명과 역할을 다하 여 코칭현장에서 크리스천 코칭을 수행하는 것이 같았음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기독교 세계관에 근거한 신앙과 학문의 통합적 접근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기반 크리스천 코칭교육과 크리스천 코치 양성을 통해 개혁주의생명신학의 7대 실천운동이 더 활성화 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크리스천 코칭의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크리스천 코치를 양성하는 개혁주의 생명신학기반 크리스천 코칭교육프로그램 개발 등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Christian coaching program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promotes dynamic practice that changes oneself, the church, and the world through a integrated approach of faith and learning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role of Reformed Life Theology and Christian coaching was examined, and the results of interviews with 24 Christian believers who were active as pro- fessional coaches were analyz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even major practice movements of Reformed Life The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33 Q statements on Christian coaching, 18 statements and in-depth interviews in which Christian coaches have strongly agreed and disagreed were selected as the 7 practice movements of Reformed Life Theology,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of Reformed Life Theology and Christian coaches’ awareness of Christian coach ing show that the Bible is the only source of our faith and life. They showed agreement in starting from the Bible as a standar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for various studies and practice of Christian coaching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Christian coach- 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to nurture Christian coaches.

      • KCI등재

        인간생명의 시작에 관한 성경적 이해 : 생명윤리 물음에 관한 실천적 함의를 중심으로

        김상득 ( Sang Deuk Kim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0 신앙과 학문 Vol.15 No.4

        인간생명의 시작 물음은 생명윤리학의 ``토대`` 물음이다. 이 글은 인간생명의 시작에 관한 성경적 입장을 밝힌 다음, 생명윤리학 물음에 관한 그 실천적 함의를 천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경은 생명의 시작점을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우리는 성경의 몇몇 구절을 통해 이를 추론할 수 있다. 하나님의 형상과 예수의 성육신 사건 등은 인간생명이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수정 순간에 시작됨을 말해준다. 즉, 우리는 특별한 그 어떤 본질적 속성으로 인해 인간인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창조하였다는 그 한 가지 사실로 인간이며, 또 예수님은 출생 때가 아니라 임신한 바로 그 순간에 이미 성육신 하였기에, 인간생명은 수정 순간에 시작된다고 말할 수 있다. 또 시편 139:13-18, 욥기 3:3, 예레미야 1:5 등도 이러한 수정론을 지지한다. 이와 더불어 이 글은 수정론에 반대하는 ``낙태 해석`` 구절(출애굽기 21:22), 인간 창조에 관한 생기설, 착상론을 옹호하는 개체성 논변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이러한 수정론에 따르면, 인공 임신중절, 체외수정, 배아연구 등은 원칙적으로 금지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행위는 이미 하나님이 창조한 인간생명을 파괴하는 비윤리적인 행위이기 때문이다. 강간, 근친상간, 산모 생명의 위독 등의 경우 임신중절이 옹호된다는 이유 등은 수정론에 대한 반대논변이 되지 않는다. 이는 예외적인 경우이지, 결코 인간생명의 출발점 자체를 변경시키는 논변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정론은 기독교인으로 하여금 대리모의 도덕성에 관해 혼돈을 야기한다. 왜냐하면 비록 체외수정 행위가 비윤리적이라 하더라도, 이미 창조된 배아는 하나의 인간생명이기 때문에 대리모는 아이를 사고파는 행위가 아니라 아이를 양육하는 보모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에 관한 기독교 윤리학적 논의가 앞으로 더 깊게 천착되어야 할 것이다. When does human life begins? It is the central and foundational question in bioethics. I aims to investigate critically into this question from the point of Biblical view. Though the Bible does not tell us the concrete point of beginning of human life, we can infer it from God`s Words. I will suggest that the Bible supports the fertilization thesis that a human life begins the moment a sperm and an egg are fertilized. And I will study on its practical implications in bioethical problems. Genesis 1:27 says. "So God created man in his own image. in the image of God he created him." Although it is too vague to understand its meaning correctly. We are human not because we have some intrinsic property or properties but because God created us. A fertilized egg is created by God. Psalm 139:13-18. Job 3:3. And Jeremiah 1:5 Support the fertilization thesis. And incarnation doctrine supports it too. However, there are some verses in the Bible that are incompatible with the fertilization thesis. Exodus 21:22 is one of them. It can be interpreted not as artificial abortion but miscarriage or premature birth. According to this view on the beginning of human life. artificial abortion. IVF. and embryo experiment are generally morally wrong. But we should discuss the morality of surrogate mother. In addition. we approach into bioethical problems with wisdom because pastoral caring must be based on not law of God but grace of God.

      • KCI등재

        화란개혁주의 관점에서 조명한 개혁주의생명신학

        안인섭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3 생명과 말씀 Vol.35 No.1

        This article studies how the core value of the Christian Gospel, “the Kingdom of God,” should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theological theme of “Church and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perspective. First, with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ical theology, I study the Dutch Reformed theology in the early modern era of the sixteenth century interprets the Kingdom of God, and examine how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terprets this theme. In the end,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illumina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utch Reformed. According to Dutch Reformed Theology, the Kingdom of God begins with a spiritual Kingdom where the Word of God is proclaimed and sinners gain the life. Faced with the rising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ology, Reformed Life Theology also finds a solution in the Gospel of Life of Jesus Christ. In this respect, Reformed Life Theology shows theological characteristics consistent with Dutch Reformed Theology. The Dutch Reformed Church was able to actively and positively contribute to modern history by applying Calvin’s theology of the Kingdom of God to the dynamic situation of the Netherlands, which was developing into a modern united republic. Calvin and the Dutch Reformed Theology understood the Kingdom of God as God's dual rule, and emphasized that the state must have the justice, while Church and State that carry out the reign of God are distinguished. Reformed Life Theology clearly interprets the Kingdom movement as a movement that realizes the lordship of Jesus Christ through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n all areas of faith and life. In this context, an in-depth study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on God’s reign through the State and society is required. The history of Dutch Reformation shows that when the Christians, who gained the life of salvation through the Word of God, lived according to their faith in the Kingdom of God, they contributed to the opening of modern civil society, as well as to the Dutch Reformed Church. Reformed Life Theology, which has a clear orientation to the Kingdom of God, is also expected to make a historical contribution to supplying spiritual life to the secularized and power less modern church and theological world and establishing God's justice in the modern society. 본 논문은 기독교 복음의 핵심 가치인 “하나님 나라”가 “교회와 국가”라고 하는 신학적 주제와 관련해서 어떻게 해석되어야하는지 개혁주의 관점에서 연구한다. 먼저 16세기 근세 초 화란개혁주의 신학은 하나님 나라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역사신학적으로 고찰하며,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이 주제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결국 화란개혁주의의 관점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조명한다. 화란개혁주의에 의하면 하나님의 나라는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어 죄인이 생명을 얻게 되는 영적인 나라에서 시작한다. 한국 교회와 신학의 한계 상황을 직면하면서 개혁주의생명신학도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의 복음에서 해결을 찾는다. 이런 면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화란 개혁주의와 일치되는 신학적 특징을보여주고 있다. 화란 개혁교회는 칼빈의 하나님 나라 신학을 근대적 연방공화국으로 발전하던 네덜란드의 역동적 상황에 적용함으로 근세 역사에 적극적이고 긍정적으로 공헌할 수 있었다. 칼빈과 화란개혁주의는 하나님의 나라를 하나님의 이중의 통치로 이해하면서 하나님의 통치를 수행하는 교회와 국가는 구별되면서도 국가는 반드시 정의로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나라운동을 신앙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성령의 도우심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실현하는 운동이라고 명확하게 해석해내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국가와 사회를 통한 하나님의 통치에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심화된 연구가 요청된다. 화란 개혁주의 역사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구원의 생명을 얻은성도들이 하나님 나라 신앙대로 살아갔을 때 교회를 살릴 뿐 아니라 근대 시민사회가 열리는 데 공헌하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나님 나라 지향성이 선명한 개혁주의생명신학도 세속화되고 무기력해진 현대 교회와 신학계에 영적 생명을 공급하고 하나님의 정의를 세우기 위한 역사적 공헌이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