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넷 쇼핑몰의 색상적용에 따른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쇼핑몰 9사를 중심으로 -

        박화진,박헌균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각 해당하는 브랜드의 사이트 강조색상을 어떻게 적용함에 따라 소비자가 느끼는 ‘브랜드 연상색상’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시행하기 위해 기존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연구 대상은 총 9가지이다. 이는 백화점 계열사의 롯데닷컴, 현대Hmall, 신세계몰, 홈쇼핑 계열사의 GS SHOP, CJmall, 오픈마켓의 G마켓, 11번가, 옥션, 인터파크이다. 둘째, CI의 대표색상을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 쇼핑몰 3사(신세계몰, 11번가, 옥션)는 브랜드의 대표 색상을 빨간색으로 적용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쇼핑몰 6사는 각기 다른 색채를 적용하고 있었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사이트의 강조색상과 CI의 대표색상이 서로 일치할 경우, 소비자가 느끼는 ‘브랜드 연상색상’도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반면, 사이트의 강조색상과 CI의 대표색상이 서로 불일치할 경우, 소비자가 느끼는 ‘브랜드 연상색상’은 불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안 방안으로 단일색상의 브랜드의 대표색상과 사이트의 강조색상이 모두 일관되게 통일시켜야 함을 기존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위한 사이트 색상 선정은 CI의 대표색상을 적용해야 브랜드 연상색채를 인식시킬 수 있으며, 이는 브랜드 인지도 강화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brand colors emphasized on brand websites affect how consumers associate colors with brands. Specific objective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classification of online shopping mall types and selection of brands for the study through the existing studies; second, analysis on representative colors and colors on websites for CI; and third, ‘brand color association’ that consumers perceiv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To fulfill the objectives, this study is to conduct review on previous studies and positive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tal of 9 subjects including department subsidiaries such as Lotte.com, Hyundai Hmall and Shinsegae Mall, home shopping subsidiaries such as GS SHOP and CJmall and open markets such as G market, 11st, Auction and Interpark were drawn from advance research; second, comparison and analysis on CI colors show that 3 shopping malls(Shinsegae Mall, 11st, Auction) use red as their brand colors and the rest 6 shopping malls use other colors; third, survey result shows that if colors emphasized on websites and CI colors are the same, consumers’ ‘brand color association’ also corresponds accordingly and if the colors on websites and CI colors are different, consumers’ ‘brand color association’ does not correspond. Review on the existing studies and survey results show that single brand colors and colors emphasized on websites should be consistent to increase brand recognition. In other words, selecting colors for websites to promote brand recognition should reflect representative CI colors for brand association, which will play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brand recognition.

      • KCI등재

        고객카드의 색상 위계 연구

        김현영,이견실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3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4 No.37

        본 논문의 목적은, 신용카드 색상에 특정한 체계와 위계의 존재여부 규명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차 원에서 신분(계급)과 관복 색상간의 상관성을 고찰하였다. 연구범위는 국내 5개사와 국외 8개사에서 발행한 신용카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신용카드의 연회비 기준의 색상위계는 개별적으로는 존재하지만 모든 국가나 카드사가 동일한 색상 의 위계를 적용하고 있지는 않았으며 카드사의 환경과 시대에 따른 희소가치가 반영된 결과로 파악되었다. 신 용카드에 적용된 색상표현과 유사한 사례가 복식제도의 색상위계에서도 발견되었다. 발급조건이 엄격한 소수 의 것과 대중적 카드디자인은 크게 대별되었다. 경제력과 사회적 위치가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카드에는 주로 검정색과 금색이 적용되었으며 색의 수에서도 적은 수가 적용되었다. 이에 비해 대중적인 카드디자인은 적은 수의 색과 다양한 유채색이 적용되어 소량 발행되는 것과 크게 차별화되었다. 이는 색상을 통하여 경제 의 정도와 사회적 위치의 위계를 재현한 또 다른 체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유럽의 국가들처럼 직불카드 가 많이 사용되는 곳에서는 미국, 일본, 대한민국과 같은 유사한 색상 위계는 존재하지 않았다. 일정기간 지속 성을 갖는 공동체의 제도와 문화와 달리 특정한 색의 위계성은 역사적으로 승계되는 것은 아니고 일정기간 특 정한 문화권에서 채택되고 소멸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colors of credit cards, so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s representing rank and official uniforms have been considered. It is limited to 5 Korean and 8 foreign credit card companies. In result, the uniform color hierarchy was not universal. The colors have reflected the scarcity value based on the environment of each company and the relevant time period. The similar color hierarchy has been found in costume systems. The design of few credit cards with stringent issuance requirements and popular credit cards were broadly distinguishable. The number of colors used in credit cards which mainly targeted customers with greater financial wealth and social status were very limited. Overall, the black color was used in many of them and most of the cards used gold classified as a special color. In comparison, popular card designs used many colors and were largely distinguishable from credit cards issued in small quantities by applying various chromatic colors. This was inferred to be another system that represented the hierarchy of financial wealth and social status through colors. However, in countries where debit cards are mostly used such as European countries, color hierarchies used in the U.S., Japan and Korea could not be found. Considering the reason for such difference to be based on the system and culture of various communities, it was found that specific color hierarchies were not historically succeeded, but selected and extinguished by particular culture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 KCI등재

        군집 기반 하우스도르프 거리를 이용한 색상 팔레트 비교

        김수지(Suzi Kim),최성희(Sunghee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7 No.10

        색상은 이미지에서 인간의 이미지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눈과 뇌에 가장 먼저 인지되는 시각 요소이다. 색상 팔레트는 한정된 수의 색상을 선택해 배열해놓은 형태로 패션, 디자인, 건축, 미디어, 미술 등의 다양한 시각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본 단위이다. 색상 팔레트 유사도 측정에 사용돼오던 기존의 집합 또는 시퀀스의 유사도 측정법은 요소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색상 간의 관계가 모두 동등하게 인지되지 않는다는 색상 팔레트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안정적인 측정값을 도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색상 팔레트의 효과적인 비교를 위한 군집 기반 하우스도르프 거리 측정법을 소개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군집 기반 하우스도르프 거리를 이용한 색상 팔레트 비교법은 기존의 단순한 색상 팔레트 비교법보다 전반적인 색상의 구성을 비교하거나 부분적으로 강한 색상 매칭을 반영한 유사도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유사도 비교는 이미지의 점진적 로딩 과정에서 전반적인 색상의 구성을 비교해야 하는 색상 팔레트 기반의 이미지 검색 서비스에서 높은 활용도가 기대된다. Color is the primary visual element that is first observed in an image and has the most effect on human’s image recognition. A color palette is arranged by selecting a certain number of colors, and it is a fundamental unit used in various visual fields such as fashion, design, architecture, media, and art. Palette similarity is commonly measured using set-based and sequence-based approaches. However, they cannot provide consistent measurements since they ignore the specific properties of the color palette, such as the small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fact that not all color associations are equally recognized.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cluster-based Hausdorff distance measurement for an effective comparison of color palett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lor palette comparison, the cluster-based Hausdorff distance enables the similarity measurement by reflecting the overall color composition of the palettes and partial color matching between a pair of palettes. The proposed similarity comparison is expected to be widely employed in the color palette-based image retrieval services that require comparison between the overall color composition of images during progressive loading.

      • KCI등재

        정보 이론적 분석에 의한 미술 작품에서 색상 사이의 상호작용

        서민경,신인섭,한승기,이병휘,정하웅 한국물리학회 2018 새물리 Vol.68 No.6

        Numer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quantitatively detect harmonious set of colors in painting. However, finding harmony pattern of colors using global color information in painting has limitations in expressing the harmony of colors displayed in small amounts. In this research, we use information-theoretic method to partition a painting into quasi-homogeneous blocks and analyze the color interaction among the sub-blocks to assess color harmony in various scales. We compare our result with the eight harmonic templates defined by D. Cohen-Or et al. [ACM Trans. Graph. 25, 624 (2006)] for three sample paintings. As a result, we revealed that different patterns of color harmony dominate in the paintings depending on the scale of partitions. 회화에는 전통적으로 조화로운 색상 조합이라고 여겨진 색상 집합이 있다. 미술 작품에서 선호되는 조화로운 색상의 집합을 찾기 위하여 작품 전체의 색상을 이용하여 색상 조화 패턴을 정량화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전체 색상을 이용한 색상 조화 패턴은 작은 크기에서 나타나는 색상 조화를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 이론을 이용하여 그림을 거의 균일한 조각으로 분할했고, 그림 내의 모든 이웃하는 조각 사이의 색상 상호 작용을 분석했다. 이 결과와 기존 D. Cohen-Or [ACM Trans. Graph. 25, 624 (2006)]이 정의한 8가지 색상 조화 템플릿에 대한 색상 조화도를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미술작품에 대한 색상 조화를 분석한 결과, 분할된 조각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 조화 패턴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우리는 이러한 회화에 대한 정보-이론적 접근이 예술 작품 속에 숨겨진 패턴을 발견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그래픽 하드웨어 가속을 이용한 실시간 색상 인식

        김구진(Ku-Jin Kim),윤지영(Jiyoung Yoon),최유주(Yoo-Joo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4 No.1

        본 논문에서는 야외 및 실내에서 촬영된 차량 영상에 대해 실시간으로 차량의 색상을 인식할 수 있는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반의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전처리 과정에서는 차량 색상의 표본 영상들로부터 특징벡터를 계산한 뒤, 이들을 색상 별로 조합하여 GPU에서 사용할 참조 텍스쳐(Reference texture)로 저장한다. 차량 영상이 입력되면, 특징벡터를 계산한 뒤 GPU로 전송하고, GPU에서는 참조 텍스쳐 내의 표본 특징벡터들과 비교하여 색상 별 유사도를 측정한 뒤 CPU로 전송하여 해당 색상명을 인식한다. 분류의 대상이 되는 색상은 가장 흔히 발견되는 차량 색상들 중에서 선택한 7가지 색상이며, 검정색, 은색, 흰색과 같은 3가지의 무채색과 빨강색, 노랑색, 파랑색, 녹색 과 같은 4가지의 유채색으로 구성된다. 차량 영상에 대한 특징벡터는 차량 영상에 대해 HSI(Hue-Saturation-Intensity) 색상모델을 적용하여 색조-채도 조합과 색조-명도 조합으로 색상 히스토그램을 구성하고, 이 중의 채도 값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구성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다양한 환경에서 촬영된 많은 수의 표본 특징벡터를 사용하고, 색상 별 특성을 뚜렷이 반영하는 특징벡터를 구성하였으며, 적합한 유사도 측정함수(likelihood function)를 적용함으로써, 94.67%에 이르는 색상 인식 성공률을 보였다. 또한, GPU를 이용함으로써 대량의 표본 특징벡터의 집합과 입력 영상에 대한 특징벡터 간의 유사도 측정 및 색상 인식과정을 병렬로 처리하였다. 실험에서는, 색상 별로 1,024장씩, 총 7,168장의 차량 표본 영상을 이용하여 GPU에서 사용하는 참조 텍스쳐를 구성하였다. 특징벡터의 구성에 소요되는 시간은 입력 영상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해상도 150×113의 입력 영상에 대해 측정한 결과 평균 0.509ms가 소요된다. 계산된 특징벡터를 이용하여 색상 인식의 수행시간을 계산한 결과 평균 2.316ms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이는 같은 알고리즘을 CPU 상에서 수행한 결과에 비해 5.47배 빠른 속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만을 대상으로 하여색상 인식을 실험하였으나, 일반적인 피사체의 색상 인식에 대해서도 제시된 알고리즘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real-time algorithm for recognizing the vehicle color from the indoor and outdoor vehicle images based on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cceleration. In the preprocessing step, we construct feature vectors from the sample vehicle images with different colors. Then, we combine the feature vectors for each color and store them as a reference texture that would be used in the GPU. Given an input vehicle image, the CPU constructs its feature vector, and then the GPU compares it with the sample feature vectors in the reference texture.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input feature vector and the sample feature vectors for each color are measured, and then the result is transferred to the CPU to recognize the vehicle color. The output colors are categorized into seven colors that include three achromatic colors: black, silver, and white and four chromatic colors: red, yellow, blue, and green. We construct feature vectors by using the histograms which consist of hue-saturation pairs and hue-intensity pairs. The weight factor is given to the saturation values. Our algorithm shows 94.67% of successful color recognition rate, by using a large number of sample images captured in various environments, by generating feature vectors that distinguish different colors, and by utilizing an appropriate likelihood function. We also accelerate the speed of color recognition by utilizing the parallel computation functionality in the GPU. In the experiments, we constructed a reference texture from 7,168 sample images, where 1,024 images were used for each color. The average time for generating a feature vector is 0.509ms for the 150×113 resolution image. After the feature vector is constructed, the execution time for GPU-based color recognition is 2.316ms in average, and this is 5.47 times faster than the case when the algorithm is executed in the CPU. Our experiments were limited to the vehicle images only, but our algorithm can be extended to the input images of the general objects.

      • KCI등재

        간접 수복용 복합레진의 Incisal 색상 적층 두께에 따른 표면 색상 및 색차의 평가

        박수정,이한영,나명윤,장훈상,황윤찬,오원만,황인남 大韓齒科保存學會 2011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6 No.1

        연구목적: 간접 복합레진 수복은 직접 수복의 여러 문제점들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적용 빈도가 증가하고 있지만 간접 수복물 의 특성상 치아 삭제 전 술자에 의해 결정된 색상을 기공 과정 동안 재현해야하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shade guide와 실제 간접수복용 레진간의 색상의 일치성이 요구되며, 치아의 다양한 표면의 광학적 특성을 부여하기위한 법랑질 특성의 복합레진 의 광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간접 복합레진 수복재료의 색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간접수복용 레진인 Tescera ATL (Bisco, USA)의 Body composite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 기호의 Vitapan shade guide 간의 색차를 알아보고, Body composite와 Incisal composite의 적층 수복 시 색상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직경 5 mm, 두께 3 mm의 원기 둥형 Body composite 시편을 각 색상 당 9개씩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제작하고, 표면 연마 후 분광광도계(NF999, Nipon Denshuku, Japan)을 이용해 색상(CIE L*a*b*)을 측정하고 Vitapan shade guide의 색상을 측정하였다. 색상 측정이 끝 난 Body composite에 9 색상의 Incisal composite를 1 mm 두께로 적층하고 중합, 연마 한 후 적층면의 색상을 측정하였으 며, Incisal composite를 0.5 mm 두께만큼 연마한 후 다시 색상을 동일한 측정 기기로 측정하였다. 결과: Tescera ATL과 Vitapan shade guide의 동일한 색상 간에 최소 6.88, 최대 12.80의 큰 색차(△E*)를 보였으며, 모 든 색상에서 시각적으로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모든 색상의 Body composite에서 적층한 Incisal composite의 색상에 관계 없이 Incisal composite의 두께가 두꺼워 질수록 Body composite 과의 색차가 증가하였다(p < 0.05). 또한 L*값과 b*값은 Incisal composite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a*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Tescera ATL을 이용한 간접 복합레진 수복 시 색상 결정에 있어 기존의 shade guide의 사용은 부적절 하며, 동일한 재료로 제작한 개별적인 shade guide가 필요하리라 사료되며, Incisal composite 적용 시 색상 변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신중한 적용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face color of indirect resin restoration according to the layering placement of different shade of incisal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CIE L*a*b* value of 16 Body composite of Tescera ATL (Bisco, Schaumburg IL,USA)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er (NF999, Nippon Denshuku, Japan), and compared to CIE L*a*b* value of Vitapan shade guide. Nine shade Incisal composite of Tescera ATL were buildup to 1 mm thickness on Body composites inlay block, and CIE L*a*b* value was measured. Incisal composite was ground to 0.5 mm thickness and CIE L*a*b* value was re-measured. Color difference between Body composite and Incisal composites layered on Body composite was calculated as a function of thickness. Results: Color difference between corresponding shade of Tescera Body composite and Vitapan shade guide was from 6.88 to 12.80. L* and b*value was decreased as layering thickness of Incisal composite on Body composite was increased. But, a* value did not show specific change tendency. Conclusions: Surface color difference between Body composites and Incisal composites layered on Body composite was increased as the layering thickness of Incisal composite increased (p < 0.05). [J Kor Acad Cons Dent 2011;36(1):37-49.]

      • KCI등재

        비비드 색상을 유희적 요소로 사용한 브랜드 색채 연구 -초콜릿 브랜드 엠엔엠즈(M&M’s)를 중심으로-

        남민경(Nam, Min Kyung),정의태(Jung, Eui Tay),최인규(Choi, In Kyu)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1

        동그란 버튼 모양 초콜릿으로 유명한 엠엔엠즈(M&M’s)의 성공은 제품에 비비드한 색상를 입히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컬러를 판매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엠엔엠즈는 제품의 맛과 향에 다양한 색상을 이용한 유희적 요소를 더해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였다. 이 연구는 제품에 비비드 색상을 적용한 브랜드의 마케팅 전략과 색상이 어떻게 제품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도록 했는지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비비드 색상 제품의 대표 격인 엠엔엠즈 브랜드의 출시와 성장 과정, 마케팅 활동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였고, 특히 컬러마케팅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마케팅 측면에서의 제품 색채에 대해 정의하고, 가공식품의 색채 적용 및 비비드 색상의 유희적 특징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번째, 엠엔엠즈가 초콜릿 고유의 색상은 짙은 갈색이라는 선입견을 깨고 여러 가지 비비드 색상을 제품에 적용한 것은 색상이 가진 어떤 특성을 활용한 것인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색상이 가진 고유의 특성과 이를 활용한 브랜드의 사례에 대해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비비드 색상에 대한 정의하였고, 같은 색상이라도 함께 제시되는 색의 종류나 함께 사용하는 색상의 수량에 따라 달라지는 색상의 의미와 특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세 번째, 비비드 색상을 사용하는 브랜드를 사용특성에 따라 [1] 인식의 구분, [2] 단점의 극복, [3] 친근감 향상, [4] 유희적 요소, 네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그중 유희적 요소로 사용한 대표 브랜드인 엠엔엠즈의 탄생 배경과 시대에 따른 색상 변천사, 마케팅 전략을 심층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엠엔엠즈의 색채관리와 색상구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엠엔엠즈가 초콜릿 캔디 제품에 컬러를 적용한 것은 컬러TV의 출시라는 시대적 배경에 따른 것이었고, 이후 제품 색채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해왔으며, 컬러를 유희적 요소로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고객에게 브랜드를 알려왔고 그 중심에는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소통이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제품 색상의 교체도 소비자조사를 통해 진행하였고, 성분에 문제가 발견되었을 때는 적절히 대응하였으며, 제품의 색상을 캐릭터화해서 소비자에게 친근하게 다가가며 고급화를 추구하고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 연구는 엠엔엠즈가 비비드 색상을 유희적인 요소로 이용하기 위한 색채 관리, 마케팅 전략을 심층적으로 논하였고, 이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신제품을 개발하거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컬러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데 이론적 도움이 되고자 한다. M&M’s success, known for its button-shaped chocolates in vivid colors, began with the application of colors to the product. Even M&M’s can be described as “selling color”, has grown into a global brand by adding a variety of color-based amusement elements to the taste and aroma of the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brands that have successfully applied vivid color to their products, and how colors work positively to the products. The case study on the launch, growth process, and marketing activities of the M&M’s brand, which is a representative brand of vivid color products, was studied. Especially, the focus was on color marketing. First, through literature studies, we defined product colors in terms of marketing and reviewed studies on the color application on foods and the amusement characteristics of vivid colors. Second, M&M’s broke the preconception of dark brown, the color of chocolate, and applied a variety of vivid colors to the produc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and the examples of brands that used these characteristics in their products. In addition, it can be seen from various examples that even the same color ma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color or the number of colors. Third, the types of brands that applied vivid color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1] distinguishing perception, 2] overcome the weakness of the product, 3] enhancing friendliness, 4] amusement elements. Among them, we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M&M’s, a representative brand using vivid color as an amusement element, and the color change history and color marketing strategy. Finally, the color management and color combination of M&M‘s were examined. As a result, M&M’s application of color to chocolate products was based on the era of color TV. Since then, it has managed product color thoroughly. M&M’s let customers know its brand through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that use color as an amusement element. It always found that when it made a decision, M&M’s made it through constant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e color change of the product was also conducted through a consumer survey. When a problem was found in the product, M&M’s responded appropriately. By developing human-like character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colors, the company has approached consumers intimately, pursuing high-quality and growing into a global brand. This study analyzed how M&M’s applies vivid color as an amusement element to its products and how it spreads them to marketing. This will help understand how colors will be used when developing new products in various fields and how colors will be positively used in marketing.

      • KCI등재

        가상현실 3차원 색상 선택기의 성능 분석

        김지은,이지은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1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7 No.2

        In a virtual environment, a 3D workspace and 3D interaction are possible, but most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use a 2D color picker. This paper implements a 3D color picker based on 3D color space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compares color selection performance with the existing 2D color picker. The 3D color picker is intuitive by using the 3D color space as it is, and it can position the 3D pointer at a specific point in the color space using a controller, which is a virtual reality device, so a user can select a color in one step. On the other hand, the 2D color pick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familiar with existing users who work with colors in a computer environment, but has a disadvantage that requires several steps of user interaction since it has to set color properties through 2D interfaces. Based on user experiments, we confirmed the usefulness of a 3D color picker in addition to a 2D color picker in a virtual environment, and it was possible to perform natural 3D work in a virtual environment using the 3D color picker. 가상 환경에서는 3차원 작업 공간과 3차원 인터랙션이 가능하나, 대부분의 가상현실 애플리케이션은 2차원의 색상 선택기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 환경에서 3차원 색 공간에 기반한 3차원 색상 선택기를 구현하 고, 기존 2차원 색상 선택기와 색상 선택 성능을 비교하였다. 3차원 색상 선택기는 3차원 색 공간을 그대로 사용하여 직관적이며, 가상현실 장비인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색 공간의 특정 지점에 3차원 포인터를 위치시킬 수있기 때문에, 간단한 사용자 작업으로 색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비해 2차원 색상 선택기는 컴퓨터 환경에서 색상을 다루는 작업을 하는 기존 사용자들에게 익숙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2차원 인터페이스로 색의 속성을 설정해야 하므로 여러 단계의 사용자 작업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사용자 실험을 토대로, 가상 환경에서 2차원 색상 선택기 외에 3차원 색상 선택기의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3차원 색상 선택기를 활용하여 가상 환경에서 자연스러운 3차원 작업을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운전자의 심리적 안전성 향상을 위한 지하 고속도로 공간 디자인 연구

        강영진,이현성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지하 고속도로 운전자가 느끼는 압박감, 폐쇄감 및 피로를 줄이기 위한 내부 공간 디자인(색상, 패턴, 조명)의 기존 연구를 분석하였다. 더불어, 국내 터널설계 및 건축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감성 어휘(형용사)를 이용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의미분별 척도법:SD)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지하 고속도로 운전자의 시각적 인지 행동 향상에 대한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최종 목표는 지하 고속도로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하 고속도로 공간 디자인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지하 고속도로의 벽면 공간 디자인에 관한 두 가지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국외의 대표적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지하 고속도로 공간의 색상이 운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터널내부 색상 변화가 운전자의 인지 및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둘째, 국내 장대터널 운전 경험을 가진 전문가 101명을 대상으로 2023년 7월~8월에 SD척도 감성 설문을 진행하여 터널 내의 색상, 조명 및 마감재에 대한 운전자의 심리를 파악하였다. 이 설문 분석 결과는 지하 고속도로의 편의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설계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결과) 터널 내벽의 색상 장식은 운전자의 행동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너무 많은 색상 변화는 효과를 약화시킨다. 색상 장식 스키마에 따라 운전자의 반응이 달라지며, 운전 경험과 성별은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국내 연구대상 세 곳 터널의 색상 및 조명은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되며, 특히 "어두움"은 졸음운전 위험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의 마감재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특정 도심지 터널에서는 운전자가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지하 고속도로 내부 디자인(색상, 패턴, 조명)이 운전자의 인지 및 운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터널 내벽의 색상과 패턴이 운전 행동 개선에 필요한 것으로 보여지나, 과도한 색상 사용은 그 효과를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 터널의 색상 및 조명은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특히 도심지 터널에서는 운전자의 불안감을 유발하는 요소가 있었다. 향후 연구는 VR/AI를 활용하여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는 지하 고속도로 내부 공간의 색상, 패턴, 조명에 대한 연구에 집중하여 운전자의 피로와 폐쇄감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 결과를 VR/AI(가상 지하 고속도로 시뮬레이션 및 인공지능 활용 연구) 기술에 적용하여 최적의 색상, 패턴, 조명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nalyzed existing research on interior space design (color, pattern, lighting) to reduce the feelings of pressure, confinement and fatigue experienced by underground highways drivers. Furthermore,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experts in domestic tunnel design and construction, using objective vocabulary (adjectiv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semantic differentiation method (SD). Based on this, a research direction was established to enhance the visual cognitive behavior of underground highway drivers. The ultimate goal of the research is to study underground highway space design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underground highway drivers.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ways concerning the wall space design of underground highways. Firstly, representative international research finding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color of underground highway spaces on drivers and the influence of wall color changes on drivers' cognition and psychology. Secondly, an SD-scale emotional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to August 2023 targeting 101 experts with extensive tunnel driving experience in Korea to understand drivers' sentiments towards colors, lighting, and finishes inside tunnels. The survey analysis results will be used as design data to enhance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underground highways. (Results) The color decoration on the inner walls of tunnels is effective in terms of driver behavior, but excessive color changes can weaken this effect. Drivers' reactions vary depending on the color decoration scheme, and driving experience and gender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The color and lighting of three tunnels studied domestically are generally evaluated negatively, and in particular, the "darkness" can pose a risk of drowsy driving. Moreover, the finish materials of the tunnels received negative feedback, and in certain urban tunnels, drivers might feel uncomfortable. (Conclusions)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impact of the interior design (color, pattern, lighting) of underground highways on drivers' emotions and behavior. The main finding was that the color decoration of tunnel walls positively affects driving behavior, but excessive use of color diminishes this effect. Additionally, some tunnels received negative evaluations for their color and lighting, especially in urban areas where elements caused feelings of unease among drivers. Future research plans to concentrate on developing design guidelines to enhance drivers' convenience and safety using VR/AI technologies. Hence, subsequent studies aim to focus on researching the color, pattern, and lighting of underground highway interiors to develop guidelines that can reduce drivers' fatigue and claustrophobia. To realize this objective, the findings from the study will be integrated with VR/AI technologies, specifically virtual underground highway wall simulations and AI-driven research, to formulate the best guidelines regarding color, pattern, and lighting.

      • KCI등재

        투명 디스플레이 환경에서의 색상 인지 영향요소에 관한 연구

        심정민(Shim, Jungmin),유승헌(Yoo, Seungh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2

        연구배경 : 투명 디스플레이는 차세대 IT 플랫폼 중 하나로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 요소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투명 디스플레이를 통해 전달되는 컨텐츠는 중첩 환경으로 인해 화상 품질 만족도 및 정보 인지 과정에서 제한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첩된 투명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사용자가 인지하는 색상 정보가 지각 처리 과정에서 어떠한 요소의 영향을 받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시각정보의 인지과정 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을 구성하였다. 배경과 중첩된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정보의 원본 대비 왜곡 인식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색상 스펙트럼에 따른 실험군을 설정하였다. 절대 색상을 확인하는 컬러칩 실험군은 색상 지각에 해당하고 인지된 색상으로 처리되는 브랜드로고 실험군은 색상 인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후 색상 조건과 후경 환경에 따른 정답률을 분석하여 투명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색상 재현이 사용자의 인지과정에 미치는 특성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 후경 환경과 시각 정보 중첩에 따른 정보 복잡도, 후경 환경의 밝기,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정보의 명도 차이에 따라 색상 인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실험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투명 디스플레이 색상 인지 과정에서 원본 대비 인지 왜곡이 발생하더라도 멘탈모델과 지식 체계에 의한 정보 재구축 과정을 통해 정상적 인지 범위로 해석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 연구의 결과를 통해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시각 정보의 현출성을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 시 디스플레이 상의 정보 제공 방식에 관한 실증적 가이드로서 참고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Transparent display is expected to provide a new experience element for users as one of IT platforms of the next generation. However, the contents showed on transparent display has constraints on the users" satisfaction level of image quality and the cognition process due to the unexpected noise from its overlaid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in perceptual processing that affect on color recognized by users under overlaid transparent display environment. Methods : The experiment is designed for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factors processes on two pair of overlaid transparent display panels. To analyz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color distortion of transparent display, the experimental group was formed by each color group. The color chips- absolute color value group has been assumed to evaluate the equivalent color information of color perception, whereas the brand logos recognized color experimental gap group has been expected to evaluate of color recognition. color recognition factors on transparent display was analyzed by the color condition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under each background environment. Result : As the result of the overlaps of visual information with the background environment, the experiment was delivered that the color recognition is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such as the complexity of information, the brightness of the background environment, and the difference of lightness in displayed colors. Also, while users perceive color on a transparent display, color distortion can be corrected the normal range of cognition through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construction delivered by the mental model and the knowledge system. Conclusion : This research will provide an empirical guide when designing transparent display interface considering the saliency of information presented on the displ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