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과 정보의 특성이 SNS 內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희정(Hee Jung Lee)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최근 소비자들의 SNS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인터넷과는 다른 특성을 지닌 SNS 환경에서 상호작용이 어떻게 일어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소비자간 상호작용과 소비자-정보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선행 요인을 파악하고 상호작용의 e-WOM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선행 요인으로 사회적 자본 요인과 정보 특성 요인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자본은 중개적 사회적 자본과 유대적 사회적 자본으로, 정보 특성 요인은 정보의 유희성과 정보의 생동감으로 구체화하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인터넷 커뮤니티와 SNS의 차이점을 고려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하거나 SNS의 이용 기기의 차이점에 대해 다루지 않은 반면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활용이 높아지는 SNS 환경에서 소비자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선행 요인의 특성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소비자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 요인은 중개적 사회적 자본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달리 유대적 사회적 자본은 소비자간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개적 사회적 자본의 영향이 유대적 사회적 자본의 영향보다 더 큰 것을 밝혀 SNS 환경에서 중개적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소비자-정보 상호작용에 정보의 유희성, 정보의 생동감이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SNS 이용 기기에 따른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SNS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유희성이 중요하며 PC를 통해 SNS를 이용하는 소비자에게는 생동감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정보 상호작용은 소비자간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두 가지 상호작용 모두 e-WOM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을 소비자간, 소비자-정보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으며 SNS 환경에서는 중개적 사회적 자본의 역할이 크며 사용 기기에 따라 중요한 정보 특성 요인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인터넷 커뮤니티와는 다른 SNS 이용 특성과 기기에 따른 정보 제공 방식이 달라질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Nowadays there are many people who share information and express their opinions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s(SNS) like Facebook, Twitter. Especially, consumers are more actively using SNS because people are increasingly using mobile devices like smart phones or tablet PCs more in the current mobile internet environment. So marketers and enterprises should actively utilize SNS as a new communication channel. Consumers are no longer passively absorbing the information provided by firms via traditional media.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crete factors affecting consumer interactions on SNS that have recently received attention as a new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 channel.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s the intentions of e-word of mouth that is affected by consumer interactions. This research deals with social capital, information attributes, consumer interactions and e-WOM and aims to investigate consumers` interactions and e-WOM processes based on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SNS usage. This research intends to suggest precedent factors such as social capital attributions (bridging and bonding)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 attributions (enjoyment and vividness). Also, in this study, consumer interactions are subdivided into consumer-consumer interaction and consumer- information interaction. While previous researches identically deal with internet community and SNS,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behaviors only in SNS and identifies the differences between SNS consumer interaction behaviors. Moreover, this study considers consumer behavior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usage of mobile devices and PCs. Because mobile devices have small monitors,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create and shar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PC users easily manage and share information. Recently, the number of consumers who use SNS via their mobile devices is increasing. So it is meaningful to study mobile device users and the difference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mobile devices and PCs. In the empirical study, this research collects data on SNS users through a face-to-face questionnaire and an analysis of data on 393 SNS users. This study verified the model and hypotheses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ridging social capital increases consumer-consumer interaction relative to bonding social capital (bridging = 0.549***, bonding = -0.019; X2(1) = 16.170, p = .000, △NFI = .003, △IFI = .003, △TLI = .003), and that the enjoyment attribute and the vividness attribute increase consumer-information interaction. Mobile device users ar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 enjoyment attribute than by the vividness attribute(enjoyment = 0.598***, vividness=0.069; X2(1) = 6.403, p = .011, △NFI = .002, △IFI = .002, △TLI = .002). On the other hand, PC users are more greatly affected by the vividness attribute than by the enjoyment attribute (vividness = 0.558***, enjoyment = 0.052; X2(1) = 5.850, p = .016, △NFI = .002, △IFI = .002, △TLI = .002). Also, consumer-information interactions affect consumer-consumer interactions positively and the two interaction factors increase e-WOM. Especially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is study examines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raction level. There are social capital factors (bridging, bonding) and information attribute factors (information vividness, enjoyment). Specifically, bridging social capital has an effect on consumer-consumer interactions but bonding social capital does not affect consumer-consumer interactions. This result shows that consumers prefer to make weak strength relationship and this relationship make people interact each other more easily in SNS. When consumers use mobile devices, they prefer interesting information to vivid information. However, when consumers use PCs, they prefer vivid information to interesting information. These results are caused by device differences: because mobile devices are small and are of

      • KCI등재

        상호변경이 내재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유순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4 경영과 정보연구 Vol.33 No.4

        기업의 상호는 기업의 성공적인 수많은 요인 중에서도 타기업과 경쟁기업을 차별화시키는 무형의 자산으 로 기업의 이미지와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Akerlof, 1970). 지금까지 상호변경에 관한 연구는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로 대별된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상호변경이 투자자의 투자욕구에 영향을 미치거나 미래현금흐 름에 대한 투자자의 기대를 변하게 하는 신호로 작용하여 기업가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상호변경 자체가 기업 내외의 이해 관계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하여 기업의 미래가치를 높일 수 있고 이러한 신호효 과가 신뢰성이 높다면 투자자들의 정보비용을 절감시켜 정보비대칭이 감소함으로서 내재자본비용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다. 한편, 반대되는 연구결과로 부정적인 성과를 오도하기 위해 상호를 변경하는 경우 시장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으며 도리어 상호변경에 수반되는 추가적인 비용으로 인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와 시장균형하에서 상호변경은 기업가치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이다. 상호변경이 기업이미 지 개선, 합병 등 과거와의 단절 및 기업이미지 세탁을 위하여 이루어진다면 상호변경 자체에 대해 투자자 들은 조심스럽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즉 시장의 관점에서 보면 기업의 상호변경에 대하여 기업의 내재가 치 및 이와 관련된 정보의 비대칭성이 크다는 특성을 가지며 새로운 상호로의 교체가 위험을 의미한다면 상대적으로 기업과 기업외부의 이해관계자들과의 정보비대칭이 증가함으로서 정보위험에 대한 대가로 기업 의 내재자본비용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렇듯 현재까지 상반된 연구결과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 유가증권 시장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상호변경이 내재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결과, 상호변경은 내재 자본비용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호변경은 경영자와 외부투 자자자간의 정보비대칭을 증가시키고 이에 대해 시장에서는 정보위험에 대한 추가적인 위험프리미엄을 요 구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호가 기업에 대한 인지도 및 신뢰성의 척도로 작용하여 상호변경이 투 자자들의 정보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보다 상호변경을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라는 위험으로 인지하여 추 가적인 프리미엄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nd how a firm’s cost of equity is influenced by the extent of a firms’s name change. Even though corporate name change doesn’t give any benefit to investors, it can be a signaling about firm’s future valuation. And also, if that signaling has high credibility, it can be decrease information cost and the firm’s cost of equity. on the contrary to this, if corporate name change is kind of break with the past and corporate image laundering, it is bad signaling to investors. So it can be increase information risk and the firm’s cost of equity. Using yearly cross-sectional regressions of the cost of equity on our proxies for corporate name change, size, beta, market-to-book ratio and other innate risk factor over the 2005-2010, we find that the cost of capita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rporate name change after controlling for all other factors. This result implies that corporate name change increase information risk of the business, and thus increase information asymmetries between managers and outside investors with respect to a firm’s true future value. This increases information risk, and creates an adverse selection problem, on the part of outside investors. Rational investors therefore demand a premium for bearing this corporate name change-related information risk, which in turn leads us to observe a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intensity of corporate name change and the cost of equity.

      • KCI우수등재

        혼합정규분포를 가정한 조건부 상호정보의 준모수적 추정량을 이용한 고차원 자료에서의 변수선택

        안치경(Chikyung Ahn),김동욱(Donguk Kim)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8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9 No.6

        변수간의 비선형적인 연관성을 감지할 수 있는 상호정보 (mutual information)는 변수선택의 좋은 기준이 되지만 고차원 자료에서는 적용하기 쉽지 않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Cai 등 (2009)은 일반적인 상호정보가 아닌 최대 2차원까지만 고려하여 추정하는 조건부 상호정보를 이용하여 추정의 어려움을 해결하였으며, 고차원자료에 SVM을 적용하기 위한 변수선택에서 기존의 필터링 방법과 SVM-RFE로 선택된 변수들보다 더 분류 성능이 뛰어난 변수들을 선택하는 것을 보였다. Ahn과 Kim (2014)은 조건부 상호정보의 추정에 대한 계산효율을 높이기 위해 설명변수간에는 모수적으로 분포가정을 하는 준모수적 조건부 상호정보 추정량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설명변수간에 정규분포라는 가정이 심하게 위배되면 분류성능이 매우 저하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명변수의 분포를 혼합정규분포로 가정하여 조건부 상호정보를 가중치를 활용하여 준모수적인 방법으로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반응변수와 설명변수 간에는 모수적 분포를 가정하지 않으므로 비모수적 연관성을 측정하는 상호정보의 특징을 보존하며 설명변수간에는 모수적 분포가정을 하여 추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의실험결과 혼합정규분포를 가정한 조건부 상호정보의 준모수적 추정법이 유의변수 선택능력에서 매우 우수하였다. We propose a method of estimating conditional mutual information by semiparametric method using mixed normal distribution assumption between explanatory variables. In order to maintain the advantage of mutual information that keeps the nonparametric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anatory variable and the response variable, the mutual information between the explanatory variable and the response variable is estimated in a nonparametric manner. Furthermor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utual information estimation, the mutual information between the explanatory variables is to be estimated parametrically. Since the estimated density function is used as a weight for conditional mutual information estimation, the outliers with relatively small density estimate have little effect on the semi-parametric estimator of conditional mutual inform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emi-parametric estimation method of conditional mutual information assuming mixed normal distribution have shown excellent performance in terms of significant variable selection.

      • KCI등재

        인쇄 광고에서 표현된 엔트로피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 세 가지 상호텍스트성 인쇄 광고를 중심으로

        곽미함(Guo, Mei Han),양재범(Yang, Jae Bum)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본 연구에서 엔트로피와 상호텍스트성 이론을 바탕으로 인쇄 광고에서의 시각 정보, 정보 엔트로피과 상호텍스트성을 연관을 지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보 엔트로피 이론에 따르면 광고에 시각 정보가 많을수록 무질서하게 되고 엔트로피값이 높아진다. 반면에 시각 정보가 적을수록 질서있게 되고 엔트로피값이 낮아진다. 또한, 본 연구에서 미국 철학자인 피어스의 세 가지 기호에 따라 광고를 기호적 상호텍스트성 광고, 지표적 상호텍스트성 광고, 상징적 상호텍스트성 광고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이 세 가지 상호텍스트성 광고에 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인쇄 광고에서의 엔트로피를 고찰하였다. 사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기호적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경우 시각적 기호와 광고 대상 간의 직접적인 시각적 연관을 통해 상호텍스트성 효과를 나타냈다. 지표적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경우 시각적 기호와 광고 대상 간의 암시적인 시각적 연관을 통해 상호텍스트성 효과를 나타냈다. 상징적 상호텍스트성 광고의 경우 관련 없는 시각적 기호와 광고 대상이 논리적 관행이나 법칙을 통해 상호텍스트성 효과를 나타났다. 이 세 가지 광고의 디자인 과정은 정보에 관한 정리 과정으로 볼 수 있는데 혼란 정도 즉 엔트로피를 줄이는 과정이다. 광고 디자인은 상호텍스트성의 디자인 기법을 통해 시각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엔트로피값을 낮춤으로써 시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용자에게 전달한다. 디자이너는 이런 시각 정보, 엔트로피,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정리를 통해 보다 깊이 있고 수용자에게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광고를 만들 수 있다. Based on the theories of entropy and intertextuality, this research links the visual information, information entropy and intertextuality in print advertising work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entropy theor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ore visual information in the advertisement, the more disordered it is, the greater the entropy value will be. On the contrary, the less visual information, the more orderly it is, the smaller the entropy value will b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miotics trinity theory of American philosopher Pierce, this paper divides advertisements into icon intertextual advertising, index intertextual advertising and symbol intertextual advertis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through case analysis: Icon intertextual advertising achieves intertextual effects through the direct visual connection between visual symbols and advertising objects. index intertextual advertising achieves intertextual effects through the less obvious visual connection between visual symbols and advertising objects. symbol intertextual advertising is the intertextual effect of unrelated visual symbols and advertising objects through logical conventions or rules. These three advertising design processes can be considered as information integration and reduction of confusion, that is to say, the process of entropy reduction. Intertextuality design approach in advertisement design can efficiently integrate visual information and reduce entropy to achieve the effect of efficiently conveying visual information to the audience. This application of visual information, entropy, and intertextuality can enable designers to create deeper and more understandable advertisements.

      • KCI등재

        연관성 규칙 관점에서의 상대적 상호정보량의 탐색

        박희창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3

        제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기술 중의 하나인 빅 데이터의 중심에 데이터 마이닝 기법이 놓여 있다. 이 중에서도 연관성 규칙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항목들 간의 상호 관련성을 찾아내는 기법으로 이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많은 평가 기준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이론 기반 측도 중에서 정보량에 의해 정규화된 상호정보량인 상대적 상호정보량을 객관적 흥미도 측도로서 의미가 있는지를 연관성 평가 기준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예제를 이용하여 이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동시발생빈도 또는 동시비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연관성 규칙의 기본적인 평가 기준, 상호정보량, 그리고 상대적 상호정보량 모두가 증가하는 반면에 결합정보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일치빈도가 증가하게 되면 결합정보량이 증가하는 반면에 이를 제외한 모든 측도들이 감소하였다. 또한 모든 사례에서 기본적인 연관성 평가 기준들은 항상 양의 값으로 나타난 반면에 상대적 상호정보량들은 모두 양 또는 음의 값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관성 평가 기준의 관점에서는 연관성의 방향을 나타내는 상대적 상호정보량이 기존의 지지도와 신뢰도 등에 비해 더 바람직한 측도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대적 상호정보량에 대해 각 경우의 차이를 계산해보면 평균에 의해 제안된 측도 중에서는 산술평균을 이용한 측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Data mining techniques are at the center of big data analysis, which is identified as an important technology that opens new possibilities due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mong them, the association rule is a technique for find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items in a big database, and many evaluation criteria are being developed in order to efficiently generate it.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whether the relative mutual information measures, which are normalized by the amount of information, are meaningful as objective interestingness measures in a viewpoint of association evaluation criteria. As a result, the basic association thresholds are always positive, while the relative mutual information measures are positive or negative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association rule.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association rule, the relative mutual information measures indicating the direction of association are more preferable than the existing support and confidence. When we calcul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lues of the two cases for the relative mutual information measures, that of the measure by the arithmetic mean is the greatest among those of the relative mutual information measures by the mean.

      • KCI등재

        온라인상에서 정보공유 의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정보화정책 Vol.20 No.1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신뢰와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를 선행요인으로, 정보 중요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한 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는 온라인상의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정도로부터 영향을 받는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 중에서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일시기반 신뢰는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에 유의적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성 규범은 정보공유 의도가 매개된 경우에 정보공유 행동과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조절변수의 개입이 배제된 상태보다 개입된 경우에 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정보의 중요성 정도에 따라 상호성 규범과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가 변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face-to-face offline on identification-based trust and reciprocity norm in online world, and the effect of identificationbased trust and reciprocity norm on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in online worl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rol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was established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undergradu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interpersonal face-to-face in offline world affects identification-based trust and reciprocity norm in online positively. A reciprocity norm of identification-based trust and reciprocity norm in online world affected by interpersonal face-to-face in offline worl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in online, but showed that identification-based trust does not affect them significantly. And reciprocity norm has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through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It was found to be a partial moderating effect of importance of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reciprocity norm and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 KCI등재

        잉여현금흐름정보와 ESG평가정보의 상호작용효과가 외국인지분율에 미치는 영향

        김동영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잉여현금흐름정보와 ESG평가정보의 상호작용효과가 외국인지분율에 관련성이 있는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Fn-guide에서 제공하는 2016년도부터 2020년도까지의 잉여현금흐름, 외국인지분율 자료와 기업지배구조원에서 공시하는 ESG평가정보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처리방법인 기초통계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해보면 상관관계분석결과는 종속변수 외국인지분율과 관심변수 1) 잉여현금흐름정보와 2) ESG평가정보(등급(R),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부문)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회귀분석결과는 잉여현금흐름정보와 ESG평가정보(등급(R),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부문)의 상호작용효과정보는 사회(S)부문을 제외하고는 외국인지분율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잉여현금흐름정보와 ESG평가정보의 상호작용효과가 높을수록 외국인지분율도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외국인투자자들은 잉여현금흐름정보와 ESG평가정보의 상호작용효과가 높은 기업에 관심을 가지고 자금을 투자하는 성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잉여현금흐름정보와 ESG평가정보의 상호작용효과는 자본시장에서 외국인투자자들에게 유용한 회계정보 역할을 하고 있다고 예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interaction effect of free cash flow information and ESG evaluation information is related to foreign ownership and how it affects it. The research method is based on the free cash flow and foreign ownership ratio data from 2016 to 2020 provided by Fn-guide and ESG evaluation information data disclosed by the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basic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Summarizing the research results,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dependent variable foreign ownership ratio and variables of interest 1) free cash flow information and 2) ESG evaluation information (rating (R), environment (E), society (S), governance (G) categor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And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interaction effect information between free cash flow information and ESG evaluation information (rating (R), environment (E), society (S), and governance (G) sectors) excludes the social (S) sect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foreign ownership ratio.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free cash flow information and ESG evaluation information, the higher the foreign ownership ratio. The implication of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s that foreign investors invest funds with interest in companies with high levels of free cash flow information and ESG evalu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free cash flow information and ESG evaluation information is expected to serve as useful accounting information for foreign investors in the capital market.

      • KCI등재

        상호정보량의 정규화에 대한 연구

        이재윤 한국문헌정보학회 200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7 No.4

        Mutual information, as an association measure,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as well as for calculating term similarity. There are, however, some limits in mutual information. It tends to emphasize low frequency terms extremely because the marginal value of mutual information changes inversely to frequency of terms. To compensate for this limit, this study suggests relative mutual information(RMI) coefficients which normalize mutual information, and examines their characteristics in some details. The RMI coefficients also improve effectiveness of global query expansion when they are adapted to three different collections. 상호정보량은 용어간 유사도 산출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연관성 척도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값의 범위가 일정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저빈도인 경우를 선호하는 경향이 제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상호정보량을 정규화하는 상대적 상호정보량 계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수의 특성을 알아본 다음, 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전역적(global) 질의확장 검색을 수행한 결과 검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여행사 SNS여행정보 특성이 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심문섭(Mun Sup Shim) 융합관광콘텐츠학회 2022 융합관광콘텐츠연구 (JCTC) Vol.8 No.1

        목적: 본 연구는 여행사 SNS 여행정보 특성이 여행정보 신뢰와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여행사 SNS여행정보 특성이 신뢰 간에 어떤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규정하고자 하였고, 신뢰가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규정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를 통해 관광업계 특히 여행사의 SNS 여행정보 제공 전략 방안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증연구를 위해 여행사 SNS여행정보를 경험한 사람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22명의 설문을 받아 통계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한 15부를 제외하고 총 207부의 데이터를 실증분석 하였다. 결과: 여행사 SNS여행정보가 가진 정보성, 편리성, 유희성, 상호작용성 중 신뢰에 정보성, 상호작용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행정보의 신뢰를 통하여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여행사 SNS여행정보의 특성 중 정보성과 상호작용성이 신뢰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여행사에서는 지사, 협력사를 통하여 현지의 변화된 정보와 인기상품 및 신상품, 할인과 프로모션에 관한 내용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포스팅하여 정보성을 높여야 한다. 댓글, 종아요 표시, 공유 등의 상호작용을 하면 할인쿠폰 및 마일리지 등의 혜택을 제공하여 상호작용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신뢰를 높이고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agency SNS travel in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travel information trust and travel product purchase intention. It was intended to def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agency SNS travel information affect trust, and to define how trust affects the intention to purchase travel products. Through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for the strategy plan for providing SNS travel information of the tourism industry, especially travel agencies. Methods: For empirical research,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people who experienced SNS travel information of travel agencies. A total of 222 people surveyed, and a total of 207 copies of data were empirically analyzed, excluding 15 copies that were not statistically available. Results: Among the information, convenience,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of travel agency SNS travel information, only information and inter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trust of travel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purchase travel products. Conclusion: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agency SNS travel information, information and interactiv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Travel agencies should increase information by accurately and quickly posting local changed information received from branches and partners, as well as information on popular products, new products, discounts, and promotions. Interactions such as comments, likes, and sharing require efforts to increase interactivity by providing benefits such as discount coupons and mileage.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rategies that can increase trust and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표준활용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경희(Kim, Kyung Hee),최원욱(Choi, Won Wook),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트윈의 핵심 인프라로서 공간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간정보는 서로 다른 도메인 데이터 모델의 공간정보 측면을 통합하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와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 및 상호운용성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이슈를 도출하고, 영국의 공간정보 유형별 용어 정의, 유럽연합의 공간정보인프라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OGC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메인 간 공간 정보 기반 스마트시티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대응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과 「국가공간정보기본법」, 「공간정보산업진흥법」을 대상으로 도메인 간 연계를 위한 표준 적용 관련 근거 조항을 추가하고, 데이터 상호 연계·교환 기술기준과 공공부문 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에 필요한 협력체계 구성을 제안하는 조항 등을 법제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As a core infrastructure of smart city and digital twin,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is considered as the integral part to integrate geospatial aspect of different domain data models. In this study, problems and issues a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and interoperability related to smart cities and geospatial data, and the definition of terms by type of geospatial data in the UK, framework for geospatial data infrastructure data modeling in the European Union and OGC, etc. are presented. Through the review of relevant cases to secure interoper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based smart city between different domain fields, a clause of the laws, 「Act on the promotion of smart city development and industry」,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that can be basis for applying a standard for inter-domain linkage, was added. The technical standards for data interconnection and exchange and provisions proposing the formation of a cooperative system which is necessary for building data interoperability in the public sector were presented as way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