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의 서사와 인권 ― 황정은 소설에 재현된 '상처 입을 가능성'에 대한 법문학비평

        이소영 ( Lee So-yo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5

        인간이 누려야 할 권리 목록이 선험적으로 확정되어 있는 것만이 아니라 새롭게 발굴되고 추가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인권법은 이를 알아보고 알아듣는 세심한 눈과 귀를 필요로 한다. 타인의 상처를 더 깊숙이 들여다보고 상처 받은 이들의 목소리에 더 세심하게 귀 기울이는 데에 요긴하게 쓰일 수 있는 도구가 문학이다. 문학적 서사는 기존 인권 담론이 미처 가 닿지 못한 지점까지 우리의 인권감수성을 끌어가고, 소수집단의 집단정체성 안에서 다시금 숨죽여졌던 소외를 드러내며, 창작자 자신마저 간과한 편견이나 차별을 비판적 독해를 통해 독자 스스로 발견하게끔 해준다. 본 논문은 동시대 문학에서 호모 파티엔스(Homo Patiens)의 서사를 발견하고 거기서 생성 중인 인권을 읽어내고자 했다. 인간은 호모사피엔스만이 아니라 신체적-심리적-사회적 의미에서 취약하고 고통받는 존재로서 ‘호모 파티엔스’의 차원을 가진다. 몸을 가진 인간은 상처받을 수 있다는 보편적 사실을 인정함은 타자에 대한 주체의 의존성을 인정하는 것이며, 타자에게 말 걸지 않고서는 주체가 존재할수 없음을 인정하는 것이다. 상실의 가능성을 안고 있는 취약한 존재성이야말로 인간 공통의 조건이며, 상처 입기 쉬운 자는 단지 보호가필요한 대상을 넘어 그가 지닌 약함 자체로써 연대의 가능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견지에서, 본 논문에서는 사회적으로나 젠더적으로 ‘아무것도 아닌’ 걸로 치부되어온 존재들에 지속적으로 눈길을 두어온 소설가 황정은의 작품세계를 조금 들여다보았다. 환상성의 설정에도 불구하고 전복되거나 해체되지 않는 견고한 체제 안에서, 폭력에 의해 상처 입을 가능성을 지닌 호모 파티엔스는 무엇을, 어떻게 행할 것인가. 일반 명사화된 대상을 동일자의 폭력에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은 가능한가. 우리는 어떻게 자신의 상처를 통해 타인의 고통을 알아볼 수 있는가. ‘고아와 과부의 얼굴로 나의 자유를 의문시하는’ 타자에 대한 주체의 윤리적 책무는 무엇이 되어야 하는가. 본 논문은 황정은의 초기 장편소설 두 편, 상처 입을 가능성을 통한 연대를 그려낸 『백의 그림자』(2010)와 상처 입은 얼굴에 대한 나와 그대의 책임을 다룬 『야만적인 앨리스씨』(2013)에 대한 법문학비평을 수행함으로써 이 질문들의 답을 구해보고자 했다. If the list of rights that human beings should enjoy is not confirmed in advance but newly discovered and added, human rights law requires sensitive sight and hearing to recognize it. Literature is an essential tool that can be used when looking deeper into the wounds of the other and listening attentively to the voices of the wounded. Literary narrative may draw our sensibility to the point where the existing human rights discourse has not yet reached, reveal the alienation that was once again suffocated within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minority groups, and even allow the readers to critically read the prejudice or discrimination that the author him/herself had overlooked. This paper aims to read, from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the narrative of Homo Patiens who are susceptible to being hurt, as well as yet-to-be discovered human rights. Acknowledging the universal fact that humans with bodies are vulnerable is accepting the dependence of the subject to the others. Judith Butler saw that a vulnerable body with the possibility of loss is a common condition for human beings, and those who are susceptible to being injured are those who are apt to build solidarity via their very weakness. In this research, I focused on the works of Korean contemporary novelist Hwang Jung Eun, who has consistently paid attention to the vulnerable beings. In solid system of neo-liberalism which will not easily be overturned or dismantled, what will Homo Paiens do to resist against it, and how? Can we recognize the pain of the others through our own vulnerability? What should be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the subject toward the other, who ‘questions one’s freedom with the face of orphan and widow’? This paper attempts to seek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orough literary criticism of law on Hwang Jung Eun's two novels, One Hundred Shadows(2010) and The Barbaric Mr. Alice(2013).

      • KCI우수등재

        현상학적 셀프 연구를 통한 운동 중 ‘상처 입을 가능성’의 맥락 드러내기

        이영국 ( Young-kuk Lee ),이승민 ( Seung-min Lee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5

        이 연구는 현상학적 셀프 연구의 연구방법론에 따라, 운동 중 발생하는 상처 입을 가능성의 맥락을 드러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 자신이 12년 동안에 걸쳐 작성한 운동일지를 중심으로 자료 수집이 이뤄졌으며, 항시비교법과 본질직관의 절차를 토대로 자료 분석을 수행했다. 결국, 운동의 경험 가운데에서 발생하는 상처 입을 가능성의 맥락을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관점으로 다음과 같이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첫째, ‘운동 중 통증으로 신체적 상처 입을 가능성’의 맥락으로서 운동 중 통증에서 생기는 아픔이 드러났다. 둘째, ‘불안정한 심리상태로 심리적 상처 입을 가능성’의 맥락으로서 자신의 심리적 불안에서 오는 자책감이 드러났다. 셋째, ‘고수의 불친절로 관계적 상처 입을 가능성’의 맥락으로서 운동하는 사람들과 불편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서운함이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xt of My Vulnerability during the Exercise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self-study. Using the self-study methods, most of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reflective journals that were written about my experiences of exercising for twelve years.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nd the Process of the Intuition of Essence. The following main theme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the biopsychosocial perspective. First, “physical vulnerability caused by sport-related pain” included an unpleasant experience associated with tissue damage. Second, “psychological vulnerability caused by my mental instability” included self-punishment associated with my psychological anxiety. The last, “social vulnerability caused by seniors’ unkindness” included uneasy state of mind associated with bad relationships among members.

      • KCI등재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황임경 한국의철학회 2018 의철학연구 Vol.25 No.-

        지금까지 의철학 영역에서는 현대 의학에서 소외되어 있는 환자나 의료인의 주관성을 재발견하고 되살리는 방식으로 주체화의 문제를 제기해왔다. 생의학 패러다임에 기반을 둔 현대 의학에서는 특정한 방향으로 주체가 생산된다고 보기 때문인데, 이런 문제 제기는 넓게는 현대 의학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라는 의철학 고유의 목표와도 관련이 있다. 그런데 이런 문제 제기는 주로 건강과 질병의 이분법과 환자와 의사의 비대칭적 권력 관계에 기반을 둔 의료화 시대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명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건강과 질병의 경계가 유동적으로 바뀌고, 예방과 증강(enhancement) 중심으로 의학적 실천의 양상이 다양해지면서 의학에서의 새로운 주체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의철학에서도 비대칭적인 환자-의사 관계에 기반을 둔 기존의 논의에 더해 새로운 주체화 논의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은 몸을 중심에 두고 질병의 상호신체성과 환자와 의사의 상호의존성 및 책임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주디스 버틀러는 미셸 푸코와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사유를 아우르면서 우리의 공동 존재 조건으로서의 상처 입을 가능성과 그로 인해 파생되는 상호의존성을 통해 타자의 질문에 응답해야 하는 주체의 책임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의학에서의 주체화를 새롭게 탐구할 수 있는 시작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5·18과 서사: 고통, 신체, 재현 -임철우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박숙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In this thesis, Lim, Cheol-woo's early novels were analyzed as 'Wounded Storyteller' and 'Body in Solidarity'. Lim, Cheol-woo recreates ‘5·18’ as a person in pain before 1987, when media coverage of ‘5·18’ was banned, and questions the ethics of literature. In previous studies, such narrative representations were judged to be overly lyrical and under-represented or evaluated as 'the unrepresentation' language. In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a new perspective on the 'language of pain' was necessary. Wounded Storyteller is characterized by the performative ability to say continuously through metaphor, the 'something' of pain, but because the 'what' cannot be specified. Even though Wounded Storyteller continues to speak of suffering, it is not an appropriate ethical and literary evaluation to say that it cannot be a ‘testimony’ or to dismiss it as a language of ‘lyricism’. Lim, Cheol-woo's early novels suggest the fact that '5·18' is continuing through Wounded Storyteller. The characters in the novel either sense that there is a system for managing life through 'inclusive exclusion' within the country after '5·18', or they live their lives while being overwhelmed by that order. However, after ‘5·18’, as the characters who lived each meet, the latent anxiety and fear materializes. As a result, all the characters face each other's faces, who are afraid of the sound of a siren with a 'white face'. Whether it is a Wounded Storyteller or a person living independently of him, the fact that ‘5·18’ continues and ‘commons of pain’ is revealed. The 'face of pain' becomes collective. Through this, it shows that the ethics of literature can start right from ‘words of pain’. 이 글에서는 5·18을 재현하고 있는 임철우 초기 소설을 고통의 말과 연대하는 신체로 분석했다. 임철우는 ‘5·18’ 관련 언론 보도가 금지되었던 1987년 이전에, ‘5·18’로 고통스러워 하는 인물을 재현하지만 고통의 ‘재현불가능성’ 그 이상을 구현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고통의 말’을 기존의 언어적 재현 체제로 진단하는 대신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의 말과 정동의 문제로 살펴보고자 했다. 고통의 당사자는 고통의 ‘무엇’을 말하려고 하지만 기존 언어 질서를 통해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그 ‘무엇’을 대신 지칭하는 은유의 용법을 사용한다. 또 고통의 원인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말을 하는 환유의 특징도 보인다. 즉 ‘재현가능성’이나 ‘증언가능성’의 척도와 무관하게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는 지속적으로 고통에 대해 말한다. 그러므로 고통의 말을 감정 과잉의 미달된 서사의 근거로 진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의 말을 들을 수 있는 또다른 언어가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상처 입은 스토리텔러’들의 말하기와 정동의 신체성에 주목했다. 고통 속에 놓여있는 인물들은 우발적으로 조우하거나 마주치는 순간 고통의 증상이 신체적으로 전이된다. ‘5·18’ 이후 각자 살아가던 인물들이 우연한 계기로 만나게 되면서 잠복된 불안과 공포가 신체화 되는데, 그로 인해 일상적인 사이렌 소리에도 특정 사건을 상상하며 ‘하얀 낯빛’을 드러내게 된다. 그 결과 ‘고통의 얼굴’을 서로 확인하게 되면서 고통의 원인이 가시화되고 복수화된다. 즉 고통의 공통성이 발견되면서 이들의 정동이 능동적인 힘을 얻게 된다. 이 변화는 고통의 말을 어떻게 들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모색해야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를 시사한다.

      • KCI등재

        힐링 담론과 치유의 문학교육 - ‘상처 입을 가능성’과 ‘문화 의사’ 개념을 통한 비판적 성찰 -

        노대원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8 국어교육연구 Vol.- No.68

        Recently, healing discourse is popular in literature and humanities. The culture of healing encourages readers to be passively involved i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individual psychology rather than social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ommunity solidarity. Therefore, through the critical reflection, we can search for the direction of literary education of healing.   In Levinas' philosophy, 'vulnerability' means being wounded and suffered by the suffering of the other, carrying ethical 'responsibility'. In Nietzsche and Deleuze philosophy, 'cultural physician' refers to writers and artists who capture, diagnose, and treat signs of socio-cultural illness in pain. Levinas and Nietzsche-Deleuze's philosophy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n ethical subject and the possibilities of a positive and creative subject, starting from the reality of the suffering human being. Thus, we can, first, expand the wider view of social healing by introducing the ethics of others to the culture of healing and literary healing. Second, we can transform the passiveness of literary healing into creative activeness. 최근, 문학과 인문학에서 힐링 담론이 유행이다. 치유의 문화는 사회 ‧ 정치적 참여와 공동체적 연대보다는 개인 심리의 건강과 안위에만 수동적으로 몰두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치유의 문학교육을 위한 방향을 모색해볼 수 있다. 레비나스 철학에서 ‘상처 입을 가능성’이란, 타자의 괴로움에 의해 상처받고 고통 받아 윤리적 ‘책임’을 짊어지게 되는 것을 뜻한다. 니체와 들뢰즈 철학에서 ‘문화 의사’란, 고통 속에서 사회 문화적 질병의 징후를 포착하여 진단하고 치료하는 작가와 예술가를 뜻한다. 레비나스와 니체-들뢰즈 철학은 고통 받는 인간의 현실에서 출발해서 윤리적인 주체의 가능성과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주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했다. 이 사유를 종합하여, 첫째, 치유의 문화, 문학적 치유에 타자의 윤리학을 도입하여 사회적 치유의 더 넓은 시야로 확장할 수 있으며, 둘째, 문학적 치유의 수동성을 창조적 능동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