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을 주제로 한 ‘자전적 치유공연(ATP)’ 연구

        이유정(Lee, Yu Jung)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2021 연극예술치료연구 Vol.- No.15

        본 논문은 ‘죽음’을 주제로 한 ‘자전적 치유공연’에 관한 연구이다. 참여자들이 ‘죽음’을 주제로 한 공연을 경험함으로써 ‘죽음’을 제대로 직시하고 생의 전환점으로 만들 수 있는 행동들을 어떻게 발견하는지, ‘죽음’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는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그것을 위하여 죽음의 의미와 그것을 담아내는 개인 공연의 형태 그리고 의례적 기능이 어떻게 자전적 치유공연(APT)으로 완성되는지 살펴보았다. 현대사회에서 ‘죽음’은 과학 기술로 무장한 병원 안에서 물리쳐야 할 ‘악한 대상’으로 삶과 분리되어 존재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죽음’을 제대로 직시할 수 있고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그것은 죽음에 관한 ‘의례’로서 존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현대적인 ‘의례’가 필요한 상황에서 ‘죽음’을 주제로 한 ‘공연’의 제작을 제시하고 개인의 ‘죽음’에 관한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는 의례적 기능을 가진 예술 활동으로 ‘자전적 치유공연’ 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자전적 치유공연(ATP)’은 현대연극의 특성 즉, ‘자기(self)의 발견’과 ‘의례(ritual)의 발견’을 통해서 발전되어온 개인의 치유와 성장을 목표로 하는 공연이며 동시에 미학적 완성도 또한 갖추고 있는 완결된 예술 형태이다. 이러한 예술활동으로 ‘죽음’을 주제로 한 ‘자전적 치유공연’을 현대적인 ‘의례’의 기능으로 만들기 위하여 실제 ‘죽음 의례’에서 발견한 고유의 치유방식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죽음 의례’의 치유적 구성요소로 발견한 가장 중요한 방식은 바로 ‘보이지 않는 세계의 현현’이다. 사람들은 그 세계 안에서 다양한 행동과 소통의 방식들을 생생하게 경험하면서 이를 통해 ‘의례’ 이전과 이후 인식과 행동의 변화가 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보이지 않는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를 ①의례의 구조 ②상징의 사용 ③공간의 설정으로 상정하고. 이 요소들을 활용하여 현대의 의례이기도 한 자전적 치유 공연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공연의 의례적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내용적으로 참여자들은 각자의 처한 상황(애도, 개인의 성장, 트라우마의 극복, 무기력에서의 회복)에 따라 ‘죽음’을 다루었으며 회복과 치유의 효과도 함께 경험할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죽음’을 사유하며 ‘상징적인 죽음’을 자신에게 적용하며 치유의 효과를 다양하게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결국 ‘죽음’을 주제로 한 ‘자전적 치유공연’은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수행할 수 있는 예술 활동과 치유 활동으로, 어디에서나 실행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오랜 시간 우리 곁을 지켜왔던 ‘죽음 의례’가 주는 치유성을 현대 사회의 일상 안에서 회복시키는 방법이기도 하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 This study was conducted on how participants could face death properly and discover behaviors that could make them a turning point in life, and how the perception of death changes by experiencing a performance on the theme of death . For this study, I first examined why the thought of ‘death’ is necessary in modern society. ‘Death’, which has been accepted as another name for life in human history, has come to exist separately from life as an ‘evil object’ to be defeated in a hospital arm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Therefore, an opportunity to properly face and accept ‘death’ must be provided, and it needs to exist as a ‘rite’ about death. In a situation where such a modern rite is necessary, it is an artistic activity with a ritual function that can present the production of a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and contain the story of an individual s death . was studied. Performances that can tell the story of the individual, that is, self , can be found in the unique form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experimental theater. I figured out how to tell the story of in modern theater, discovery of self presented a new form of performance by revealing the actor himself to the audience, and accompanied the growth of the actor himself.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ritual ,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 of modern theater, is also a basic element that helps the fundamental occurrence of healing in performance.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is a performance that aims for personal healing and growth developed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theater, namely, discovery of self and discovery of ritual ,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aesthetic perfection. It is a complete art form equipped with. And in order to make the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as a function of a modern ‘rite’, the original healing method found in the actual ‘death ritual’ was applied. The most important method discovered as a healing component of the ‘Ritual of Death’ is ‘The Appearance of the Invisible World’. As people vividly experience various ways of behavior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world, they discovered that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and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rite came through it. And, it was confirmed that what constituted the ‘invisible world’ here was not the shaman’s contact or magical abilities, but clearly structured performance elements.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invisible world’ are assumed to be ① the structure of the ritual, ② the use of symbols, and ③ the setting of space. Using these elements, an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which is also a modern ritual, could be produced, and the ritual elements of the performance could be identified based on this. In terms of content, the participants dealt with ‘death’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mourning, personal growth, overcoming trauma, and recovery from helplessness), and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the effects of recovery and healing together. Through this, participants thought about ‘death’, applied ‘symbolic death’ to himself, and showed the possibility of having various healing effects. Through all these research processes, the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applies the invisible world as its healing component to bring about change and growth of participants and changes in their attitude toward death. It was found that it could perform the function of a modern rite of death .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biographical Therapeutic Performance with the theme of ‘death’ is an artistic activity and healing activity that anyone can easily access and perform, and has the potential to be practiced anywhere.

      • KCI등재

        죽음의례 물질문화에 표상된 다가치성 해석 : 문화사적 관점에서 본 무속을 중심으로

        최진아(Choi, Jina) 한국역사민속학회 2021 역사민속학 Vol.- No.60

        본 연구는 문화사적 기반 위에서 무속의 죽음의례 물질문화에 표상된 다가치성을 해석하기 위해,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접근을 통해 얻어진 기초자료를 중심으로 죽음에 대한 관념과 타종교의 신념체계를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교의례는 당대의 시대성만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세대를 걸쳐 그 사회의 문화적 가치관과 다양한 종교의 신념체계를 수용하여 성장하고 발전한다. 무속의 죽음의례는 한국 문화 속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오면서, 문화사적으로 심층적으로 내재된 죽음의 관념과 타 종교와의 영향관계 속에서 성장해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 사회의 문화에 내재되어 있는 죽음의 문화적 가치가 물질문화에 미친 영향력을 죽음의 시간성 · 공간성 · 문화적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다. 이는 곧 한 사회에서 죽음을 바라보는 가치관을 문화사적 배경 속에서 살펴보려는 의도이다. 죽음의 시간성은 초상을 시발점으로 한 정상적인 죽음의 상징물이 중심인 반면, 공간성은 죽음의 장소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비정상적인 죽음에 집중하였다. 무속의 죽음의례는 유교의 상중제례의 영향을 받아 사자에 대한 기억과 애도의 의례를 시기별로 행한다. 사회에서 바라보는 죽음에 대한 시선은 사자의 죽음의 맥락적 상황과 공간의 영향을 받아 비정상적인 죽음에 대한 관념을 생산해 내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해당 의례를 위해 준비되는 상징물은 정상적인 죽음을 맞이한 죽음의례의 것과 차별성을 지닌다. 문화와 종교는 상호 영향관계 속에서 성장하고 발전하기에 타종교가 무속에 미친 영향력도 함께 논의하였다. 유교와 불교가 한국인의 죽음관에 미친 영향력은 지대하여, 이 두 종교의 죽음관은 한국 문화 깊숙이 자리 잡은 탓에 한국인의 죽음관과 별반 다르지 않다. 물질에 부여된 상징은 문화 변용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그 의미가 새로 만들어지기도 하고 변화되기도 하고 또 소멸되기도 한다. 이러한 의미체계는 여러 시대를 걸쳐오면서 해당 사회의 문화적 요소들에 영향을 받아 생성되고 변용되어온 이미지들이 외적인 형태를 갖추어 구체화된 것이다. 그러한 맥락에서 무속은 불교와 유교의 영향을 받아 종교 사상 및 의례 형식에 변화를 가져와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춘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그 반대로 이들 종교 간에 서로 타 종교의 관념과 사상이 투영되어 상호영향을 미친 점도 규명하였다. 이 연구는 인간 삶의 본질적 과제인 죽음에 대한 문화적 가치를 물질문화에 내재된 다가치적 의미 분석을 통해 무속에 미친 죽음에 대한 다양한 관념을 해석하고, 문화사적인 기반을 고려하여 한국 문화에서 죽음이 갖는 의미를 재고해 보았다는 점에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notions of death and the belief system of other religions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synchronic and diachronic approach to interpret the multivalency represented in shamanic death ritual material culture on cultural historical basis. Religious rituals not only reflect the times of the day, but also grow and develop over generations by embracing the cultural values of the society and the belief systems of various religions. The death rite of shamanism has long been continued in Korean culture, and has grown in deep cultural historical notions of death and interaction with other religions.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cultural value of death inherent in a society’s culture on material culture was examined in the context of time, spatiality, and culture of death. This is the intention to examine the values of death in a society in the cultural historical background. In Korean culture, Buddhism and Confucianism influenced on the notions and the rituals of the memory and mourning for the dead as well as shamanism. The perspective of death in society affected by the context and space of death produces an idea of abnormal death. Symbols reflecting such cultural values prepared for ritual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normal death. The influence of other religions on shamanism also discussed because culture and religion grew and developed in mutual influences. Confucianism and Buddhism have a great influence on Korean view of death, so the view of death of these two religions are not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s. Symbols given to materials, like the stage of cultural transformation, can be newly created, changed, and disappeared. This semantic system not only contains the contents of the time, but also embodies images that have been created and transformed by cultural elements of the society throughout the ages. In this context, shamanism was influenced by Buddhism and Confucianism, which led to changes in the form of religious ideas and rituals. On the contrary, the ideas of different religions were projected from each other. In this study, we looked into the cultural value of death, an essential task in human life, focusing on material culture. It is valuable to interpret various death notions of shamanis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ultivalent meaning inherent in material culture and reconsider the meaning of death in Korean culture considering the cultural historical basis.

      • KCI등재

        무속의 죽음의례 상징물이 갖는 의미

        최진아(Choi Jina) 비교민속학회 2015 비교민속학 Vol.0 No.56

        본 연구는 무속의 죽음의례를 중심으로, 죽음과 관련된 상징물이 의례 구조 속에서 의미화 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그 상징물이 갖는 다가치적인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서울진오기굿과 호남씻김굿의 죽음의례를 기초자료로 하여, 본 논의를 전개해 보았다. 한국무속에서 죽음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어서, 망자(亡者)는 죽음의례를 통해 최상의 대우를 받는다. 죽음의례에 사용되는 상징물들은 현세인(現世人)들 즉, 생자(生者)들에게 망자가 이승을 떠났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한다. 그 중 가장 먼저 주목할 대상은 망자를 구체적으로 표상화한 상징물이다. 의례 속에서 무(巫)는 곧 망자가 되기도 하고 또한 여러 다양한 상징물이 망자로 표상되기도 하여 마치 망자가 의례 공간에 존재하는 것처럼 인식된다. 그 의례 속에서 망자로 인식되는 상징물을 통해 망자가 저승으로 가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생자에게 망자의 죽음이 현실임을 깨닫게 해 주는 구실을 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죽음의례에서는 망자에게 영혼의 자유를 주고 또 다른 세계에서 새로운 존재로 전환되는 과정이 구현된다. 그 과정에서 종교적 상징물을 통해 죽은 이의 이승에서의 수명이 비로소 다하였음과 함께 다른 세계로 갈 수 있는 영혼의 자유를 얻어 환생하였음을 가시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이미 망자의 환생여부를 파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죽음의례는 계속되는데, 죽은 이는 상식상을 받음으로써 조상이라는 존재로 도약하거나 혹은 망자의 상징물을 씻기는 정화 의례를 통해 저승에서의 재탄생이 가능한 존재로 인식되기도 한다. 저승은 일정한 단계를 거쳐야만 도달하는 곳으로, 이승과 저승 이 두 세계를 이어준다고 믿어져 관념적 사고 속에서 존재하는 문?길?다리?강과 망자를 극락으로 천도해준다고 믿어지는 배가 죽음의례 속에서 상징물로 가시화되기도 한다. 또한 현세인들은 망자의 저승에서의 삶도 현세와 동일할 것으로 보고, 그 삶의 지속을 위해 지전·의복·음식 등과 같은 상징물도 이 의례 속에서 표상화(表象化)한다. 죽음의례는 망자와 그 가족 간의 영원한 관계 단절을 위한 의례가 아니라 일시적인 관계단절을 위한 중간단계의 전이의례(轉移儀禮)라 할 수 있다. 죽음의례에서 죽음은 곧 과도기적인 단계로서, 두 세계를 이어주는 상징물을 통해 망자는 현세와는 다른 내세라는 세계로 넘어가는 과정일 뿐임을 망자의 가족들에게 보여준다. 또한 그러한 전이의례는 각자 자신이 속한 공간 속에서 새롭게 통합이 가능토록 한다. 한국 사회에서 망자는 ‘죽음’이라는 위기를 경험하면서 가족들의 기억 속에서 잊혀 지거나 관계가 단절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망자와 그 가족은 유기적인 관계로서, 함께 살고 있지는 않지만 일상에서 그들을 위한 제사를 드리고 또한 무속의례에서 ‘조상’이라는 이름으로 초대되고 기억된다. 또한, 온전한 죽음을 맞지 못한 영혼은 저승에 갈 수 없다는 관념이 지배적인 유교적 세계관과 달리, 무속에서는 죽음의례를 통해 그러한 영혼을 저승으로 천도 해주고 조상신(祖上神)이라는 자격까지 부여해준다. 이와 같이 무속의 죽음의례는 망자의 가족에게 상징물을 매개로 하여 죽음이라는 두려움의 가치관을 제거해 주는 역할도 한다. 그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죽음의례는 곧 생자와 망자 모두를 위한 정화의례(淨化儀禮)임과 동시에 존재 지속을 위한 종교의식이라는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가르시아 마르께스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과 의미

        최병일(Choi Byung-il)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2 외국문학연구 Vol.- No.12

        In this thesis, I tried to define the understanding of death which the writer's awareness of Marquez intended to through analyzing the language and materials which symbolized death in the descriptive literature of Marquez. This is because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images of death must go ahead to understand the huge symbolic world which is flowing in the bottom of the descriptive literature of Marquez. For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s of death scattered in the descriptive literature of Marquez by placing them under the category of aspects in the chapter 2. The image of death is realized ① through weakening and destroying its identity by damaging and destroying the form of an existence, or through weakening and destroying will to live of the existence; ② through turning the land to be described into a desert or a marsh, or through a flood whose model is ‘Noah's flood’; ③ through transferring the described object to the hour symbolizing death by breaking the time cycle into parts,; ④through weakening social functions using martial law, the curfew, censorship or through the subjects suggesting death as well. In the chapter 3, I studied the implication which the writer pursued through the death-oriented symbolic system by grafting it onto the birth(new world) descriptive structure which leads the whole symbolism,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symbolism of death. The death-oriented descriptive structure is the preliminary stage to complete the birth-oriented descriptive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it exists as a branch of the birth-oriented descriptive structure. Therefore, death-oriented implication ends as the meaning of the birth-oriented descriptive structure, the end is ‘birth(rebirth)’ and ‘arrival of Utopia’. So, death means resurrection by the Holy Spirit in the Utopian future world. In the chapter 4, I examined the creative intention of Marquez, who adher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eath-oriented significance reflected in the writer's awareness of Marquez, who was aware of the real condition in Latin America. His descriptive literature includes his hope to prepare the Utopian future world through complete destroy of the present world, and to rescue the people in Latin America from the miserable unhappiness of the present world by giving rebirth(resurrection) to them in the Utopian future world. In this thesis, I tried to define the understanding of death which the writer's awareness of Marquez intended to through analyzing the language and materials which symbolized death in the descriptive literature of Marquez. This is because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images of death must go ahead to understand the huge symbolic world which is flowing in the bottom of the descriptive literature of Marquez. For this study, I examined the symbols of death scattered in the descriptive literature of Marquez by placing them under the category of aspects in the chapter 2. The image of death is realized ① through weakening and destroying its identity by damaging and destroying the form of an existence, or through weakening and destroying will to live of the existence; ② through turning the land to be described into a desert or a marsh, or through a flood whose model is ‘Noah's flood’; ③ through transferring the described object to the hour symbolizing death by breaking the time cycle into parts,; ④through weakening social functions using martial law, the curfew, censorship or through the subjects suggesting death as well. In the chapter 3, I studied the implication which the writer pursued through the death-oriented symbolic system by grafting it onto the birth(new world) descriptive structure which leads the whole symbolism,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symbolism of death. The death-oriented descriptive structure is the preliminary stage to complete the birth-oriented descriptive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it exists as a branch of the birth-oriented descriptive structure. Therefore, death-oriented implication ends as the meaning of the birth-oriented descriptive structure, the end is ‘birth(rebirth)’ and ‘arrival of Utopia’. So, death means resurrection by the Holy Spirit in the Utopian future world. In the chapter 4, I examined the creative intention of Marquez, who adher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eath-oriented significance reflected in the writer's awareness of Marquez, who was aware of the real condition in Latin America. His descriptive literature includes his hope to prepare the Utopian future world through complete destroy of the present world, and to rescue the people in Latin America from the miserable unhappiness of the present world by giving rebirth(resurrection) to them in the Utopian future world.

      • KCI등재

        최승자 초기 시의 죽음의식 연구―『이 시대의 사랑』을 중심으로

        문혜연 국제언어문학회 2024 國際言語文學 Vol.- No.57

        본고에서는 최승자 첫 시집 『이 시대의 사랑』에 나타나는 죽음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폭력적인 시대라는 외부 구조가 가하는 억압이 내면화되며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죽음을 운명으로 인식하게 된다. 삶에 대한 부정으로 죽음을 갈망하던 시적 주체는 죽음이라는 운명이 수행되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폭압의 시대 속에서 실제적 죽음이 아니라 상징적 죽음을 맞이하게 된 최승자의 시적 주체는 두 죽음 사이에 놓이게 되고, 난처한 삶이 지속되면서 삶의 부정으로서의 죽음까지 부정된 시적 주체는 죽음보다 못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런 맥락에서 최승자의 죽음의식이 단순히 삶의 부정이나 삶을 긍정하기 위한 방법적 태도로만 단정 지을 수 없으며, 필멸을 향한 몸짓이 시적 주체를 불멸로 나아가게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프로이트가 말한 유기체가 비유기체의 상태로 나아가기를 바라는 죽음본능보다는 죽지 않는 영원한 삶을 향해 가는 라캉의 죽음충동과 맞닿아 있다. 본고는 최승자의 시적 주체가 극복해야 할 것은 죽음이 아니라 삶이라는 점에 주목해 죽음의식을 살핌으로써 최승자의 시 세계를 통과하고 있는 죽음의식에 대한 해석의 단초를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death consciousness that appears in Choi Seung-ja's first poetry collection, "Love in This Age". The oppression exerted by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violent era is internalized, and Choi Seung-ja's poetic subject recognizes death as fate. The poetic subject, who longed for death due to denial of life, realizes that the destiny of death cannot be fulfilled. In the era of oppression, Choi Seung-ja's poetic subject, who faced a symbolic death rather than an actual death, is placed between the two deaths, and as the embarrassing life continues, the poetic subject that even the death as a denial of life is denied is placed in a state worse than death.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Choi Seung-ja's consciousness of death cannot be concluded simply by denial of life or a methodical attitude to affirm life, and that the gesture toward annihilation is driving the poetic subject to immortality. This is in line with Lacan's Death Drive toward an eternal life that does not die, rather than Freud's Death Instinct that wants organisms to progress to a non-organic stat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what Seungja Choi's poetic subject must overcome is life, not death, and hopes to discover a clue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ciousness of death that passes through Seungja Choi's poetic world by examining death consciousness.

      • KCI등재후보

        들소 상징에 대한 연구

        최문희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2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8 No.1

        A symbol presupposes an unknown meaning that is meaningful but cannot be fully expressed in words. We do our best to express some unknown meaning, but the character of a symbol is that a meaning that cannot be fully explained is left behind. Therefore, if the symbolic meaning can be fully expressed and explained, the symbol has already lost its vitality as a symbol. In ‘Sandplay Counseling’, symbols are an active function of the mind and appear in self-awareness in various forms. The symbolization process, one of the most meaningful concepts in Jung's theory, is a unique feature of sand play counseling. This is because these symbols appear not only through dreams or fantasies, through intuition or inspiration, physical symptoms or emotions, but also sand play.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symbol of the bison appearing in the sand play counseling was expanded and investigated in depth through mythology, religion, and human culture. As a wild animal belonging to the bovine family, the bison could be expanded with the first death and rebirth, the second purity and purity, the third strength and authority, the fourth bravery, and the fifth fight against the disease. It was found that the bison is revealed as a symbol of the animal archetype in the instinctive aspect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symbolism contained in the bison expanded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new symbolic meaning of the animal prototype. 상징(symbol)이란 어떤 의미 있는 그러나 그 의미를 온전히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미지의 어떤 의미를 전제로 한다. 우리는 알려져 있지 않은 어떤 의미를 표현하고자 최선을 다 하지만 온전히 설명하지 못한 의미가 남겨지는 것이 상징의 특징이다. 그러므로 상징적 의미를 온전히 표현할 수 있고 설명할 수 있다면 그 상징은 이미 상징으로서 생동성을 잃은 것이다. 모래놀이상담에서 상징은 정신의 적극적인 기능이며 다양한 형태로 자아의 자각에 나타난다. Jung의 이론에서 가장 의미 있는 개념 중의 하나인 상징화 과정은 모래놀이상담의 독특한 특징이다. 이러한 상징은 꿈이나 환상 또는 직관이나 영감, 신체증상이나 기분의 정동을 통해 나타나기도 하지만 모래놀이를 통해서도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래놀이상담에서 등장하는 들소의 상징을 신화와 종교 그리고 인류문화를 통해서 나타난 의미를 심층적으로 확충하여 살펴보고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과에 속하는 야생동물로서 들소는 첫째 죽음과 재생, 둘째 정결과 순결, 셋째 힘과 권위, 넷째 용맹성, 다섯째 병마퇴치로 확충할 수 있었다. 들소는 집단적 무의식의 본능적 측면에서 동물 원형의 상징으로 드러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확충되어진 들소에 담긴 상징성 연구 결과는 동물 원형에 대한 새로운 상징적 의미를 보다 폭넓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죽음의례 물질문화의 양상과 문화적 함의 -무속의 문화 권역별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최진아 ( Choi Jin-a ) 남도민속학회 2021 남도민속연구 Vol.42 No.-

        본 연구는 문화 권역별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무속의 죽음의례 용어와 구조를 파악하여 그 범주를 구분하고, 이를 통해 물질문화의 양상 분석 및 그 안에 내재된 죽음의 문화적 함의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죽음의례에는 오구·새남·시왕·해원·씻김·조상·해원·극락왕생 등의 개념들이 담겨져 있다. 다양한 죽음의례 용어는 천도목적, 신관, 의례 내용, 타계 공간 등을 반영한다. 천도목적은 타계로의 길 안내와 재탄생을, 신관은 시왕의 심판을, 의례내용은 사자의 한을 풀어주고 정화를 통해 타계에서 다시 태어날 수 있게 하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것을, 그리고 타계공간은 고대 타계의 개념인 지옥과 동일한 의미인 명부와 유사하게 인식되는 옥(獄)의 표상으로 해석되었다. 죽음의례는 지역마다 그 의례명과 의례구조가 다르고 상징물 또한 변별성을 띤다. 그런데 일부에서는 상징물과 내용에 있어서 지역 간의 교집합이 형성되거나 보편성이 드러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기준으로 하여 사자와 생자와의 소통, 현세와 타계의 여정 및 경계, 사자의 존재지속 등으로 범주를 분류하여 물질문화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종교의례 속 규범적 메시지는 영원지속성을 지닌다는 점에서 보편성으로, 자기 지시적 메시지는 특수성으로 분류하여 그 개념 안에서 나타나는 상징물을 대입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를 기준으로 한 영원회귀가 죽음의례의 본질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새남은 새로 태어남을 의미한다. 즉, 타계에서의 새남이 아니라 이승에서 새로 태어남과 보다 밀접하게 관련되어 타계 이상세계에서의 영원한 삶만큼이나 현세로의 회귀를 염원하는 것이다. 이는 무속 뿐 아니라 한국 문화 전반에 내재되어 있는 죽음에 대한 문화적 함의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물질문화를 매개로 하여 권역별 죽음에 대한 관념과 한국의 보편적 죽음에 대한 관념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tegories of shamanic death rituals terms and structures, focusing on case studies by cultural region, and to analyze aspects of material culture 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death inherent in them. The rites of death have concepts such as Ogu, Saenam, Xiwang(Ten kings), Haewon, Washing, Ancestral, Haewon, and Paradise. The various terms of death rites reflect the purpose of Cheondo(Leading the dead to the other world), the concept of Gods, the contents of rituals, the space for death, etc. The purpose of Cheondo means guide and rebirth to the other world, the concept of Gods means Xiwang’s judgment, the ritual content t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resurrection in the other world through purification, and to represent jail, the same meaning as hell. Death rituals have different names and ceremonial structures from region to region, and symbols are also distinctive. However, some could see that intersection between regions was formed or the universality of symbols and contents was revealed. Based on this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I examined the aspects of material culture by classifying categories such as communication with the live and the dead, the journey and boundary of the world and the continuous existence of the dead. I analyzed cannonical messages in religious rituals are classified as universality in that they have eternal persistence, and self-referential messages are classified as specificity by substituting symbols that appear within the concept. Looking cultural regional death rituals through the material culture, the essential purpose of Korean view of the death is the eternal cycle of birth based on the present. Saenam means the rebirth, and it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rebirth in this world than the another world. It aspires to return to the present world as much as to eternal life in another world. This implies the cultural notion of death not only shamanism but also inherent whole Korean culture.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tried to identify the ideas of death by region and the general idea of death in Korea through materials.

      • KCI등재

        영화 <디 아워스(The Hours)>에 나타난 이미지의 상징성

        박민영(Park, Minyoung)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4

        이 논문에서 필자는 영화 <디 아워스>에 나타난 이미지의 상징성을 원작소설 『세월』과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댈러웨이 부인』과의 상호연계성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영화의 주인공인 버지니아, 로라, 클라리사는 다른 시간과 공간에 살고 있지만, 소설『댈러웨이 부인』으로 연결돼 있다. 버지니아는 소설을 집필하며, 로라는 그 소설을 읽고, 클라리사는 소설의 주인공인 댈러웨이 부인과 같은 삶을 살고 있다. 영화는 교차편집으로 마치 세 여성이 동시에 같은 날을 사는 것처럼 보여준다. 이때 나타나는 영상 이미지의 유사성과 반복성은 이 영화의 가장 큰 개성으로, 필자는 이 이미지들의 상징을 분석함으로써 주인공의 정서와 심리상태를 알아보고자 했다. 세 여성이 준비하는 파티는 분열된 내면의식을 연결하고, 각기 다른 삶을 사는 사람들을 소통시키는 일종의 상징적 의식이다. 이러한 파티를 위해 세 여성이 마련하는 음식은 자아의 확장, 즉 그들 내면의 심리상태를 함축한다. 파티의 방문객은 주인공들이 자신을 돌아보고, 진정 원하는 것을 뒤늦게나마 깨닫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편에 흐르는 동성애적인 코드는 고정된 성 정체성을 거부하고 자유를 열망하는 주인공들의 내면의식을 상징한다. 영화 <디 아워즈>를 일관하는 주제는 죽음이다. 버지니아 울프의 자살 장면으로 시작하는 이 영화는 그 장면을 다시 한 번 보여 주면서 끝난다. 그리고 그 사이에 여러 개의 죽음이 변주되고 있다. 주인공들에게 죽음은 어긋난 사랑에 대한 자유를 의미하며, 삶의 소중함은 죽음과 직면했을 때 비로소 인식된다. 이것은 원작소설 『세월』의 주제이자, 버지니아 울프의 소설 『댈러웨이 부인』의 주제이기도 하다. 영화 <디 아워스>의 가장 큰 미덕은 영상적 이미지의 병치와 변주를 통해 주인공인 세 여성의 같거나 다른 정서와 심리상태를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영상 이미지의 상징성은 영화를 보다 심도있게 감상하고 이해하기 위해 앞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돼야 할 것이다. The original of The Hours directed by Stephen Daldry is a novel, The Hours, by Michael Cunningham. The novel version of The Hours includes an existing character, Virginia Woolf, and two of fictitious characters influenced by his work, and describes their lives. This paper will study the symbols of death and party expressed in The Hours through its original, Cunningham"s The Hours. The film shows a day that three women live through cross editing. Mrs. Wolf is writing Mrs. Dalloway. Mrs. Brown is reading Mrs. Dalloway. And Clarissa whose nick name is Mrs. Dalloway is living the life that Mrs. Dalloway lives. Virginia Woolf"s novel, Mrs. Dalloway, is not only the basic text of the original of the film version of The Hours, but also links between the three women in different times and spaces. As in the novel, Mrs. Dalloway, in which Clarissa prepares a party, the three women begin the day with preparing their parties. They cook, have their friends invited, kiss the same sex, and long to leave for different places. The three women have lovers who they love and who love and protect them, but they are not contend with their daily lives. So, they dream of different places. The food that the three women cook symbolizes the expansion of one"s identity and in fact, symbolizes their inner states. The invitations allow the three women to look back on themselves, and realize what they truly want. The gay kiss in the film implies a departure from daily life. The main theme of the film, The Hours, is death. The film starts with showing the suicide of Virginia Woolf and ends with showing it again. And several deaths happen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end. The three women witness different deaths to paradoxically understand the meaning of life like Clarissa in the novel, Mrs. Dalloway. Real life comes after death. Death is portrayed as the only escape from restrictions of daily life that are more hopeless than death itself. It also symbolizes the desire of the three women for freedom.

      • KCI등재

        특집 : 동아시아 전통문화 속의 죽음과 사후관; 해골, 죽음과 삶의 매개자

        조현설 ( Hyun Soul Cho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9 No.-

        주인공이 해골을 잘 모셔 복을 받는다는 해골보은담은 조선 후기 패설집에 수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민담, 무가(무속신화) 등의 형식으로 민간에 널리 전승되던 이야기 유형이다. 해골보은담에는 기본적으로 해골을 함부로 다뤄서는 안된다는 인식, 곧 죽음을 잘 모셔야 한다는 민간의 집단인식이 표현되어 있다. 해골보은담에서 해골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모셔진다. 집 안에 모시는 것이 하나라면 다른 하나는 집 밖에 매장하는 방식이다. 전자가 접촉의 법칙(인접성)에 기반한 감염주술과 관련이 있다면 후자는 유사의 법칙(유사성)에 기초한 동종주술과 관련이 있다. 전자는 죽음과 직접 접촉하면서 죽음이 삶에 개입하도록 하는 방식이라면 후자는 죽음이 간접화되면서 꿈과 같은 형식으로 삶에 개입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전자가 환유적이라면 후자는 은유적이다. 양자는 역사적으로 공존하기도 했지만 전자에서 후자로의 이행이 일반적이고, 후자는 중세사회에 들어와일반화된 것으로 보인다. 또 전자는 제도적으로는 폐기되었지만 의식적으로는 또는 담론적으로는 후자와 더불어 부분적으로 지속되고 있다. 해골은 일차적으로는 죽음을 상징한다. 하지만 해골은 죽음 상징에 머물지 않는다. 해골은 역설적으로 풍요와 재생을 삶의 영역에 선물한다. 해골은 재생 상징을 동시에 감추고 있다. 그러나 죽음 상징이 재생과 풍요라는 2차적 상징으로 전이되도록 추동하는 힘은 생자들에게 있다는 것이 해골보은담의 전언이다. 죽음의 화신으로 삶 속에 들어와 죽음과 삶을 이어주고 삶을 증식시켜주는 해골은 죽음에 대한 민속문화의 역설적 인식을 잘 보여준다. A skeleton repayment tale is the story type that a hero is received a fortune by a skeleton for the worship. This kind of tale has been transmitting for a long time in the form of folktale, a shamanist narrative song, Paeseol and so on. A skeleton is deified in two forms in a skeleton repayment tale. One is deified inside the house, the other is deified outside the house, that is buried underground. The former is related to contagious magic, while the latter is related to homoeopathic magic. The former is a form that a worshiper directly contacts with death, while the latter is a form that a worshiper indirectly contacts with death through like a dream. And the former is metonymical, while the latter is metaphorical. These two forms coexist historically. But the progress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is general. A skeleton is basically the symbol of death. But paradoxically a skeleton gives a present called reproduction or abundance to an area of life. A skeleton has two symbolic meanings called death and reproduction together. But the message of a skeleton repayment tale is that a living person hold the power of making a secondary symbol, that is a reproduction symbol. A skeleton repayment tale well expresses the group consciousness that we must handle death well.

      • KCI등재

        라캉의 “죽음충동”과 주체의 자유

        남경아 범한철학회 2014 汎韓哲學 Vol.73 No.2

        The concept, “Death drive” from Jacques Lacan explains two different sides caused by the Phallus when the subject faces to the Symbolic. Although ‘letter kills (the Real)’ as Lacan said, a paradoxical situation arises ‘beyond the Phallus’ at the same time when the separation by the signifier occurs. Lacan articulates the subject as an “effect of language”, however that does not mean he defines the subject either as a being subordinated to language or as an appendage of language. For Lacan, the enunciating subject does an active role in the world of signifier and creates the meanings by using signifier as a tool. Lacan grasped a will of “Speaking subject” not to be completely subordinated to the Symbolic, even he keeps heading for the death of the Real; he expressed it as that ‘the subject drives to death’. In this article, I try to provide a description about the process which will elucidate how the subject in the Symbolic structure is split and liberated by “Death drive”. The final purpose for this article is to make the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Death drive” sharper. The full description will also aim an explanation about the two different functions of the signifier: one is killing and the other is producing. In addition, I expect that it could justify how human subject loses his subjectivity and acquires it back in the Symbolic structure as the “Speaking Subject”.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죽음충동(Death Drive)”이라는 개념은 주체가 상징계에 직면한 순간 팔루스를 기점으로 야기되는 상반되는 두 가지의 차원을 설명한다. 라캉의 말처럼 “문자는 실재를 살해”하지만, 기표에 의한 분리가 발생하는 순간 동시에 ‘팔루스 너머’에서는 실재의 창조라는 역설이 발생한다. 라캉에게 있어서 주체는 “언어의 효과”로 표현되지만, 이는 결코 언어에 완전히 종속된 존재나 언어의 부가물로서의 주체를 일컫는 것이 아니다. 라캉이 말하는 “언술행위의 주체”는 능동적인 역할자이며, 언어를 도구로서 사용하며 의미를 창조해 나가는 존재이다. 계속해서 실재의 죽음으로 향하는 “말하는 주체”에게서 그는 “상징계”에 전적으로 종속되지 않으려는 주체성의 의지를 파악해냈다. 그리고 그것을 ‘주체가 죽음을 충동한다’고 표현해냈다. 본고에서 필자는 “상징계”라는 구조 속에 위치한 주체가 “죽음충동”을 통해 어떻게 분열되고 또 동시에 해방되는지 그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일련의 기술을 통해 필자가 최종적으로 목표하는 것은 “죽음충동”이라는 본고의 핵심주제어에 대한 보다 입체적이고 선명한 이해이다. 그러한 기술 과정은 살해자이면서 동시에 생산자인 기표가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설명해 줄 것이다. 그 과정은 또한 “상징계”를 필생지로 삼는 “말하는 주체”(Speaking Subject)로서 인간 주체가 그의 주체성을 상실하면서도 어떻게 다시 획득하는지 동시에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