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본주의의 기원

        조홍식(Hong Sik Cho) 한국유럽학회 2018 유럽연구 Vol.36 No.2

        이 연구는 자본주의 기원의 논쟁 가운데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의 시기를 자본주의의 시작이라고 보는 시각을 집중적으로, 그리고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자본주의의 지리적 출발 영역에 대해서는 역사학이나 사회과학에서 전통적으로 유럽, 특히 서유럽을 주목했다. 하지만 시기에 있어서는 다양한 학파가 서로 다른 입장을 내세웠다. 여기서는 중세 후반의 기원론이나 18-19세기 산업혁명을 자본주의의 시작으로 보는 시각과 달리 16-18세기를 중시하는 입장을 분석한다. 우선 시기적으로 왜 16세기부터 18세기를 자본주의의 시작으로 보는지 원인을 살펴본다. 달리 말해 중세 후반을 주장하는 학설과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조명한다. 다음은 16-18세기 기원론이 가지는 자본주의 성격에 대한 논쟁을 들여다본다. 여기서는 이 시기의 상업 자본주의와 이후 18세말부터 시작하는 산업 자본주의의 차이를 분석하며, 이 둘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한다. 마지막으로는 지리적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상업 자본주의가 발전하였다는 논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그 논리적 귀결을 논의한다. 결론에서는 16-18세기 자본주의 기원론의 장단점을 평가하며 현대 자본주의를 이해하는데 어떤 관점을 보완해야 하는지 잠정적 입장을 도출한다. This research critically analyzes the period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8th century in the debate on the origin of capitalism. Historians and social scientists agree on the European, especially Western European, geographical origin of capitalism. Nevertheless, different schools have emphasized different historical period as the beginning point of capitalism. In this article, we specifically consider the period of 16th-18th centuries as the period of capitalist emergence, as opposed to the late-Medieval period or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9th century. First, we analyze why certain authors point to this period as the origin of capitalism, notably comparing with those who emphasize the late-Medieval period. What happened in the 16th century to make this qualitative difference? Second, we discus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capitalism depending on the period of emergence, especially the mercantile model of the 16-18th centuries with the industrial model of the 19th century. Third, we consider the geographical dimension of the debate on the origin of capitalism, particularly with authors who deny the singularity of the European mercantile societies. We conclude by comparing the pros and cons of the 16-18th centuries thesis in the debate, and by underlining what complementary factors should be ad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北宋時期 社會經濟發展과 商業

        姜吉仲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7 No.-

        본고에서는 당송변혁기 이후 농공산물의 상품화와 유통의 확대 등 사회생산력발전을 중심으로 상업과 시장경제체제의 형성과 발전 등 송대 사회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송조는 토지개간을 통한 경지면적의 확대, 농업생산의 지역적 전업화, 신품종보급과 재배확산, 영농기술의 발달을 통해 양적·질적 변화를 이룩하였다. 이러한 사회경제 변화는 농촌의 발전과 새로운 도시의 출현 그리고 화폐경제를 촉진하고 소비성향을 개선하였다. 그 결과 상공업이 생산 구조에서 커다란 변화를 가져와 국가 재정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제고되었으며, 농업생산력 발전에도 상호 유기적인 관계 유지하였다. 송대 상업 발달은 강남을 중심으로 집약적으로 전개되어 남북간에 문물 교류가 확대되면서 상업의 기능이 증대되었다. 또한 상업도시의 흥성과 산업의 집중화와 특산화가 이루어졌으며, 지역적 전업화에 따른 장거리 운송상업이 발달하였다. 이는 당시 국내외 교역이 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농업생산력 발달과 소비인구의 증가는 미맥뿐 아니라 지방 특산물의 전업화를 형성하여 생산율이 크게 제고되었다. 또한 인구의 증가는 도시집중현상을 가져와 강남지역을 중심으로 시장이 발전하고 경제가 활성화되는 등 도시발달을 촉진하였다. 각급정부기관도 권농을 중요한 임무로 삼고 농업생산기술의 발전과 생산력 발전을 추진하였다. 농업생산물의 상품화는 수공업발전의 새로운 전환을 가져와서 경영규모의 확대와 분공생산이 세밀해졌으며 생산기술과 생산량이 크게 제고되었다. 한편 관부수공업이 자금과 설비 그리고 기술이 크게 발전하여 생산량에서 크게 우세하였다. 반면, 민간수공업은 관부와 경쟁하는 과정에서 생산자의 신분상승과 생산품의 판매를 통해 권익을 획득하였다. 북송시기는 방(坊)과 시(市)의 한계선이 철저히 없어져 방 가운데 상점이 설치되면서 사실상 방시제가 유명무실해지고, 교역시간의 제한도 없어져 일시(日市)뿐 아니라 조시, 야시 등 다양한 종류의 성시(城市)가 출현하는 등 상업발전이 새로운 단계에 진입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북송시기 상업은 종류와 규모면에서 모두 상당한 발달을 가져왔다. 상업의 번영에 따라 송대 상세는 지속적으로 증가되면서 재정 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으나 번잡해진 상세는 많은 부담을 주었다. 그러나 송대 상세의 규칙은 전반적으로 지나치게 가중된 것은 아니었으나 집행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북송대 사회생산력의 향상은 토지를 매개로 한 자연경제에서 상품생산을 위주로 한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을 가져와 농민에 대한 인신의 예속관계가 약화되었다. 또한 잉여생산물의 등장은 교통로의 발달과 더불어 전국 규모의 시장망을 형성하고, 국내외 문물교류가 활성화되는 등 연쇄반응을 가져왔다. 이처럼 북송시기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된 생산성 제고와 경제체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대변혁의 시기로 평가되는 당송변혁기와 자본주의맹아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도우리라 본다. 本文以唐宋變革期後工産品的商品化和流通擴大等社会生産能力發展为中心,探究商業业發達及市場经济体制的形成等宋代社会特徵。宋朝通過土地開墾事業实现了耕地面積的擴大,達到了農業生産的地域專業化、新品種的普及和栽培擴散,通過耕作技術的發達實现了量和質的變化。這樣的社会經濟條件带來了工商業的發展,促進了城市農村的發展、对外贸易的擴大及货幣經濟,從而改善了社会消费倾向。農業生産形態也出现了使剩餘産品商品化的企業型經營形態和地域專業化倾向,勞動力的土地附属關係系逐步得到缓和。此外,宋朝通過提升平民的社会地位和消费倾向,带來了生産领域的变化和发展。工商業给社会生産構造带来很大變化,提高了其在国家财政中的地位,通過维持与農業生産力發展的有機關係促進其發展。從宋代商業在財政中的作用和意義來看,商業發達的背景方面,江南社会集中進行經濟開發,擴大物品交流, 同時增大商業機能。此外,實現了國內商業城市的興盛及産業的集中化和特産化。農業生産力的發達和消费人口的增加形成了米麥和地方特产的專業化,提高了農業生産率和粮食剩餘,保證了城镇和工商業者的粮食供應,使更多耕地用于经济作物的耕作。江南地區成为政治经济中心,人口集中现象使農户耕種更高效的作物。人口集中城市的消费倾向高,通過市場這一交换经济中心地的發展活躍了。其结果是人口增長带来了城市集中现象,促进了城市发展。這種现象在江南地區表现得更为顯著。各级政府機關以鼓勵農業为最重要的任務,農業生産技術發展的同時宋代農業生産力得到發展。農業生産品的商品化带來了手工業發展的新变化,使经营规模擴大,使分工生産更加精细,大大提高了生産技術。然而官府工場占優勢,资金設備技術得到很大发展。民間工場在与官府的競爭中提高了生産者的地位,通過銷售産品獲得權益。從商品流通和商業的发展来看,北宋时期的商品流通方面,進入市场的商品品種和数量大幅增加,水陸交通路線的周圍出现了很多商業城市。北宋时期坊和市的界限徹底消除,坊的中間開始建立商店,坊市制有名無實。坊与市的界限解除,交易時間不受限制,出现了早市和夜市。宋代是商業發展進入新階段的时期,尤其是城市發展占有重要歷史地位。如上所述,北宋时期商業在種類和规模上都相當發達,在财政上起到重要作用。随着商業的繁榮, 且商税持续增加,這在宋代的财政中占有重要地位, 但是繁雜的商税增加了人民的負擔。宋代的詳細规定总体上说并非如此沉重,但在執行過程中引起很多問题。北宋社会生産力的提高将以土地为媒介的自然經濟轉換为以商品生産为主的市場经济体制,弱化了對農民的人身附属關係。剩餘産品的出现带来了交通的發展,形成了全国规模的市场網,引起了活躍国内外物品交流的连锁反應.北宋時期社会發展的原動力是生産性的提高和经济体制,系统分析的它們有助于對被稱为大變革的時期的唐宋變革期和资本主義萌芽的明确理解。

      • KCI등재

        조이스 애플비의 ‘문화체제로서의 자본주의’: 『가차없는 자본주의: 혁신과 파괴의 역사』를 중심으로

        우인희 한국미국사학회 2017 미국사연구 Vol.46 No.-

        이 글은 역사가 조이스 애플비의 『가차없는 자본주의』를 중심으로 ‘문화체제로서의 자본주의’라는 시각을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애플비의 ‘문화체제’라는 접근은 자본주의의 지적, 문화적 기원을 강조하면서 17세기 잉글랜드의 내생적인 문화적 변화를 통해 근대 자본주의가 최초로 출현했다고 본다. 그러나 애플비의 시각은 방법론적 개인주의 및 민족주의에 서서 전통과 근대의 이항적 대립을 전제하고, 새로운 부의 창출 및 혁신을 자본주의의 근본적 특징으로 파악함으로써 유럽중심주의 및 단계론적 발전주의 시각을 함의하고 있다. 둘째, 애플비는 상업자본주의를 부정하고 16세기에서 근대 자본주의의 기원을 찾는 세계체제시각을 일축한다. 그의 시각은 근대 자본주의의 역사에서 영국의 세계적 규모의 축적과 영토 제국주의의 관계적 측면을 간과하고 주변-중심의 위계적 구조화에 대한 고려를 회피함으로써, 근대 자본주의 문화의 이데올로기적 긴장과 충돌을 단지 자본주의 발전의 그림자 내지 부수적 결과로 그려내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Joyce Appleby’s perspective of “capitalism as a cultural system,” especially in The Relentless Revolution: A History of Capitalism (2010). Firstly, She describes the intellectual birth of capitalism as a result of Enlightenment discourse in the 17th century England and gives full credit to the progressive elements of capitalism, its ability to create a new wealth, endless innovations, and its liberalizing, only as a product of ‘the west.’ Her cultural approach to capitalism is based on the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nationalism, which leans to a eurocentric, developmental perspective. Secondly, Appleby contradicts a ‘commercial capitalism’ in the history of capitalism. This neglects the culture of capitalism as a system, associated with the England’s imperialism and colonialism on a world scale and the hierarchical cultures between the core-periphery and interstates in the world-economy, limiting the economic process of England in 16-18th centuries and other to the analysis unit of a nation.

      • KCI등재

        19세기 독일 상업부르주아의 과시적 공공성 - 토마스 만 소설 『부덴브로크가 사람들』 연구

        이순예 ( Rhi Shun Ye )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1

        이 논문은 『부덴브로크가 사람들』을 독일 자본주의 발전과정에서 한자도시들을 중심으로 번창했던 상업자본주의 쇠퇴기에 위치시키고 분석한다. 아직 산업자본주의가 정착하기 이전, 일종의 이행기에 해당하는 19세기 중반을 시대적 배경으로 한 상업부르주아 가문의 몰락을 풀어내는 이 작품은 전통적인 독일 상업부르주아의 자기의식을 이행기의 불안에 직접 노출시킴으로써 그 내부구조가 드러나도록 한다. 초기 상업부르주아는 상인을 일종의 ‘신분’으로 의식하였다. 축적된 부의 잉여를 처분할 수 있는 여력이 생김으로써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귀족의 전유물이었던 ‘과시’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구분’하는 신분의식을 지녔던 것이다. 부덴브로크 집안사람들은 처음 부를 축적하던 시기와 사업이 번성하던 시기, 자기분열에 노출되지 않고 귀족과 평민의 중간 위치에서 생업을 도모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이 활동하는 19세기 말에 이르면, 전통에서 벗어난 의식을 갖고 사업에 임하는 사람들 즉 ‘확고한’ 사업가 의식을 지닌 상인들이 등장한다. 자본주의 합리성이 전통적인 신분의식을 대체하기 시작한 ‘이행기’를 살았던 전통적인 상업부르주아 집안의 마지막 세대는 자신의 개성으로 이 시기를 돌파해야만 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작품을 분석한 이 논문은 이 작품의 실제적인 주인공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토마스 부덴브로크의 몰락을 ‘인격의 구제’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상인신분의 ‘과시적 공공성’이 신분의 안정화에 더 이상 기여할 수 없는 시기에 이르러 토마스 부덴브로크가 그 공허함을 ‘인격’으로 채우고자 애쓰다가 탈진하여 사망하는 줄거리가 이 결론을 뒷받침한다. 신분의식과 결부된 전통을 통해 자본주의 합리성에 맞섬으로서 자본주의가 인간의 자기의식에서 몰아낸‘인격’을 구제하는 하나의 양태를 이 소설은 제시한다. In dieser Arbeit geht es grundsätzlich um das Verhältnis zwischen materieller Basis und kulturellem Überbau. Thomas Manns Buddenbrooks habe ich unter dieser Perspektive betrachtet und versucht, die geschichtsphilosophische Problematik in der Entwicklung des deutschen Kapitalismus, d. h. den wirtschaftlichen Rückstand Deutschlands im 19. Jahrhundert als die Hauptursache für den Verfall der Familie Buddenbrook zu sehen. Ich gehe davon aus, dass der erste Sohn der dritten Generation, Thomas Buddenbrook, als der Vertreter dieser Untergangsgeschichte zu betrachten ist, weil er sich der ganzen Problematik im Übergang vom Handels- zum Industriekapitalismus Deutschlands gegenüber sieht Unter dieser Voraussetzung habe ich die Schlussfolgerung gezogen, dass sein Tod auf eine Überladung in seinem Selbstverständnis zurückzuführen ist. Thomas Buddenbrook ist zu spät geboren um eine Existenz als ein ständesbewußter Großhändler und zu früh geboren eine solche als Kapitalist zu führen. Die Überlappung seines Bewusstseins bestimmt Denken und Handeln von Thomas Buddenbrook. Das Familienhaus, das viel zu groß ist, verkörpert diese Überlappung. In dieser Familiensaga hat der Autor Thomas Mann den Begriff der ‘repräsentativen Öffentlichkeit’ von Habermas nach seinem wahren Sachgehalt ausgelegt.

      • KCI우수등재

        1960년~1970년대 한국사 개설서의 조선시대 상업사 서술과 상업사 연구

        고동환 한국사연구회 2019 한국사연구 Vol.- No.184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history of commerce in the Chosun Dynasty was described in the books of Korean general history from 1945 to the 1970s. It is a historical research method to objectify the study of commercial history in Chosun Dynasty from the 1960s to the 1970s. Based on the Theory of the Embryo of Capitalism, the study of commercial history in this period has laid the foundation for overcoming the theory of stagnation. Despite these implications, these studies lacked a structural understanding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goods by highlighting only the developmental aspects. Despite these shortcomings, these studies are based on empirical evidence. Thus,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eriod are still alive and powerful today, 50 years later. If studies in the 1960s and 1970s focused primarily on change and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dimensions of structure and operation on the basis of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s. 본 연구에서는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의 관점보다는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1960-70년대 한국사 개설서에서의 상업사 서술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검토했다. 이 검토작업은 1960-70년대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객관화할 수 있는 역사주의적 방법이다. 이 시기 상업사 연구를 통하여 18세기 이후 市廛體系가 붕괴되고 私商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상품유통체계가 성립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축적된 전기적 상인자본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생산부분에 침투하여 생산자를 지배하는 수준에 이르렀음이 밝혀졌다. 이 연구들은 일제강점기부터 1960년대 전반기까지 한국사 서술의 주류를 형성했던 정체론적 서술을 극복한 연구들이었다. 그러나 이 시기 상업사 연구는 자본주의 맹아론이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상업부면의 발전만을 부각시킴으로써 상품유통구조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본주의 맹아론이라는 거대이론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이 시기 상업사연구는 탄탄한 실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시기 연구성과는 5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생명력을 잃지 않고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1960-70년대 연구가 주로 변화와 발전에 치중하여 이루어졌다면, 이러한 변화와 발전을 토대로 하면서도 이들 변화와 발전의 상관관계를 구조와 운영이라는 차원으로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상업사 연구가 생산부문과 유통부문의 유기적 관계를 해명하여 조선 사회의 재생산구조의 총체적 파악으로 나아갈 때 1960-70년대 상업사연구의 한계가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본주의 맹아론과 조선후기 상업 변동

        고동환(Ko Donghwan) 한국사연구회 2009 한국사연구 Vol.147 No.-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Capital in Late Joseon Period published by Prof. Kang, Man-gil in 1973 is a work that proved the late Joseon society was a transitional period to modern society by raising question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commercial capital in the late Joseon period based on faithful positive foundation. He formulated the quality of commerce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an Dogo(exclusive sale) commerce. He defined Dogo commerce as a type of commerce that broke down the base of traditional society and built a precondition for development of modern mode of production in the process of breakdown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establishment of modern society. The theory of the embryo of capitalism is a historical view that assumes history recognition that even if there was no influence of foreign capitalism, Korea might enter in capitalist society gradually. It was the historical view that historians after liberation who had problems to overcome distorted historical views rooted from colonial rule, to build a new country and national culture should have. The theory of the embryo of capitalism is a historical view presuming Korean history having been progressed as a part of world history and has greatly contributed to criticizing and overcoming the theory of stagnation. Empirically it also contributed to making it clear the key factors of social Change in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economy of commodity and currency in the late Joseon period, formation of commercial capital, relationship between merchants and craftsmen. Even if recently the position of the theory of the embryo of capitalism gets weaker as it faces with the criticism that it is an Euro-centric, unilinear historical view, it won't be shaken much since the historical images have been built on extensive proof. Recent studies on commercial history have been made from the points of views that critically succeed Prof. Kang's researches. while his researches mainly focused on developments and changes in the commercial Change in the late Joseon period, recent ones are made focusing 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it. They are advanced to studies on the structures which define the essence of commerce in the late Joseon period, e.g. the systems of distribution of commodities through which commercial features such as the formation of commercial capital and the prevalence of Dogo commerce could be realized, and the market areas, the land and marine traffic routes and transportation, and the collusion between commercial capital and power.

      • KCI등재

        근대 곡목의자(曲木椅子)의 수용 - 토네트 의자의 신화와 제국의 산업

        최지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3 No.-

        Bentwood Chair is made by wood bending techniques. It has appeared around 1890s in Korea in the auctions held by foreigners, and used as a prop in photo studios, companies, and public buildings etc. Those bentwood chairs were developed by the German cabinetmaker named Michael Thonet. He first experimented laminated veneer and then later solid wood bending techniques and acquired the patent. With the idea of a metal strip to bend steamed wood he created the best seller model No. 14. With this development he moved away from the chair making convention reducing chair parts as minimal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mass-production of bent wood furniture. The lightweight and inexpensive No. 14 chair has function, practicality, beauty and easily flat packed and sold world-wide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It is still in production with the history of over 160 years. The myth of innovation in both production and design of Thonet chair continued in Japan. From the late Meiji period Japanese government surveyed the forest condition and trade circumstances of various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order to make active use of broad leaved woods such as beech and Japanese oak, foreign technology was brought into Japan and began to produce bentwood furniture. Japan made a model of Germany and Austria for this project. It is noticeable that through bentwood industry Japanese government aimed at the encouragement of export trade and the acquisition of foreign currencies. As the demand for bentwood chairs was increased in number in the commercial venues such as beer hall in the early 1900s, private sectors also started to research and produce bentwood products. Therefore the ‘two-track’ approach of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in bentwood industry was the result of promotion of industry coupled with the business interest. In 1909 Japan prohibited the import of bentwood furniture and began to export native products abroad including Korea. Bentwood furniture companies established between Meiji and Showa era reached over 30 in number. These companies produced Thonet No.14 and No. 18 as well as other furniture. 곡목의자는 목재를 ‘휨 가공(bentwood)’ 기법으로 만든 것이다. 이것은 1890년대 무렵부터 이 땅에서 외국인들의 경매 물품으로 등장했고 사진관의 촬영 도구로, 그리고 회사나 관공서에서 사용된 모습도 확인된다. 여기에 등장하는 의자를 개발한 이는 독일의 미하엘 토네트(Michael Thonet)다. 그는 합판 휨 가공 기법과 이어서 원목 휨 가공으로 의자를 만들어 특허를 받았다. 그는 원목을 찌거나 삶아서 금속 틀에 넣고 조임쇠로 조여 19세기 후반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모델인 14번 의자를 탄생시켰다. 이것은 전통적인 의자 제작 방식을 탈피하여 구성 요소를 최대한 줄임으로써 대량생산에 최적화된 의자였다. 가볍고 저렴한 14번 의자는 기능성, 실용성, 심미성을 두루 갖춘 것으로서 간편하게 포장되어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전 세계 곳곳으로 팔려나갔다. 이것은 오늘날까지도 160년 이상 계속 생산되고 있다. 토네트 의자의 신화는 일본인들에 의해 자국에서 그 역사를 이어갔다. 메이지 말기부터 일본정부는 조선을 포함한 해외 각국의 삼림 자원 실태와 상업 상황을 조사했다. 활용 가치가 낮았던 너도밤나무나 졸참나무와 같은 활엽수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선진국으로부터 기술을 도입하여 곡목가구 생산에 돌입했다. 이때 모범으로 삼은 것은 독일과 오스트리아였다. 곡목가구 산업을 통해 수출장려 및 외화획득을 목표로 삼았다는 점이 크게 주목된다. 1900년대 초 비어홀과 같은 상업공간에서 곡목 의자의 수요가 급증하자 민간 차원에서도 연구와 제작에 뛰어들었다. 일본에서 곡목가구 연구는 정부와 민간, 즉 ‘관·민 투 트랙(two track)’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식산흥업이라는 정책적 측면과 비즈니스라는 경제적 측면이 모두 맞물린 결과였다. 일본은 1909년 외국의 곡목가구 수입을 금지하고 자국에서 생산된 것을 조선을 비롯하여 해외에 수출했다. 메이지 말기부터 소화기까지 일본에 설립된 곡목가구 회사가 30여 군데에 이른다. 이 회사들은 토네트 14번과 18번 의자를 포함하여 테이블, 옷걸이, 응접세트, 화분대 등 각종 가구를 생산했다. 또한 곡목의자를 변형하여 공간 활용을 극대화한 절첩의자를 여러 회사가 경쟁적으로 출원했다. 일본산 목재나 곡목가구가 국내로 대거 유입된 정황은 1900년 초부터 착목된다. 미쓰이물산을 통해 일본산 목재가 국내로 수입되었고 곡목가구도 판매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곡목의자가 널리 사용된 것은 1920-30년대 신문광고를 통해서, 또 단편적으로는 신문에 실린 각종 행사 사진들을 통해 엿볼 수 있다. 이 시기는 일본 곡목가구의 성숙기와 맞물린다. 곡목 의자는 대형 식당이나 행사장과 같은 상업공간에서 두루 사용되었다. 국내에 유통된 대표적인 일본 곡목가구 회사는 도쿄곡목가구공장, 일본곡목공업합자회사, 히다목공주식회사, 그리고 아키타목공주식회사가 있다. 이와 같은 크고 작은 일본 곡목 회사들의 제품은 곡목의자를 비롯하여 테이블, 응접세트, 옷걸이 등 다양했다. 이것들은 조선 내 특약점을 통해 서울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판매되었다. 곡목 의자의 유통은 일제강점기 산업화, 표준화, 세계화의 일면을 보여주고 이 땅에 상업 자본주의의 이데올로기가 구현된 실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곡목의자를 통해 근대 우리나라 가구의 한 갈래를 차지하는 화양가구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롭다.

      • KCI등재

        『임원경제지』 예규지(倪圭志)의 경제사상과 경제정보

        이헌창 ( Hun-chang Lee ) 경제사학회 2021 經濟史學 Vol.45 No.3

        徐有榘는 功利사상을 수용하고 공자의 도덕에 제약된 부와 이익의 소극적 추구관을 재해석하여, 유학 도덕과 조화하는 부와 이익의 적극적 추구를 정당화하였다. 막스 베버의 天職에 상응하는 직업관은 중국에서 당대 이후 점차 형성되어 王陽明의 新四民論으로 확립되었는데, 서유구는 상업 차별을 완화한 신사민론을 견지하고 웰빙 생활비의 마련을 위해 양반의 상업 종사를 바랐다. 예규지는 회계의 토대 위의 경제합리적 경영을 제시하였다. 그런 점에서 예규지의 경제사상은 베버의 자본주의 정신에 접근한다. 예규지에서의 전국 場市의 조사와 幹線大路의 체계화는 신경준 『道路考』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신경준의 덕분에 1770년 전국 장시가, 서유구 덕분에 1830년대 전국 장시와 그 중요 상품이 정확히 조사될 수 있었다. 이 글은 베버의 자본주의 정신에 관한 학설의 적절한 활용이 전근대 경제사상 발전의 이해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explores economic thoughts and informations of Yegyuji (倪圭志) in Imwon-gyeongjeji (林園經濟志) written by Yugu Seo (徐有榘). Seo justified active pursuit on wealth and profits in harmony with Confucian morals. In China job ethic that corresponded to Max Weber’s calling was formed since Tang dynasty, and established by Wang Yangming(王陽明). Seo held Wang’s job ethic, and wanted gentry to engage in commerce for living in well-being. Yegyuji presented economic rational management of household based on accounting. Therefore I argue that economic thoughts of Yegyuji came close to Weber’s spirit of capitalism. Silhak(實學) that reformed Confucianism came close to Weber’s spirit of capitalism like Protestantism. This paper argues that Weber’s thesis on the spirit of capitalism, if appropriately used, can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preindustrial economic thoughts. Information of periodic markets and systemization of main roads in Yegyuji originated from Dorogo(道路考) written by Gyeongjun Sin(申景濬). Periodic markets nationwide in 1770 and 1830s were investigated accurately thanks to Sin and Seo.

      • KCI등재

        대학의 학문 자본주의(Academic Capitalism) 현상에 관한 K대학교 사례연구

        강민수 ( Kang Minsoo ) 안암교육학회 2021 한국교육학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자본주의 현상과 대학풍토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및 이해를 탐색하고 대학 차원에서의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문 자본주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서울 소재 사립대학 중 하나를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육활동의 시장지향적 행위는 낮은 교육 지원 만족도와 취업을 중시하는 경향의 확대 현상을 야기하였다. 학생들 또한 스펙을 위한 이중, 복수전공을 선택하고 동아리 활동을 취업을 위한 발판으로 삼았다. 연구활동의 시장지향적 행위는 기초 학문의 축소 및 연구윤리 문제, 교육보다 연구에 치중하는 경향 확대, 정량적 실적평가의 양면성 문제로 이어졌다. 한편 대학의 자회사 운영은 대학이 자립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였다. 학문 자본주의와 결부되어 나타난 대학풍토의 변화는 경쟁 지향적 가치의 내재화와 학생소외 및 소속감 결여로 드러났다. 이는 학생 자치활동의 축소, 다양성 및 비판의식 결여 문제와 연관되어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상위권 사립대학의 학생교육 및 복지 측면에서 자치활동의 활성화, 학교와의 민주적인 소통, 교수-학생 상호작용, 교육의 질제고 측면에서의 개선을 요구한다. 학문 자본주의로 인한 변화과정 속에서 대학은 본연의 기능을 회복하고 교육과 연구 기능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의 중장기적인 발전에 있어 학생교육의 방향과 강조점을 어디에 둘 것인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on academic capitalism phenomena and university climate, and to draw implications at the university level.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one of the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where academic capitalism is prominent. The market-oriented behavior of educational activities has led to the low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he tendency to value employment. Students chose dual majors and clubs not to fulfill their personal goals or aptitude, but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job. The market-oriented behavior of research activities has resulted in reduction of basic sciences and research ethics, a tendency to focus on research over education, and two-sidedness of quant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subsidiaries of universities was recognized as an opportunity for to secure self-reliance. The change in the university climate by academic capitalism has been revealed as a student alienation and a lack of belonging, as well as the internalization of a competitive climate. This has been related to the problems of reducing student autonomy, lack of diversity and critical consciousness. This results call for the revitalization of autonomous activities, democratic communication with schools, interaction with professors, and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education at the nation's top private universities. In the process of academic capitalism change,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ies to restore their original functions and balance between education and research functions. It is time to consider where to put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student education in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of universities.

      • KCI등재

        연구논문 : 문화의 산업화에 대한 아도르노의 해석 -대중문화의 순응적 성격과 그 비판을 중심으로-

        임재정 ( Jae Jeong L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3 인문사회 21 Vol.4 No.2

        문화가 산업화 됨으로써 야기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비판적 시각에서 살펴보는 것은 물질만능시대에 인간의 정신과 몸에 대한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문화의 산업화에 대한 부정적 측면을 아도르노(TheodorWiesengrund Adorno)의 시각에서 고찰함으로써 자본주의 사회에서 제기될 수 있는 문화의 본질을 꿰뚫어 보았다. 아도르노의 문화의 산업에 대한 비판과 분석은 일면 문화와 자본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분석인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아도르노의 문화의 산업에 대한비판은 근본적으로는 마르크스주의에 입각한 자본주의 시대의 모순되고 불합리한 생산구조 및 양식에 대한 폭로 정도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들만으로는 아도르노의 생각을 적절하게 파악할 수 없다. 문화의 산업화가 잘못된 쾌락을 조장하고 개인을 말살시킴으로써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개인이 어떠한 상태에 놓여 있는가를 잊게 만든다는 사실을 인식할 때 아도르노의 생각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문화의 산업화에 대한 아도르노의 비판에 동의할 수 있는 부분을 찾는다면 그것은 문화산업과 함께 거세게 표출되고 있는 ‘개인의 상실’과 ‘몸’에 대한 담론일 수 있다. 아도르노의 비판처럼 문화의 산업화에서 대중문화는 전적으로 부정적인 것인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적어도 대중문화가 누군가를 위해서 쓰여진다는 점, 대중문화가 대중매체를 통해서 집단적 자아와 연결된다는 점, 그리고 대중매체의 발달이 대중에게 문화 예술의 민주적 향유 가능성을 증대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 요소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Of looking at the critics that many problems caused by culture which became industrialization facilitate introspection about sprite and body of human in age of materialism. On the basis of this recognition, as the thesis considers negative aspect about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in point of the Adorno. It perceives essence of culture which can propose in capitalism society. Criticism and analysis about industry of culture of Adorno seems criticism and analysis about public culture in relationship which is between one side culture and capitalism. But criticism about industry of culture of Adorno basically conflict with age of capitalism which is based on Marcks and it interprets as much as exposure about the unreasonable production construction and mode. However, only these interpretations can’t grasp the thought of Adorno properly. Acknowledging, the fact that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makes people forget by wrong pleasure and individual annihilation will help understanding the thought of Adorno. If we find a part which we can agree criticism of Adorno about culture industrialization, it might be argument about strongly expressive ‘loss of individual’, and ‘body’ with culture industrialization. According to criticism of Adorno, is public culture completely negative in culture industrialization? No. There are some positive parts. First, public culture is using for someone. Second, public culture connect collective ego through mass media. Last, developing of mass media improves democratic enjoyment possibility of culture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