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VM 회귀 모형을 활용한 격자 강우량 상세화 기법

        문희원,백종진,황석환,최민하,Moon, Heewon,Baik, Jongjin,Hwang, Sukhwan,Choi, Minha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1

        본 연구에서는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 3B43 V7 (25 km)의 월 누적 격자 강우량을 1 km 해상도로 상세화하기 위해 Support Vector Machine (SVM) 회귀를 활용한 상세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비선형 예측모델인 SVM은 상세화의 기반이 되는 다양한 수문기상인자와 강우 발생간의 월별 상관성 구축에 효율적으로 활용되었다. 상세화된 격자 강우는 전국에 고루 분포한 64개 지점 관측 강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상세화 이전의 격자 강우 보다 다소 개선된 정확도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상세화 이전 격자 강우가 지니는 양의 Bias가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상세화 전후의 공간분포 비교에서 두 분포는 평균적으로 유사했으나, 상세화 이전 강우의 공간분포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강우의 국지적 특성이 상세화된 공간분포를 통해 잘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지점의 과소 및 과대산정이 상세화를 통해 개선되어 전반적인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상세화 기법이 적용된 격자 강우는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고해상도 입력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SVM 외에 다른 회귀 방식을 활용하여 최적의 강우 상세화 기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 spatial downscaling method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Regression for 25 km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 Monthly precipitation is propos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among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and precipitation was effectively depicted by the SVM for predicting downscaled grid precipitation. The accuracy of spatially downscaled precipitation was estimated by comparing with rain gauge data from sixty-four stations and found to be improved than the original TRMM data in overall. Especially the positive bias of the original TRMM data was effectively removed after the downscaling procedur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25 km and 1 km grid precipitation were generally similar, while the local spatial trend was better detected by 1 km grid precipitation. The downscaled grid data derived from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in hydrological modelling for higher accuracy and further be studied for developing optimized downscaling method incorporation other regression methods.

      • KCI등재

        SVM 회귀 모형을 활용한 격자 강우량 상세화 기법

        문희원,백종진,황석환,최민하 한국수자원학회 2014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7 No.11

        본 연구에서는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 3B43 V7 (25 km)의 월 누적 격자 강우량을 1 km 해상도로 상세화하기 위해 Support Vector Machine (SVM) 회귀를 활용한 상세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비선형 예측모델인 SVM은 상세화의 기반이 되는 다양한 수문기상인자와 강우 발생간의 월별 상관성 구축에 효율적으로 활용되었다. 상세화된 격자 강우는 전국에 고루 분포한 64개 지점 관측 강우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상세화 이전의 격자 강우 보다 다소 개선된 정확도를 지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상세화 이전 격자 강우가 지니는 양의 Bias가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상세화 전후의 공간분포 비교에서 두 분포는 평균적으로 유사했으나, 상세화 이전 강우의 공간분포에서 나타나지 않았던 강우의 국지적 특성이 상세화된 공간분포를 통해 잘 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지점의 과소 및 과대산정이 상세화를 통해 개선되어 전반적인 정확도 향상에 기여하였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상세화 기법이 적용된 격자 강우는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고해상도 입력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추후 연구에서는 SVM 외에 다른 회귀 방식을 활용하여 최적의 강우 상세화 기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 spatial downscaling method us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 (SVM) Regression for 25 km 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TRMM) Monthly precipitation is proposed. The nonlinear relationship among hydrometeorological variables and precipitation was effectively depicted by the SVM for predicting downscaled grid precipitation. The accuracy of spatially downscaled precipitation was estimated by comparing with rain gauge data from sixty-four stations and found to be improved than the original TRMM data in overall. Especially the positive bias of the original TRMM data was effectively removed after the downscaling procedure.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25 km and 1 km grid precipitation were generally similar, while the local spatial trend was better detected by 1 km grid precipitation. The downscaled grid data derived from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in hydrological modelling for higher accuracy and further be studied for developing optimized downscaling method incorporation other regression methods.

      • KCI등재

        청구범위 해석에 있어서‘상세한 설명의 참작’에 관한 최근 대법원 판결 분석 및 외국 사례와의 비교 검토

        김병필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14 지식재산연구 Vol.9 No.2

        We can find two general principles in the Supreme Courtjudgments regarding consideration of the description in claimconstruction. The first principle is that the terms presented in claims aremore important than the contents presented in the description if we canunderstand the technical meanings of claims apparently. The otherprinciple is that we should always use description in the patentdocument in order to interpret claims. However the Supreme Court ofKorea tends to put emphasis on claims rather than the description inclaim construction despite of a recent legal principle on claimconstruction that the description and drawing shall be used to interpretthe claims irrespective of the clarity of an expression or a wordpresented in a claim. In Japan, Intellectual Property High Court recently seems toconsider the description and drawing in claim construction more thanbefore regardless of the clarity of an expression in a claim. These claimconstruction rules in Japa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U.S and Europe. European Patent Office applies the Article 69 of the European PatentConvention and the Protocol on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69 wheninterpreting claims to decide the patentability. U.S courts alsoemphasize that claims must be read in view of the specification, of which they are a part. Judgments regarding claim construction in the Supreme Court ofKorea are different from those of foreign countries, like Japan, U.S, andEurope. I think we need to reinforce the consideration of the descriptionand drawing in claim construction and read claims in view of thespecification. Also it is desirable to decide whether technicalsignification of a word presented in a claim is clear or not when decidingthe clarity of claims. 우리나라에서의 청구범위 해석방법은 크게 청구범위 기재 자체를 중시하는 법리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참작을 중시하는 법리로 나누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종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가 불명확한 경우에만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작할 수있다는 취지의 법리와 별도로, 대법원은 2007년 특허성 판단시 청구범위 해석에있어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언제나 참작해야 한다는 취지의 법리를 새롭게 제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대법원 판결을 보면 종래와 같이 청구범위 기재가 명확한 경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작하는 것을 제한해석으로 보고서 허용하지 않는 경향이 강한 것 같다. 특허법원에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참작해서 명세서 전체의 기술적 사상이나 용어의 기술적 의의에 부합하도록 한정적으로 해석한 것을대법원은 제한 해석이라고 보고서 파기한 사례를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대법원은 단순히 상세한 설명을 참작해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에 서 있을 뿐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이나 청구항에 기재된 용어의 기술적 의의 등을 고려해서 적극적으로 상세한 설명을 참작하는 정도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 일본 지재고재나 미국 및 유럽의 해석방법은 최근 대법원의 청구범위 해석방법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 것 같다. 최근 일본 지재고재는 종래에비해 청구범위 기재의 기술적 의의가 불명확한 경우를 다소 넓게 인정함으로써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참작을 강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미국CAFC 판결들은 청구항에 기재된 용어가 포괄적으로 넓게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명세서 기재 등을 참작해서 특허발명의 전체적인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도록용어를 한정적으로 해석하고 있고, 유럽 특허청도 EPC 제69조의 상세한 설명의참작 원칙을 특허요건 판단시에도 그대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외국 사례 등을 참작해서 상세한 설명의 참작을 보다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즉,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은 명세서의 관점에서 전체적인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도록 해석하도록 하고, 발명의 명확성 여부를판단함에 있어서 해당 용어만을 분리해서 그 용어의 사전적 의미 등이 명확한지를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전체로서 갖는 기술적 의의에 비추어 그 기술적 의의가 명확한지를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또한, 참작해석을 제한 해석과 명확히 구분해서 기술적 의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상세한설명을 참작해서 한정적으로 해석한 것을 제한 해석으로 취급해서는 안될 것이다. 다만 참작해석이라는 이유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지도 않은 사항을 명세서로부터 끌어들여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여전히 허용해서는 안될 것이다. 특허성 판단시 청구항에 기재된 용어나 문구의 해석은 특허권의 무효 여부를판가름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의 참작이 언제 어떻게 어느 정도까지 적용될 수 있는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우리나라에서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참작과 관련해서 통일된 기준을 하루빨리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국어과 성취기준 상세화에 대한 통시적 고찰

        이근영,전제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4 No.-

        For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textbook, this study diachronically considered the detail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from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refinement refers to breaking a single achievement standard into several learning elements, and can be divided into two levels. The first is content-level detailing, and the second is practice-level detailing, such as unit and class learning goals, composition of learning activities, and selection of evaluation methods. The following is a diachronic review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rom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 should be clear.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various learning elements extracted in the process of detail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Third, not only the detail level of content but also the detail level of practice should be specifically planned. 이 연구는 2022 개정 국어과 교과서 개발을 위해 7차 국어과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국어과 교육과정까지 국어과 성취기준 상세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였다. 성취기준 상세화란 하나의 성취기준을 여러 개의 학습 요소로 잘게 쪼개는 것으로, 크게 두 가지층위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내용 차원의 상세화이며, 두 번째는 단원 및 차시학습 목표, 학습 활동 구성 및 평가 방법의 선정 등 실천 차원의 상세화이다. 내용 차원의 상세화가 하나의 성취기준을 통해 가르칠 범위와 폭을 결정한다면, 실천 차원의 상세화는 국어 교과서 집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상세화를 통시적으로 고찰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상에 제시되는 성취기준이 명료해야 한다. 둘째, 성취기준 상세화 과정에서 추출되는 여러 학습 요소 간의 연결성을 고민해야만 한다. 셋째, 내용 차원의 상세화뿐 아니라, 실천 차원의 상세화도 구체적으로 계획되어야 한다.

      • KCI등재

        특허청구범위 해석에 있어서 상세한 설명의 참작

        김동준 한국정보법학회 2012 정보법학 Vol.16 No.3

        The claims are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a patent because claims shall be used in order to establish whether the conditions governing patentability have been satisfied or in order to determine the extent of protection. For this reason, the patent law requires that claims shall be clear. However, in most cases, claims need to be interpreted due to the inherent challenges of expressing inventive ideas in words. Therefore, it is important how to interpret claims. Article 69 of the European Patent Convention (EPC) and the Protocol on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69 provide a good working guide to claim interpretation. It goes on to say that claims are to be interpreted by combining a fair protection for the patent proprietor with a reasonable degree of legal certainty for third parties. Specifically,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shall be used to interpret the claims irrespective of the clarity of an expression or a word present in a claim. The European Patent Office, the UK courts and the German courts applies this principle not only when determining the extent of protection,but also when identifying the subject-matter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in order to judge whether it is novel and not obvious. Claim interpretation rules in the U.S. and the Japa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Europe. Claims are part of a fully integrated written instrument. For that reason, claims must be read in view of the specification, of which they are a part. The Supreme Court of Korea laid down the same principle. One thing to remember when applying this principle is to distinguish between using the specification to interpret the meaning of a claim and importing limitations from the specification into the claim. Although this can be a difficult one to apply in practice, much of the time, upon reading the specification in that context, it will become clear whether the patentee is setting out specific examples of the invention to accomplish those goals, or whether the patentee instead intends for the claims and the embodiments in the specification to be strictly coextensive. 특허청구범위는 특허요건 판단의 대상이 됨과 동시에 보호범위 판단의 기준도 되기 때문에 해석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명확히 작성된다면 좋겠지만 기술적 사상인발명을 언어로 완벽하게 표현하는데 있어서의 한계 등으로 인해 이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대부분의 경우 해석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에 있어서는 유럽특허조약(EPC) 제69조와 그 해석에 관한 의정서가 바람직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고 생각되며, 미국과 일본의 실무도 EPC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 즉, 특허권자의 적절한 보호와 제3자에 대한 법적 명확성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특허청구범위가 분명한 판단 기준이 되어야 함은 틀림없지만,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위해서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반드시 참작해야 하며 이러한 원칙은 특허요건 판단시이든 보호범위 판단시이든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상세한 설명을 포함한 전체 명세서의 일부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대해 가장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 것은 사전이나 논문이 아니라 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므로 그 해석에대한 가장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도 역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이기 때문이다. 우리 대법원 판례도 마찬가지 입장을 취한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처럼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상세한 설명이 항상 참작되어야 하며 상세한 설명의 관점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분명하지만, 중요한 것은 ① 상세한 설명을 참작하여 용어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과 ② 상세한 설명의 한정요소를 청구범위로 끌어들여 제한해석하는 것을 구별하는 문제이다. 즉, 특허청구범위 용어에 대한 일정한 의미가 발명의 목적, 과제해결 수단 등 상세한 설명 전체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되는 의미라면 그러한 의미로의 해석이 허용될 것이지만, 상세한 설명의 일부기재만을 근거로 특허청구범위 용어를 일정한 의미로 해석하고자 하는 것은 허용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우정사업본부의 상세 제안요청서(RFP) 수행사례 연구

        김홍섭 ( Hong Seop Kim ),박소현 ( So Hyun Park ),이국희 ( Kuk Hie Lee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3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2 No.2

        제안요청서 요구사항을 세부적으로 명시하는 상세RFP가 공공 정보화 사업 발주 방식으로 제도화되었다. 이 연구는 우정사업본부 상세RFP 적용사업에 대한 사례연구이며 상세RFP 도입 배경, 수행프로세스, 성공요인을 살펴보고 잠재적 문제점과 실효성을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하였다. 우정사업본부는 초기 검증을 강화한 RFP 요구사항 분석프로세스를 자체 개발하였으며, 1단계 요구사항 수집 a2단계 상세수준 조기검증 a3단계 명세서 작성 a4단계 요구사항 검증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정보화 성과 창출 5단계 모델에 의하여 상세RFP가 해당 정보화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과업변경 률, 산출물 품질은 종전 RFP 방식의 다른 사업에 비하여 향상하였으나 예산준수 율, 프로젝트 일정 등 전통적 프로젝트 효율성 지표에서는 가시적 성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세RFP 성공요인으로서 ①상세RFP 예산 확보, ②상세RFP의 프로젝트 활용, ③효율적 수행 가이드 정립, ④현업사용자 협력, ⑤발주담당자 의지 및 역량 5개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요인 별 중요도와 현재 달 성도를 대비하는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상세RFP의 중요한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고 실무자와 연구자에게 깊이 있는 현장정보와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단일 사례연구로서의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The detailed RFP approach, a method of defining clearly the user requirements in the RFP, becomes legally an official me-thod of writing RFP in all public IS projects. This is a case study of the detailed RFP project which is performed in Korea Post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nalyzes the execution process, accomplishment, and the success factors while focusing on the actual effectiveness and the potential problems of the detailed RFP. The execution procedure was consisted of four stages such as (1) requirements extraction, (2) early verification of the degree of detail, (3) specification, and (4) final verification. There occurred some positive effects such as reduction of change. And the overall performance levels of the detailed RFP approach for quote were found to be high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FP. As a result of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on the persons in charge of actual work, 5 success factors were derived: the acquisition of the proper budget and resources, the utili-zation of the detailed RFP during the project stage,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process, the cooperation of the user de-partment, and finally the capability of the ordering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site information to the corporations that are considering adopting the detailed RFP approach.

      • KCI등재

        비판적 사고능력 신장을 위한 주제 상세화 질문 구성의 원리와 방법

        김재봉,위숙량,설향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3 No.-

        Critical Thinking Ability is potential power that we make an inner representation about given problem, and in their point of view find a problem and solve it. This article, named by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The Construction of Theme Detailing Question for Improv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is a tentative plan. we can improve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rinciples of the construction of theme detailing question are relation, certification, generalization, reconstruction, extension. These are the network of relation. They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lation. Theme detailing question is an asking statement, and an asking statement subdivide a theme of text, especially with an argument as the central figure. In this article, the types of theme detailing question are fact finding question and cause and effect question. With given material as the central figure, at first we grasp the theme of a text. And with theme as the central figure, we make fact finding question. With fact identification and question elicit as the central figure, we make a cause and effect question. And with background variable as the central figure, we make a new fact finding question. Fact finding question plus fact identification and question elicit make a causal and effect question. causal and effect question plus background variable make fact finding question. When we make a fact finding question with new view point, background variable is very important. This activities of the construction of theme detailing question continues through question chain. 비판적 사고능력은 ‘주어진 문제에 대해서 내적 표상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의 시각에서 무엇이 문제인지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잠재적인 힘’이다. 이 글에서는 국어과교육에서 이러한 힘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하나의 시안으로 ‘주제 상세화 질문 구성의 원리와 방법’을 논의했다. 이 글에서 살핀 주제 상세화 질문 구성의 원리에는 ‘관계성의 원리, 구체화의 원리, 일반화의 원리, 재구성의 원리, 사고확장의 원리’가 있으며, 이들은 관계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하나의 관계의 망을 이룬다. 주제 상세화 질문은 ‘글의 주제의 특정한 논항을 하위 개념으로 세분화하여 묻는 진술’이다. 이 글에서는 주제 상세화 질문을 ‘실태 파악형 질문’과 ‘인과 관계형 질문’으로 유형화해보았다. 주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먼저 글의 주제를 파악하고, 주제를 바탕으로 ‘실태 파악형 질문’을 만든다. 이어서 사실 확인과 질문 유도를 바탕으로 ‘인과관계형 질문’을 만들고, 이것과 ‘배경 변인’을 관련지어 새로운 실태 파악형 질문을 만든다. 실태 파악형 질문에 ‘사실 확인과 질문 유도’를 첨가하여 인과 관계형 질문을 만들고, 여기에 ‘배경 변인’을 고려하여 새로운 실태 파악형 질문을 하위에 만든다. 이 과정에서 새로운 관점이 반영된 실태 파악형 질문을 만들 때 ‘배경 변인’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주제 상세화 질문 구성 활동은 질문 연쇄를 이루면서 하위 단계로 계속된다.

      • KCI등재

        중국 영유아용품 모바일 쇼핑몰 상세페이지에 대한 감성이미지 평가와 선호도 연구

        궈징징 ( Guo Jing-jing ),권기제 ( Kwon Ki-j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영유아용품 모바일 쇼핑몰의 상세페이지를 대상으로 감성이미지평가와 선호도 분석을 통하여 쇼핑몰 상세페이지 디자인에 대한 감성이미지 반영요소의 중요성 및 디자인 적용가이드를 제안하는데 있다. 중국의 모바일 쇼핑몰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상세페이지 디자인과 감성이미지 적용에 대한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유아용품 상세페이지 디자인에 대한 감성이미지와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영유아를 육아 중인 중국 거주 남여 40명을 대상으로, 영유아용품 모바일 쇼핑몰 상세페이지에 대한 감성이미지를 측정 평가하였다. 영유아용품 중 소비가 많은 기저귀 제품의 상세페이지에 대한 감성이미지와 관련된 감성어휘 10쌍을 추출하였으며, 감성형용사를 사용하여 5단계 의미분별척도법으로 측정하였다. 요인축소를 통한 대표 감성이미지를 추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표적 감성이미지와 소비자가 선호하는 상세페이지 디자인 스타일을 도출하여 디자인 콘셉트 및 상세페이지 디자인 진행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emotional image and preference of the detailed pages of the mobile shopping mall's infant products. The research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tailed page, the emotional image and the trade information of the mobile shopping mall in China. It measures the emotional image of the mobile shopping mall for infants product detailed page by targeting 40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are related to the visual design college students and parents. For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by using 10 pairs of objectives related to the emotional image of the diaper detailed page and the Semantics Differential Method to analyze the emotional evaluation. A factori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tract the key objectives through reduction of factors. Finally, the design concept was submitted with a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consumer's preferred detailed page design and the core objectives.

      • KCI등재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상세화 유형에 따른 설명글 이해 특성

        최하은(Choi, ha Eun),최소영(Choi, So Young),김가림(Kim, Ga Rim)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4 특수교육논총 Vol.40 No.2

        연구목적: 경계선 지능 아동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읽기를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이들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 글 읽기 과정에서 제공되는 정보 중 어떠한 형태의 단서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과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상세화 유형에 따른 설명글 이해 특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4~5학년 경계선 지능 아동 12명과 일반 아동 12명, 총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과제는 설명글 내 어려운 어휘에 대한 의미나 이미지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으로 ‘기본 텍스트’, ‘의미 상세화’, ‘이미지 상세화’ 세 조건으로 구성하였다. 각 조건이 구성된 과제를 읽은 후 읽기 이해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으며, 두 집단의 상세화 유형에 따른 읽기 이해 수행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경계선 지능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읽기 이해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다. 상세화 유형 조건에 따른 설명글 읽기 이해 점수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기본 텍스트, 의미 상세화, 이미지 상세화 순으로 읽기 이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경계선 지능 아동은 다른 조건보다 이미지 상세화 조건에서 읽기 이해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 경계선 지능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낮은 읽기 이해 특성을 보이나 텍스트 내 언어적인 정보와 이미지를 제공하였을 때 읽기 이해 수행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학령기 경계선 지능 아동의 읽기 중재 시 언어적 결함을 고려하여 텍스트와 관련한 이미지를 함께 제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reading difficulties in borderline intelligent children as they advanced in school and explored how they processed various reading cues. It compared the comprehensive abilities of borderline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Methods: Twenty-four students(12 borderline intelligent and 12 typically developing) in grades 4~5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tasks included reading the following three conditions: basic text, semantic elaboration, and image elaboration. After the reading tasks for each condition, participants answered comprehension questions, and reading comprehension performance according to elaboration type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Significantly lower reading comprehension scores were observed i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Both groups performed better with an increasing depth of information, including basic text, semantic elaboration, and image elaboratio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particularly excelled in comprehension when images were included. Conclusion: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encounter challenges in reading comprehension;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providing verbal information and images within texts can enhance their comprehension performance.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it is advisable to include images with text in reading interventions to address language weaknesses.

      • KCI등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작문 영역 성취기준 상세화 방안

        이재승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2

        This study addresses the question of from what perspective(benchmark) to extract and arrange theachievement criteria that occupy the core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The current methodlists performance criteria, making it difficult to explain how they can contribute in the context ofwriting in real life.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ich achievement criteria work here whenpreparing essay writing for college entrance exams. Therefore, they are learning by listing individualachievement criteria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exactly why they should betaught. Even if you look at the actual textbooks, each of the achievement criteria is listed as anactivity. These achievement criteria do not properly explain how they connect and contribute to asingle piece of writing.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the question of how toextract individual achievement criteria and how to link these individual achievement criteria. Withregard to the issue of extracting individual achievement criteria, the article suggests clarifying thenature of the achievement criteria, refining the elements contained in the achievement criteria, andclarifying statements to reduce ambiguity. With respect to the linkage of achievement criteria, it isproposed to greatly expand the number and scope of achievement criteria, to secure continuityamong achievement criteria, to establish the concepts of common and individual achievementcriteria, and to link performance criteria around the genre. They can be executed individually orconnected to each other. 본 연구는 이 글은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영역 성취기준들을 상세화 하는 작업을 통해 현행성취기준의 특성이나 제시 방식을 이해하고 이 과정에서 문제점을 찾음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취기준을 상세화 하는 목적은 여러 가지이다. 교육과정이 바뀌면 교과서를 만들게 되는데, 교과서 개발자들은 개별 성취기준이 포함하고 있는 의미를 명료히 하여단원이나 차시에 배정하기 위해 상세화 작업을 한다. 교사나 평가자들 역시 개별 수업이나 평가의 범위나 수준을 정하기 위해 개별 성취기준을 상세화 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개별 성취기준의 상세화가 교과서 개발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도 있지만, 향후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설정할 때 시사점을 얻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2015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별 성취기준을비판적으로 분석해 보면서 교육과정 개선에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성취기준 상세화를 위해서는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었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을 나눌 때 적용되는 것으로, 지식, 기능, 태도로 나누어 각 영역별로 성취기준을 상세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식 영역에서는 지식 영역을 구성하는 요소를 중심으로 나누어야 한다고 보았다. 기능 영역의 경우에는 성취기준의 포함 요소,학습 요소의 범위 설정, 학습 요소의 수준 설정 등에 따라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 태도 영역의 경우에는 해당 성취기준에 포함되는 요소를 분석하여 그 포함 요소를 중심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바탕으로 향후 성취기준 상세화를 위한 방향을 제시했다. 단일한 성취기준 항목을 설정할 것과 성취기준의 층위 설정, 성취기준의 범위나 수준 설정, 성취기준의 포함 요소 선정 등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