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츠하이머 치매 및 치매의심 집단과 정상 노인의 발화 비교분석을 통한 삽입어(filler)의 기능 연구

        하지완(Ji-Wan Ha),정윤희(Yoon Hee Ju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구문적, 어휘적, 인지적 처리과정과 관련하여 삽입어의 기능을 밝히는 것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집단, 치매의심 집단, 그리고 정상 노인의 발화에서 나타난 삽입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치매의심군, 경도 치매군, 중도 치매군과 정상인 각 10명씩의자발화를 수집한 후, 자발화 상에서 나타나는 총 삽입어 비율을 집단 간 비교하였다. 그런후, 구문적 측면에서는 긴 발화와 짧은 발화의 삽입어 비율을, 어휘적 측면에서는 ‘삽입어+대체어’의 비율을 비교하였고, 인지적 측면에서는 전체 발화 샘플을 단순그림, 연속그림, 설명과제로 분류하여 각 과제에서 삽입어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발화샘플 전체에 대한 총 삽입어 비율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집단에 상관없이 모든 피험자는 짧은 발화보다 긴 발화에서삽입어를 더 많이 산출하였고, 긴 발화에 대한 집단 간 삽입어 비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경도치매 집단은 정상 집단보다, 중도 치매 집단은 정상 집단과 치매의심 집단보다 ‘삽입어+대체어’를 더 많이 사용하였고, 중도 치매 집단은 설명 과제에서 정상 집단보다 삽입어를 더 많이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총 삽입어의 비율을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며 구체적으로 삽입어가 어떠한 경우에 출현하는가를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삽입어의 기능적인 특성을 분석하여 화자의 언어-인지적인 문제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fillers in the utterances of questionable dementia, mild and moderate Dementia of Alzheimer’s Type (DAT), and normal elders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fillers in relation to the utterance length, lexical retrieval, and cognitive demand. Methods: The total ratios of the filler were compared among groups. For utterance length, we compared the ratios of the filler between short utterances and long utterances within each group and the ratios of the filler of each utterance among groups. We also compared the ratios of ‘filler + substitute’ and the ratios of the filler of each task among groups in relation with lexical retrieval and cognitive demand, respectively. Results: None of the groups differed in their overall filler quantity. Long utterances had significantly more fillers than short utterances in all groups, and the ratios of the filler of each utter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roups. However, the ratios of the substitute following the fill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ild DAT patients and normal elders and between moderate DAT patients and normal elders or elders with questionable dementia. Also, the ratios of the filler in the explanatory task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oderate DAT patients and normal elders. Discussion &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we can obtain valuable information on a speaker’s linguistic and cognitive difficulties by examini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llers in spontaneous speech.

      • KCI등재

        말더듬 아동 및 성인의 삽입어 특성에 관한 연구

        남현욱 ( Hyun Wook Nam ),안종복 ( Jong Bok Ahn ),권도하 ( Do Ha Kw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아동 및 성인의 삽입어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삽입어 특성은 소풍, 여행, TV 프로그램 등의 주제에 관해 1분 동안의 독백에서 나타난 비율, 언어학적단위, 언어학적 길이 등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5-12세의 말더듬 아동 11명(남자 8명, 여자 3명)과 17-32세의 말더듬 성인 11명(남자 7명, 여자 4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삽입어 비율은 말더듬 성인과 아동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말더듬 성인들이 말더듬 아동들보다 더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둘째, 언어학적 단위에 대한 말더듬 아동과 성인 간의 비교에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언어학적 단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음절이 모음, 어절, 구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학적 길이에 대한 말더듬 아동과 성인 간의 비교에서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언어학적 길이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음절이 2, 3, 4, 5음절보다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jection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and adults who stutter. The interjection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through the ratio, the linguistic unit, and the length in monologue about picnic, travel and TV program for a minute. Eleven stuttering children(8 males, 3 females), from 5 to 12 years old, and eleven stuttering adults(15 males, 17 females), from 17 to 32 years old,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ttering children and adults groups in the interjectional ratio, and interjectional ratoi in adults who stutter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ne in children who stutter. Second, in terms of linguistic uni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inguistic units, and syllable interjec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vowel, clutter and phrase interjections. Finally, in the linguistic leng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linguistic lengths, and one-syllable interje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wo, three, four and five-syllable interjections.

      • KCI등재

        H형강과 구조용집성재의 삽입길이에 따른 접합부의 탄소성 거동

        김순철,양일승,문연준,Kim, Soon Chul,Yang, Il Seung,Moon, Youn Joon 한국강구조학회 2006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8 No.2

        In some cases, wooden structures are used for medium-rise building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nd test a new structural system for medium-rise buildings using wooden structures. This study deals with high-performance, laminated, timber-based composite members, which consist of structural laminated timber and H-beam. Simple beam test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trength, stress distributions, and failure patterns of laminated timber. The main parameters are the insertinglength (1, 1.5, and 2 times the H-beam height) and the epoxy between the top/bottom flange of the H-beam and the top/bottom flange of the laminated timber. The results of the test show that the specimen with an inserting length that is 2 times the H-beam height was characterized by fairly god strength and stiffness. 최근 환경문제의 대두로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는 건축물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북미나 일본 등지에 서는 목질구조를 이용한 4층 정도의 사무소건축이나 교외형 호텔, 학교 등의 중층 목조 건축물을 실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하부층은 RC조로 하고 상부층은 목조로 하는 하이브리드 구조형식으로 보급되고 있다. 기존의 볼트나 드리프트 핀을 목재 중에 접합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준 내화성능의 확보나 외관상의 이점이 있으나, 하중을 전달하는 지압면적이 작어 목재의 내부로 접합장치가 파고들기 때문에 목재에 균열을 발생시키는 약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 하이브리드 구법으로서 비교적 큰 하중을 받을 수 있는 2방향 라멘접합부 개발을 목표로 새로운 모멘트저항형 접합법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H형강을 이용한 이음접합 단순보의 휨 실험을 행하였으며, 주요한 변수는 구조용집성재와 H형강의 삽입길이(보춤의 1배, 1.5배, 2배)와 H형강 상 하 플랜지와 구조용집성재 상하면 사이의 틈새에 에폭시의 충전유무이다. 실험결과, H형강의 보춤의 2배를 확보함으로써 목재의 강도 및 강성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ISG용 베인타입 오일펌프의 베인 형상에 따른 구조해석

        이현석(Hyunseok Lee),허형석(Hyungseok Heo),배석정(Sukjung Bae),김인상(Insang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18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8 No.6

        A vane-type oil pump for ISG commercial vehicle has been developed to respond to the reinforced fuel economy regulations by reducing the driving power consumption. The pump has a construction of a single suction and two separate discharges to both low-pressure and high-pressure lines. In this paper,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ne pump has been carried out. The effec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anes and the rotor in the fast-running pump on structural safety has been investigated. The maximum stress of the pump decreases as the thickness of the vane increases. If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vane are constant, the maximum stress increases with the increasing ratio of protrusion length of the va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