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지정 문화유적의 훼손현황과 식생관리를 통한 저감방안 연구 : 북한산 삼천사지를 사례로

        홍희택,김현범,이문행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atural damage of the Samcheonsaji Temple Site in Bukhansan National Park and to suggest the plans to minimize damage for the remains. The types of natural damage are classified into direct vegetation damage, indirect topographical damage, and artificial damage. The most popular causes of damage to temple sites include the roots of trees as direct vegetation damage and the soil erosion by rain or stream as topographical damage. Direct vegetation damage includes burial remains damaged by the root of trees and vines, but it is often observed that some trees have contributed to protection against collapse. Indirect topographical changes have damaged the ruins by soil erosion caused by floods or typhoons. Vegetation changes due to topographical reasons have also caused damage. Artificial reasons of damage include forestry operations and compaction by hik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ndings, the following could be suggested as plans to resolve these problems:1. Natural damage occurs slowly due to negligence. Therefore, it could be reduced by forestry improvement, including forest density control through thinning, planting to prevent landslides, maintaining grasslands nearby. 2. Deciduous broadleaf trees can be planted to reduce soil erosion by rainfall.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density of forests at around 0.02~0.18 trees/m2. 3. It would be good to grow Quercus spp and Carpinus spp or weaken the community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ueraria lobata which disturb the ecosystem. Samcheonsaji Temple Site is located in Mt. Bukhan National Park that is a publicly owned property. Therefore, it is constantly maintained for natural preservat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could be considered for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remains 본 연구는 비지정 문화유적이 제도권 내에서 보존되기 전까지 자연적인 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산림 내에 위치한 사지(寺址)에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훼손 양상을 밝히고, 발생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식생관리를 통한 저감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대상지는 다양한 피해 사례가 확인되는 삼천사지로 선정하였다. 사지에서 발생하는 자연적인 훼손은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식생과 관련된 직접적인 유구 피해(식생), 식생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여타 지형적 요인으로 인한 사지 전반에 대한 피해(지형), 산림작업 및 등산객 이용과 같이 식생과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거나 식생환경 개선을 통해 저감할 수 있는 인위적 피해(인위)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식생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는 입목의 뿌리에 의한 매장 유구 훼손, 수목 생장에 따른 석축 교란, 입목 전도에 의한 유구 파괴 및 사지 훼손, 기타 덩굴성 식물에 의한 훼손 등이 있으나, 일부는 버팀목이 되어 석축 붕괴를 막아주는 역할도 하였다. 환경변화에 의한 피해는 집중호우(홍수), 태풍으로 인해 토사유출 등이 발생하여 유구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거나, 식생환경에 변화를 주어 사지에 2차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이로 인해 지형 변화, 석축 유실 등이 주로 확인되었다. 인위적 피해는 산림작업에 의한 피해와 등산객 이용에 따른 답압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사지에서 발생하는 자연적 훼손에 대한 저감방안은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1. 자연적 훼손의 대부분은 방치에 의한 지속적(遲速的)인 훼손으로 간벌을 통한 산림 밀도 조절, 유적 배면의 사방식재를 통한 토사유출 억제, 유구가 인접한 지역의 대교목 발생 억제를 위해 울폐도 조절을 통한 초본류 육성 등 산림관리를 통해 저감할 수 있다. 2. 강우에 의한 토양침식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낙엽활엽수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층 교목림의 적절한 수관 밀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데, 2~18본/100m2 정도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3. 사지의 보존을 위해서는 참나무류나 서어나무류의 육성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타감작용이 강해 생태계를 교란하는 아까시나무, 칡 등은 점차적으로 세력을 약화시킬 필요가 있다. 삼천사지는 북한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고 국·공유림에 속한다. 따라서 자연환경의 보전을 위해 현재도 꾸준한 산림작업이 실시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유적의 보존을 위한 식생관리 방안이 고려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洪武二十一年戊辰四月> 銘 가구의 양식과 명문 연구

        김삼대자 한국미술사학회 2011 美術史學硏究 Vol.271272 No.271272

        십 여 년 전 한 학부모의 제보로 내면에 〈홍무21년무진사월일조홍산지만수산무량사(洪武 二十一年 戊辰四月 日 造 鴻山地萬壽山無量寺)〉라는 조성기 명문이 있는 가구를 보았다. 홍무 21년은 고려시대인 1388년을 가르키며 가구의 양식이 고려 건축의 양식과 유사하여 한눈에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조선 전기 이전의 가구에 대한 학계의 공인된 유물이나 자료가 없어 〈홍무이십일년무진사월〉 명 가구는조선시대의 가구에 선행하는 양식으로 가구의 편년이나 가구양식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여겨지지만, 아직까지 학계에 공식 보고되지는 못하였고 또 진위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다. 나무를 다루는 장인을 통틀어 목수라고 부르는데 목수에는 대목(大木)과 소목(小木)이 있다. 대목과소목의 분류는 중국 송나라의 이계(李誡:明仲)가 1103년에 편찬한 『영조법식(營造法式)』에서 처음 보여진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시대에 소목장이라는 명칭이 『고려사(高麗史)』에 기록되어져 『영조법식(營造法式)』의 분류에 따라 대목장과 소목장의 분류가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대목과 소목은 건물을 지을때 함께작업을 하므로 그 양식과 기법상 상호 긴밀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이에 고려시대의 건축물인 안동 봉정사극락전 및 그 내부에 설치된 닫집, 부석사 무량수전의 후문과 우리나라의 장이라고 알려진 일본 쇼쇼인(正倉院)소장의 〈적칠문관목주자(赤漆文 木廚子)〉, 경기도 고양시 북한산의 삼천사지(三川寺址) 출토 금동투각 목가구부재, 철제돌쩌귀, 경첩, 고리, 시우쇠못 등과 〈홍무이십일년무진사월〉 명 장과의 양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고려의 건축양식과 가구에서 볼 수 있는 이중 문얼굴과 좌우비대칭의 널 사용, 쌍사면과 쌍사모 기둥, 삼각형으로 직절한 풍혈, 철제돌쩌귀, 경첩, 고리, 시우쇠못의 사용 등 고려의 양식적 특징과 동일한 양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이 가구의 제작연대를 알기 위해 실측을 하여 각 부분을 역대척도와 비교 분석한 결과 1956년 중국 산동 양산에서 발굴한 명 홍무 년간의 침몰선에서 출토된 31.8cm의 영조척〔骨尺〕이 정수나 절반의 척수혹은 짝수의 촌수로 정확히 환산되어 이 가구가 홍무 년간에 제작된 명의 영조척을 사용해서 제작하였다고 판단되었다. 명문의 서체에 있어서 ‘器’를 ‘( +尤/器)’로, ‘量’을 ‘旧+一+里’ 등으로 서사하는 예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사용되었지만 근·현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 이체자들이다. 이들 이체자를통하여 <홍무이십일년무진사월> 명 가구의 기록은 근현대에 서사되지 않고 홍무이십일년(1388) 당시에 서사된 명문임을 추찰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홍무이십일년무진사월> 명 가구는 고려 건축양식과 가구에서 볼 수 있는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명나라 홍무 년간의 영조척 사용, 명문의 서체가 근·현대에서 사용하지 않은 점 등으로 보아 명문의 내용과 같이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임에 의심의 여지가 없다. About ten years ago, I was informed by a student’parents of the existence of a piece of old furniture inside which there is a dated inscription that reads‘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 The term Hongwu is an era name us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 corresponds to 1388. It was quite obvious to the naked eye that this furniture, in a style characteristic of Goryeo, was made during the Goryeo period. There is no surviving furnishing item confirmed to date from prior to the early Joseon period. Therefore, this chest with the dated inscription“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is considered invaluable for the window it may offer onto the style of pre-Joseon Korean furniture. However, its existence has not yet been made known in academia through official channels, and its authenticity is still in dispute. Artisans working with wood, or carpenters, are of two types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distinction used in Korea: Daemok and Somok (cabinetmakers). The categories of Daemok and Somok first appeared in Yingtsao fashih (營造法式) compiled in 1103 by Li Jie (李誡), aChinese man of the Song Dynasty. In Korea, the term“Somokjang”is encountered in Goryeosa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indicating that Koreans also distinguished carpentry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used in Yingtsao fashih (營造法式) Daemok and Somok worked together for construction of buildings, and the techniques used by the two types of carpenters were closely related and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In this paper, I compare the chest with the dated inscription“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with woodworks in two Goryeo-period buildings, including the Geungnakjeon Hall of Bongjeongsa Temple, a Goryeo temple located in Andong, and the canopy set up inside this hall; the rear door of the Muryangsujeon Hall of Buseoksa Temple; the red-painted wooden Buddha niche in Japan’s Shoshoin, believed to have been made in Korea; as well as gilt-bronze openwork wood furniture accessories, iron hinges, loops and wrought iron-nails, discovered at the former site of Samcheonsa Temple (Bukhansan Mountain, Goyang, Gyeonggi-do). The results of comparison confirm that this piece of furniture was made indeed in an identical style to Goryeo wood buildings and wood structural items, using the same double framework, asymmetric panels and sides and edges of columns with symmetric moldings, decorative corner spandrels, iron hinges, loops and wrought iron-nails; all typical details of wooden constructions from this period. Meanwhile, to determine its exact date of creation, the chest was measured, and the measurements of each section were compared with historical measuring too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easuring tool used for this chest was the Yeongjo yardstick (營造尺),31.8cm in length, an exemplar of which was found in a sunken ship discovered in 1956, off Liangshan in Shandong, China, believed to date from the Hongwu era; all measurements could be exactly converted into a whole unit of this yardstick or half of a unit or multiples of a unit. As for some of the characters used in the inscription, including‘ +尤’fo‘r gi(器) and‘ +一+里’fo‘r lyang(量)’, these are variants used between the Goryeo period and early Joseon, which were no longer used in subsequent eras; hence, confirming that the inscription also date from when this chest was made in 1388. Based on the evidence in terms of style, construction techniques, and structural pieces, as well as the use of the Yeongjo yardstick (營造尺) and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inscription,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furniture with the dated inscription“the fourth month of the wuchen year (the 21st year of the Hongwu reign)”was made in Goryeo.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