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와 우환의식에 관한 불교적 이해 - 『주역선해(周易禪解)』 해석을 중심으로 -

        이시우 ( Lee See-woo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본 논문은 노인이 자기 삶의 주인이 되기 위해 내재역량을 강화해 웰에 이징하는 방안을 불교사상에서 찾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주역』의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를 불교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방법으로 진행하며, 지욱(智旭, 1599~1655)의 『주역선해(周易禪解)』에 보이는 삼진구덕괘에 관한 견해를 살펴보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왜냐하면 불가에서는 늙음에 따라 수반되는 몸과 마음의 우환(憂患)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또한 지욱의 『주역선해』는 『주역』을 선불교의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유불융회의 관점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특히 본 논문은 요돌봄노인의 몸과 마음의 우환에 초점을 두고 그 우환을 해결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게 목적이다. 『주역』을 ‘우환지서(憂患之書)’ 라고 하듯이 『주역』은 우환을 극복하기 위해서 저술되었다. 『역전』 「계사전」 하7장 삼진구덕괘에서 특별히 작역자(作易者)의 우환의식을 언급하며 우환을 극복하기 위한 구덕(九德, 아홉가지 덕, 탁월함 또는 효과)과 수행 방법을 제시한다. 이에 『주역선해』의 삼진구덕괘에 대한 해석을 기초로 해서 요돌봄노인의 웰에이징의 이론적 논리와 실천 방안을 불교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ways for well-aging in Buddhist thought by strengthening the inherent capabilities of the elderly to become masters of their own lives. And we proceed by using the method of interpreting Zhouyi(周易)'s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三陳九德卦) from a Buddhist perspective. Buddhist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 will be centered on examining the view on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n Zhi Xu(智旭)'s famous book Zhouyichanjie(周易禪解). This is because the Buddhist family deals with the problem of ‘U-Hwan(憂患)’ of the body and mind that comes with aging and effectively provides solutions. And this is because Zhi Xu's Zhouyichanjie is evaluated as presenting ‘harmonious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by reinterpreting the Confucian scripture Zhouyi from the perspective of Zen Buddhism.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U-Hwan’ of the body and mind of the elderly who require care, and the purpose is to find ways to solve the ‘U-Hwan’. In relation to this, as Zhouyi is expressed as ‘the book of U-Hwan’, Zhouyi was written to overcome ‘U-Hwan’. Gyesajeon(繫辭傳) specifically mentions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and presents nine virtues and practices to overcome ‘U-Hwan’ based on ‘Consciousness of Suffering(憂患意識)’. From this perspective,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n Zhouyichanjie, this paper provides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well-aging of the elderly who require care. It is meaningful to interpret logic and practical measures from a Buddhist perspective.

      • KCI등재

        『주역』 ‘삼진구덕괘’의 근본 문제에 대한 검토

        이정석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6

        ‘삼진구덕괘(三陳九德卦)’는 64괘 중에서 아홉 괘[九卦]의 괘의(卦義)를 덕(德)의 속성과 연결 지어 3차례 설명한 것으로, 우환에 대처하는 도리를 밝힌 것이다. 수양을 가지고 우환을 방지 또는 해소하는 근거로 삼음으로써, 역학사 및 윤리학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나아가 『역전』의 ‘도덕’적 해석 내용을 한 곳에서 전면적으로 논술한 것이어서 특히 중요하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삼진구덕괘의 형성과 체제에 대한 다양한 질문도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삼진구덕괘의 의미와 가치를 주로 논하는 기존 담론과 달리, 그의 형성과 체제 등 근본 문제에 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째, 우환에 대처하는 괘가 왜 아홉 개인가에 대해, 『좌전(左傳)』과 『국어(國語)』의 용례를 검토하여 ‘구덕’이 춘추시대에 이미 보편화된 관념이어서 구괘도 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소개한다. 둘째, 삼진구덕괘 제1진의 “무엇은 덕의 무엇이다(某, 德之○)”라는 표현 방식은 춘추시대에 이미 관례화돼 있던 것을 바탕으로 공자의 역에 대한 관념을 반영한 것일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셋째, 구괘를 굳이 3번 반복 설명한 까닭에 대해 기왕의 견해를 정리·소개하고, 『백서주역(帛書周易)』이 당시 존재하던 판본 중에서 각기 다른 3가지 문형을 취합한 데 따른 것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출한다. 「충(衷)」편의 문형 분석 결과를 그 근거로 들고 있다. 넷째, 백서본 삼진구괘장 및 「충」편 일부 괘의 괘 나열 순서가 통행본의 그것과 같음을 지적하고, 이는 『백서』 당시 통행본과 동일한 괘서(卦序)를 갖춘 판본이 이미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자료라고 평가한다. 이상의 논의는 결국 성인이 『역전』을 지었다는 설을 부정하고, “『주역』은 어느 한 시대 어느 한 사람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계속해서 형성된 것”이라는 오늘날의 정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is a three-fold explanation of nine of the sixty four hexagrams in relation to the attributes of “virtue” (or de), and explains how to deal with misfortune. It has an great effect on the history of Zhouyi and ethics by preventing or handling misfortune through discipline. Furthermore, it is highly appreciated in that the moral interpretation of Yi-Zhuan is discussed in one monograph as a whole. However, there are some questions about the formation and system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Unlike existing researches discuss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this paper focuses on the fundamental issues: e.g. its origins and basis. First, I introduce a view about the reason why there exist nine hexagrams to cope with misfortune; the ‘nine virtues,’ the concept already universalized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seems to affect the number of hexagrams in consideration of the examples in Zuozhuan and Guoyu. Second, I also introduce that two origins of the expression “something is some of de” in the first description of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1) it was already customary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or (2) Confucius' descendants modified the scriptures to reflect the notion of his work. Third, I summarize and introduce existing views on the triple explanation, and suggest one hypothesis; it is the result of combining three different types of sentence patterns at that time. The sentence format analysis result of the Chapter of Zhong of Silk Manuscript is presented as the reason. Finally, I point out that the order of some hexagrams in the Chapter of Interpreting the nine hexagrams by virtue for three times and the Chapter of Zhong of Silk Manuscript are the same as that of the current version. This implies that some versions sharing the order of hexagrams in the current version already existed, when Silk Manuscript was written. The above discussions consequentially repute the theory that one saint wrote Yi-Zhuan, and support common view that Zhouyi was not formed by a person at a time, but was formed and develop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by many.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철학(哲學) ; 조선조(朝鮮朝) 유학자(儒學者)들의 공자역학(孔子易學)에 대(對)한 주역관(周易觀)과 계승양상(繼承樣相) 논구(論究) -개수(改修)된 계사전팔장(繫辭傳八章)을 중심(中心)으로-

        김익수 ( Ik Soo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본 연구는 조선조 유학자들의 『주역』 「계사전」에 대한 계승양상을 검토하되 경학적, 성리학적으로 연구하여 석의(釋義)를 제대로 이해케 하여 학문의 연원을 알고 본원적으로 탐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하나의 소박한 의도는 학자나 일반인의 가장 관심 높은 경전이 『주역』이요, 철학의 조종(祖宗)인 「계사전」은 공자학의 진수요, 인문학의 原典임을 인식시키고 본원(本原)을 바르게 이해케 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개수된 『주역』 「계사전」 8장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바 골격(骨格)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본 장의 머릿글(首文)은 개수(改修)된 『주역』 「계사전」의 1장과 3장의 머리글은 겉과 속(表裏)의 관계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이 ``양괘(陽卦)는 음이 많고 음괘(陰卦)는 양이 많으니 그 연고가 어찌된 것인가``로 연계된다. 그러니 건곤은 62괘가 드나드는 마치 문(門)과 같다는 역(易)의 요체가 머리글(首文)의 골격이다. 2. 여기에서 역의 의의(意義)를 재차 천명하고 있다. 그래서 「계사상전(繫辭上傳)」도 재인용되고 있다. 『주역』 64괘 384효는 모두가 인과관계(因果關係)로 짜여 있음을 알게 하고 역의 공능(功能)이 어려운 일(難事)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과거사를 이해시켜 미래사(未來事)를 예측하고 감지시켜 대처케 한다. 3. 문왕(文王)이 우환에 대처하여 작역(作易)한 시기는 중고(中古)요, 후고(後古)때에 「계사전」을 지은 공자는 후세인의 우환을 걱정하여 덕(德)이 있어야 슬기롭게 살아갈 수 있다고 판단하여 ``구덕괘삼진론(九德卦三陳論)``을 전개하였다. 요컨대 오늘날의 총체적 위기를 극복하는 길도 구덕(九德)의 실행으로 도덕성회복에 있음을 상기시키고 싶다. This study does not look for a tendency of Korean Sung Confucianism scholars. Kesajun summary the Book of Changes. It is to study the Chinese Classics. It is to study Skui. It is to study reason of Lyug(易). It is an aim to know origin of learning. The most interest of mankind is the scriptures, and Kesajun is most important in Confucianism. This study is Kesajun of the Book of Change(8). 1. The preface of Kesajun of the Book of Change (1)-(3) is relations with the surface and the inside. Yanggoi(陽卦) is Yum(陰), and Yunggoi is Yang(陽). It is relations with Yangoi, Dayum, Yungoi, Dayang, Gugo, and Haya. In brief, Gun and Gon makes Jin, Kam, Gan of Yangoi, and Chan, Li and Tai of Yumgoi. It makes 64 Goi also. But Gun and Gon makes 62 Goi. 2. I will explain the significance of Lyug. Then Lyug recites Bunsasangjun(繁辭上傳). 384 Hyo of the Book of Change is making the relations with cause and result. Lyug overcomes the devil, understands past, and predicts future. 3. King Mun made Lyug in middle age in old time, Confucius made Sypik in last age in it. They insist in virtue(Guduksamjinron).

      • KCI등재

        朝鮮朝 儒學者들의 孔子易學에 對한 周易觀과 繼承樣相 論究 — 改修된 繫辭傳八章을 中心으로 —

        김익수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This study does not look for a tendency of Korean Sung Confucianism scholars. Kesajun summary the Book of Changes. It is to study the Chinese Classics. It is to study Skui. It is to study reason of Lyug(易). It is an aim to know origin of learning. The most interest of mankind is the scriptures, and Kesajun is most important in Confucianism. This study is Kesajun of the Book of Change(8). 1. The preface of Kesajun of the Book of Change (1)-(3) is relations with the surface and the inside. Yanggoi(陽卦) is Yum(陰), and Yunggoi is Yang(陽). It is relations with Yangoi, Dayum, Yungoi, Dayang, Gugo, and Haya. In brief, Gun and Gon makes Jin, Kam, Gan of Yangoi, and Chan, Li and Tai of Yumgoi. It makes 64 Goi also. But Gun and Gon makes 62 Goi. 2. I will explain the significance of Lyug. Then Lyug recites Bunsasangjun(繁辭上傳). 384 Hyo of the Book of Change is making the relations with cause and result. Lyug overcomes the devil, understands past, and predicts future. 3. King Mun made Lyug in middle age in old time, Confucius made Sypik in last age in it. They insist in virtue(Guduksamjinron). .본 연구는 조선조 유학자들의 『주역』 「계사전」에 대한 계승양상을 검토하되 경학적, 성리학적으로 연구하여 석의(釋義)를 제대로 이해케 하여 학문의 연원을 알고 본원적으로 탐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하나의 소박한 의도는 학자나 일반인의 가장 관심 높은 경전이 『주역』이요, 철학의 조종(祖宗)인 「계사전」은 공자학의 진수요, 인문학의 原典임을 인식시키고 본원(本原)을 바르게 이해케 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개수된 『주역』 「계사전」 8장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바 골격(骨格)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본 장의 머릿글(首文)은 개수(改修)된 『주역』 「계사전」의 1장과 3장의 머리글은 겉과 속(表裏)의 관계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이 ‘양괘(陽卦)는 음이 많고 음괘(陰卦)는 양이 많으니 그 연고가 어찌된 것인가’로 연계된다. 그러니 건곤은 62괘가 드나드는 마치 문(門)과 같다는 역(易)의 요체가 머리글(首文)의 골격이다. 2. 여기에서 역의 의의(意義)를 재차 천명하고 있다. 그래서 「계사상전(繫辭上傳)」도 재인용되고 있다. 『주역』 64괘 384효는 모두가 인과관계(因果關係)로 짜여 있음을 알게 하고 역의 공능(功能)이 어려운 일(難事)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과거사를 이해시켜 미래사(未來事)를 예측하고 감지시켜 대처케 한다. 3. 문왕(文王)이 우환에 대처하여 작역(作易)한 시기는 중고(中古)요, 후고(後古)때에 「계사전」을 지은 공자는 후세인의 우환을 걱정하여 덕(德)이 있어야 슬기롭게 살아갈 수 있다고 판단하여 ‘구덕괘삼진론(九德卦三陳論)’을 전개하였다. 요컨대 오늘날의 총체적 위기를 극복하는 길도 구덕(九德)의 실행으로 도덕성회복에 있음을 상기시키고 싶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