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수타사 三身佛掛佛圖 草本연구

        김창균 국립문화재연구원 2009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2 No.4

        강원도 홍천군 수타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삼신불괘불도는 베 바탕이 아닌 종이 바탕인데다, 채색방법 또한 조선시대 불화의 가장 일반적인 眞彩畵法의 그림들과는 다르게 밑그림본인 草本형식에 淡彩技法을 사용하고 있어 주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 자체의 畵記라든가「壽墮寺史蹟」또는「壽墮寺古記錄」등 어느 곳에도 이 삼신불괘불도 조성에 대 한 기록이 전혀 남아 있지 않아 조성시기가 불명확하였을 뿐만 아니라, 진채화법의 그림이 아니라서 다른 괘불도들과의 본격적인 양식 비교 역시 원활하지 못하여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소개 정도에 그쳤었다. 그러나 최근 보존처 리 시 그림 뒷면의 배접지를 제거하는 과정 중에 크기가 세로 118㎝ 가로 87.5㎝인 별도의 한지에 써서 붙인 墨書銘이 발 견되었다. 내용은 부처님 법을 올바르게 따르기 위하여 지켜야 할 몇 가지 금지 행위를 알리는 일종의‘榜’으로서 1690년 4월 15일에 썼음이 밝혀졌다. 이 묵서명은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의 조성년대를 추정케 해주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자, 그 림의 정확한 내용 분석 및 성격 파악 등 구체적인 접근을 위해서도 필요한 중요한 단서이다.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의 현상과 형식 및 양식적 특징을 고찰한 다음 이 묵서명을 바탕으로 괘불도의 조성시기를 추정해 본 결과 첫째,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화기 대신 뒷면에 첩부되었던‘방’으로 미루어 보아 1690년경을 즈음하여 조성되었 음을 추정할 수 있다. 둘째, 조선시대 삼신불괘불도 중 공주 갑사 삼신불괘불도(1650년) 이후 가장 기본적인 도상을 보여 주는 최초의 立佛形式삼신불괘불도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수타사 삼신불괘불도는 3佛의 형태라든가 화면 구성 력과 배경처리, 근엄한 듯 자애로운 얼굴표정 묘사, 조화롭고 적당한 신체 비례 등에 있어 유사한 형식의 18세기 삼신불괘 불도는 물론, 19세기 삼신불괘불도에 이르기까지 진채화법 괘불도들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수타 사 삼신불괘불도는 비록 완성본이 아닌 밑그림(草本) 형태이기는 하지만 筆線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전형적인 담채기법을 보여주고 있어 필력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자료적 가치 및 불교회화사적 가치가 크다고 하겠다. 비록 형식 및 표현기법 상 수타사 삼신불괘불도와 동일한 유형의 괘불도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서 충분한 비교· 고찰은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조선시대 18-9세기 입불형식 삼신불괘불도 연구에 밑받침을 이루고 있다는데 연 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Suta-sa Temple at Hongcheon-gun, Gangwon-do draws attention as it was painted not on flax but on paper, and used the water color painting technique on the sketch rather than the deep color painting technique, which is most common in Buddhist paintings created during the Chosun Dynasty. Nevertheless, there is not any information on the creation of the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painting record on the painting, in Sutasasajeok(壽陀寺史蹟), or in Sutasagogirok(壽陀寺古記錄), so it is uncertain when the painting was created. Furthermore, because it was not drawn by the deep color painting technique, it has been difficult to compare it with other banner paintings. For these reasons, the Trikaya Banner Painting has been studied little except brief introduction. In recent preservation treatment that removed multiple-layered paper from the back of the painting, however, an inked inscription written on Korean paper 118㎝ high and 87.5㎝ wide was discovered on the back. It is a kind of placard notifying a number of acts prohibited in order to follow Buddha’s teachings correctly, and was found to have been written on April 15, 1690. The inked inscription is a very valuable material for estimating the creation date of the Suta-sa Trikaya Banner Painting, and provides crucial clues for approaching the contents and nature of the painting more precisely. When the image, form, and style of the Suta-sa Trikaya Banner Painting were examined and its creation date was estimated based on the inked inscription, first, the painting is presumed to have been created in around 1690 as suggested by ‘the placard’attached on the back instead of a painting record. Second, the painting is highly likely to be the first standing Trikaya banner painting showing the basic icons of Trikaya banner paintings in the Chosun Dynasty since the Trikaya Banner Painting in the Gap-sa Temple in Gongju (1650). Furthermore,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Trikaya in the painting, screen composition, background treatment, solemn and affectionate facial expression, harmonious and adequate body proportion, etc., the painting is believed to have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not only on Trikaya banner paintings of similar style in the 18thcentury but also on deep-color Trikaya banner paintings in the 19thcentury. Third, although the Suta-sa Trikaya Banner Painting is not acompleted work but a sketch, it exhibits the typical water color painting technique in which the strokes are clearly visible. Thus, it is considered highly valuable in understanding and analyzing stroke styles and in studying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s. As there are not many extant banner paintings of the same style in form and expression technique as the Suta-sa Temple Trikaya Banner Painting, this study could not make tho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ork, but still it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ground for research on standing Trikaya banner paintings in the 18thand 19thcenturies in the Chosun Dynasty.

      • KCI우수등재

        삼위일체 하느님과 삼신불의 비교 : 계시와 삼매 개념을 중심으로

        권선향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27 No.-

        삼위일체(三位一體)와 삼신불(三身佛) 사상은 각각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핵심교리이다. 그리스도교에서 절대적 위치를 갖는 삼위일체는 니케아-콘스탄티노플 공의회를 통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삼신불 사상은 초기불교의 이신불설이 유식학파에 의해 삼신불설로 정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성부·성자·성령의 삼위와 법·응·보신의 삼불은 각각 배대하여 볼 수 있으며 삼위와 삼불의 관계성의 측면에서 비교도 가능하다. 그러나 삼위일체와 삼신불을 각각 일대일 대응시켜 유사점과 차이점을 단순비교 하는 것만이 본고의 주목적은 아니다. 여기서는 삼위일체와 삼신불을 각각 계시(啓示)와 삼매(三昧)의 관점에서 종합하여 두 개념의 접점을 찾아보도록 한다. This paper synthesizes the Trinity and Trikāya from the perspectives of Revealation and Samadhi. The Holy Trinity of Christianity and the Trikāya in Buddhism are the essential religious teachings. The Holy Trinity holds a central position and was established through the Nicaea-Constantinople Council. Trikāya is organized from the two bodies of theories by Yogācāra. God, Jesus and the Holy spirit can be mechanically compared to Dharmakāya, Nirmāṇakāya and Saṃbhogikakāya. However,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Trinity and the Trikāya in a more comprehensive context. In particular, a new approach to interpret them from the perspectives of Revealation and Samadhi is explored. In addition, this paper also tries to bridge the two seemingly unrelated concepts, Revealation and Samadhi. Such efforts will likely help better understand Christianity and Buddism.

      • KCI등재

        南楊州 奉先寺 三身佛掛佛圖 圖像 硏究

        고승희 ( Seung Hee Koh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2 강좌미술사 Vol.38 No.-

        임진왜란 이후 불교는 법화사상이 크게 유행하여 석가불이 중점적으로 많이 조성되었으나, 17세기 이후에는 화엄사상이 주축이 되면서 비로자나불중심의 삼신불 도상이 많이 조성되는 변화가생긴다. 이러한 삼신불은 대승불교와 깊은 관련성을 가지고 9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하며, 조선 17-18세기에 이르면 후불도와 괘불도로서의 불화가 크게 유행하게 된다. 이 중 괘불도는 전형적인 군집도 형식과 독존도 형식으로 분류되는데, 봉선사 괘불도는 수타사 괘불도 이후의 전형적인 군집도 형식의 불화로 『화엄경』중심의 ``毘盧舍那三身佛``의 화엄설법장면을 표현한 그림으로서 서울·경기지역 삼신불괘불도 도상을 선도한다는데 학술적·자료적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남양주 봉선사 삼신불괘불도는 19세기 이후 삼신불괘불도의 도상적 시원이 되고 있음은 물론,불·보살과 군상들의 배치가 지금까지와는 다른 매우 특이한 형식으로 새로운 2단 구도를 창출해내고 있다. 또 화기 중의 내용으로 보아 尙宮 이씨가 왕비(寧嬪 김씨)의 영가천도를 위해 조성한 왕실발원불화이면서도 기존의 괘불도와 차별화된 도상과 형식을 갖고 있다. 채색은 황토색과 난색 계열의 색채와 호분이 많이 가미된 중간색조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전반적으로 따뜻하고 부드러우면서도편안한 느낌을 주며, 담채기법의 적용과 거친 듯 유연한 필선의 구사 등의 표현기법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불교회화사적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이처럼 봉선사 삼신불괘불도는 기존의 괘불도와 차별화된 독창성을 발휘하고 있어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Although Sakyamuni statutes were the main trend based on the Lotus ideolog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year of Imjin (1592), Trykaya especially Vairocana came to be popular after the 17th century with the introduction of Hwaeom. Such Trykaya are closely related to Mahayana Buddhism and became very popular from the 9th century. By the 17th to 18th century, Buddhist paintings such as Rear paintings and Banner paintings became very popular. Among them, Banner paintings can be classified as group type and single statue type.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s a typical Buddhist painting following that in Suta-sa Temple. It shows Hwaeom sermon scenes of Vairocana Trykaya in the Avatamska Sutra and is meaningful from the perspective of academy and materials in that it leads the iconography of Trikaya banner paintings in Seoul and Gyeonggi. Trikaya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n Namyangju is the origin of the iconography of Trikaya banner paintings after the 19th century and it creates a new two-ayer placing Buddha, Bodhisattva and people in unique positions. From the commentary of the painting,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is the Buddhist painting sponsored by royal family that Sanggung(尙宮) Lee prayed for the spirit of Queen 〔Youngbin(寧賓) Kim〕to go to heaven. It has different iconography and forms from existing Banner paintings. It uses warm colors including the earth color and mid-one colors with frequent use of aleuron, giving warm, gentle and comfortable feelings. It is very meaningful in the history of Buddhist painting as it shows rough but flexible brush touch and thin coloring technique. As such, Trikaya banner painting in Bongseon-sa Temple is very uniqu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Banner paintings. It is judged to be meaningful and worthwhile this painting because of such uniqueness.

      • KCI등재후보

        順天 松廣寺 佛祖殿 佛像과 浮休門中의 思想

        김세영 국립중앙박물관 2017 미술자료 Vol.- No.92

        조선후기 불교의 큰 脈인 浮休門中은 臨濟法統과 순천 송광사의 普照遺風을 계승한 독특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 부휴문중은 순천 송광사에 世居하면서 법맥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화엄 교학을 시하였는데, 이러한 성향은 불상, 불화, 비석과 부도 등의 불사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부휴문중 사상이 불교미술에 미친 도상적 영향이 가장 큰 곳은 그들의 本山이었던 순천 송광사이다. 송광사 불조전에는 문중의 사상 성향을 반영한 17세기 후반의 石造三身佛坐像과 石造五十三佛坐像이 봉안되어 있다. 즉, 화엄의 삼신불과 법맥과 관련되는 과거 53불이 함께 조성된 것은 부휴문중 성향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이자 현존하는 유일한 도상 구성이다. 조선후기 삼신불상은 17세기 초부터 조성되었는데, 주목되는 것은 화엄의 삼신불이 봉안된 곳이 모두 부휴문중의 벽암각성과 관련된다는 점이다. 비록 삼신불상들이 조각승들의 조각풍에 따라 조형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불사를 지휘한 벽암각성의 영향이 적극적으로 도상에 반영된 것은 사실이다. 53불 또한 부휴문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도상이다. 불조전 53불은 『觀藥王藥上二菩薩經』의 영향이나, 이 경전의 영향을 받은 懺法類 경전과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 참법류 경전 속에 언급된 多佛 중에서 53불을 불조전에 봉안한 것은 부휴문중이 중시한 화엄이 숫자 ‘53’과 친연성이 높고, 53불이 삼천불의 佛祖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불조로서의 53불의 상징성은 ‘불조전’이라는 전각의 이름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17세기 후반 다른 사찰들이 과거칠불을 53불과 함께 조성한 것과 달리, 송광사 불조전에서는 삼신불과 53불을 조성하였다. 이는 부휴문중의 화엄교학이 가장 발달하던 시기에 불조전 불상을 조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화엄의 삼신불 봉안을 통하여 화엄사상을, 과거 53불 조성을 통하여 부휴문중의 법맥을 강조하고 懺悔사상과 十方三世諸佛을 표현한 것이다. 조선 1684년(숙종 10)에 경주 불석산에서 생산되는 돌로 조성된 불조전 불상들은 전라도에서는 비교적 이른 예에 속한다. 불상을 조성한 ‘冲玉’은 조각승으로서의 경험이 많지 않았으나 순천 송광사에서 대규모의 불상 조성을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부휴문중의 영향으로 보인다. 부휴문중의 불교적 성향을 조각승 누구보다도 잘 이해하고 있었던 문중의 일원인 그로 하여금 불상 조성을 주도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송광사 불조전 불상들은 부휴문중의 사상이 불교미술에 도상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The Buhyu Clan (浮休門中),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Korean Buddhism in late Joseon period, exhibits a unique disposition of inherited the religious tradition of Imje School of Buddhism (臨濟法統) and the principle developed by National Master Bojo (普照遺風) at Songgwangsa Temple (松廣寺) in Suncheon (順天). Buhyu Clan, residing in Songgwangsa Temple for generations, emphasize their inheritance to Buddhist doctrine along with Avatamsaka (華嚴) doctrine. And their thought has on impact on Buddhist art such as sculpture, painting, stone monument and stupa. Songgwangsa Temple was a head temple of Buhyu Clan, so naturally, the thought of the Clan has a major impact on Buddhist art in Songgwangsa temple. In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there are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Triad (石造三身佛坐像) and 53 Stone Seated Buddha Statues (石造五十三佛坐像). Enshrining Vairocana Buddha Triad along with 53 Buddha in a hall, as an only example of this composition, represent the thought of Buhyu Clan. Buddha Triad statues were made since early 17th century, but Vairocana Buddha Triad statues only made where it relates with Byeok-am Gakseong (碧巖覺性) of Buhyu Clan. Each statue shows a bit different style by different monk sculptors though, overall they are under influence of Byeokam Gakseong, who leads the Buddhist service. 53 Buddha icon is closely connected with Buhyu Clan. 53 Buddha Statues enshrined in Buljojeon Hall (佛祖殿) shows an influence of sutra with repentant content rather than Bhaiṣa jyarājabhaiṣajy samudgatabodhisattva-sūtra (觀藥王藥上二菩薩經). 53 Buddha icon is one of the Multi-Buddhas (多佛) of repentance sutra. Buhyu Clan especially valued 53 Buddha in Avatamsaka thought. It symbolizes the Buljo (佛祖; The Buddha, or the Buddhas of three periods of times and successive generations of Patriarchs), and the name Buljojeon Hall (佛祖殿) highlights the meaning of it. In late 17th century, 53 Buddha statues mostly enshrined together with Seven ancient Buddhas (過去七佛), but Songgwangsa Temple enshrined 53 Buddha statues with Vairocana Buddha Triad statues. It can be explained as they made the statues during the period when Avatamsaka-based teachings reached their prime in Buhyu Clan. The composition represents Ksama thought (懺悔; Repentance) and Sibangsamsejebul idea (十方三世諸佛; The Buddhas of ten directions of past, present and future) influenced by Avatamsaka thought and inheritance of religious tradition of Buhyu Clan.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in Buljojeon Hall at 1684, made of stone mined from Bulseoksan Mountain (佛石山) in Gyeongju (慶州), are an early example of monk sculptor Chung-ok (冲玉)'s work. At that time Chung-ok was an inexperienced as a sculptor, though the influence of Buhyu Clan made him project's leader. The reason was, as a member of Buhyu Clan, Chung-ok who understand the thought of the clan was fit for a work. Therefore Buddhist sculptures enshrined in Buljojeon Hall of Songgwangsa Temple is an important example of how Buhyu Clan's thought impact on the iconography of Buddhist art.

      • KCI등재

        『금강정영청의(金剛頂迎請儀)』의 한국 내 수용 및 변천 - 점안식과 불화를 중심으로

        진명화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1

        본고는 조선시대 점안식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과 대흥사(大興寺) 「법신중위회삼십칠존(法身中圍會三十七尊)」을 통해 밀교 『금강정영청의』의 한국 내 수용 및 의미 대해 연구하였다. 현재 유물에 따르면, 금강계 만다라 오불과 관련된 도상 및 조형물은 9세기 후반 통일신라 때부터 한반도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예로는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사리함(863년) 외함의 바깥 4면에 조각된 사존불상과 강원도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의 3층 옥개석 아래에 돋을 새김된 금강계 만다라 오불 등이 있다. 조선시대 유물로는 상원사 문수보살좌상의 복장유물인 목각 판화 「금강계종자만다라도(金剛界種子曼?羅圖, 1466년)」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이 판화는 고려 말기에 제작된 판을 사용해 조선 초기에 인쇄된 것으로 보인다. 금강계 37존을 소재로 한 불화로는 1845년에 초의선사 주도, 완성된 전라남도 해남 대흥사의 「법신중위회삼십칠존」만이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다. 이들 유물 가운데 「법신중위회삼십칠존」만 예배의 대상으로 사용되었고, 나머지 사리함과 탑신에 새겨진 금강계 오불, 만다라도는 모두 사리 공양이나 개안·복장 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이유로 조선시대 의례집에서 점안이나 복장 의식 때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의례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금강정 밀법은 조선시대에 들어선 이후 유가사상의 연구나 수행으로 실천되지 못하고 점안식, 복장식에 관한 의궤에만 남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점안식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은 돈황유서 『유가불례(瑜伽佛禮)』나 『금강정영청의』가 금강정 유가밀법의 정례(頂禮) 수행에 관한 예참문으로 청불, 찬탄, 예불, 오회(五悔) 등의 절차를 기록한 것과 달리, 점안식 봉청의례 때 불상(또는 불화)의 가지(加持)를 증명할 뿐임을 고찰하였다. 사상적 구조로 볼 때 이는 금강계, 태장계(胎藏界), 소실지(蘇悉地)의 3대 밀법이 통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금강계의 대일여래(大日如來), 삼실지 삼신불과 화엄종의 비로자나불, 삼신불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삼국시대에 당나라 중기 밀교의 `금태불이(金胎不二)` 및 거기에서 파생된 3종 실지 사상이 한반도에 유입된 뒤신라 화엄종의 삼신불과 섞여 조선시대에 이르면 화엄사상이 짙게 깔린 한국 밀교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흥사 대광명전에 봉안된 「법신중위회삼십칠존」은 금강정 37존을 소재로 한 후불탱으로, 예배 기능도 있지만 인간세상을 위해 재앙을 없애고 복을 내려달라는 기원의 용도로 주로 쓰였다. 그림 속 방제(榜題)로 쓰인 `금강정 만다라 삼십칠존`이라는 명칭이 돈황유서 『유가불례』의 명칭과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당시 한반도에서 금강정 유가 37존을 경배하는 의식이 전파했으며 「법신중위회삼십칠존」 이전에도 이러한 의식과 관련된 불화가 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통일신라 후기에 유입된 금강정 불정 사상과 신앙은 고려 때 호국사상이 더해지면서 왕실의 숭상을 받으며 유지되었지만, 조선시대 이후 쇠락의 길로 접어들어 점안식의 봉청의례 때 불사의 가지(加持)를 증명하거나 그것을 소재로 그린 불화를 사원 불전에 봉안해 세속의 재앙을 없애고 복을 기원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本文透過朝鮮時代点眼儀 `金剛界曼?羅37尊奉請`,以及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探討密敎 『金剛頂迎請儀』 在韓國的流變和意義。經由硏究,得知朝鮮点眼儀的 `金剛界曼?羅37尊奉請`,僅以迎請金剛界37尊作爲佛事的證明加持。與敦煌遺書 『瑜伽佛禮』 或 『金剛頂迎請儀』 內有請佛、嘆佛、禮佛、五悔等次第,屬于頂禮修習金剛頂瑜伽密法的禮懺文本,在職能上幷不相同。就構筑点眼儀的思想核心來看,爲金剛界、胎藏界、蘇悉地三部密法的合體。從其以金剛界大日如來、三悉地三身佛與華嚴宗毗盧遮那佛、三身佛的相攝一致,說明自三國時代以來,唐代中期密敎的 `金胎不二` 及由此衍生的三種悉地思想,在傳入朝鮮半島后與新羅華嚴宗的三身佛相互融攝,形成韓國密敎呈現?厚的華嚴思想底蘊。供奉于全羅南道大興寺大光明殿的 「法身中圍會三十七尊」,是以金剛頂37尊爲題材的后佛?,雖具有禮拜功能,但在朝鮮時代作爲世俗消災祈福之用。畵中榜題所書金剛頂曼?羅三十七尊名稱,經與敦煌遺書 『瑜伽佛禮文』 比對,稱名雷同一致,推測禮拜金剛頂瑜伽37尊的儀式曾傳入朝鮮半島,幷在 「法身中圍會三十七尊」 之前應也?制與此儀式有關的佛畵。可以說金剛頂佛頂思想和信仰,自統一新羅后期傳入,以其具有護國的職能在高麗得到王室的尊崇護持,但朝鮮時代以后,衰退式微,只見点眼儀式的迎請儀節,作爲佛事加持證明,或以其爲題材?成佛畵,供在寺院佛殿內,成爲世俗消災增福之用。

      • KCI등재

        조선 전반기 三身ㆍ三世佛 조성에 대한 연구

        김경미(Kim, Kyung-mi)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9 No.-

        조선전반기에 새롭게 등장하는 불교미술과 관련된 도상 중에서 삼세불과 삼신불을 주목할 수 있다. 삼세불과 삼신불에 관한 인식은 이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을 것이다. 『원대화소기』에 원대 무왕조의 삼세불을 모신 萬安寺는 고려 충렬왕 때 국존이자 유가종 승려인 弘眞國師 惠永(1228~1294)이 1290년 원나라에 들어가 『仁王經』을 강의했던 곳이다. 따라서 당시 혜영이 삼세불을 보았을 것이다. 또한, 고려시대의 『稼亭集』에 북경 龍泉寺 화재관련기사에서 삼신불에 대한 언급과, 조선초에 「연복사탑중창비(1394년)」에 나오는 비로자나불의 조성 기록을 통해 삼신불에 대한 개념이 고려시대에는 형성되었을 것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행하는 삼세불은 석가불, 아미타불, 약사불로 공간적 삼세불이 조성된다. 일본 곤카이코묘지(金戒光明寺)소장 〈삼세불도(1573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동삼세불좌상〉, 〈경주 왕룡사원 소조 약사ㆍ석가불상(1579년)〉등이 확인된다. 삼신불 조성은 원각사탑 1층 남면에 부조된 〈비로자나삼신불도(1467년)〉, 〈천은사 불감 비로자나삼신불도〉등이 확인된다. 또한, 조선 전반기에 조선 전반기의 三身ㆍ三世佛을 함께 造成하는 사례는 세종 때 金守溫(1410~1481)이 世宗 31년(1449)에 편찬한 부처사리에 대한 영험을 기록한 「舍利靈應記」, 일본 주린지(十輪寺)소장 〈五佛會圖(1467년)〉등에서 확인된다. 이와 같은 도상은 조선 전반기에 이르러 대승불교에서 삼신불과 삼세불에 대한 認識이 점차 확산되면서 불교 이론의 발전과정에서 보다 심도 깊은 認知의 결과로서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Trikaya and Three World Buddh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re composed of ??kyamuni(석가불), Bhai?ajyaguru(약사불) and Amit?bha(아미타불). There are generally designated by terms such as samsebul (Buddhas of the three Worlds). Meanwhile, birojanasamsinbul (Buddhas of the three bodies with Vairocana) is composed of Vairocana, ??kyamuni, Nosana Buddha. Trik?y?h are means as dharma-kaya(法身), nirmana-kaya(應身), sambboga-kaya(報身). 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ppearance during the fifth century, in Northern Wei of China. Especially according to ‘The records of painting and sculpture in Yuan dynasty『元代畵塑記』’, there are designed for the Buddhas of Three Periods. In Korea, the images of sam-se-bul with time(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nd sam-sin-bul(the Buddhas of the three body) appeared during the 16th century. In addition it integrates with Sam-sin-bul and Sam-se-bul. That is SamsinSamsebul. Understanding of combinationis based on their pattern by time period. Iconography of the images of sam-se-bul with time(the Buddhas of the three worlds) and sam-sin-bul(the Buddhas of the three body) was completed at this time.

      • KCI등재

        화엄사(華嚴寺) 대웅전(大雄殿) 삼신불회도(三身佛會圖)의 연구(硏究)

        김성희 ( Sung Hee Kim ) 한국불교미술사학회(구 한국미술사연구소) 2010 강좌미술사 Vol.34 No.-

        화엄사는 임란과 호란을 겪으면서 많은 전각과 유물들이 전소되었으나, 승병들의 활약상이 공로로 인정되면서 벽암대사의 주도하에 대웅전이 중건되고 여기에 법신·보신·화신의 삼신불상을 조성하고 후불화로 1757년에 삼신불회도를 봉안하였다. 불화가 조성될 당시인 조선 후기의 종교적 상황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선·교 양종으로 통폐합되었던 당시의 불교적 상황속에서도 조선 후기에 화엄신앙이 크게 성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첫째, 승려들의 교육체제인 강원교육의 정립으로 인한 교학적인 학풍의 형성과 둘째, 17세기 말 징관의 『화엄경소초』가 새로이 전래되면서 학승들의 『화엄경』 연구를 촉진시켜 화엄사상과 관련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기를 통해 불화를 조성하는데 시주하고 참여한 사람들을 밝혔으며 이 작품이 대화사 의겸의 마지막 작품임을 알 수 있었고, 이를 통하여 전라도 화풍으로 대변되던 의겸 이후에 그의 유파들에 의해서 지역 화풍이 변모되어가는 과도기적인 작품으로 화엄사 삼신불회도가 기준점이 되는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불화는 법신·보신·화신이 총 세폭의 화면에 각각 한 폭씩 주존불로 모셔져 있으며 전체적으로 크게 보았을 때는 법신인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노사나불과 석가불이 협시를 하고 있는 성격이 됨을 알 수 있었다. 불·보살 무리들 역시 각각의 화면에 맞는 협시보살과 구성원이 되면서도 전체를 보았을 때 서열상 중간의 위치에서 호법신장인 사천왕과 화엄신장들의 외호를 받고 있는 형태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듯 화엄사 삼신불회도는 대승사상의 산물인 三身說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결국 대승의 사유방식을 그림으로 구체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화염사 삼신불회도는 18세기 불화의 특징을 담고 있으면서도 아직은 도식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조선 후반기 1기(1650-1800)의 양식이 나타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의겸 불화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상황에 맞는 다양한 필선의 구사, 맑고 가벼운 담채적 채색과 수북표현, 불·보살의 도상 등에서 보여지는 뛰어난 형태미와 장식성, 불화 곳곳에 표현된 사실적 회화기법 등이 후기로 갈 수록 변모되어 감을 알 수 있었으며, 그의 제자와 유파들에 의해서 이러한 의겸 특유의 불화 화풍이 점점 도식화 되어가고 간략화 되면서 나중에는 그들만의 화풍으로 전개되어져 가는 것을 살펴 보았다. 이렇듯 화엄사 대웅전 삼신불회도는 의겸의 절대적인 영향하의 지역 화풍이 의겸 유파들에 의해 변모되어 가는 과도기적이 작품으로 기준이 될 수 있으며 회화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Though many hall and relics of Hwaeom Temple had been bum down during the Japanese and Manchurian invasions, with warriormonks` brave achievements admitted Byeogamdaesa led the reconstruction of the main hall, in which the Buddhist statues of Samsin `three bodies`, I.e. Bepsin, Bosin, and Hwasin was placed and Samsinbulhoedo Was enshrined. Also, I have explored the religious situation of late Chosun, when the Buddhist painting was created. The reasons why the Hwaeom religion greatly prevailed I late Chosun despite the Buddhist into Zen or non-Zen Buddhism are as follow. First,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ecturing education as an educational system for monks, a teaching-learning scholarly trend was formed. Second, since scholarly monks were increasingly engaged in the study of the Hwaeom bible as Jing Gwan`s Hwaeomgyeongsocho was newly introduced in the late 17th century, interest in and studies on the Hwaeom philosophy was actively carried out. Also, I have found out that the names of contributors to the creation of the Buddhist painter. From this, we can learn that Samsinbulhoedo in Hwaeom Temple has an important meaning as the reference painting was changed by the followers of Euigyeom, who represented the Jeolla painting style. Beopsin, Bosin, and Hwasin are placed as main Buddha`s on three planes respectively. I have also learned that Samsinbulhoedo in Hwaeom Temple is based on the Samsin theory, a product of Mahayana Buddhism, and is a concrete expression of the speculative model of Mahayana Buddhism in picture. While it contains the propertie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 18th century, Samsinbulhoedo in Hwaeom Temple also shows some styles of the first period of late Chosun in that it does not have formatted properties. Also, it has been shown that after such unique trend of Euigyeom`s Buddhist painting was gradually formulated and reduced by his student and followers, it was newly developed into their own painting trends.

      • KCI등재

        삼위일체 하느님과 삼신불의 비교 ─계시와 삼매 개념을 중심으로

        권선향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This paper synthesizes the Trinity and Trikāya from the perspectives of Revealation and Samadhi. The Holy Trinity of Christianity and the Trikāya in Buddhism are the essential religious teachings. The Holy Trinity holds a central position and was established through the Nicaea-Constantinople Council. Trikāya is organized from the two bodies of theories by Yogācāra. God, Jesus and the Holy spirit can be mechanically compared to Dharmakāya, Nirmāṇakāya and Saṃbhogikakāya. However,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ly Trinity and the Trikāya in a more comprehensive context. In particular, a new approach to interpret them from the perspectives of Revealation and Samadhi is explored. In addition, this paper also tries to bridge the two seemingly unrelated concepts, Revealation and Samadhi. Such efforts will likely help better understand Christianity and Buddism. 삼위일체(三位一體)와 삼신불(三身佛) 사상은 각각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핵심교리이다. 그리스도교에서 절대적 위치를 갖는 삼위일체는 니케아-콘스탄티노플 공의회를 통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삼신불 사상은 초기불교의 이신불설이 유식학파에 의해 삼신불설로 정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성부·성자·성령의 삼위와 법·응·보신의 삼불은 각각 배대하여 볼 수 있으며 삼위와 삼불의 관계성의 측면에서 비교도 가능하다. 그러나 삼위일체와 삼신불을 각각 일대일 대응시켜 유사점과 차이점을 단순비교 하는 것만이 본고의 주목적은 아니다. 여기서는 삼위일체와 삼신불을 각각 계시(啓示)와 삼매(三昧)의 관점에서 종합하여 두 개념의 접점을 찾아보도록 한다.

      • KCI등재후보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의 조성기 「施主秩」 분석

        유근자(劉根子) 국립중앙박물관 2021 미술자료 Vol.- No.100

        본 논문은 화엄사 목조비로자나삼신불좌상 가운데 左尊 노사나불상과 右尊 석가불상의 복장에서 수습한 2점의 불상 조성기인 「施主秩」을 분석한 것으로, 두 자료는 2015년 9월과 2020년 7월의 복장 조사를 통해 나온 것이다. 2015년 9월에 수습한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한동안 미공개로 화엄사 성 보박물관에 소장되다가 2020년 7월 노사나불상의 「施主秩」이 발견되면서, 2021년 9월 ‘지리산 대화 엄사’ 특별전을 통해 함께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화엄사 두 불상의 「施主秩」은 17세기에 조성된 불상에 관한 기존 조성기의 일반적인 낱장 또는 두 루마리 형식과 다르게, 線裝 방식으로 假綴된 책자 형식으로 되어 있다. 노사나불상의 「施主秩」은 1 책 19장 38면으로,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1책 11장 22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施主秩」의 내용은 불상 조성의 목적, 제작 시기, 奉安 연도 및 奉安處, 尊名, 所任者, 彫刻僧, 施 主 物目, 施主者 등을 담고 있다. 이밖에도 당시 화엄사에 주석하고 있던 승려들까지 수록하고 있는 점에서 「施主秩」은 약 400여 년 전 화엄사의 중창 불사 당시의 상황을 오늘날에 소상하게 알려주는 타임캡슐(time capsule) 같은 것이다.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 및 노사나불상의 대좌 기록에 의하면, 1634년(인조 12) 3월에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을 조성하기 시작해 8월에 완성한 후, 1635년(인조 13) 가을에 대웅전에 봉 안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제작 시기를 1634년으로 특정할 수 있게 된 점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동안은 中觀 海眼이 1636년(인조 14)에 저술한 『湖南道求禮縣 智異山大華嚴寺事蹟』에 의존해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 시기를 1636년으로 추정해 왔는데, 이제는 화엄사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제작 시기를 1634년으로 특정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碧巖 覺性의 역할을 잘 알 수 있는 자료이기도 하 다. 벽암 각성은 1630년에 화엄사 동오층석탑을 중수할 때는 ‘大功德主’였고, 1634년 삼신불상을 조 성할 때도 ‘辦擧事’ 또는 ‘大功德主’였으며, 1653년 영산회 괘불탱을 조성할 때 역시 주도적인 역할을 맡는 등 17세기 화엄사 중창 불사에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벽암 각성과 왕실과의 관계를 밝힐 수 있는 자료라 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불상의 조성과 관련하여 왕실 인 물인 선조의 아들 義昌君 李珖과 사위 申翊聖, 인조의 아들 昭顯世子 등이 구체적으로 기록된 최초 의 자료이기 때문이다. 화엄사 노사나불상과 석가불상의 「施主秩」은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 연도, 벽암 각성과 왕실의 관계 및 벽암 각성의 역할 등, 17세기 비로자나삼신불상의 조성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담고 있어 미 술사뿐만 아니라 향후 화엄사의 역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다.

      • KCI등재

        朝鮮時代 三身佛會圖에 관한 硏究

        황규성(Hwang Kyu-seong) 한국미술사학회 2003 美術史學硏究 Vol.- No.237

        Since Sakyamuni has achieved complete truth, a good variety of views on Buddhas and Buddha-kayas (佛身) have been unfolded through the entire Buddhist history. There are three Buddha-kayas (佛身) on the Buddhas and it will be classified into Dharma-kaya (法身: Vairocana), Sambhoga-kaya (報身: Locana), Nirmana-kaya (化身: Sakya Tathagata) from Indian Buddhist history. Vairocana (毘盧遮那) as Dharma-kaya (法身) originated from the light of Universe in Zoroastrianism. Locana (盧舍那) as Sambhoga-kaya (報身) is the one who has achieved ultimate reality through the practice of great spiritual perfections. Sakya Tathagata (釋迦佛) as Nirmana-kaya(化身) is a historical figure born to the world as Sidhartha Gotama in order to save mankind. In Northern part of Asia such as China, Korea and Japan, all the views on Buddhas and Buddha-kayas of Buddhism were prosperous with many schools or sects. It is uncertain that the thoughts of Threefold-body of Buddhas were represented into art works in India, but we find that Vairocana was embodied as supreme Buddha in Hua-wen Sect (華嚴宗) of Chinese Buddhism around the mid eighth century. Upon at least the late eighth or early ninth century, Chinese artisans started to make statues of Triratna. In Japan where Esoteric Buddhism was prosperous, they did not make any statues of Three Buddhas. It is not yet defined when the three Buddhas started to be made in Korea. But we estimate that it was about the tenth century. In Chosun (朝鮮) dynasty (1392-1910), Koreans began to create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These pictures are usually been enshrined in the Hall of Light (大寂光殿, 大光明殿) of major temples and as large as ten or fifteen meters. The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are mostly from late Chosun dynasty and show stylistic changes in three stages (1636-1727, 1725-1800, 1801-1910). The paintings are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according to their compositions. Type I is representative form of the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for it has all three Buddha-kayas(figures 4-8). Type Ⅱ shows double composition of three Buddha-kayas (Vairocana, Locana and Sakya Tathagata) and three Buddhas in three places (Sakya Tathagata, Amitabha and Bhaisaiyaguru). It is said that Type Ⅱ is the result from unifying two different Buddhist doctrines under the repression of Chosun dynasty. Type Ⅱ is usually represented with crossed or triangular compositions (figures 9-11). In type Ⅲ, only one of the three Buddha-kayas is illustrated according to religious requirements. It may represent a) Vairocana as Dharma -kaya(figures 12), b) Locana as Sambhoga-kaya (figures 13-14), or c) Sakya Tathagata as Nirmana-kaya (figures 15-16). The formations of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have been developed from simple compositions to complicated ones: three Buddhas with Vairocana at the center or three Buddhas with Vairocana at the rear → three assemblies of Buddhas → double composition of three Buddha-kayas and three Buddhas in three Buddhist places. The paintings of three assemblies of Buddhas examined above represent most beautiful and ideal world of Buddhism and are distinguished artistic embodiment of universal truth of Buddhism as well as one of the most perfect objects to be worshi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