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하대의 三寶

        백미선(Baek, Mi-sun)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3

        신라는 많은 보물을 가진 나라였다. 이 보물들은 모두 신라의 흥망성쇠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것으로, 신라사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매우 컸다. 이 가운데서도 황룡사의 장육존상과 9층 목탑 그리고 천사옥대는 신라 하대에 三寶과 불리며, 신라의 멸망과 고려의 건국을 함께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던 보물이었다. 신라 삼보는 신라 하대 경명왕 4년에 처음 등장한다. 그간에는 신라 삼보가 중고기에 성립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들이 ‘삼보’로서 함께 언급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재고를 요한다. 삼보는 처음 고려 태조 왕건의 친신라정책에 대한 이슈로서 재기되었다. 그러나 이후 삼보에 대해 주도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은 신라이다. 신라는 경명왕 5년 삼보를 찾고 그것을 통해 대외관계에서 자국의 위상을 높이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그것은 당시 후삼국관계 속에서 효용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신라 삼보 각각이 신라 중고기에 성립한 것인 만큼 신라 하대에 어떤 필요로 요구 되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에 삼보 각각과 신라 하대의 상관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황룡사 장육존상은 현재 전하는 기록이 없어, 추후 황룡사와의 관계 속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볼 필요가 있겠다. 황룡사 9층 목탑은 그 상징하는 의미가 유연해 중고기 이후 다양하게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천사옥대의 경우는 앞의 두 보물과는 좀 다르다. 호국보로서의 모습 보다는 진평왕대의 왕권 강화적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 신라 하대에 이러한 성격이 요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고려 태조 왕건이 신라 경순왕으로부터 천사옥대를 이어받은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경순왕이 귀부와 동시에 천사옥대를 바친 것이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다가 후삼국이 통일된 뒤에야 바친 것에 대해서 주목해 보았다. 후삼국 통일 이후 고려는 신라를 있는 통일 왕조로서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와 함께 고려 태조는 천사옥대를 비롯한 삼보를 필요로 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삼보와 승보신앙의 소고(小考)

        최경만(정인)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7 No.-

        1. 불 법 승 삼보는 불교 신앙심의 예배 대상물임과 동시에 해탈성불의 목적을 달성할 때까지의 귀의해야하는 그야말로 보배이다. 시간과 지역 구분없이 원시 부파 대승 그리고 남방 북방으로 전법되면서도 삼보 귀의심은 변함이 없다. 즉 삼보는 승가신앙의 중심사상이라 할 수 있다. 2. 불보 법보는 불멸 후 정형화 되었으므로 승보가 불법을 계승 전법하는 의무에 서게 되었으므로 승가승보의 모범적인 수행의 책임을 살펴보았다. 그 내용으로는 삼보의 성립, 삼보귀의당위성, 승보역할의 중요성, 승가 교단의 본질, 승가 번영을 위한 불퇴법, 청정한 승보의 자격, 승보 덕행의 힘, 복전사상의 발전 등으로 요약하였다. 3. 원시불교시대의 복전사상이 재가신도의 시주물 공양으로 활성화되면서 승가는 자연스럽게 한 곳에 정주하면서 수행에 전념하게 된다. 그 대신 승보는 공양물 시주자에게 법전으로 안심입명을 얻게 한다. 아울러 생천복락을 얻은 사례들을 함께 살펴보았다. 4. 복전사상의 발전으로 대승불교로 내려오면 보시물 바라밀의 공덕으로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것은 승가에 대한 보시종류와 물량이 점점 많이 불어났다는 사실이다. Three jewels, the Buddha, the Dharma, and the Sangha, are the objects for worship of Buddhism and simultaneously, the treasures that we should rely as refugee until accomplishing the goals of Nirvana and the Buddhahood. Regardless of time and regions, Buddhism was transmitted from the original school of buddhism into the northern areas, which is called Mahayana buddhism, and the southern areas which is called the Hynayana buddhism. Meanwhile the faith of the three jewels has not changed. Three jewels can be considered as the main ideology of the faith of Sangha. After the death of the Buddha, the jewels of the Buddha and the Dharma were stereotyped and the jewel of the Sangha played a role to succeed and transmit the dharma. Hence, I examined what buddhist practices the Sangha has implemented: the establishment of three jewels, the justification of homage to three jewels, the importance of the Sangha's role, the essence of Sangha religious body, the dharma of non regression for the prosperity of Sangha, the qualification of pure Sangha, the power of Sangha's virtuous actions, and the development of the ideology of a field of merit. As the thought of a field of merit in the time of the fundamental buddhism emphasized on the Pujana of lay persons, the Sangha naturally stayed on a fix place and concentrated on their practices. In the response of offerings, the Sangha conveyed the dharma to the donor. For the examples of merits of offerings, I looked into some cases that donors were borned in the heaven and received the good merits. As the development of the ideology of a field of merit, the Mahayana buddhism was activated with the merit of offering paramita. According to this flow, the kinds and numbers of offerings to the Sangha were getting increased.

      • KCI등재

        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황인규(Hwang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14 보조사상 Vol.41 No.-

        This paper aims to explore analyzing the Three Temples(or Temples of the Three Jewels), Buddha Sakyamuni:Tong-Do-Sa, Dhamma Dhaima:HaeinSa, Songha: SonggwangSa. Tongdosa in Yangsan is one of Jeokmyel-bogungs (the Sacred Buddha Relic Temples) and enshrines Jinsin-saris (sacred relics of the Buddha) which symbolize the Buddha-Dharma. In the mid 7th century, Ven. Jajang Sunim (A.D. 590~ 658), one of Korea's greatest masters received relics of the Buddha from Munsubosal (Manjusri Bodhisattva) and brought them with him to Silla. He divided them into three portions and placed one each at Hwangryongsa, Taehwasa in Wulsan, and Tongdosa. He enshrined the relics in Geumgang-gyedan (Diamond Alter), the Main Dharma Hall. Thus, Tongdosa became the 'Buddha Jewel'. Haeinsa in Hapcheon is also called 'the Dharma Jewel' because it houses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complete Buddhist scriptures of the Koryo Dynasty). The Haeinsa-jangkyoungpan-jeon (Tripitaka Koreana Hall of Haeinsa) houses the collection and is one of the most precious one on site The Eighty-Thousand Tripitaka was first placed in Ganghwa Island's Seonwonsa, then moved to Jicheonsa outside of Seodaemun in Seoul in the 7th year of King Taejo's reign (1398)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again moved to Haeinsa Daejanggy eongpanjeon. The Songgwang temple developed after Jinul had established an integration movement of Buddhism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Then, Jinul's disciples such as Hyesim enhanced the spirit of the movement as a chief leader, and the sixteen master monks including Jinul's disciples led the Buddhist circ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A chief monk of the Songgwang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obong Beopjang was not designated as a national monk, because the system of a king's adviser and a national monk had been abolished. It is thought that the sixteen chief monks at the Songgwang temple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in the 'Ship-youk-guk-sa-jin-young-gi (十六國師眞影記)' written in 1621 during the middle Joseon Dynasty by Daega Heeok (代價希玉), Byeokam Gakseong's fellow disciple. Naong and Muhak in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also esteemed as high priests comparable to the sixteen national monks and designated as among the eighteen chief monks of the Songgwang temple. This is described in the 'Seung-pyung-jo-gye-san-song-gwang-sa-sa-won-sa-jeo k-bi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 written by Jo Jong-jeo (趙宗著, 1631-1690) who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Songgwang temple. Temples of the Three Jewels an be found in the 'Yeon-cheon-ong-you-san-rok (淵泉翁遊山錄)' written in 1832 (the eighth year of King Soonjo) by Hong Seok-ju (洪奭周, 1774-1842), a writer in the late Joseon Dyansty. Sambo means the three jewels of Buddhism and refers to Bulbo (the Buddha Jewel), Beobbo (the Dharma Jewel) and Seungbo (the Seungga Jewel, the Sangha Jewel). Bulbo represents the Buddha who teaches and guides all sentient beings. Beobbo is the Dharma, the teachings of the Buddha. Seungbo represents the Seunga (Sangha, the Buddhist community), the group of followers who lear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nd practice. In Korea, Temples of the Three Jewels are Tongdosa, Haeinsa and Songgwangsa. They are called 'the Three Temples'. 본고는 통도사와 해인사, 송광사가 언제부터 삼보사찰로 부르게 되었는가 그 과정과 의의를 밝히고자 한 연구이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사리가 모셔져 불보사찰, 해인사는 고려대장경판이 모셔져 불보사찰이라고 불린다. 송광사는 고려후기이래의 16국사가 배출되어 승보사찰이라고 하지만, 이 세 사찰을 묶어 삼보사찰로 부르기 시작한 시기는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그리 오래된 것은 아니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보사찰이 되었지만 해인사는 고려 대장경판이 이안된 시기인 조선초 이후일 것이다. 송광사는 고려 후기 수선사 결사를 전개했던 보조국사 지눌과 그의 문도(손) 15국사가 하나로 묶여 추념된 이후에야 비로소 승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게 된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사리를 봉안한 대표적인 사찰이었다. 자장에 의해 봉안된 불사리는 황룡사 탑, 태화사 탑 등 사찰에 봉안되었으나 고려중기 혹은 조선초에 폐사되었다. 황룡사는 대표적인 국찰이었으나 용신신앙을 대표하는 위상 보다 상위인 불사리 신앙과 계율종의 중심인 통도사가 불보적 전통을 지녔다. 여말선초와 조선 중기인 임란시 통도사의 불사리가 개성과 한성을 비롯하여 태백산 정암사와 경북 달성 용연사, 금강산 건봉사 등에 분산 봉안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통도사는 조선후기 불사리 신앙의 중심을 이루면서 불가의 종찰로서 위상을 확보하여 조선말 삼보사찰로 지정되었다. 해인사는 신라시 창건되어 화엄종의 북악파의 본산이었으며, 고려시대 국찰로서 『고려실록』과 대장경이 봉안되었다. 당시 대장경판이 인경되기도 하였는데, 이 경판은 해인사 제경판으로 추정된다. 강화도에 봉안되었던 재조대장경판을 태조 이성계에 의하여 한성 지천사를 거쳐 해인사로 이안되었다. 이는 왕사 무학의 주도로 화엄종 고승설오와, 특히 해인사 주지 경남의 뜻이 반영된 듯하다. 해인사에 봉안된 재조대장경은 태조대 태조 이성계에 의해 인경되었으며, 조선전기 불교계를 주도하였던 세조의 삼화상 혜각존자 신미와 묘각왕사 수미, 해인사 주지 죽헌과 학조 등에 의해 인경불사가 이루어져 전국의 대표적인 50 여 사찰에 봉안되었다. 이렇듯 해인사는 조선초 이후 법보사찰로서의 위상이 확보되었으며, 조선말 삼보사찰로 지정되었다. 송광사는 고려후기 수선사 결사를 전개했던 보조국사 지눌과 그 의문도(손) 15국사가 하나로 묶여 추념된 이후에야 비로소 승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게 된다. 송광사 제 16국사인 고봉법장이 입적한 세종 10년이후 조선중기에 국사로 추증이 된 듯하며, 그를 포한 16국사로 추념되었을 것이다. 그 시기는 임란후 송광사가 재건되면서 비롯된 듯하다. 그리고 이전의 시기에 확립된 불보사찰 통도사와 법보사찰 해인사와 더불어 한국 사찰을 대표하는 삼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정립되었다. 송광사 16국사의 추념에 이어 나옹과 그의 제자 무학이 16국사와 더불어 송광사 18주지로 추념되었다. 나옹과 그의 제자 무학은 인도승 지공선현과 더불어 여말선초 삼화상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최고의 증명법사였다. 이렇듯 송광사는 조선시대 이후 사세의 부침이 있었지만 18주지의 추념을 통해 승보의 전통을 정립 계승하여 갔다. 현재 삼보사찰로 정립된 시기는 조선후기 문신 淵泉 洪奭周(1774~1842)의 문집에서 처음 보이고 있으며, 개화기 문인 김윤식도 그러한 사실을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續南遊錄』 등과 같은 저술류에서는 금산사가 불보사찰이라고 특기된 바 있다. 그러한 가운데 석왕사의 고승 龍嶽 慧堅과 그의 제자 九河 天輔, 특히 송광사 주지 錦溟寶鼎, 통도사 강주였던 海曇 致益(1862~1942)과 만해 한용운 등이 삼보사찰의 지정을 특기하였다. 특히 한국불교를 집대성한 이능화가 우리가 알고 있는 삼보사찰을 그의 저술류에 특기하면서, 이것이 널리 알려지게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KCI우수등재

        『華厳十玄義私記』 所引の 『三宝章』 の意義 -称名寺所蔵 「十玄章」の発見を契機に

        김천학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3 No.-

        Jugegishiki of unknown authorship in the Heian era is a commentary on Fazang’s Wujiaozhang(五敎章). This text borrows many passages from Fazang’s Tanxuanji(探玄記, about 77 times) and Huayan yisheng shixuanmen (華嚴一乘十玄門, about 74 times),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said to be written by Zhiyan(智儼), in order to reveal the meaning of Shixuanmen (十玄門, the Ten mysterious gates). And besides, Kegongokyoshoshiji(華嚴五敎章指事), written in Japan, is cited in 24 places and some literary works of Silla(新羅) such as Ilsungbopgyedo(一乘法界圖) and Hwaeomkyeong mundap(華嚴經問答), the note of Uisang’s lectures, are also quoted. Furthermore, Fajieyuanqizhang(法界緣起章) and Xuanyizhang(玄義章) included in Huayanjing mingmingneili sanbaozhang(華嚴經明法品內立三寶章, hereafter Sanbaozhang) are cited by the name of ‘Xuanyizhang’. And Fajieyuanqizhang in Sanbaozhang is also cited by the name of ‘Huayanzhang’(華嚴章).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circulation of Sanbaozhang, we can confirm the following two facts: ① ‘Xuanyizhang’ and ‘Huayanzhang’ as a common name of Sanbaozhang is firstly seen in Jugegishiki among the extant materials. This offers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the philological issues of Sanbaozhang. ② Sanbaozhang is quoted in 11 places, intensively in discussing the differences among Yisheng shixuanmen, Wujiaozhang and Tanxuanji. This shows that Sanbaozhang was the most important text next to Tanxuanji among Fazang’s writings in Jugegishiki. The intention of Jugegishiki to cite Sanbaozhang seems mainly to prove Huayan’s teaching on liberation including ‘shuangrongpingdeng’(雙融平等), ‘shuangrongwuai’(雙融無礙), ‘yuanrongyiwei’(圓融一味).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f Causation by Dharmadhātu in Jugengishiki reveals the influence of Silla. And Shixuan(十玄章), which is in the Kanazawa(金澤) library, has been reported by Zongmi(宗密) to be the work of Fazang(法藏). 본고는 일본 헤이안시대 화엄 사기인 『화엄십현의사기』 에 인용되어 있는 「현의장」,「화엄장」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우선, 텍스트문제이다. 「현의장」은 『화엄경명법품내입삼보장』의 7과 중의 하나이지만, 『십현의사기』에서는 『삼보장』전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인용되었다. 「화엄장」도 마찬가지이다. 『삼보장』에 대해서는 이미 명칭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바 있는데,『삼보장』에 대한 텍스트 문제를 다시 한번 논해야 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최근에 가나자와문고에서 「십현장」이라는 사본이 발굴되었고, 『삼보장』의 일부분인 「현의장」이었으며, 현재 「현의장」이 10문인 것에 비해 15문으로 구성된 신본이었다. 이에 텍스트 문제는 점입가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텍스트문제를 고찰한 결과, 『삼보장』이 현재와 같이 2권본이 된 것은 명대에 대장경 이 편찬되면서이다. 명칭은 「화엄장」「현의장」「칠과장」「화엄잡장문」등 다양하게 유통되었던 것을 알 수 있는데, 현재로서는 「화엄장」혹은「현의장」이 가장 고형의 명칭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십현장」은 종밀이 15문으로 구성된 「현의장」을 인용하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법장의 진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10과 15문 「현의장」의 선후관계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자료가 아직 없다. 한편, 『십현의사기』에는 「화엄장」「현의장」의 인용명칭으로 「법계연기장」「현의장」을 11회정도 인용한다. 이 가운데 법계연기를 논하는 과정에서 이체, 동체, 동체이체무애문이 연기의 본법으로 거론되며, 『십현문』,『탐현기』,『오교장』의 연기문과 함께 「현의장」, 「화엄장」즉 『삼보장』의 연기의가 동등하게 다루어진다. 그런데, 특히 동체의 설명 가운데 동체는 바르게는 능응이라는 언급이 보인다. 이러한 설명은 균여가 「법계연기장」을 주석할 때 사용하는 정의이며, 신라시대의 문헌인 『십구장』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즉 『십현의사기』에는 신라시대 화엄사상의 영향이 보인다는 것이다.

      • KCI등재

        그림책 『꼬마 검둥이 삼보』 다시 읽기

        정대련 ( Dae Ryun Ch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1899년에 출판된 헬렌 배너만의 그림책 『꼬마 검둥이 삼보』가 지니는 아동문학으로서의 역사적 가치 및 작품에 나타난 주요 요소를 한국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우선 지난 100년간 아동들의 지속적인 사랑을 받아온 『꼬마 검둥이 삼보』 그림책이 지니는 아동문학 고전으로서의 위상을 돌아보는 한편, 주인공 흑인들에 대한 스테레오타입과 인종차별주의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위 그림책의 주요 요소 중 ‘삼보 Sambo’에서 연상되는 주인공‘이름’, 삼보 가족의 검은 피부색, “꼬마” 삼보로 대표되는 ‘아동’의 위상, 그리고 이야기를 주도하는 또 하나의 등장인물 ‘호랑이’의 입지를 한국적 관점에서 재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미국 역사를 반영한 다문화 교육적 관점에서는 『꼬마 검둥이 삼보』가 부정적으로 해석되고 평가될 여지가 있으나, 한국 문화적 맥락에서 이를 전향적으로 재해석한다면 긍정적인 측면에서 다문화 교육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to find out the historical and literary values and to re-discover the meanings of main characters or factors implied in the picture book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 written by Helen Bannerman in 1899, has remained on the shelves of libraries for more than 100 years as a classic of literature, but simultaneously has been criticized because of the stereotypes or racism implied in the book. On the other hand, 4 main factors or characters of the story are illuminated, such as the name of the main characters like ‘Sambo, Mumbo, and Jumbo’, Color ‘black’ of African people’s skin, a ‘little’ child represented as a problem solver, and ‘tigers’ as very important antagonists in the story. In conclusion, although the picture book「The Story of Little Black Sambo」could be interpreted or criticized negatively by American historical background or multicultural education, we can discover the possibilities applying the book as a material in multicultural education by re-interpreting with positive views from Korean cultural contexts.

      • KCI우수등재

        ≷華厳十玄義私記≸ 所引の ≷三宝章≸ の意義 * -称名寺所蔵 「十玄章」の発見を契機に

        金天鶴(Kim, Cheonhak)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3 No.-

        본고는 일본 헤이안시대 화엄 사기인 ≷화엄십현의사기≸ 에 인용되어 있는 「현의장」, 「화엄장」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우선, 텍스트문제이다. 「현의장」은 ≷화엄경명 법품내입삼보장≸의 7과 중의 하나이지만, ≷십현의사기≸에서는 ≷삼보장≸전체를 가리 키는 명칭으로 인용되었다. 「화엄장」도 마찬가지이다. ≷삼보장≸에 대해서는 이미 명칭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바 있는데,≷삼보장≸에 대한 텍스트 문제를 다시 한번 논해야 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최근에 가나자와문고에서 「십현장」이라는 사본이 발굴되었고, ≷삼보장≸의 일부분인 「현의장」이었으며, 현재 「현의장」이 10문인 것에 비해 15문으로 구성된 신본이었다. 이에 텍스트 문제는 점입가경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텍스트문제를 고찰한 결과, ≷삼보장≸이 현재와 같이 2권본이 된 것은 명대에 대장경 편찬되면서이다. 명칭은 「화엄장」「현의장」「칠과장」「화엄잡장문」등 다양하게 유통되었던 것을 알 수 있는데, 현재로서는 「화엄장」혹은「현의장」이 가장 고형의 명칭을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십현장」은 종밀이 15문으로 구성된 「현의장」을 인용하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법장의 진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10과 15문 「현의장」의 선후관 계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자료가 아직 없다. 한편, ≷십현의사기≸에는 「화엄장」「현의장」의 인용명칭으로 「법계연기장」「현의장」 을 11회정도 인용한다. 이 가운데 법계연기를 논하는 과정에서 이체, 동체, 동체이체무 애문이 연기의 본법으로 거론되며, ≷십현문≸,≷탐현기≸,≷오교장≸의 연기문과 함께 「현 의장」, 「화엄장」즉 ≷삼보장≸의 연기의가 동등하게 다루어진다. 그런데, 특히 동체의 설명 가운데 동체는 바르게는 능응이라는 언급이 보인다. 이러한 설명은 균여가 「법계연 기장」을 주석할 때 사용하는 정의이며, 신라시대의 문헌인 ≷십구장≸까지 거슬러 올라 간다. 즉 ≷십현의사기≸에는 신라시대 화엄사상의 영향이 보인다는 것이다. Jugegishiki of unknown authorship in the Heian era is a commentary on Fazang’s Wujiaozhang( 五敎章 ). This text borrows many passages from Fazang’s Tanxuanji ( 探玄記 , about 77 times) and Huayan yisheng shixuanmen ( 華嚴一乘十玄門 , about 74 times), which has been traditionally said to be written by Zhiyan( 智儼 ), in order to reveal the meaning of Shixuanmen ( 十玄門 , the Ten mysterious gates). And besides, Kegongokyoshoshiji( 華嚴五敎章指事 ), written in Japan, is cited in 24 places and some literary works of Silla( 新羅 ) such as Ilsungbopgyedo( 一乘法界圖 ) and Hwaeomkyeong mundap( 華嚴經問答 ), the note of Uisang’s lectures, are also quoted. Furthermore, Fajieyuanqizhang( 法界緣起章 ) and Xuanyizhang( 玄義章 ) included in Huayanjing mingmingneili sanbaozhang( 華嚴經明法品內立三寶章 , hereafter Sanbaozhang) are cited by the name of ‘Xuanyizhang’. And Fajieyuanqizhang in Sanbaozhang is also cited by the name of ‘Huayanzhang’( 華嚴章 ). Considering the structure and circulation of Sanbaozhang, we can confirm the following two facts: ① ‘Xuanyizhang’ and ‘Huayanzhang’ as a common name of Sanbaozhang is firstly seen in Jugegishiki among the extant materials. This offers important information regarding the philological issues of Sanbaozhang. ② Sanbaozhang is quoted in 11 places, intensively in discussing the differences among Yisheng shixuanmen, Wujiaozhang and Tanxuanji. This shows that Sanbaozhang was the most important text next to Tanxuanji among Fazang’s writings in Jugegishiki. The intention of Jugegishiki to cite Sanbaozhang seems mainly to prove Huayan’s teaching on liberation including ‘shuangrongpingdeng’( 雙融平等 ), ‘shuangrongwuai’( 雙融無礙 ), ‘yuanrongyiwei’( 圓融一味 ).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f Causation by Dharmadhātu in Jugengishiki reveals the influence of Silla. And Shixuan( 十玄章 ), which is in the Kanazawa( 金澤 ) library, has been reported by Zongmi( 宗密 ) to be the work of Fazang( 法藏 ).

      • KCI등재

        엘리아데 문학의 토포스 “까메라 삼보(Camera Sambô)” 연구

        한성숙 세계문학비교학회 2017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opos of Mircea Eliade's (1907-1986) literature and principle of creation, so that we can acquire the universality of Mircea Eliade's literature and understand his value system. As a young child, Mircea Eliade had a mysterious experience about a room. This leads to man's real experience by discovering a mystery in one's memory. For Mircea Eliade, a room is a link that can communicate between man and divine things. The very link is enacted in ‘Camera Sambô' which is man's personal universe and 'Mansarda(Attic)' where he worked as his office. By revealing man's own existence, as the source of Eliade's literature, these two spaces enrich the world. A space seems 'familiar' to man is opened to another world. Universal value makes man step out of their subjective circumstance and gives man an objective value of their personal experiences. Eventually, reaching to an objective world means man is getting closer to a prototype, and it gives an open view of the sacred. Camera Sambô is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of all the creation that transforms into possibilities. The room becomes a unique personal thing with a paradisiacal point of view, also it represents humanity which can be recognized by overall prototype mind of Jung, Carl Gustav. It is always the revelation of existence: it is an encounter with a thing that saves man by attaching meaning to the existence of man. Sambô is a person's own paradise, also it means a beginning of all creation turns into possibilities. This existential experience allows man to have an illusion, and it is the source of his writing principle that covers all the true meanings of mankind overall Eliade's literature. For Eliade as a religious scholar and a novelist, both religion and literature are connected to the creation of the new world, and through the literary creation, he recovers meaningful existential human values by presenting shows unsuspected things to people who has never experienced Sambô. In the other words, to Eliade, an artist is understood as a creator who goes beyond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Therefore, a creator must interpret the scared and, ultimately, has responsible for transforming people. 본 논문은 미르체아 엘리아데(1907-1986) 문학의 토포스(topos)를 발견하고 창작원리를 밝혀 엘리아데 문학의 보편성을 획득하고 세계에 대한 엘리아데의 가치체계를 이해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엘리아데는 유년기에 어느 한 방에 대한 미스터리한 경험을 한다. 이것은 곧 인간의 기억 속에서 존재하는 신비함을 발견할 수 있는 인간의 실재적 경험으로 이어진다. 엘리아데에게 있어서 ‘방’이라는 공간은 인간과 성스러운 것 사이에 교통할 수 있는 매개체이다. 그 매개체는 바로 그의 작업실 ‘다락방’과 인간의 개인적 우주라고 할 수 있는 ‘까메라 삼보 * 이 논문은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5S1A5B5A07042277) 본 연구에서는 엘리아데 소설 속에 나온 ‘까메라 삼보(Camera Sambô)’ 라는 단어가 그의 문학 전체를 한정하는 집합 장소, 토포스로 정의하였기 때문에 그 의미를 축소시키지 않기 위해서, 삼보의 방으로 번역하여 쓰지 않고 원형 그대로 표기한다. 루마니아어에서 까메라(Camera)는 방이라는 뜻이며, ‘삼보’ 라는 단어는 살람보(Salammbô)라는 단어의 축약형으로 살람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살람보는 프랑스 소설가 귀스타프 플로베르(Gustave Flaubert)가 지은 역사소설의 제목으로 카르타고 용장(勇將) 하밀카르 바르카의 딸 이름이다. 소설에서 그녀는 적군의 수장 마토와 만나 사랑에 빠지지만 두 사람의 사랑은 비극으로 끝이 난다. ’에서 이루어진다. 이 두 공간은 엘리아데 학문의 근원지로써 인간 스스로의 존재를 밝혀 세상을 풍부하게 만든다. 인간에게 ‘친근하게’ 느껴지는 공간은 또 다른 세상을 향해 열려 있다. 이러한 공간의 우주적 가치는 인간으로 하여금 주관적인 상황에서 벗어나 자신의 개인적 경험의 객관적인 가치를 깨닫게 해준다. 객관적인 세계로의 접근은 결국 보편적인 것, 원형에 가까워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성스러움에 대한 열린 시각을 제공한다. 엘리아데에게 까메라 삼보는 개인 고유의 낙원이자 모든 창조가 가능성으로 변하는 시작을 의미한다. 이 실재적 경험은 엘리아데 문학 전체에 걸쳐 인간에 대한 진정한 가치를 획득하는 그의 글쓰기 원리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종교학자이면서 동시에 소설가인 엘리아데에게 문학은 종교 현상의 의미를 회복을 의미하며, 문학적 창조를 통해 ‘삼보’를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인간에게 보편적이고 모범적인 진실을 일깨워줌으로써 인간의 본질적 가치를 발견하게 한다.

      • KCI등재

        『삼국유사』의 후고구려 인식

        홍창우 ( Chang Woo H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2 No.-

        이 글은 13세기의 사서인 『삼국유사』가 후고구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논의는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기록을 다른 사서와 비교하여, 이 조목의 작성에 어떠한 자료계통이 쓰였는지를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천사옥대조(기이)와 황룡사구층탑조(탑상)의 신라 삼보 관련 이야기 가운데 ‘후고려왕’의 용례가 확인되는 바, 그실체를 밝히고 이 대목이 어느 시대에 해당하는지 점검하였다. 이러한 검토결과를 바탕으로 『삼국유사』 편찬자들의 후고구려 인식을 가늠하였다. 후고려궁예조의 검토를 통해 이 조목의 작성에 『삼국사기』가 전거로서 기여한 바가 적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궁예가 辛亥년(901)에 ‘고려’를 일컬었다고 기술한 점, 후고구려의 도읍 변천을 철원 → 송악 → 철원으로 설정한점, 궁예정권의 국호와 연호가 매우 불충분하게 작성된 점 등을 주목하였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삼국사기』에서 보이는 후고구려나 궁예에 대한 인식을 따르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한편, 『삼국유사』 내에는‘고려’가 전ㆍ후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서 보이는 ‘후고려왕’은 궁예로 보는 것이 옳음을 언급하였다. 불교적 기물인 삼보의 존재만으로 궁예가 침략 모의를 중단했다는 것은, 그러므로 지극히 신라 중심적인 관점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삼국사기』의 궁예 관련 기록들은 김부식의 이른바 ‘태조정통론’에 대한 배려가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런 점에서 왕력의 후고려궁예조 작성에 이 기록들이 선택되지 않았다는 것은 『삼국유사』 편수자들이 정통론과는 무관했음을 보여준다. 다만, 국호 태봉은 의도적으로 기록하지 않았다고 생각되는데, 이는 그들이 궁예의 태봉시기를 부정적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것은 천사옥대조와 황룡사구층탑조에 삼보 관련 이야기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황룡사구층탑조의 작성자는 신라의 삼보를 중국의 구정에 견주었다. 구정의 설화에 의하면 초 장왕은 주를 침범하려 했다가 주에 구정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서 본국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는 후고려왕 궁예가 신라를 침략하려다가 신라에 삼보가 있다는 것을 듣고 그 모의를 중단했다고 하는 『삼국유사』의 삼보 관련 기사와 흡사하다. 물론 이 일화들은 구정이나 삼보의 호국적인 면모를 강조하는 것에 그 본의가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주와 신라를 정복하려 했던 장왕과 궁예의 야욕을 폭로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통해 『삼국유사』서술자들이 후고구려와 궁예를 우호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주지하듯이 일연은 일생의 대부분을 경상도 지역에서 보냈다. 이는 『삼국유사』가 신라 중심의 기록을 수록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며, 전반적으로 신라에 편향적인 기술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탑상편이 신라의 불교사가 지극히 오랜 옛날부터 시작되었음을 강조하기 위해 작성되었다는점을 고려한다면, 결국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로부터 시작된 오래된 불교가 고려를 통해 계승되었음을 말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데 『삼국유사』가 편찬된 13세기의 고려 사회는 이민족의 침략으로 시련을 겪고 있었다. 당시 일연은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외압으로 인한 참상을 직접 목도했거니와, 그에 대해 『삼국유사』 곳곳에 기록하였다. 아마도 일연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이 몽고군의 침략으로 인해 끊기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지녔던 듯하다. 그런 점에서 『삼국유사』 찬자들은 신라의 영험함이 깃든 불교적 기물을 파괴하는 궁예와 신라의 오랜 불교 전통을 파괴하는 몽고를 동일시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삼국유사』 찬자들이 궁예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토대로서 작용하였을 것이다. 요컨대, 『삼국유사』 편찬자들은 후고구려를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다만, 그것은 소위 ‘태조정통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신라의 역사적 위상에 대한 인식과 그들의 현실적인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This essay studied how the historiography, Samguk-yusa of the 13th century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e discussion proceeded with three major stages. First, the study compared records of the Later Goguryeo i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Wangryok with those in other history books, and then explored what kind of materials had been used for the article. Next, as the use of the term ‘Hugoryeo Wang’ can be found in stories related to Silla’s Sambo in ‘Cheonsaokdae’ from Kiyi and ‘Hwangryongsa-gucheungtop’ from Topsang records, it was able to check which period of history was reflected in those chapters. Based on the result,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how the compilers of Samgukyusa perceived the Later Goguryeo. Through the review on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t was proved that Samguk-sagi was little contributed to drawing up the article as a source, which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not likely to follow the perception of the Later Goguryeo or Gung-ye shown in Samguk-sagi. Especially, the study paid attention to a few descriptions such as Gung-ye established ‘Goryeo’ in 901, the capital change of the Later Goguryeo was set from Cheol-won to Song-ak and Cheol-won again, and few descriptions of the name of Gung-ye reign and its era name. While, Samguk-yusa described ‘Goryeo’ as Former-Later Goryeo. Based on the reference, it would be right to see ‘Hugoryeowang’ shown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as Gungye. Thus, the passage that Gung-ye suspended his invasion plot jus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Sambo which is Buddhistic objects implied an extremely Silla-centered view. The records related to Gung-ye in Samguk-sagi were mainly based on Kim Bu-sik’s consideration of, so called, ‘Taejo Legitimacy’. Thus, the reason that the records were not selected for the Article of ‘Hugoryeogungye’ in Wangryok means that the compilers of Samguk-yusa had nothing to do with the ‘Taejo Legitimacy’. But, it would be intentional not to record the country name, Taebong because they judged Taebong as the period of Gung-ye’s government negative. T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fact they contained the story related to Sambo in the Article of ‘Cheonsaokdae’ and ‘Hwangryongsa-gucheungtop’. Especially, the compiler who drew up the Article of ‘Hwangryongsagucheungtop’ compared Silla’s Sambo(Three Treasure) to Chinese Gujeong. According to the tale of Gujeong, King Zhuang of Cho tried to invade Ju Dynasty, but returned back home to see that Ju Dynasty had Gujeong. The tale is quite similar to the story that Gung-ye, King of the Later Goguryeo tried to invade Silla, but finally gave it up to see there was Sambo in Silla as described in Samguk-yusa. Of course, the original purpose of these tales is to emphasize the patriotic aspect of Gujeong of Sambo, but on the other hand, it reveals King Zhuang and Gung-ye’s ambition to conquer Ju and Silla respectively. Through this,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did not see the Later Goguryeo and Gung-ye in an amicable way. As is known, Il-yeon spent most of his life in Gyeonsang-do region. This is the reason why Samguk-yusa has Silla-centered records, and generally Silla-biased descriptions were made. Especially, if the fact that Topsang chapt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mphasizing the rich history of Buddhism in Silla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t tells us that the authors of Samguk-yusa wanted to say Buddhism from Silla was succeeded by Goryeo. Goryeo in the 13th century when Samguk-yusa was drawn up was suffered from invasions from foreign dynasties. Il-yeon looked around a lot of districts and witnessed devastation caused by foreign invasions, and often left the fact in Samguk-yusa. Il-yeon might feel a strong hostility toward the fact that the long Buddhist tradition of Silla which he tried to emphasize was disconnected by the Mongolian army’s invasion. Thus, the compilers of Samguk-yusa were in with a shout of identifying Mongolia that tried invading Goryeo with the Later Goguryeo that tried invading Silla. That is, they perceived Gung-ye as a hostile force that tried destroying the miraculous Buddhist objects. In short, the authors of Samguk-yusa identified the Later Goguryeo as strongly negative. That was originated from their perception of historical status of Silla and their realistic situation, not from, so called, ‘Taejo legitimacy’.

      • KCI등재

        신라의 옥대 설화와 그 정치적 의미

        고현아(HYUN AH K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2 역사문화연구 Vol.84 No.-

        신라에는 옥대와 관련한 설화 두 가지가 있다. 중고기 진평왕대 천사옥대와 중대 신문왕대 흑옥대의 기록이다. 이 두 기록은 ‘옥대’라는 모티브를 공유하고 있어서 시기별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천사옥대는 황룡사의 장육존상, 구층목탑과 함께 신라 삼보 중 하나라 전한다. 황룡사는 진흥왕대부터 전륜성왕의 정치 이념이 반영된 사찰이면서, 신라의 호국을 담당하는 국가사찰의 역할을 하고 있었다. 황룡사의 2보는 중고기 전륜성왕의 이념이 진흥왕 이후에도 유지되고 있었던 측면과 진평왕-선덕왕대 강조되었던 성골이나 석가족 관념과도 관련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주목하였다. 천사옥대의 경우 제석신앙과 관련이 있다는 점, 제석신앙은 선덕왕대 강조된다는 점 등으로 보아 신라 삼보의 인식은 선덕왕대에 완성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신문왕대 흑옥대 기록에서 흑옥은 중국의 오행사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오행설은 유교에 바탕을 둔 사상으로 신라에는 중고기대부터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주목되는 점은 최초로 중국 통일을 이룩한 진시황이 오행설을 바탕으로 검은색을 주색으로 정했다는 것이다. 신문왕대는 새로운 통일 제국의 위상에 걸맞는 새로운 이념이 필요했을 것이며, 그 결과 오행설의 영향을 받은 ‘흑옥’의 설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옥대는 지배자의 상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두 옥대의 설화는 중고기와 중대가 연결되는 상징을 내포하면서도, 한편으로 중대 흑옥대는 새로운 정치 사상이 확립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In Silla, there are two tales relating to Okdae. These are records of a Cheonsaokdae(天賜玉帶) during King Jinpyeong’s reign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and of a Heukokdae(黑玉帶) during King Sinmun’s reign in the middle period. These two records were noted early on in each period because they shared the motif of the Okdae. Cheonsaokdae is said to be one of the three treasures of Silla, along with the Jangyukjonsang(丈六尊像) and the Nine-story Wood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Hwangnyongsa Temple reflected the political ideology of Cakravartin(轉輪聖王) from King Jinheung’s reign onward and served as the national temple for protecting Silla. The two treasures of Hwangnyongsa Temple are noteworthy because the ideology of King Jeonryunseong of the middle ancient period was maintained even after King Jinheung and was based on the concepts of Sacred Bone(聖骨) and Seokgajok(釋迦族), which were emphasized from King Jinpyeong to King Seondeok. In the case of Cheonsaokdae, perceptions about Silla’s three treasures appear to have been form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deok, given that it is related to the Jeseok faith(帝釋信仰), which was predominantly practiced during King Seondeok’s reign. Meanwhile, in the records on Heukokdae from King Sinmun’s reign, black jade was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the Five Elements(五行說). The Five Elements theory, based on Confucianism, was introduced in Silla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Particularly worth noting is the fact that Qin Shi Huang, who united China for the first time, chose black as the primary color based on the Five Elements theory. During King Sinmun’s reign, a new ideology was required to match the status of the newly unified empire. Consequently, the tale of the “black jade,” influenced by the Five Elements theory, emerged. Okdae can be viewed as a symbol of the ruler, and the tale of the two okdae is symbolic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middle ancient period and the middle period, while the heukokdae of the middle period represents the process by which a new political idea was established.

      • KCI등재

        『보현행원품』에 입각한 의례 실행 방법 연구

        신규탁 한국정토학회 2013 정토학연구 Vol.19 No.-

        본 논문은 『보현행원품』이 의례 속에서 어떻게 활용되었고, 법회의 현장에서 보현보살의 실천과 서원을 어떻게 실현시킬 수 있는지를 검토했다. 이 검토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먼저 『보현행원품』의 서지 사항과 그 유통 형태를 조사하였다. 그 다음에는 『보현행원품』에 나오는 열 가지 실천과 서원을 간단하게 검토했고, 이어서 그것들이 의례 속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술하였다. 이 과정에서 필자는 정원의 『화엄보현행원수증의』를 텍스트로 삼아, 그 속에 나타난 절차와 방법을 자세하게 소개했다. 이런 일련의 검토와 분석 과정에서 필자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징관을 비롯한 많은 화엄학승들이 『보현행원품』의 유통과 보급에 노력하였다. 둘째, 화엄사상에 기초한 의례문의 작성은 종밀에서 시작되었고 정원에 이르러 더욱 정비되었다. 셋째, 화엄사상에 기초한 의례문은 『이구혜보살소문경』에서 제시하는 의례의 여덟 가지 요소를 잘 갖추고 있다. 의례의 여덟 가지 요소란, 공양, 칭찬, 예경, 참회, 권청, 수희, 회향, 발원이다. 넷째, 한국에서 현재 실행되는 <삼보통청>은 의례문이 갖추어야 할 체계를 대부분 갖추고 있지만, ‘선요송경’과 ‘정좌사유’ 부분은 생략되었거나 변질되어 있다. 이 단점을 보충하기 위한 대안으로 필자는 새로운 법회의 양식을 제안 하였다. 즉, <삼보토청>으로 법회를 전통적인 법회를 진행하되, ‘4대주’를 독송하던 대목에서 그날 강의할 경전의 일부분을 독송하고, 독송이 끝난 다음에 입정하는 시간을 갖고, 그런 다음에 독송한 경전의 내용에 대해 설법을 하자는 것이다. This thesis studies the utilization of Pu xian xing yuan pin(『普賢行願品』) and how to realize the practice and pledge of Samanta-bhadra-maha-bodhisattva(普賢菩薩) in the field of Buddhist practices. First, for this, this paper examined the bibliography and type of distribution of Pu xian xing yuan pin(『普賢行願品』). Second, I made a brief survey of the ten practices and pledges in the Pu xian xing yuan pin(『普賢行願品』). And then, I specifically stated how it has been used in rituals. In the process, I used Hua yan Pu xian xing yuan Xiu zheng yi(『華嚴普賢行願修證儀』) as text and made a close introduction of the procedures and method in it. In this process of review and analysis,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heng-Guan(澄觀) and many Buddhists exerted themselves for distribution and popularization of the Pu xian xing yuan pin(『普賢行願品』). Second, Zong-Mi(宗密) began to write out the ritual articles based on the Hwaeom thought and Jing-Yuan(淨源) maintained them. Third, the ritual articles based on the Hwaeom thought are well equipped with the eight factors that are presented in the Li Gou Hui Pu Sa Suo Wen Jing(『離垢慧菩薩所問經』). The eight factors of rituals are ‘providing’, ‘praise’, ‘worship’, ‘penance’, ‘asking’, ‘empathizing’, ‘memorial’, and ‘originating’. Fourth, ‘Sam-bo-toug-cheng(『三寶通請』)’ has the system of ritual articles should have, but the part of ‘recitation’ and ‘meditation’ has been omitted or perverted. I propose a new form of Buddhist ritual as an alternative to supplement this shortcoming. ‘Sam-bo-toug-cheng(『三寶通請』)’ is an example of a traditional Buddhist memorial service. But I propose that, instead of recitation of ‘the four articles’, we’d better recite a portion of the scriptures to teach that day. And then, I recommend to take a time for meditation. Finally, I suggest to lecture on the contents of the recited scrip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