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교육을 통한 공연의상디자인 교과목 설계 및 운영 연구

        노은영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현장 실무능력 강화를 위해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을 적용한 공연의상디자인 교과목의 설계 및 운영을 통하여 공연의상 분야에 적용 가능한교육프로그램의 학습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대학교의 공연예술학부 무대패션전공 3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 2학기 ‘통합공연프로젝트 응용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산학연계로 개설하고 운영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해 본 교과목 운영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교과목분석은 교과목 설계, 실행, 운영 결과로 진행하였다. 운영결과 분석을 위해서 학습 만족도 설문조사, 대학 강의평가, 심층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결과물로 브랜드6개, 디자인 29건을 도출하였으며, 조사 결과, 산학연계캡스톤디자인 교과에 대한 학습 만족도가 전반적으로높고, 현장실무능력 향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학연계를 적용하지 않은 교과목에 비해 강의평가도 높게 나타났으며, 심층 면접조사에서는 부정적경험 인식도 일부 있었지만, 실무 및 소통 등에 대한 긍정적 경험 인식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습자, 교수자, 산업체 간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한 산업체의 실무피드백이 공연의상디자인 교육에서 창의적 공연의상디자인 능력, 제작 및 활용 현장실무능력, 문제해결 능력과소통역량을 키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모형은설계단계의 ①사전분석, ②시스템구축, 실행단계의 ③ 문제제시, ④문제해결, 결과단계의 ⑤평가, ⑥활용으로제안하였다. 또한 공연의상디자인 교육에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의 지속적인 운영과 심화 과정 설계가 필요하며 다양한 산업체 연계도 가능할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향후 공연의상디자인 개발을 위한 산학연계 캡스톤디자인 교과 운영 시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심층면접조사(FGI)를 이용한 대학교육 혁신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고경일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3 경영컨설팅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우선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학의 당면과제를 살펴보고, 대학혁신을 위한 정부와 대학의 정책적 노력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산학연계교육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아울러 산업계 현장에서 산학연계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담당자들의 의견수렴을 위해 심층면접조사(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함으로써 대학이 처해 있는 미래사회의 제반 환경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미래사회에 대한 혁신적인 맞춤형 대학교육 발전방안을 정책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조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산학연계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대학차원과 정부차원에서의 개선방안도 여러 가지로 제시해 주고 있으며, 대학의 실질적인 산학연계를 위해 산업체 관계자와의 면담을 통한 적재적소 배치 노력, 대학의 교육과정 설명 노력, 일반 전공뿐만 아니라 융복합적인 과목 및 교육의 필요성, 우수학생 적극추천 방안 제시, 실습생 사전 면접 진행, 학교와 산업체의 적극적인 교류 활성화 등 산업체와의 실질적인 상호작용이 요구됨을 강조하고 있다. 정책방안 또는 정책방향으로는 구체적으로 먼저, 학생들에게 기업가정신 및 도전정신을 심어줄 수 있는 인성교육의 책임이 대학에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정부는 투입부터 차별화되는 정책이 아니라 투입 대비 높은 성과를 산출하는 대학에 방점을 둔 공정하고 형평성에 입각한 대학정책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은 산업계와의 보다 긴밀한 접촉 및 공동연구를 통해 산학연계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출 수 있는 수업내용, 수업방식, 혁신적인 시도 등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수자들을 동기부여할 수 있는 대학 및 정부 차원에서의 평가지침 및 지원정책이 요구되어 진다.

      • KCI등재후보

        산학연계형 대학 이러닝 학습성과 사례연구

        김희배,박인우,임병노,임정훈 한국기업교육학회 200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10 No.2

        Recently, e-Learning has been an issue as a new method for higher education. Although building the infrastructure, changing the thoughts and mind of the member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ing system, and expanding hardware are important for facilitating e-Learning for higher education, above all development and use of high-quality e-Learning contents are the most important. In this viewpoint, the institutes of higher education need to find a strategical cooperation with the e-Learning company that develop or serve high-quality e-Learning contents. That is, the issue of development and use of e-Learning content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academy needs to be at the center of discussion. In this perspective, the study aimed at finding empiricall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operation of academy and industry, that is cooperation between higher educational institutes and e-Learning company through e-Learning contents. The purpose was to be accomplished by presenting an excellent case of the cooperation. With the study, it was identified how to enrich the educational capability of e-Learning and increase the level of member's satisfaction at college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in the future. Furthermore, some valuable implications were derived for where the government, academy, and industry all together focus 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e-Learning educational system based on cooperation between academy and industry. 최근 들어 대학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이러닝이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대학에서 이러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인프라 구축과 구성원들의 인식과 태도 변화, 행재정적인 지원체제의 마련 등 하드웨어의 확충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소프트웨어 중심의 양질의 학습콘텐츠를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활용하도록 하는 일이다. 이렇게 볼 때, 보다 양질의 소프트웨어(콘텐츠)를 개발, 서비스하고 있는 이러닝 산업체와 전략적 제휴를 모색하는 일이 요구된다. 즉, 산학간 콘텐츠의 공동 개발 및 활용 과제가 대학 이러닝 관련 사업 및 정책에서 중요한 이슈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과 민간업체가 이러닝 콘텐츠를 매개로 해서 산학연계형 교육적 효과성을 하나의 실천적 우수사례로 창출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향후 대학과 민간업체가 어떠한 전략적 제휴 과정을 통해서 대학의 이러닝 교육역량을 강화시켜 나가고, 동시에 대학수요자의 이러닝 만족도를 제고시켜 나갈 수 있는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산학연계형 이러닝 교육체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정부와 대학, 기업 모두가 고등교육 이러닝 정책의 핵심이 어디에 놓여야 하는지를 시사받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및 현장실습이 취업률에 미치는 영향: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을 중심으로

        박남규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4

        In order to improve employment rates, most universities operate programs to strengthen students'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selected as the Leading Industry-Innovative University (LINC) or no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are risking their lives to improve employment rate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university establishment type and university location, which absolute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we are operating a startup education & startup support program in order to strengthe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and capstone design & field training as industry-academia-linked education programs are always available. Although there are studies on effectiveness verification centered on 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n previous studies, but a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on all factors of university factors, startup education & startup support, and capstone design & field training as industry-university-linked education programs as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rate based on public disclosure indicators. No cases of longitudinal studies were reported. This study targets 116 universities that satisfy the conditions based on university disclosure indicators from 2018 to 2020 that were recently released on university factors, startup education & startup support, and capstone design & field training as industry-academia-linked education programs as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rate.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51 participating universities and 64 non-participating universities.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re is no historical information on the overlapping participation of participating students due to the limitations of public indicators, the Exposure Effect theory states that long-term exposure to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will affect the employment rate through competency enhancement. Based on this, the effectiveness of the 2nd LINC+ (socially customized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was verified from 2017 to 2021 through a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artup education & startup support and capstone design & field training as industry-academia-linked education programs of the 2nd LINC+ (socially customized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did not affect the employment rate. As a result of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it was reconfirmed that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still have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universities in non-metropolitan areas due to existing university factors, and that private universities have higher employment rates than national universities. Among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s, the number of people who complete entrepreneurship courses, the number of people who complete capstone design, the amount of capstone design payment, and the number of dedicated faculty members partially affect the employment rate by year, while field training has no effect at all by year. It was confirmed that long-term exposure to the entrepreneurship capacity building program did not affect the employment rate. Therefore, it was reconfirm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ies, the limitations of non-metropolitan areas and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must be overcome. To overcome this, as a program to strengthen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entrepreneurship through participation in entrepreneurship lectures and actively introduce and be confident in the capstone design program that strengthens the concept of PBL (Problem Based Learning), and the field training program improves the employment rate. In order for actually field training affect of the employment rate, it is necessary to pro... 대부분의 대학은 취업률 향상을 위하여 산헙혁력선도대학(LINC) 선정 여부와 상관없이 학생들의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비수도권대학의 경우 취업률 향상을 위하여 사활을 걸고 있다. 취업률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대학설립유형과 대학소재지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취·창업역량강화를 위하여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창업교육·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및 기관과 연계한 PBL(Problem Based Learning) 컨셉이 반영된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상시 운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산헙혁력선도대학(LINC)을 중심으로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공시지표를 기반으로 취업률에 미치는 요인으로서 대학요인, 창업교육·지원, 산학연계교육 요인 모두를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취업률에 미치는 요인으로 대학요인, 창업교육·지원, 산학연계교육에 대하여 최근까지 공개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대학공시지표를 기반으로 조건을 만족시키는 116개 대학을 대상으로 51개의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참여대학과 64개의 비참여대학 집단간 차이분석을 하였다. 또한 공시지표의 한계로 인하여, 참여 학생의 중복참여에 대한 이력 정보가 없는 점을 고려하여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에 장기간 노출된다면 역량강화를 통한 취업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노출효과(Exposure Effect)이론을 기반으로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2차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LINC+)의 창업교육·지원 및 산학연계교육 프로그램은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결과 기존 대학요인으로 수도권대학이 비수도권대학보다 여전히 취업률이 높으며, 사립대학이 국립대학보다 취업률이 높은 것을 재확인하였다.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중 창업강좌 이수자수, 캡스톤디자인 이수자수, 캡스톤디자인 지급액, 전담교직원수는 취업률에 연도별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현장실습은 연도별로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의 장기간 노출이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의 취업률 향상을 위해서는 비수도권, 국·공립대의 한계를 극복해야만 함을 재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취·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으로서 창업강좌 참여를 통하여 기업가정신의 강화와 PBL(Problem Based Learning) 컨셉이 강화된 캡스톤디자인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도입 및 확신이 중요하며, 현장실습 프로그램이 취업률 향상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전반적인 학사제도 및 조직의 재정비를 통한 내실 있는 프로그램 진행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열린혁신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업과 대학간 산학협력의 쟁점

        김영생(金永生)(Young Saing Kim)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1 창조와 혁신 Vol.4 No.1

        이 연구는 국가 차원의 열린혁신 시스템 구축의 두 주체인 기업과 대학의 산학협력의 방식과 사업 운영에서 나타나는 쟁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현재 산학협력의 활성화와 성과향상에 근본적인 문제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두 주체의 협력체계의 구축과 사업방식에서 의사결정 방식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산학협력은 정부정책 대상으로서 중소기업과 비유력대학의 산학협력 사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산학연계를 통한 열린혁신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99%의 기업체 수와 87% 이상의 고용이 창출되는 중소기업과 대다수 학생을 배출하는 비유력대학간에 원활하지 못한 산학연계의 강화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연구에 필요한 자료의 수집은 선행연구 결과와 함께 설문조사, 전문가 협의회, 현장조사, 외국사례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중소, 중견기업(근무여건, 산학협력 과정, 효과 및 문제점) 506개 기업, 대학산학 협력단 관계자(산학협력의 효과, 문제점 및 성과) 50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전문가 간담회는 산학협력단 단장, 사업 관리 담당자, 취업지도 담당자, 기업연구개발 담당자 및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산학협력의 쟁점을 종합하면 ① 산학협력 사업의 성과 약화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기업과 대학이 사업에 대한 목적과 기대가 불일치에서 발생한다. ② 추진방식에 있어 기업은 기업 중심으로 대학은 산학협력단 중심으로 운영되기를 바라고 있어 상당한 의견의 차이가 있다. ③ 산학협력의 성공요인은 기업과 대학의 신뢰구축, 기업 경영진과 대학 관련자의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④ 기업과 대학 모두 사업의 장애 요소는 대학 중심의 사업운영이 가장 많았다. 이는 정부가 지원하는 산학협력지원 사업은 기업과 대학의 균형 잡힌 운영 보다 대학에 치우쳐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또한 불충분한 지원 규모와 시간 배분등 자원배분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⑤ 산학협력 사업이 지나치게 대학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⑥ 기업은 산학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전략과 방안이 부족하다. 수동적으로 정부 사업에 참여하고 요구사항을 반영시키거나 스스로의 자원투자에 적극적이지 않았다. 이러한 기업과 대학의 산학협력에 관한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열린혁신 시스템으로서 기업과 대학이 공유가 가한 목표수립이 필요하다. 산학협력이 기업의 경쟁력 강화 또는 단기적으로 투자한 만큼 이익이 대학과 기업에 고르게 주어질 수 있다는 비전과 이를 위한 주요 목표설정 및 구체적인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업이 산학협력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성장할 수 있는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을 하는 등 경영진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가 필요하고, 정부 지원을 다양하게 전달하기 위한 다채널 연계조직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ssue of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in order to construct the open innovation system.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way in which the two main partners of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IEC) work together as an open innovation system. The decision making and cooperative operation of IEC are still problematic because the governance and structure are not well organized to facilitate industrial partners’ engagement. In terms of national policy regard, the main target of policy should b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and non-privileged colleges and universities composing of majority of business and school in Korea. The collection of data for the study were done with the findings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along with surveys, expert associations, on-site inspection and the researches on the cases in other countr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mall companies, universities and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authorities. The focused group interviews were held for the head of the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erson in charge of the business management, employment advisors, person in charge of the company research and developm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First, the most critical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facilitate IEC is mismatched goal setting of IED between the small and medium companies and the universities because of the arranged investments of IEC centered on universities.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has been less regulated along with the needs of and small and medium companies, as the colleges or universities has more control over resource allocation, decision making process as well. Second, with more depth analysis on the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the difficulties faced the participation of industrialeducational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companies, its achievements and issues, are significant enough to identify the gap between them. Such differences in perception should be resolved through more communication and trust building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companies, promoting the active networks of cooperative learning, customized business design per level and supporting the active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the companies from the existing universityoriented supports. The many researches argue that the most critical measure of IEC policy is more budget allocation to cover more urgent needs, but those results would claim that the SMEs and colleges should learn how to work together effectively and construct new governing body to make a balance between the responsibility and the rights as partners of IEC. Third, the network between SMEs and Colleges should be extended to facilitate collective learning in which they could work together and share their knowledge and emotion. Through such collective learning network, the coloration system must be secured and the societal atmosphere should be created where companies and universities, gather their resources for the fostering of the talented personnel together.

      • KCI등재

        대학 실습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가치 연구: 산학연계형 SW실습교육을 중심으로

        이선아,오세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대학 기록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의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를 수집하고 관리해야 하는 가치를 사례연구 바탕으로 실증한다. 기록정보콘텐츠 설계 절차에 따라 SW실습교육 기록정보콘텐츠를 개발하고, 정규교과목인 캡스톤디자인과 비교과 해외 기술연수교육 프로그램에 해당 모델을 적용하였다.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모델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349명이 참여한 캡스톤 디자인 설문에서는 산학연계형 운영방식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산출물을 활용한 확산과 고도화 경험은 두 번째로 높은 만족도로 집계되었다. 해외 기술연수교육 프로그램 설문에는 2년 동안의 참여자 62명이 모두 참여하였다. 리커트형 9문항 전체에서 4점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1건의 서술형 문항에서의 의견도 긍정적이었다. 상위 3건의 만족도 항목인 프로그램 내용, 프로그램 운영방식, 확산 및 고도화 경험에서는 각각 4.85, 4.74, 4.71점의 높은 점수분포를 이루었다. 교수, 기업, 학생의 인터뷰에서도 SW실습교육에서 기록정보콘텐츠를 활용한 교수법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얻었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콘텐츠 모델은 문화예술, 인문사회 등에서의 SW융합교육 수행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Archives Management is increasing. In this study, we researched cases of collecting and managing educational archival contents in universities. Developed archival contents for software practical education, and implemented it to the Capstone Design course and overseas program. The effect of applying the model was analyz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The Capstone Design Survey, involving 349 participants, indicate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type. The experience of dissemination and enhancement was aggregated as the second highest satisfaction. In the second survey, 62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overseas program over the span of two years took part. All nine Likert-type questions showed high satisfaction scores of more than 4 points. The top three satisfaction factors-content, program type, and advanced experience-showed high satisfaction scores of 4.85, 4.74, and 4.71, respectively. Through interviews with professors, mentors, and students,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structional methods utilizing archival contents are effective. And the model we developed is applicable for convergen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만화애니메이션전공 대학교육에 대한 분석 및 대안연구

        한창완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08 애니메이션연구 Vol.4 No.1

        세계 문화콘텐츠시장의 최근 변화추세는 크게 두가지의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장르와 플랫폼이 통합되고, 교차되면서 새로운 변형장르와 확대된 플랫폼이 등장하는 형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다른 방향으로는 장르와 플랫폼 자체에서 각각 전문화되고 모듈화되는 경향까지 보여준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장변화에 탄력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만화애니메이션전공 대학교육의 대안연구이다. 문화콘텐츠시장변화에 지속성 있는 대학교육의 대안으로는 특성화, 융합화, 산학연계방식, 인턴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대학교육은 전문화된 틈새시장의 교육을 통해 새롭게 제시되는 분야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연관학문분야와의 연계를 통합 융합전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연계산업분야의 실무진과 산학연계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인턴쉽의 기회를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The world market of cultural contents has been unified and has evolved in two ways. First of all, genres and media platforms have been converged while each genre and platform has been specialized and modularized. This has resulted from the new efforts to develop fast and efficiently and expand the market. It has been 13 years since major of cartoon and animation has begun as an independent sector of university in Korea. But it can not apply itself with the change of a new trends of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tries to suggest an alternative for the cartoon and animation to fir for the new market. There are many ways which can improve the college education like specification. Convergence. correlation of the industrial-academic sectors, and introduction of internship. The university must provide its students with a customized niche education to complete the specification of it major and try to converge the diverse majors to bring up all-round players. In addition, it should reinforce a substantial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and run several internship programs to give a good chance to both students and firms.

      • KCI등재

        수도권 대학의 융·복합 교육 과정에 관한 연구

        차용선(Cha, Yong S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융합교육은 다양한 집합과 내재된 변화를 통해 얻어지는 통설적인 체계로서의 장점을 지니고 이는 신교육체제를 위한 상관적인 시너지관계로 승화시켜 교육목적의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가치를 창출해낸다. 이에 최근 한국대학들의 화두는 ‘융·복합 교육’이다. 대학들이 교육에서 학과나 전공의 벽을 허물고 있다. 지금까지의 하나의 전공만 가르쳐서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판단에서이다. 서로 다른 영역과 계열에 속하는 전공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수업 교과과정이나 학과·학부가 점차 개설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대학에선 예술대학이나 경영대학의 경계가 뚜렷하여 문화예술경영에 관심 있는 고교생이라면 예술대학이나 경영대 중 하나를 선택하고 나머지 하나를 부전공이나 복수전공으로 들을 수 있었다. 대학가에선 융·복합을 미래 사회에 대학이 적응하기 위한 필수적 선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대학의 핵심 기능인 연구에서는 이미 학문영역을 넘나드는 학제 간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이제는 연구의 융·복합이 교육으로 확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융·복합 대학교육의 특성과 중요성을 중심으로 교육부의 대학 특성화나 선도대학 사업 등이 미래의 융·복합 교육수요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각 대학마다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융·복합 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 교육과정의 개발을 통한 새로운 학문의 기회를 제공하고 21세기형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기술한다. 첫째, 융·복합교육의 특성과 중요성을 기술하였다. 둘째, 융·복합 대학교육의 현황을 조사하고 디자인 관련 교육과정을 각 대학마다 비교 및 분석하였다. 셋째, 융·복합 대학교육의 산학연계프로젝트 사례를 조사하여 각 대학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최근 융·복합 대학교육 중심으로 학제 개편이 변화되고 있으며 융·복합 교육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 recent topic of colleges in Korea is ‘convergence education". Colleges are tearing down the wall of department or major. It is based on their decision that there is a limitation with the current system of teaching only one major in cultivating competent people that the society requires. New courses or departments & colleges converging majors in different domains & affiliations are being created. In existing colleges with a clear boundary between art college or business college, high school students interest in culture & arts management could select one of art college or business and select the other as their minor or double major. In college circles, convergence is being accepted as an essential choice for colleges to adapt to future society. As the core functions of college are research and education,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have already been conducted crossing over academic domains. The convergence of study is now spreading to education. Accordingly, current circumstance is that college specializ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or its advancement of colleg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will inevitably affect the demand for convergence of education in the future. As one of ways to ensure the highest competitiveness of colleges, a conversion to convergence education is occur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opportunities of study and cultivate the 21st century type creative people by developing convergence curriculum. The study method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it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of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it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and comparatively analyzed design related curriculum of each college. Third, it comprehensively described a strategy to gain competitiveness of each college and deduced an implication by examining the industrial-academic project cases of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In conclusion, it presented a way for ensuring competi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midst of current situation where academic restructuring is changing focusing on convergence college education. First,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for convergence education is needed. Second, internationalization support is needed along with active convergence education of each college. Third, an organic integration with businesses related to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is needed.

      • KCI등재

        정부주도 대학평가의 쟁점과 과제: 박근혜정부를 중심으로

        이인수(Lee In Su),서경화(Seo Kyung Wha),강재혁(Kang Jae Hyeok),장아름(Jang Ah reum),윤기현(Yoon Ki hyun),이예슬(Lee Ye seul),김미란(Kim Mi ra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nd to draw out the issues and the implications of systematic improvement based on the CK, ACE, LINC, BK, PRIME and university restructuring. In terms of evaluation objective, contents, method and utilization, The issues analysis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give the implication to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s follow. First, the objective of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lead the whole university community to work out change and innovation. Second, the minimal standard of evaluation method and process should be established to decrease the evaluation burden and a new evaluation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to consider each university characteristics. Third, the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organized with long term point of view to support enough for the university itself to prepare the evaluation. Finally, an in-depth research on the evaluation utilization are needed to manage the achievement of the governmental funding projects in higher education and to develop the identity and the autonomy of university. 본 연구는 박근혜정부의 대학 특성화사업(CK),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LINC), 두뇌한국 21 플러스 사업(BK21 PLUS), 산학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 사업(PRIME) 및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중심으로 정부주도 대학 평가의 쟁점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평가의 목표, 내용, 방법, 결과활용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목표의 수월성 의 관점 편중, 평가지표의 유사성으로 인한 수혜의 중복과 정성평가의 객관성 및 공정성에 관한 문제, 대학 구성원 간의 합의의 부재와 자금 위주의 정책수단의 한계점, 정부 대학평가의 효과성과 지속성 쟁점이 도출되었다. 쟁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사회 전체의 변화와 혁신을 일으키는 방향으로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둘째, 각 사업의 특성과 대학의 유형을 반영한 차별화된 평가기준을 중심으로 선택지표를 개발해야한다. 셋째, 대학구성원들에게 적합한 합리적인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정책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정체성과 자생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결과가 활용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