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재장애인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임종호,황연화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4

        This study, using the dataset from the first and the second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in 2008 and 2009,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wage level of injured worker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finds out the determinants of injured workers’ wage, then derives the political implication in the welfare of the disabled to raise the wage level of injured workers.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n the 3 determinants and 15 variables that decides wage level of injured workers are as follows. Amongst 15 variables, 14 variables except the work hour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3 variables, year of having disability, license and monthly work hour wer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negative(-) direction. The effect of determinants on wage level of injured workers appeared to be greater in order of experience in training program, log(number of workers)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s of prejudice on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severe disabilities in determining wage level, and also it tells that license of the disabled workers has no direct relationship to the improvement of their productivity. In the future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include the position variable that considers whether the disabled worker remains on the same duty after injury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abor marker of injured workers can be actualized when comparing the injured workers who return to the same duty after injury and those who are not.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과 2009년에 조사한 제1차, 제2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활용하여 산재장애인 근로자의 임금수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산재장애인의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규명해 내고, 산재장애인의 임금수준의 증대를 위한 장애인복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임금 결정에 미치는 3요인 15변수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5개 변수 가운데 월 근로시간 변수를 제외한 14개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장애보유연한, 자격증 보유 여부, 월 근로시간 3개 변수는 부(-)의 방향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산재장애인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교육훈련 경험여부, 로그근로자수, 학력 순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산재장애인의 임금수준의 증대를 위한 함의는 지적장애와 중증장애에 대한 편견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며, 자격증 보유가 산재장애인의 생산성 향상과 관련이 없음을 시사한다. 후속연구를 위해 산재사고 전후 같은 직장여부와 같은 직무여부변수로 구체화하여 투입할 필요가 있으며, 산재사고를 당한 장애인 가운데 노동시장에 복귀한 장애인과 복귀하지 못한 장애인을 비교 연구시 산재장애인 노동시장의 특성이 좀 더 구체화될 수 있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순,공마리아,최은영 한국직업재활학회 2014 職業再活硏究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which related with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provide an evidence for effective rehabilitationprogram for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For this purpose, 108 workers who injured in industrialsituation and agreed with purpose of study with request for help form were participated throughKorean Association of People Injured on Worksites and groups of injured workers. The results of analyzed data were as follows: Supportive environment and personal mechanismfor coping the stres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cceptance of disability of industrially injuredworkers. Especially, stress coping ability has a mediation effect on relation between socialsupport and acceptance of disability. Thus, psychological support for enhancing the stress copingability were suggested as a factors that should have to consider in rehabilitation program for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s well as the method for enhancing the social support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 중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산재장애인 재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산재장애인협회와 여러 산재장애인 모임을 통해 접촉한 산재장애인 중 연구목적에 동의하고 도움 요청서를 통해 연구 참여를 수락하고 설문지에 응답한 산재장애인 10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대해 지지적 환경과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개인적 기제가 유의미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고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지지와 장애수용 간의 유의미한 관계에 스트레스 대처가 갖는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을 위한 재활 프로그램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과 더불어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심리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산재장애인의 장애수용도, 장애정도, 장애부위가 직업복귀에 미치는 영향

        김희영(Kim Hee Young),조성재(Jo Song Ja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1

        이 연구는 산업재해(이하 산재) 장애인의 장애수용도와 장애정도 및 장애부위가 이들의 고용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의 여부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전국 산재장애인 협회 산하 9개 지회 소속 산재장애인 21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조사된 설문지에 대해서는 빈도 분석, 상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카이검정을 실시하였다.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장애 수용도의 네 가지 하위척도 중 장애의 부정적 효과차단은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장애를 해당영역의 제한으로 한정하는 산재장애인들은 장애의 영향을 삶의 다른 영역으로까지 확산시키는 태도를 보이는 산재장애인들에 비해 1.293배정도 고용을 획득하고 유지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카이 검정 분석 결과 장애등급과 장애부위는 직업복귀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의 부정적 효과의 차단이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의 장애에 대한 심리사회적 적응을 돕고 자신의 장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상담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장애의 발생 부위나 장애 정도는 산재장애인들의 고용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음으로 장애정도를 고려한 맞춤형 직업재활 서비스와 고용 모델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cceptance, severity, and location of disability to employment outcome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Two-hundred and ten people who were industrially injure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employment outcomes and containment of disability effects subscale. That is, those who limit his/her disability effects to impaired areas of his/her life will be 1.293 times more likely to achieve and maintain a gainful employment as compared to those who unnecessarily spread his or her disability effects to other areas of life.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ere found between employment outcomes and enlarging the scope of value, subordination of physique, and transformation of comparative values to asset values. Results of chi-square analysis have reveal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verity and body part of disability and employment outcomes among people with industrial injury. In other words, those with mild disability and those with back injury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acquire and maintain a gainful employment than those with more severe injury and those with disabilities other than back injur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for the rehabilitation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비교연구

        안영신,조성재,김민 한국직업재활학회 2019 職業再活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types of return-to-work (RTW) of the injured workers and to suggest strategies to improve the RTW rat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3 injured workers who succeeded in returning to the workplace at the 4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Using frequency, descriptive, and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method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group with returning to the original workplace had higher job satisfaction level (i.e., wage/income, job security, job duty, working environment, working hours, potential personal growth,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ared to other groups. Based on this study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level of injured workers after RTW are following. First, an institutional supplementary system would be developed that employers must offer to re-employ injured workers after completing care. Second, follow-up services would be provided to cope with potential employment-related problems for injured workers. Third, opportunities for re-employment or strategies for maintaining their business would be provided for injured workers who chose self-employment.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 증진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2016년 근로복지공단 제4차 산재보험패널에서 3가지 직업복귀(원직장복귀, 재취업, 자영업)에 성공한 1,343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직업복귀 형태에 따른 직업만족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원직장복귀를 한 집단일수록 재취업이나 자영업 집단보다 직업만족도(임금 및 소득, 취업의 안전성, 일의 내용, 근로환경, 근로시간, 개인의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가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산재근로자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장애인의 원직장복귀 의무제도를 도입하는 제도적 보완 조치가 필요하다. 둘째, 재취업이 이루어진 산재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후지도 서비스 제공을 통해 잠재적인 고용관련 문제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 고용유지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자영업을 선택한 산재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재고용 기회 제공과 자영업을 유지할 수 있는 전략 제공이 필요하다.

      • KCI등재

        산재근로자 원직복귀의무제도 도입논의와 과제

        이승욱,김선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2

        본 연구에서는 산재근로자 원직복귀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원직복귀지원제도에 대한 필요성과 더불어 외국의 원직복귀의무제도 및 지원제도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원직복귀의무제도 도입을 위한 논의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산재근로자 원직복귀 의무제도 도입을 위한 다음과 같은 제도적 논의점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원직복귀 주치의 소견제도 도입을 통해 산재근로자 직무능력에 대한 객관적 정보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원직복귀 시 사업주 욕구해결을 위한 현실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산재근로자를 원직복귀시킨 사업주의 해당 산재근로자에 대한 민사상책임면제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사업주 부담과 산재근로자 복귀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산재보험법 내 산재근로자 원직복귀의무조항을 도입하고, 사업주와 산재근로자, 고용노동부 3자의 협력의무를 통해 제도를 운영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업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원직복귀이후 해당 산재근로자가 2차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개별실적요율에 반영하지 않도록 제도화시키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review paper attempted to discuss what measures need to be taken in order to introduce and implement a mandatory return-to-work provision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as a viable option to tackle a problem of re-entry to the labor force by presenting return to work practice and policies of other countries. Based on this review, authors were able to come up with following suggestions in order to fully and effectively implement a mandatory return-to-work practice for workers with industrial injury. First, an objective way to collect information regarding residual work capability by requiring employers to get a doctor's opinion. Second, measures to provide realistic and meaningful incentives and supports to meet employers' desires and needs ar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rd, liability without fault policy needs to be introduce in order to protect employer, who hired an industrially injured worker, from potential lawsuits. Fourth, it is recommended to amend the Workers' compensation law in order to include a provision of mandatory return-to-work practice and to operate this newly implemented provision based on the mutual cooperation among employers, workers, and the government. Finally, in order to relieve employers' concerns about rise of insurance rate in case an industrial injury reoccurs to the worker who got back to work.

      • KCI등재

        산재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서비스 지원 방략

        도성화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4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7 No.2

        The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is composed of the medical service, the welfare service and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This study analy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among the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and suggested the supporting 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surveyed the preceding research, the related reference, relating a law and a rule, and analyzed vacational training service needs for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for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worked at a lot of the related institution, but they suffered seeking employment lots of because they got disability. Seeking employment of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searched mostly the information through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Employment Service Center because they got the disability that suffered from the industrial accident, they preferred to a light worker mainly. The kind of occupation they wanted was a field of service, office management and short term training and easy training for getting a job. However, since they didn't have the suitable job and the information, they thought that didn't need the vocational training. Bu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formed the organic supporting system each other in the several institution and established the collaborativ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within frame of transdisciplinary in order to be satisfied for the needs of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산재장애인의 재활서비스는 의료재활, 사회재활, 직업재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의 재활서비스 중에서 직업재활서비스 체계를 분석하여 서비스지원 방략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수행을 위해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조사하고 관련 법령과 규정 및 산재장애인의 직업훈련서비스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는 다양한 관련 기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장애가 있기 때문에 구직활동에 어려움이 많다. 산재장애인의 구직활동은 산업재해로 장애를 갖게 되었기 때문에 고용노동부의 고용센터를 통해서 정보를 알아보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로 단순노무직을 선호하였다. 희망하는 훈련 직종은 서비스업, 사무관리 등이었고 훈련 기간이 짧고 취업이 용이한 훈련을 원하고 있었다. 그러나 적당한 일자리가 없고 직종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직업훈련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이 있었다. 직업재활서비스 체계가 다양한 기관에서 서로 유기적인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으나 장애를 갖고 있는 산재장애인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초학문적인 틀에서 협력적 직업재활서비스 체제를 확립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산재장애인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미옥(Kim Mi-Ok),김연수(Kim Yoen-Soo),김희성(Kim Hee-S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한국사회복지학 Vol.61 No.4

        본 연구는 산재장애인이 우울, 불안 및 심리적 좌절감 등을 극복하고 보다 긍정적인 자아 이미지로,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찾아 임파워링(empowering)될 수 있도록 돕는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산재장애인에 대한 직접서비스를 제공하는 재활상담사들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프로그램 개발에 반영하였으며, Miley 외(1995)의 임파워먼트 모델을 적용하여 요양환자용과 치료종결자용의 두 가지 유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요양환자용과 치료종결자용 프로그램을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된 연구대상자에게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임파워먼트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하위영역 중 자아 이미지 영역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어 개발된 프로그램이 산재장애인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프로그램은 개별상담 중심의 산재장애인에 대한 개입을 집단사회복지실천으로 확대한 점, 임파워먼트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실제 집단프로그램으로 개발한 점, 산재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수준을 향상시킨 점 등 그 실천적 함의가 크다.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Empowerment Program'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The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focus group interviews for the rehabilitation counselors who work with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Also, it was based on Miley et al's empowerment model and the group social work practice. The goal of the program was to strengthen the level of empowerment and decrease emotional frustr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two different types: one for the hospitalized person and the other for the discharged person. The program practiced once a week for 6 weeks and 8 weeks by the choice of the rehabilitation counselor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included 11 person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persons for the control group. The empowerment scores of the two groups were estimated at the point of pre-test and post-test and were analysed through the Wilcoxon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A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reases in the areas of total empowerment and self-image as a sub-scal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onfirmed. Also,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program can be an important social work practice tool for strengthening the empowerment level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caused by industrial accidents.

      • KCI등재

        산재장애인 직업복귀 기준 정립을 위한 개념 고찰

        김윤봉(Kim younb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09 職業再活硏究 Vol.19 No.1

        산재장애인의 직업복귀에 관하여 근로복지공단에서는 2002년부터 매년 신규로 장해등급을 판정받은 산재장애인 전체를 대상으로 요양종결 후의 직업복귀 실태 조사를 실시하여 산재장해인의 직업복귀 여부를 조사 관리하여 오고 있으며, 실제로 산재장해인 직업복귀율은 2002년 40%에서 2008년 53.7%로 매년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산재장해인의 직업복귀율에 관하여 양적 확대 이면의 질적인 고용현황 관리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기로서, ILO(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기준 및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기준을 중심으로 경제활동인구의 개념, 근로시간, 근로형태, 연령이나 집단 및 지역구분 등 조사대상의 범위, 조사기간과 조사주기, 조사의 내용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복귀 기준 및 고용의 질적 관리 개념으로 다루어져야 할 양질의 일자리(decent work) 측면에서의 지표들을 고찰함으로써 향후 산재장애인 직업복귀 통계 정보의 질적 향상 도모와 조사결과의 정책적, 임상적 자료 제공으로서의 역할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has conducted survey of injured workers return to work ratio from the year of 2002. Return to work ratio of injured workers has improved from 40% in 2002 to 53.7% in 2008. In spite of quantitative extension, discussion on the management of qualitative employment status is still necessary. This paper was to examine concept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hours worked, types of employment, coverage of data source, reference period, periodicity of data collection around ILO(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and Korea National Statical Office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mprove gathering of statical information like qualitative employment indicator in terms of decent work and politicalㆍclinical reference in return to work of injured workers .

      • KCI등재

        산재장애인 "요양기" 재활정책이 타직복귀시 고용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분석

        김지원 ( Ji-won Kim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1

        본 연구는 산업재해로 인해 장애가 발생한 후, 타직복귀(재취업)에 성공한 산재장애인을 분석대상으로 하며, 산재발생 직후 급성기부터 회복기에 이르는 ‘요양기’에 이들에게 제공되는 상담 및 구직지원 서비스(Counselling & Job Search Assistance) 등 조기 개입을 특징으로 하는 산재장애인 개인 지원 재활정책(이하, ‘요양기 재활정책’)이 과연 산재장애인이 타직복귀시 상대적으로 고용의 질(quality)이 높은 ‘상위부문(upper-tier)’으로의 진입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지에 주목한다. 정책평가에서 흔히 발생가능한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단 실무자 심층면접 등 질적연구를 통해 얻은 정보에 기초하여 내부비교집단(internal comparison group)을 구축하였고, 양적분석모형으로 혼합로짓모형(확률계수-확률효용 모형 응용)을 채택하여 관측불가능한 정책참여자 특성에 의한 내생성(endogeniety) 문제 등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양적연구결과와 질적 연구를 통한 보충적 해석 결과, 산재장애인 개인의 인적자본 유지를 위한 조기개입 정책인 ‘요양기 재활정책’이 타직복귀시 고용의 질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위부문’으로의 진입을 촉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신력 있는 공공 및 민간취업알선기관을 통한 적극적 취업알선 역시 고용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다.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policy(‘Early Intervention’) for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such as Counselling & Job Search Assistance on employment quality of job change.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who succeed in job change(re-employment) and the main concern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rehabilitation policy promote the qualitative employment(in the upper-tier job segment). We use an Internal Comparison Group method to control the selection bias and the Mixed Logit Model analyses to minimize the endogeniety problem resulted from unobservable characteristics of policy participations. The paper finds as follows. While a human capital rebuild policy and a job referral service such as the Industrial Accident Disabled Policy(‘Early Intervention’) is effective at increasing th probability of the qualitative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