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불도맞이〉와 서울 〈천궁불사맞이〉 비교

        김은희(Kim, Eunhui) 한국무속학회 2015 한국무속학 Vol.0 No.30

        무속에서 인간의 탄생과 생장과 관련하여 산육신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과정이 있다. 그러한 사례 중 제주도의 〈불도맞이〉와 서울의 〈천궁불사맞이〉는 각 지역별로 독자적인으로 직능을 수행하는 신격을 통해서 의례를 거행한다. 제주도와 서울의 산육신 의례에서 산육신의 존재가 매우 인간중심적인 면모가 있으며, 삶의 질서 유지를 위해 다양한 신들이 종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제주도의 〈불도맞이〉에서 ‘삼승할망’이라는 산육신은 인간 생명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생명의 잉태와 탄생을 돕는 신으로서의 독자적인 면모가 있다. 또한 삼승할망과 함께 마마천연두의 신인 서신국마누라와 죽은 아이들의 신인 구삼승할망 등이 산육의 과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의례 안에서 다양한 신들의 갈등과 대립을 해소하는 존재들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신들의 면모가 특히 ‘삼승할망본풀이’와 ‘구삼승할망본풀이’, ‘마누라본풀이’라는 본풀이(서사무가)를 통해서 정리되고 있어서, 제주도만의 독자적인 면모라 할 수 있다. 서울지역 〈천궁불사맞이〉의 경우 산육신의 신직은 특정한 한 신에게만 귀속되지 않는다. 즉, 〈천궁불사맞이〉의 ‘조상불사 부리불사 전안불사 삼신불사’로 명명되는 신격은 생명 점지의 직능을, ‘대함제석 젠제석 전안삼제석 의대제석 고깔제석’ 등은 수명과 장수를 기원함으로써 생장의 신으로서의 신직을 수행한다. 또한 제주도와 마찬가지로 마마천연두의 신이 생산신의 하위신으로 위치하고 있는데, 질병으로 인해 사망한 인격신들의 존재가 강조되어서 나타나고 있는 점은 서울 지역만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산육신들이 그 신격을 통해서만 산육신의 직능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천신계통 신과의 소통과 합의를 통해서 그 직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은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특별한 면모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인간 생명의 탄생은 물론 질병과 연관된 일련의 신들의 산육을 둘러싼 의례에서 매우 중요한 신격들로 위치하고 있음을 제주도와 서울굿의 사례를 통해서 확인하게 된다. Rituals for Sanyukshin involve a process of asking for help to certain deities on the matters of birth, growth, and development in human life. There is a very human-centered aspect to the being of Sanyukshin in the Sanyukshin rituals of Jeju Island and Seoul. Those rituals also present an overall formation of various deities to maintain the order of life. In “Buldomaji” of Jeju Island, “Samseunghalmang” helps the conception and birth of life and has her own independent aspects. Along with her, the deity of smallpox called “Seoshingukmanura” and that of deceased children called “Gusamseunghalmang” have close impacts on the bearing and raising process. Those aspects of the deities especially highlight the Jeju Island-style features in such Bonpuri(narrative shamanism) as “Samseunghalmang Bonpuri,” “Gusamseunghalmang Bonpuri” and “Manura Bonpuri.” In “Cheongungbulsamaji” of Seoul, “Bulsa” perform the role of blessing with life, and “jeseok” play the roles of growth and development deities. Like its Jeju Island counterpart, it has the deity of smallpox located under the deity of production. Its unique feature is an emphasis on the personal gods that passed away due to a disease. The Sanyukshins of Jeju Island and Seoul are very special in that they perform their roles through communication and agreement with the heavenly gods. The findings confirm that deities related to diseases hold a very critical status in the Sanyuk rituals.

      • KCI등재

        한국 신화의 보편적 성격과 신화적 의미 ─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 ─

        정제호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7 일본학연구 Vol.50 No.-

        본고는 한국 신화의 보편적 성격을 점검하고, 세계 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개별 신화의 의미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주도에서 전승되는 <삼승할망본풀이>와 여러 신화의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삼승할망본풀이>가 한국 신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아니 오히려 한국 신화 중에서도 특수성을 갖는 작품이라 하겠다. 하지만 오히려 이런 특수성 속에서도 보편적 성격을 찾아낼 수 있는 것이 비교 연구의 진정한 의미 지향이라 생각한다. <삼승할망본풀이>를 관통하는 주요 지점은 산육신과 질병신의 대립에 있다. 이 대립의 과정과 결과에 의해 <삼승할망본풀이>의 가치 지향이 규정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질병신은 산육신과 출산 방식을 놓고 대립하게 되는데, 비정상적인 출산을 시도하면서 자신의 지위를 잃게 된다. 겨드랑이를 통한 출산을 시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는 신화적 문맥으로 살펴보면 신의 출생으로 볼 수 있다. 알영, 주몽, 젯부기 삼형제, 석가모니, 육종의 여섯 아들, 위미르가 낳은 요툰 등 아주 많은 신적 존재가 겨드랑이를 통해 탄생하기 때문이다. 여러 신화와의 비교 작업을 통해 <삼승할망본풀이>가 신의 출생에서 인간의 출생으로 이행되는 서사이며, 이 과정에서 산육신이 교체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그런데 대립에서 패배한 동해용왕따님애기는 자리를 잃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저승할망으로 좌정하면서 자신의 성격을 정반대로 변모시킨다. 구삼승할망이 질병을 내리는 질병신으로 탈바꿈한 것이다. 이러한 급작스런 변화는 새로운 산육신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재앙 옮기기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떠나가는 신격에게 재앙을 모두 옮김으로써 새로 탄생한 산육신의 위상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일본 《고지키》에 나타난 이자나기와 이자나미의 관계, 그리고 유대신화에서의 릴리트와 아담의 관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이들 신화는 질병과 죽음을 담당하는 신격의 대척점에 산육과 생산을 담당하는 신격을 내세움으로써 그 직능과 성격을 분명하게 가져가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국 동해용왕따님애기가 보이는 급격한 변모의 의미가 여러 신화를 견주어 살핌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It purposes that the universal character of Korea mythology is checked and through the comparison among the World myth, to find the meaning of each myth. To do that, we carried out the comparison among <Samseunghalmangbonpuri> handed down from JeJu and several myth. It couldn’t be said that <Samseunghalmangbonpuri> is the major work of Korea. We would say that it is one of the unique character masterpieces. However, in this kind of unique situation, finding out universal character is the true meaning. It has a story that the opposition between bearing and God of birth and God of disease in <Samseunghalmangbonpuri>. It is because <Samseunghalmangbonpuri>’s value orientation is regulated in the result of the process this opposition. Here is, between bearing and God of birth and God of disease, they had a opposition, their position were lost as they tried out abnormal birth. However, these trials could be seen as the birth of God in the context of myth. Because they were borned from their armpit such as Alyeong, Jumong, Jecbugi three brothers, Buddha, Six sons of Ukjong, Jotunn who Ymir gave birth to and so on. Through the comparison among the myths, we could confirm that <Samseunghalmangbonpuri> was from the birth of God to the birth of human and in the process, is consists of the stories that changed God of birth. However, Donghaeyongwang’s daughter who failed to win the comparison, one’s own personality is made in the opposite mode. Pro-samseunghalmang changed God of disease who has some diseases. It is seen that these fast changing, one form which spread disaster to have the high position of new God of birth. As spreading all of disasters to going away God, God of birth who is newly born gain the status. This structure could be seen that the relationship of Izanaki and Izanami in 《Kojiki》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lith and Adam. It consists of content that they show obvioulsy the ability and character as they show the godhead that Birth and Produce were taken care of. That’s why Donghaeyongwang’s daughter is very changeable character. It is shown that the comparison between several myths and mysterious things of <Samseunghalmangbonpuri>.

      • KCI등재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 삽화의 운용 양상과 의미-신격의 위계에 따른 동아시아권 삽화의 변용에 단서하여-

        이현정 남도민속학회 2022 남도민속연구 Vol.45 No.-

        이 글에서는 중앙아시아․동아시아 일대의 창세신화와 설화에 차용된 ‘꽃 피우기 경쟁’ 삽화를 ‘꽃 피우기’와 ‘꽃 차지하기’라는 요소로 분별하여, 경쟁 주체와 신격 위계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되어 온 삽화의 운용 양상과 변별적 의미들을 살폈다. 창세신과 관련한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은 삽화의 본질이 구현되는 이상적인 구조이자 원형에 해당한다. 꽃을 피우는 행위는 창세신의 권능과 직결되며, 꽃을 차지하는 행위는 경쟁 신격 간의 권력과 힘의 완전한 이동을 의미하였다. 창세신화류에서 ‘꽃 피우기’와 ‘꽃 차지하기’는 견고한 연결성을 지지고 있었다. 서사에서 두 신격이 공존할 수 없는 관계로 설정되는 정황도 이와 관련이 깊다. 치세신, 산육신, 지역신의 경합담으로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 삽화가 운용되었을 경우, 천신(창세신)과 경쟁 주체 간의 혈연 관계 혹은 위계, 신격 특성에 따라 서사가 조정되거나, 삽화 가운데 일정 부분만이 수용되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치세신은 서사에서 천신과 혈연관계로 설정되어 신성성을 담보받고 있으며, 산육신은 천신과의 관련성이 경합의 승패를 좌우하는 형태로 삽화가 조정되고 있었다. 지역신은 한정된 관장처라는 제한성으로 인하여, 여러 신격들 가운데 천신과의 위계가 가장 많이 벌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꽃 차지하기’ 화소만이 확인될 뿐이며 삽화를 구성하는 화소 중 ‘속임수’만이 상당하게 변형되어 나타났다. 이에 따라 특정 신격의 위계에 따른 경합담에서 ‘꽃 피우기 경쟁’ 삽화는 각각 ‘꽃 피우고 차지하기(치세신)’, ‘꽃 피우기(산육신)’, ‘꽃 차지하기(지역신)’로 달리 그 양상이 실현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간 학계에서 ‘꽃 피우기 경쟁’으으로 통용되어 온 해당 삽화는 다시금 ‘꽃 피우고 차지하기 경쟁’이라는 결합 구조로서 보다 구체화 된 조명이 요구된다. 이 삽화는 각 전승 권역의 신앙 체계 또는 신화적 사고관을 투영하며 독특한 지역 유형을 생산하는 기제이며, 그 운용 방식은 일종의 서사적 장치이자 미학으로까지 기능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문화, 문학> : 한일(韓日) 산육신(産育神) 비교 연구

        김난주 ( Nan Ju Kim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39 No.-

        This thesis comparatively looks into folklore faiths, expecially child-birth gods related to child-birth customs and aims to find out both nations’ faith in child-birth gods and their features. It looks into birth gods protecting delivering mothers and babies by appearing at the delivery sites at time of delivery and child-rearing gods intervening in growth of babies after they are born. In both nations, many gods are believed in for selection of babies, safe delivery and their healthy growth but those appearing at delivery sites are only birth goddesses called Samsinhalmony and Obugami. What make this phenomenon appear in both nations’ folklore faiths? Seeing the reason in the fact that common negative concept regarding childbirth exists in both nations’ established faiths, the writer comparatively analyzed various cases of delivery-related defilement in both nations’ delivery customs. Its result showed that Japan is stronger in delivery-related defilement concept than Korea is. For instance, Japan regard child birth-related defilement more horrible than that related to funeral. Pursuantly, in Japan stricter regulations on childbirth rooms and stricter taboos for babies have been passed down. Besides, in the process of its comparative study on both nations’ divine images and appearances, the writ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unlike Japan’s mountain gods and restroom goddesses appearing at delivery sites, they don’t get involved in childbirth in Korea and discussed Japan’s theory of reincarnation and its mountain goddess’ marginal nature working behind the curtain. I also discussed the phenomenon that both nations’ childbirth gods are passed down as Three gods, which means that their faith in childbirth gods has to be seen as a result of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interacting with the faith in Three gods or the Three-gods theory, accordingly I indicated that it is worth re-consideration to see the Three-God Theory as the core of the faith in Samsinhalmoni. Lastly, though in both nations’ childbirth faith underlies their fear for divine beings, the faith in childbirth gods, strongly coupled with death heritages,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nation, which is because Japan’s childbirth gods intervening in birth and growth of a new life also actually involve themselves deeply in the sphere of death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