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르지역의 문학경관, 문화경관 그리고 산업문화 경관 연구

        이영남 한국독일어문학회 2022 독일어문학 Vol.97 No.-

        Ziel dieser Studie ist es, die literarische Landschaft, Kulturlandschaft und Industriekulturlandschaft des Ruhrgebiets zu untersuchen, die die größte Rolle bei der Wiederbelebung der deutschen Industrie und der deutschen Wirtschaft spielte. Diese Region wurde aufgrund des Strukturwandels durch die Deindustrialisierung einst als Problemregion bezeichnet. Die bisherigen Forschungen zum Ruhrgebiet wurden vor allem in den Bereichen Soziologie und Stadtforschung im Zusammenhang mit der Industriekultur behandelt. Die meisten Studien konzentrierten sich auf die Erforschung sozialer und technischer Aspekte der Industriekultur in Bezug auf Fragen der Stadterneuerung, als würde nur die Industriekultur die Identität des Ruhrgebiets bestimmen. Zunächst kann die Bedeutung des Ruhrgebiets anhand von zwei Punkten erläutert werden. Diese Region ist die erste multikulturelle Region Deutschlands. Darüber hinaus stammt die „Europäische Gemeinschaft für Kohle und Stahl“, der Vorgänger der „Europäischen Union“, aus dem Ruhrgebiet. In über 150 Jahren fanden Industrialisierung und Postindustrialisierung, sowie der Prozess der Wiederbelebung der Industrieregion zur Kulturmetropole statt. Im Hintergrund gab es eine große spirituellen, literarische, kulturelle, soziale und politische Bewegung, die ein Meilenstein für die Entwicklung der Region sein könnte. Ziel dieser Studie ist es, die einzigartige Kultur der Region, des sogenannten „Ruhrpotts“ und die Literatur des Ruhrgebiets anhand des Textes von Frank Goosen zu verstehen. Und es ist zugleich ein Versuch zu verstehen, woran sich die Region als „Erinnerungsraum“ durch die Industriekultur erinnern möchte, die als Ruine hätte bleiben können. 본고는 독일 산업과 경제의 부흥에 가장 큰 역할을 담당했지만 탈산업화의 구조변화로 한때독일의 골칫덩어리로 전락했던 루르지역의 문학경관, 문화경관 및 산업문화경관을 고찰한다. 루르지역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그동안 무엇보다 산업문화와 관련한 것으로서 사회학 및 주로도시재생 문제와 관련하여 산업문화의 사회적, 기술적인 부분의 연구에서 다루어졌다. 마치 산업문화가 곧 루르지역의 정체성인 것처럼 단일화되어 온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근본적인 질문 즉, 산업화 이전 이 지역에 대한 모습이 어떠했는지부터 출발한다. 이 지역의 150여 년에 걸친 산업화 그리고 탈산업화 이후의 문제 및 산업이 문화로 거듭나는과정에는 이 지역의 사회, 문화 발전에 디딤돌이 될 수 있는 커다란 정신적, 문학적,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인 배경이 있었다. 역사 속으로 영원히 사라져 버렸을 수도 있었던 루르지역의 산업문화가 새롭게 태어나게 된 계기는 루르지역의 문학-, 문화-, 산업문화 경관의 특성에 대한이해 없이는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루르지역, 레비어 Revier(루르지역의 다른이름)에 대한 문학-, 문화- 산업문화 경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이 지역의 정신적인 토대가 될 수 있었던문화적, 문학적, 정치적, 사회적인 요소 나아가 이 모든 것을 포함하는 이 지역 발전에 크고 적게 기여했던 지역 정체성의 구체적인 내용들을 상세하게 고찰한다. 프랑크 고젠의 텍스트를 통하여 ‘루르폿 Ruhrpott’ 으로 대변되는 이 지역의 독특한 문화 및 언어 그리고 루르의 문학에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 지역 인간성의 특징도 살펴본다. 아울러 한낱 고철덩어리로 남을 수도있었던 루르지역의 산업문화를 통해 ‘기억의 공간’으로서 과연 이 지역이 무엇을 기억하고자 하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재활용을 위한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의 연구

        주희진(Ju HeeJin),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18세기 산업 혁명 이후 시대적 필요에 의해 생겨났던 근대산업유산은 현시대가 요구하는 기능에 부응하지 못하고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평가 받지 못한 채 소멸되거나 노후화된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특히 그 중 창고 건물은 이미 소멸되거나 지나친 개조 등으로 재활용 대상의 논의조차 될 수 없이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현시대를 있게 한 바탕을 제공했던 근대산업유산의 가치를 역사적사회적문화적 콘텐츠로써 새롭게 조명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어 여러 의미를 함축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하여 지역의 경제를 활성화시키려는 노력이 늘고 있다. 본 연구는 최초의 개항장으로 그 이후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어 근대의 흔적이 많이 남아 있는 부산의 근대산업유산 중 산업의 기초가 되었고 단일 시설로 존재하기보다는 군으로 존재하여 재활용면에서도 효과가 높은 창고군의 아이덴티티를 강화시킬 수 있는 시각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목재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고 다루기와 구하기 쉽지 않은 석재를 대체할 수 있었던 벽돌조라는 근대의 시대적 특징을 가지며 역사적 배경과 입지 여건, 양식이 비슷하여 비교, 적용 가능한 성공 사례인 하코다테 가네모리 창고군을 부산 영도 봉래 창고군과 동일 조건하에 측색 조사하여 시각적 방법으로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의 조화 요소를 적용하였다. 대상지 두 곳의 주요소와 부요소를 먼셀값과 CIE L*a*b* 값으로 나타내고 색 속성별 색차와 △E값을 도출하여 재활용에 있어서 역사성과 특유의 풍토성을 나타내는 소재성, 연속성이 주변 환경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의 관계성을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는 일상생활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주변 환경과의 관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데 그 적절한 활용은 공간의 효율성과 매력도를 더욱 높여 재활용을 위한 경관 구성요소에 내적, 외적 정체성을 강화시키고 지속가능한 역사경관 형성에 효과적임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가네모리 창고군의 재활용 사례에서 나타나는 색채 분포 범위를 기준으로 영도 봉래 창고군 재활용에서의 색채 개선 범위 방안을 제시하여 연구의 마무리를 지었다. 본 연구는 향후 재활용의 근대 역사문화 경관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Modern industrial heritage created by the demands of the times after industrial revolution in 18th century has been neglected with being deteriorated or has disappeared without being evaluated of its cultural and historical values due to not meeting the needs of present times. Especially industrial facilities have already disappeared or are disappearing without being a subject of discussion on reusable facility due to excessive renovation. Among many modern industrial heritages in Pusan, where you can find many traces of rapid urbanization in modern times since opening the very first port, industrial facilities in port became a part of modern industry basis. In this study, reuse planning of those industrial facilities in terms of color, which would be very effective because they exist in groups rather than as a single building will be considered. Bongrae industrial facilities in Youngdo and Kanemori industrial facilities in Hakodate have not only similar historical backgrounds, site conditions and styles but also similar periodical features which are red brick buildings; in terms of material, bricks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 of wood and substitute for cumbersome and unobtainable stone in modern times. On-site survey and analysis of color value were implemen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those two areas, and the results were applied for coordinating elements of modern historic-cultural landscaping in visual way to enhance its own identity when reusing them. Main elements and subordinate elements at those two sites are shown in color chart with Munsell color system and CIE L*a*b* color system, and by deriving color attribute differentiation and △E value, quantitative data are utilized and analyzed to find out how well local historicity, material with endemism, and its continuity would coordinate with the environment for reuse. Modern historic-cultural landscape has strong influence on our everyday life, and it changes diversely by our environment. So its proper application for reuse will increase efficiency and attraction of the area, strengthen landscape elements’ identity, and be effective for sustainable historical landscaping. This study will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modern historic-cultural landscaping improvement, and prepare the foundation for modern historic-cultural landscaping guideline development.

      • KCI등재

        부산 영도 봉래 창고군의 창조적 재활용을 위한 근대 역사문화 경관색채 계획

        주희진(Ju HeeJin),박연선(Park YunSu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4

        창조적 재활용은 인위적인 것이 아닌 그 지역의 자산과 함께 발굴, 활용하여 특화된 환경을 조성해 나가는 과정이며 본 연구에서는 근대산업유산을 물리적, 기능적, 경관적인 요소로 재활용하는 개념으로 접근한다. 근대산업유산의 창조적 재활용이 도시적 측면에서는 원도심의 경관 형성,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고려하는 컨텐츠의 요소로, 역사 문화적 측면에서는 배경과 특수성을 고려한 복합 문화 공간 재활용의 방법적 수단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조건과 상황, 방식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지역의 원도시와 신도시간의 통합적인 균형을 이루기 위해 구체적인 대상에 대한 재활용 유형의 분석과 가치 평가에 있어서 논리적 근거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적 측면에서 그 유형의 범위를 근대 산업의 기초가 되고 재활용면에서 효과가 높은 창고군의 가치 평가 기준을 색채의 조화 요소로 분석하여 시각적으로 지역 이미지 창출과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 향후 지역 자산을 연계한 창조적 재활용의 근대 역사문화 경관 이미지 개선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1단계에서의 소재성, 관계성, 연속성에 의한 정량적 데이터와 2단계에서 NCS 색체계를 통해 분석된 색채 개선 범위에 상징성, 기능성, 경관성의 근대 역사문화 경관 색채 평가 기준 조화요소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지역의 연계 자산에서 나타나는 색채 분포 범위를 고려하여 영도 봉래 창고군의 창조적 재활용을 위한 색채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대상지의 색채 계획을 하였다. 2단계의 본 연구는 하코다테 가네모리 창고군의 외벽의 주조색이 YR계열의 근대 시기의 상징물인 적벽돌로 대부분 나타났고 국내 대상지도 지금은 훼손되거나 철거되어 있으나 적벽돌조였다는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었다. Creative reuse is not artificial modification but the process of creating specialized environments with discovering and utilizing the remaining regional assets. And in this study the modern industrial heritage will be approached to a concept of reuse as physical, function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Creative re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is actively being reviewed as contents elements containing existing downtown landscape and its regional identity in the urban aspect, and as a means for reuse to be an multiplex cultural facility containing backgroun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ic-cultural aspect. In these aspects, the scope for creative reuse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varies by conditions, situations, and ways. So it needs reusing types analysis and logical basis of value assessment on targeted sites to have integrated regional balances between old town and new one. In this study, the scope of reusing types is discussed in the historic-cultural aspect, and the study target is the warehouse facilities which were a part of modern industry basis and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reuse. Value assessment criteria of the warehouse facilities will be analyzed in color-coordinating elements and methods of creative reuse to create city image and enhance it visually will be shown in this study. On the first step of the study, color improvement range analyzed by quantitative data and NCS based on material, relationship, and continuity and coordinating elements of modern historic-cultural landscape color evaluation criteria in terms of symbol, function, and landscape are applied. Color guideline for creative reuse at Youngdo Bongrae warehouse facilities is proposed including regional associated assets, and also the color planning at the site is shown on this study. On the second step of the study, main color ranges on the exterior walls at Kanemori Red Brick Warehouse facility in Hakodate are YR shades on redbricks which were the symbol on modern times. And it is significant to find the basis of the redbrick buildings at the local targeted site, in spite of damaged or demolished ones. This study would like to lay out the foundation for creative reuse of modern historic-cultural landscape improvement with associated regional assets in the future.

      • KCI등재

        근대 문화유산의 평가 기준과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박재민,성종상,Park, Jae-Min,Sung, Jong-Sang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1

        본 연구는 지역주민, 향토사학자들이 찾아낸 근대 문화유산을 1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최근 근대 문화유산을 보전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등록문화재 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나, 정부와 전문가의 손길이 닿지 않는 곳곳에 숨겨진 지역 문화유산의 발굴을 위해서는 지역에 기반한 현황조사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기준은 서술적으로 기술되어 있어 다소 모호하고, 일부 가치만을 반영하고 있어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반면, 80년대 이후 서구 유럽에서도 유사한 논의가 전개되었으며, 평가기준에 있어 초기 건축적, 미학적 가치만이 아닌 사회문화적, 학술적 가치와 최근에는 경제적 가치를 중요한 평가가치로 제시하며 발전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양에서 시계열적으로 확장되어온 문화유산의 선정가치를 참조하여, 보전 가치와 관련한 역사적, 미학적, 사회 문화적, 학술적 가치, 활용 가치와 관련한 교육적, 경제적 가치로 구분하여 재구성하여 제안하였다. 다만 선정된 가치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음에 따라,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와 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으로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었던 역사적 가치는 여전히 가장 주요한 선정 기준이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과거 중요한 가치였던 미학적 가치는 새롭게 등장한 사회 문화적 가치 비해 낮게 평가되었다. 개별 시설의 아름다움보다는 근대문화유산의 사회, 환경적 관계를 보다 중요시함을 알 수 있었다. 활용가치의 경우, 보전 가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 건축적 가치와 미학적 가치 중심으로 평가되어 사라지고 있는 근대 문화유산에 대해 다각화된 가치를 선정 기준으로 반영함으로써, 지역민 스스로도 지역 내 근대 문화유산을 비교적 쉽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value criteria that citizen evaluate themselves it when they found modern heritages in their town. To understand the changing of value criteria for the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begin from early 20 century that were, however, diversified after 80's. As a result, early they evaluated with the architectural and aesthetic value mainly, after they evaluated with th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nowadays they try to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So this study rearranged and divided that value with the preservation and using value. The preservation value include the historical value, aesthetic valu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the using value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The criteria, however, don't have the equal importance, This study try to redefine relative importance score with paired comparison. As a result, Historical value is proved that most important criteria, but aesthetic value got the score lower than social-cultural value, and similar with academical values. And in using values,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got the low score. It means that if some researcher insist about the importance of economical value, it should evaluate lower than preservation values. This study insist that we have to include diversified values and that values have relatives score. Actually, now we mostly evaluate with the architecture and aesthetic values about modern heritage, so we are losing a lot of modern heritage. If we include the diversified values, social-cultural, academical and educational value, we can conserve our important modern heritage and revitalizing town with tourism of historical heritage.

      • KCI등재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부산 도시재생의 특성과 지향

        강동진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2004~2015) 부산에서 진행된 역사문화환경과 관련된 각종 재생사업들에 대한 특성과 지향점에 대한 분석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 이의 달성은 도시 전반에 걸쳐 진행되었던 각종 재생활동에 대한 반성과 앞으로 부산이 추구하여야 할 도시재생사업의 방향 재설정의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부산의 경우, 도시의 역사와 문화를 재생사업의 대상으로 활용하는 시도는 전국 어느 도시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되며, 최근 산복도로와 원도심을 중심으로 한 재생사업의 성과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표면적인 결과에 비해, 재생사업의 근거가 되는 역사문화환경들이 왜 소중하고 또한 미래에도 지속가능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의 심도는 크게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대한 방향성 타진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었다. 본 연구는 지난 10여 년 동안 역사문화환경과 관련된 52건의 재생사업들을 분석하였다. 이 중 재생과정에 있어 특이성과 양면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6개소 사업의 재생과정에 대해서는 미시 분석을 하였다. 이의 결과들을 종합화하여 역사문화환경과 관련된 부산 도시재생의 경향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도시조직,’ ‘생활․산업유산,’ ‘문화경관’ 등 세 가지 요소들이 부산 역사문화환경의 핵심적인 근원(체)이라는 점을 규명하였고, 이에 근거하여 ‘일상의 삶 개선,’ ‘맥락 보존,’ ‘부산다움의 발굴’을 역사문화환경과 관련된 부산 도시재생의 지향점으로 정립하였다. 이와 함께 지향점 실천의 수단으로 ‘부산 근대성 보존재단의 설립’과 ‘부산유산 개념의 제도화’를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poin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hat have taken place in Busan’s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 for last 10 years(2004-2015), and a new aim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s proposed based on our analysis. Busan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ttentive city in utilizing its history and culture as the targe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recently many results i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observed in Snabockdoro(Hillside Road) and historic urban core. However, despite the results, an intensive study of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s’ meaning and their sustainability is still lacking for supporting regeneration projects. For this reason, we analyzed more than 50 urban generation projects related to historic cultural environments executed within past 10 years, and we propose a new direction for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fact, our research conducted a microscopic analysis on Yeongdo Bridge, Camp Hialeah, Youngjudong Step Alley, Daecheong-Ro, Dong River, Abandoned Railroad of Donghaenambu Line, which exhibited uniqueness and double-sidedness during its regeneration process. Upon summarizing our result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process in Busan were acquired. The results show that 1) urban fabric, 2) living and industrial heritage and 3) cultural landscape are the three core elements that Busan’s historic culture environments are made of. And based on this result we propose an 1) improvement of daily life, 2) preservation of context and 3) discovery of “Busan-ness” as the new goal of Busan’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related to the historic culture environments. As a method to realize this new direction, we suggest an 1) establishment of the Busan Modernity Preservation Foundation and 2) institutionalization of Busan Heritage.

      • KCI등재

        문화관광지의 문화정치와 정체성의 사회적 구성

        조아라(Ara Cho)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3

        이 연구는 일본사회적 맥락 속에서 지방도시가 관광을 통해 새롭게 창조됨을 밝히고, 지역의 의미가 사회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문화관광지의 지역정체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프로세스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문화관광지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개념틀을‘재해석’, ‘제도화’, ‘재인식’단계로 제안하였다. 둘째, 일본 지방도시 오타루의 운하보존운동과 역사관광지화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문화관광지의 사회적 구성 과정 단계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셋째, 지역정체성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작동하고 있는 주된 메커니즘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이 정체성의 정치를 통해 새롭게 재해석되며, 경제적 동기로 인해 그 의미가 수정되고 타협되며 제도화된다는 것을 밝히고, 기억의 정치를 통해 구성된 진정성으로 확립되면서 끊임없이 재구성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reveal that a local city was recreated by tourism, and to discover a general process in which the regional identity as a tourist destination was reconstructed. Specifically, first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ocial construction of cultural tourist destinations was composed of a series of dynamic stages such as ‘reinterpretation’, ‘institutionalization’, and ‘recognition’ conceptually. Secondly, the dynamic stages were analyzed on the ethnographic study of Otaru where the movement of preservation of the historical canal was raised and strategies to attract tourism had been implemented. Thirdly, a main mechanism acting on each stage was examined.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region was reinterpreted through the politics of identity and the meaning was institutionalized through political and economic negotiation. Moreover, while being established as a constructed authenticity by politics of memory, the regional identity was embedded in the socio-spatial consciousness constantly.

      • KCI등재

        일본의 토착산업(地場産業)과 지역문화

        황달기(Hwang, Dal-Kee) 일본어문학회 2016 일본어문학 Vol.73 No.-

        有田は有田焼産業によって地域文化の性格が決定される産業文化地域で ある。このような地域社會は地域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を强調したり、表現する手段として地場産業を集中的に育成してきた。その結果、400年の 歴史と傳統の中で成長してきた有田焼は産地の公的財産であり、文化資本でもある。人々はこの文化資本を社會と市場の要求に合わせて変化させな がら、彼らの生き方を限りなく再構成している。有田焼のような地場産業は基本的には大量生産ではなく、高附加價値製品の少量生産によりふさわ しい。市場の需要にすばやく對應するための機械化を追求すれば、逆に産 地の傳統性は損なう特性を持っている。しかし、急變する社会と市場は傳 統の維持と繼承を保証しない。傳統の再構成や革新を求めるのである。有田の地域文化は有田焼の産業的特性を反映しながら觀光という新しいコン テキストにおいて再構成される。日本の地域社會は高齡化と少子化で過疎化が急進展されている。このような地域で地域活性化の手段として地場産 業を選択するだろう。今後、地場産業がどのような方式で地域活性化に活用さるか、多くの事例調査と分析が必要である。地場産業は地域文化の持 續可能性を保障する最も重要な手段であるからである。 Arita is a cultural and industrial area that is characterised by the local culture in the industry of Aritayaki. This community has emphasized the identity of the region as a means of expression, and has intensively fostered the indigenous industry. As a result, Aritayaki, with the 400-year history and tradition, has become a public asset and cultural capital in the area. People in Arita have changed this cultural capital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the society and the market, constantly reconstructing their way of life. The indigenous industries such as Aritayaki are basically more suitable for small-quantity production with added value rather than mass production. To introduce an automated production system to enable the quick response to the market’s demand would undermine the tradition of the local product place. However, the maintenance and the inheritance of tradition are not guaranteed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market, which require the reorganization of the traditions and innovations. The local culture in Arita is reconstructed in the new context of tourism while it reflects the industrial nature of Aritayakim. Depopulation has been accelerated in Japanese local regions due to population ageing and declining birth rates. These regions will choose a local indigenous industry as a means of activation. More case studies and analyses are required to consider how local industries are made use of for activating local communities. Indigenous industry is an important mean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local culture.

      • 산업유산의 경관요소 적용을 통한 문화경관 형성에 관한 연구

        이지현(Lee Ji-Hyun),동정근(Dong Jung-Keun) 대한건축학회 200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7 No.1

        Cityscape is visibly showed by urban life style. It involves com positive cultural landscape that is read by change of a city. Cityscape also implied concept of Landscape, Scenery, Amenity meaning rural scene in the past but now, it expand concepts of variety layers that complement limit of modern architecture. From among the concept landscape includes many organization elements that are nature, society, culture, and it is the most suitable concept inquiring into the whole city. Industrial heritage has characteristic of historical and geographical background, as modern heritage of industrialization process. Therefore, The reason rapid urbanization Industrial heritage can become complement role about breaking off phenomenon of transition step from premodern to the present day and method that shows industrial technology or history of the area life that specific region develops. Whereupon, this paper sort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heritage, and analyze landscape elements applied on cultural landscape examples and application method. This paper means finding out mothodology that insert industrialization heritage into elements of cultural landscape to establish local identity and place ness.

      • KCI등재

        장항의 산업유산 분포 현황과 도시 형성 과정

        박재민,성종상 국토지리학회 2012 국토지리학회지 Vol.46 No.2

        This study is aimed to research the industrial heritage in Janghang town which was established as an industrial city in the early modern era. In general, for the method to find historical heritage, field survey and literature review have been commonly us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owever, suggests another method which is called ‘Place memory’ that is a memory in place. This research extracted it from citizen in Janghang town. As a result, 45 historical places and landscapes were found in this study while only 7 were found in the previous research. Janghang town has three main points as industrial heritage, which are the Janghang smelting factory, Port and Station. Those are connected with supporting facilities such as housings, schools, banks, markets, and religious facilities including offices and factories related to the main functions for themselves, and so forth. Janghang town which was a famous industrial city industrialized and modernized between 1920 and 1980 in korea. After 1980’s, However It was decayed because of the change of industry structure and the pollution of air and soil.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은 한국 근대 산업화 초기, 일본의 미곡과 자원 침탈을 위해 조성된 산업도시로서, 한국 근대사에 있어 중요한 장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경제적 개발 논리 속에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 장항의 산업유산은 서서히 멸실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항 내 남아있는 산업유산의 분포 현황을 찾고 그 산업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살펴보았다. 기존 현황조사에서는 주로 문헌조사와 현장 확인을 주로 하였지만, 장항의 경우 관련 자료가 많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인터뷰를 통한 주민의 ‘장소기억’을 수집하여 보완하였다. 그 결과 45개의 현존시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으로 산업시설 17개소, 이를 지원하던 주택, 숙박, 종교, 문화 시설 20개소, 제련소 벽돌 등의 기타 8개소를 확인하였다. 장항의 산업화는 1920년대 도시계획과 토지매립을 시작으로, 장항제련소, 장항항, 장항선과 장항역의 3대 산업시설을 중심으로 생태계 조직처럼 성장하였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을 지나며 국가 산업구조 변화와 환경오염 문제 등의 이유로 산업도시로서의 기능이 약화되며 근대 도시 장항은 쇠퇴의 길을 걷게 되었다.

      • KCI등재

        경관유산의 범위 정립 - 경관 관련 유산 유형의 국제적 인식 확대를 바탕으로 -

        김순기 한국경관학회 2022 한국경관학회지 Vol.14 No.2

        The recognition of the scope of the heritage as an object of preservation has continued to expand, based on ongoing additional agreements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oncept of heritage, which had been limited to architectural heritage in the early days, was recognized by adding various types of heritage, which can be called types of landscape heritage, such as cultural landscape, historical urban landscape, industrial heritage, historical garden, and historical urban park. In terms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 new approach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beyond the principle of heritage preservation, which is simply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form, has been required. For this, this study traces the process of expanding awareness of heritage types, especially landscape-related heritage, among the internationally progressed awareness expansions, and based on this, attempts to establish the scope concept of landscape heritage by comparing it with the scope concept of other landscape-related heritage terms. In this study, as a main research method, content analysis is conducted on various international consensus documents that show the expansion of heritage-related awareness, such as international charters, conventions, recommendations, and documents, by using the content analysis technique for heritage-related international documents. And then, terminology showing the expansion of landscape-related heritage awareness was identified. After extracting and examining how to define these terms in each document, it tried to define the scope of the landscape heritage by comparing the scope of each term and clarifying the relationship. Through this process, the concept of the scope of the landscape heritage deriv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Landscape heritage includes the concepts of natural landscape, historic garden, cultural landscape, traditional landscape, historic urban landscape, industrial heritage (industrial landscape), and historic urban public park extracted from various document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at have been agreed for the preservation of landscape-related heritage. However, in the future, more diverse heritage types related to landscape will be added as subtypes of landscape heritage. Therefore, although the scope of landscape heritage includes all the types of landscape-related heritage recognized so far, it can be defined still as an ambiguous bound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