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남지역 산신도에 보이는 민화적 요소

        김수연 한국민화학회 2023 한국민화 Vol.- No.18

        In the 19th century, the Buddhist community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the continued collapse of the temple economy. In order to break down this situation, the Buddhist community worked hard to propagate to the public with strong mountain beliefs that fit the needs of the people at the time. Buddhism's mountain belief is a combination of folk beliefs that have long been carried out in the private sector with Buddhism. Perhaps that's why, unlike other Buddhist paintings that have to show religious dignity, Sanshindo feels familiar and free to entertain without being tied to form. However, since Sanshin Island is also a religious painting, and it is a painting by a group in which the flower vein is connected due to a private relationship, it was created by repeating the same pattern. Nevertheless, unlike other Buddhist paintings, Sansindo was free to transform the iconography, and the folktale elements, which were the taste of the public at the time, were reflected. Many Sanshin paintings(山神圖) have been produced nationwide, with the majority of Sanshin paintings in the Yeongnam region, and there are many Sanshin paintings, which is an early example, showing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anshin paintings.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looked at the mountain gods in the Yeongnam region. The early 19th century was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anshin paintings iconography, with armed figures different from the commonly known Sanshin paintings, and Sanshin paintings mixed with the appearance of bureaucrats. This can be said to show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mountain god, which was the main mountain god of Hwaeomgyeong, into an independent iconography. In the mid-to-late 19th century, we looked at the formation of the mountain god as we know it. At that time, most of the Buddhist monks of Sabulsan Mountain performed in the Yeongnam region, and this was also seen in Sanshin paintings, and in addition, the Sanshin paintings produced by the painters of Haeinsa Temple was also examined. In the 20th century, we looked at the Sanshin paintings produced by Yang Wan-ho and his faction, who were active in Busan at the time, and in the second half, we could see the influence of Western painting styles. Since Sanshin paintings is different from the nature of the general Buddhist painting and is a Buddhist painting for mass missionary work, a folktale element that reflects the taste of the public at the time was reflected. In this paper, it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tiger, fruit, and arithmetic background. As Sanshin paintings is a product of undulating and popular Buddhism, it has a clear contact point with folk paintings, and it is a valuable material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folk paintings because it can know the production time, region, and writer. However, in this paper, it is regrettable that it was not able to deal with Hwaseungs in other regions that left a ritual for mountain gods in the Yeongnam region, a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folk paintings was not examined more closely. Folk paintings, which cannot be specified in time, are thought to be able to specify the time to some extent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folktales with Buddhist paintings such as Sanshin paintings, which clearly remains in their early years. Therefore, this part is thought to be a task that must be continuously carried out in the future. 19세기 불교계는 지속된 사원경제의 몰락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었다. 불교계는 이러한 상황을 타파하기위해 당시 민중들의 요구에 맞는 기복적인 성격이 강한 산신신앙 등을 앞세워 대중포교에 힘썼다. 불교의 산신신앙은 오랫동안 민간에서 이어져온 민간신앙이 불교와 결합된 것이다. 그래서인지 산신도는 종교적 위엄을 보여 줘야하는 다른 불화와 달리 친숙하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화취가 느껴진다. 하지만 산신도 역시 종교화이고, 사승관계로 화맥이 이어진 집단에 의한 그림이기 때문에 동일한 본에 의한 도상이 반복되며 조성되었다. 그래도 산신도는 다른 불화와 달리 도상의 변용이 자유로웠고, 당시 대중의 취향이었던 민화적 요소가 반영되기도 하였다. 산신도는 전국적으로 많이 제작되었는데, 영남지역의 산신도가 다수를 차지하고, 초기 작례에 해당하는 산신도가 다수 있어, 산신도의 모습이 정립되는 과정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이에 주목하여 본고에서는 영남지역 산신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19세기 초는 산신도 도상의 성립기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산신도와는 다른 무장을 한 모습의 신장형과, 신장형에 관료의 모습이 섞인 산신도들이 조성되었다. 이는 화엄경의 주산신이었던 산신이 독립도상으로 분리되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중·후반기는 우리가 알고 있는 산신도상의 모습이 성립된 모습을 살펴보았다. 당시 영남지역에서는 사불산 화승들에 의해 대부분의 불사가 이루어졌는데, 산신도에서도 이 모습을 살펴 볼 수 있었고, 이외에 해인사 화승들이 제작한 산신도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20세기는 근대기에 제작된 산신도상의 모습으로 당시 부산에서 활동한 양완호와 그 일파가 제작한 산신도를 살펴보았는데, 후반기가 되면 서양화풍의 영향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산신도는 일반적인 불화의 성격과는 다르고 대중포교를 위한 불화이기 때문에, 당시 대중의 취향이 반영된 민화적인 요소가 반영되었다. 본고에서는 호랑이, 과일, 산수배경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산신도는 기복적·대중적 불교의 산물인 만큼 민화와의 접점이 뚜렷하고, 불교회화로서 제작시기, 지역, 작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민화가 지닌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영남지역에 산신도 작례를 남긴 다른 지역의 화승들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했고, 민화와의 관련성도 좀 더 면밀히 살펴보지못한 아쉬움이 있다. 시기를 특정 할 수 없는 민화는 기년명이 확실하게 남아있는 산신도와 같은 불화와의 민화적 요소 비교 연구를 통해 어느 정도시기를 특정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따라서 이 부분은 향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과제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사찰의 산신각(山神閣)과 산신의례(山神儀禮)

        김형우 ( Hyoung Woo Kim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3 禪文化硏究 Vol.14 No.-

        한국 사찰에 산신각(山神閣)이 어느 시기에 어떤 과정으로 건립되었고, 그 신앙 의례은 어떠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인지를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불교 수용 이전부터 우리나라에서 신앙되었던 산신(山神)은, 삼국시대 불교의 수용과 더불어 가람을 보호하는 신중으로 받들어졌다. 큰 마찰 없이 토착의 산신이 불교에 수용될 수 있었던 것은, 가람이 성스러운 존재가 머무는 신령스러운 장소라는 영지신앙(靈地信仰)과 불국토 옹호의 기능을 지닌 화엄신중(華嚴神衆)에 대한 신앙이 배경이 되었다. 사찰의 경내에 산신을 상설로 봉안하는 산신각의 건립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나 고려시대, 조선 전기의 사료에서는 사찰 경내에 산신을 따로 모신 산신각 건물이 있었다는 기록을 찾지 못했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 이르러 산신각을 창건하였다는 기록이 여러 사적기에 보이고 있다. 아울러 산신각 신앙 의례도 조선 후기에 와서 성립된 것으로 필자는 보았다. 조선 후기 사회적 변환기를 맞이하여 불교신앙 의례는 민속화, 예능화 되는 경향을 띠게 된다. 서민들과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면서 그들의 다양한 신앙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민속의 여러 신앙 체계를 사찰이 받아들인 것이다. 그리하여 명부신앙(冥府信仰), 칠성신앙(七星神仰) 등이 활성화되었고, 이러한 경향의 일환으로 동신제(洞神祭)의 주요한 신으로 받들어지던 산신을 봉안한 산신각이 각 사찰마다 건립된 것으로 생각한다. 불교에 수용된 산신은 삼단신앙의 구조에서 볼 때, 신중단인 중단에 속한다. 불교 본연의 신앙의례인 경우 불보살단인 상단(上壇)이 중심단이 되고, 중단(中壇)은 외호신중단으로 기능을 한다. 하지만 불교에 수용된 산신, 칠성 등의 신앙의례의 경우는 상단은 증명단이 되고 중단이 불사의 중심단이 되는 특성을 지닌다. 조선 전기 이전 시기에 산신이 단순히 불법과 가람의 옹호신중으로서의 역할을 할 때에는 불사(佛事) 때 도량으로 산신을 모시는 청사(請詞)만이 있었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중단인 산신이 산신기도 등 불사의 중심단이 되는 기도 의례 등이 열리면서, 산신청(山神請)에 이어 유치, 권공, 축원 등의 절차를 갖추게 되었으며, 산왕경(山王經)이라는 경전도 생기게 되었다. 산신은 가람의 수호신으로서 산속 수행과 교화활동의 평온을 비는 외호신으로 받들어짐과 동시에, 일반 신자들이 사업 성공과 재물 등의 복을 비는 기도의 대상으로 현대에 이르러서도 일정한 기능을 하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y of building structures for mountain spirits in Buddhist temples in Korea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ed religious rituals. Along with the acceptance of Buddhism in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the mountain spirits, although serv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have become more importance as the protectors of the temples. The mountain spirits were absorbed in Buddhism without big frictions. The background of this smooth acceptance is the belief on the territorial spirits that makes the temples the places for mystical beings and the faith on the Buddhist spirits that protect the land. The author claims that the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for permanent enshrining of mountain spirits has started in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There are no documents that record the existence such building structures in Silla, Koryo, and early Chosun Dynasty. The evidences of the constructions of buildings for mountain spirits in latter Chosun Dynasty are present in many historical documents. Also the rituals for the mountain spirits are assumed to be settled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latter chosun Dynasty period, the Buddhism rituals began to poss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lklores and the art performances. As the Buddhist temples became closely related to the general public, it accepted many religious structures of the folklore in order to meet the their religious desires. Accordingly, the mountain spirits, the main gods served in the ancestral rites of villages, have been accepted in Buddhist temples and the building structures for them have been constructed in all temples. In the structure of religious believes, mountain spirits in Buddhism belong to the middle level or the second level in the three-level structure. The upper level for the Buddha is in the top of the structure and the middle level for holy spirits is the core of the Buddhist religious rituals. When the mountain spirits were considered to have only the role of protecting the temples, prior to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there was only the calling ceremony for them in the Buddhist rituals. In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additional ceremonies for presenting offerings and praying have been included. Mountain spirits have significant functions even in modern era. In addition to their function of protecting the temples, they are the gods for the peaceful ascetic lives and also the subjects for praying for the offspring and wealth for the believers.

      • KCI등재

        산신도(山神圖)에 표현된 산신(山神)의 유형

        김영자(Kim Young-ja) 한국민속학회 2005 韓國民俗學 Vol.41 No.-

        산신은 한국의 신령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신령으로 다양한 종교적인 바램을 수용하고 있기 때문인지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다. 최고위를 차지하는 산신은 무속 뿐만 아니라 불교에서도 중시되었다. 그러나 산신을 표현하는 방식은 불교와 무속에서 기본적으로 공통적이나 다소의 차별성도 찾아진다. 이는 산신이라는 동일한 존재에 대한 각기 다른 이해의 방식을 살피는 자료가 된다. 고대사회에 불교의 수용에 따라 토착종교와 불교가 융합되어 새로운 모습을 갖추게 되면서 사찰에 봉안된 산신도는 산신에 불교식 외피(外皮)가 입혀져 있다. 불교 계통의 산신도에는 스님형 산신도가 나타난다. 불타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공간인 사찰이라는 특징이 결국 스님과 같은 형태의 산신도를 봉안한 것이다. 또한 불교 계통의 산신도에만 나타나는 신중형 산신도가 있다. 신중은 불교의 호법신(護法神)으로, 산신이 그중 33천의 우두머리인 동진보살의 형상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산의 수호자인 산신을 불법의 수호자로써의 가장 큰 존재와 동일시한 것으로 산신이 지닌 기본적인 성격에 기인한다. 무속식 산신도에는 대감혐, 신장형의 산신도가 있다. 전자는 세상에서 막강한 힘을 소유한 대감이라는 존재를 통해 그들의 신령을 표현하는 관습에 의한 것으로, 산신 역시 막강한 힘의 소유자임을 표현하는 것이라 하겠다. 후자는 무력(武力)을 지닌 강한 존재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종교에서 모두 모시는 산신도에는 도인형 산신도와 여성형 산신도가 있다.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도인형의 산신의 경우, 호랑이에 따라 세 가지, 즉 호랑이가 산신이 타는 승물(乘物)로 나타나는 경우의 기호산신형 호랑이가 산신 옆에서 시동과 함께 같은 표정으로 표현되는 삼위일체형 그리고 호랑이가 산신의 몸을 감싸면서 나타나는 산신시위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세 가지의 경우는 모두 호랑이가 산신의 신변을 지켜주는 수호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화풍상으로는 불화계통의 영향을 많이 보여주고 있다. 특히 산신, 호랑이, 시동의 삼위일체형의 경우, 각기 다른 모습 속에서 하나의 일체된 모습을 구현하고 있다. 여성 산신도의 경우 여성의 나약한 이미지를 보완하려는 듯, 반드시 호랑이가 시자로 등장시킨다. 무속 계통의 산신도에 주로 나타나지만 간혹 사찰에도 등장한다. 산에 대한 고유한 관념이 불교나 무속에 투영된 결과이다. 여성 산신도는 젊은 여인 혹은 할머니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할머니 산신은 때로는 중후하게, 때로는 엄하게, 때로는 자애로운 모습으로 인간세계의 할머니의 자애롭고 희생적인 모습이 그대로 신령으로 태어난 것이다. 반면에 젊은 여산신은 여성의 최대의 소원인 출산과 연관지어 볼 수 있다. 이처럼 산신의 모습이 다양하다는 것은 산신에 대한 다양한 관념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산이 지니는 은밀함은 결국 산신을 세속과는 무관한 존재인 도사나 승려로 표현하였다. 또한 산에 대한 지역민의 전통적인 관념은 산신을 여성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남성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여성 산신은 전동적인 산에 대한 관념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산신에게 바라는 인간의 가장 강렬한 소망인 자녀 생산(生産)이라는 점이 부각되기도 한다. 세상에서 가장 막강한 힘을 지닌 존재인 대감은 강력한 종교적인 힘을 바라는 민간인들의 종교적인 바램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대상이기도 한다. 이처럼 산신은 막연한 산의 주인이 아니라 인간에게 다양하게 다가서는 존재인 것이다. The mountain god represents one of Korea’s most typical indigenous gods and because the god facilitates various religious wishes, the mountain god is depicted in various forms. The mountain god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highest heavenly beings and it is, therefore, not only considered important in terms of Korea’s indigenous religion but also in Buddhism. Although one can draw common elements in how the mountain god is depicted in Buddhism and in Korea’s indigenous religion, there are also slight differences in how it is represented. These different representations serve as useful materials for studying how the mountain god is understood in different ways. In ancient society, as Buddhism embraced indigenous religion, and the two religions were fused together in harmony, paintings of the mountain god enshrined in Buddhist temples were depicted as god clothed with Buddhist-style outer coatings. In Buddhist paintings of the mountain god, they depict the god in the form of Buddhist priests. Buddhist temples, where Buddhist teachings are implemented, ended up enshrining paintings of the mountain god in the form of Buddhist priests. One will also find paintings of the mountain god in Buddhist style, depicting a group of 108 gods or so-called “Shinjung-hyung Sanshindo.” The group of 108 gods is guardians of Buddhism, and the mountain god is depicted as Dongjin Boddhisattva, which is the head of 33 thousand heavens. On the one hand, the treatment of the mountain god, which is a guardian of mountains, as one of the highest gods guarding Buddhism can be understood a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mountain god. On the other hand, the mountain god in indigenous religious paintings is depicted as either a “Daegam” type or as “Shinjang” type. The former represents a high official possessing great power and accordingly, the mountain god is also depicted as a possessor of one of the greatest powers. The latter represents a military general who possesses one of the greatest physical powers. In paintings of the mountain god of both religions, there is a Taoist painting of the mountain god and a feminine type of mountain god. In case of the Taoist painting of the mountain god,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types of paintings, there are three types of paintings according to how tigers are represented. In the “Giho Sanshinhyung” type of painting, the mountain god is mounting a tiger; in the “Samwi Ilchehyung” or “Trinity” type of painting, a tiger is sitting next to the mountain god and his messenger; and in the “Sanshin Shiwihyung” type of painting, a tiger is winding around the mountain god. In all three paintings, the tiger is shown as acting as a guardian, protecting the mountain god. In terms of the style of painting, they show that they have been influenced by Buddhist-style of painting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Trinity" of the mountain god, tiger and messenger, they show a unity within the depiction of their individuality. In the case of feminine-type paintings, a tiger is always present appearing as a messenger as if to complement the weak image of women. These feminine-type paintings appear mainly in indigenous religious paintings but they also appear in Buddhist paintings from time to time. This seems to indicate that a traditional concept of mountain is being reflected in Buddhist and indigenous religious paintings. In case of the female mountain god, she is depicted as a young woman or an older woman (a grandmother). The expressions of the grandmother mountain god are depicted sometimes gravely, sometimes strictly, and sometimes generously as if the generous and self-sacrificial nature of grandmothers is born in the spirit of god. On the other hand, the god in the form of a young woman is seen as representing one of the greatest wishes of women, which is fertility. The fact that there are various forms of the mountain god means that there are various concepts associated with the god. T

      • KCI등재

        신라 五岳과 불교의 산신신앙 연구

        최진구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3 新羅文化 Vol.42 No.-

        산은 고대로부터 경외의 대상이었으며 생활의 터전이기도 하였다. 이는 곧 우리 민족의 고유한 민간신앙 가운데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산악숭배의 형태로 나타나는 산신신앙이 되었다. 단군이 아사달로 들어가 산신이 되었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으로 미루어 볼 때 우리 민족의 산신신앙은 그 유래가 단군조선시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신라, 백제가 각각 산신에게 제사하는 제도를 국법으로 행하고 있었으나 그 중에서도 신라가 가장 체계적이고 조직적이었다. 신라는 삼국통일 전부터 경주를 중심으로 오악이 성립되어 있었으며, 삼국통일 후 이 오악은 국토의 확장에 따라 확대되었다. 이렇게 확대된 삼산·오악의 제사 체계에 따라 왕이 친히 전국 명산에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 따라서 산악숭배에서 시원한 산신신앙은 우리 민족의 토착신앙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산에 대한 신앙은 산신에게 제사하는 산신제가 되었고 국가 제의로 발전하면서 산을 섬기는 것은 나라를 지키면서 왕권을 보호하는 것과, 천재지변을 물리치는 목적으로도 활용되었다. 이렇게 한반도 고대인들의 생활속에 신앙으로 자리 잡고 있던 산신신앙이 외래종교인 불교가 전래되면서 변화의 계기를 맞게 된다. 고구려와 백제는 불교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큰 저항없이 왕의 권위에 의해 순조롭게 수용되었지만, 신라의 경우는 장기간에 걸쳐 내부적 갈등을 겪어야 했다. 그 이유는 신라사회에 뿌리내린 토착신앙이 상당히 깊게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차돈의 순교가 토착신앙과 불교와의 갈등을 대표하는 사건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불교 교리는 타 종교에 비해 지극히 개방적이고 관용적인 다원주의적 포용성을 지니고 있고 그러한 특성이 불교와 관련이 없던 토착신앙인 산신과 융합하게 되었다고 하겠다. 또한 불교의 성지신앙은 한국 특유의 산신신앙 및 산악숭배사상과 맞물려 청정과 광명숭앙을 내용으로 하는 불교 신앙과 융합되었다. 산악에 대한 이러한 관념이 산신신앙을 쉽게 사찰에 끌어들였던 것이다. 오늘날 한국불교 내에서 산신의 지위는 가람의 수호신 역할의 기능과 함께 청정도량에서의 수행 생활의 평온을 기원하는 외호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 KCI등재

        세종시 양화리 원수산 산신제의 전통과 전승양상

        강성복(Gang, Seongbok),박종익(Park Jongik) 어문연구학회 2013 어문연구 Vol.75 No.-

        원수산 산신제를 위한 산제계(山祭契)는 조선후기에 결성되었다. 이런 점에서 원수산의 동제는 오랜 역사성을 지닌다. 곧 조선후기에서 오늘에 이르는 동제의 전통이 산제계 문서를 통하여 전해 내려오고 있다. 아울러 이 문서에는 오랜 세월에 걸친 산신제의 지속과 변화에 관한 단서가 담겨있기도 하다. 산신제의 목적은 지극히 명료하다. 문서에 따르면 우순풍조(雨順風調)와 시화연풍(時和年豊)을 꼽고 있다. 순한 비바람을 통하여 풍년이 들기를 소망하는 것이다. 이는 이 고장의 산신제가 농경을 주업으로 삼는 사람들에 의해서 수행되어 왔음을 나타내는 것이고 할 수 있다. 물론 제의 목적은 시대나 상황에 거기에 맞게 변하기도 하지만 우순풍조 시화연풍은 예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어 왔음을 볼 수 있다. 원수산 산신제의 유지는 산제계가 존속됨으로 해서 가능하였다. 원수산을 둘러싸고 있는 각 마을에서 계를 조직하여 운영함으로써 경제적인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원수산 산제계가 성립되고 지속되었던 배경에는 양화리 일대가 부안임씨 종족마을이라는 혈연ㆍ지연적인 요소도 크게 작용하였다. 원수산 산신제는 조선후기 반촌에서 거행되었던 산신제의 전통이 20세기 이후 부단한 변화과정을 겪으면서 전승되고 있는 흔치 않은 사례이다. <산제홀기(山祭笏記)>에 세세하게 기록된 바와 같이 그것은 조선시대의 엄격한 유교식 산신제의 관행을 계승한 것이다. 그런 가운데 일제 말기, 특히 해방 이후 반촌의 권위가 붕괴되면서 홀기에 의거한 제례의식이 상당부분 축소되었다. 이 무렵부터 산신제는 점진적으로 쇠퇴하다가 1980년대 이후 더욱 급격하게 쇠약해졌다. 이때 양화리 주민 임장철씨가 중심이 되어 산신제를 복원하려 하였다. 그는 원수산에 제당을 차려놓고 백일기도를 하였다. 또한 매년 같은 시기에 산신제를 지내며 마을의 평안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고 있다. The rite for mountain god in Wonsusan was organized by the association of mountain rite (山祭契). The purpose of rite is to pray for “mild rains and good winds(雨順風調)” and “peaceful nation and good harvest(時和年豊)”. The rite for a mountain god could survive due to the existence of the association of mountain rite. Each village surrounding mountain Wonsu organized an association to support the expenses required for rituals. The characteristics of villages tied with kinship strongly affected the establishment and succession of the rite for a mountain god: Buan, Lim family occupied Yanghwa-ri area closely connected with blood and region. The rite of for a mountain god at Wonsu Mountain is a rare case of the rituals which survived many historic changes of the twenties century and continued its existence originally derived from the village ritual of the late Chosun dynasty. As illustrated in the Book of Mountain Ritein details, this succeeded the rigorous tradition of Confucius rite. With the disintegration of a village structure from the late colonial period to the liberation period, many rituals and ceremonies based on the Book of Mountain Ritecame to be minimized. Since then and especially after 1980’s, the rite for a mountain god got deteriorated. Lim Jangcheol and other residents of Yanghwari made efforts to revive the rite for a mountain god. He prayed for one hundred days at the Wonsusan shrine. Moreover, they serve the rite four a mountain god at the same period every year and pray for peace of village and good harvest.

      • 19세기 후반 산신도에 표현된 호랑이 연구

        정효심(Cheong, Hyo Shim)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3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2 No.-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후반 기년명 산신도 현황을 중심으로, 산신도에 보이는 호랑이의 유형과 형태, 그 밖의 표현 등을 살펴보았다. 19세기 후반의 기년명 산신도 현황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경상도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많은 산신도를 조성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적은 수를 보인 강원지역의 경우에도, 『유점사본말사지』에 의하면 1851년대~1900년대에 조성된 기년명 산신도가 모두 13점임을 알 수 있다. 제작 년대가 밝혀지지 않은 표훈사 11점을 포함하면 결코 적은 수가 아니다. 호랑이의 유형은 자세에 따라 입호(立虎), 좌호(坐虎), 복호 (伏虎)로 나누었으며 가장 많은 유형은 복호이다. 유형의 변화에 있어서는, 입호의 경우는 시기가 현대와 가까울수록 호랑이 등 위에 위치했던 산신이 호랑이 몸 아래로 내려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기호산신형(騎虎山神形)이 점차 산신보위형(山神保衛形)으로 바뀌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좌호는 호랑이가 산신의 곁에 있다가 시기가 가까울수록 산신의 모습이 점점 커졌다. 상대적으로 호랑이의 크기가 작아졌고, 또한 산신과 떨어져 앉아 있는 형태로 나타났다. 복호는 산신도에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3종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Ⅰ형은 산신을 반쯤 에워싼 복호로 꼬리가 위로 치켜 올라가 있어 시기와 상관없이 꾸준히 보이고, Ⅱ형은 산신을 완전히 감싸는 산신보위형으로 드물게 나타났다. Ⅲ형은 산신 옆에 몸통을 반쯤 내밀고 엎드려 웅크리고 있는 모습으로 19세기 후반 늦은 시기에 나타나 많이 그려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형태는 호랑이 무늬를 나타낸 것을 호(虎), 표범 무늬를 나타낸 것을 표(豹), 호랑이와 표범무늬가 함께 나타난 것을 호표(虎豹)로 나누었으며 그 중에 호표가 가장 많이 그려졌음을 확인하였다. 호랑이의 눈 표현은 동공에 따라 공같이 둥글다하여 공안(孔眼), 고양이의 눈처럼 생긴 묘안(猫眼), 묘안을 추상화시킨 금강석안(金剛石眼)으로 나누었다. 그 중 공안이 보편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그 다음은 금강석안으로 그려졌는데 벽사의 상징으로 쓰였다. 그 밖의 표현으로 호랑이의 발톱은 용맹성과 벽사의 뜻을 나타내며 꼬리는 자세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며 강한 생동감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산신도가 그려진 바탕 재료는 견, 면, 마, 종이 4가지가 사용되었고 견은 19세기 후반 이전에 많이 사용한 반면, 면의 사용은 1891년대 이후에 많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is on various types of tigers and expressions in Sansindo(paintings of Mountain Spirit) mainly draw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certain of the year of production. The most pieces of Sansindo with exact production years were drawn in Gyeongsang Province. And the fewest pieces with exact production years were drawn in Gangwon Province, a total number of 13 pieces, between 1851 ? 1900s according to the book, Yujeomsabonmalji, and there are 11 pieces without production years from Pyohun Temple. Types of tig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tanding Tiger, Sitting Tiger, Lying Tiger by the postures, and Lying Tiger type outnumbers the rest. The earlier type of Mountain Spirit riding a tiger changed to a tiger guarding Mountain Spirit over time. In case of Lying Tiger type, Mountain Spirit’s appearance increased in size and a tiger became relatively smaller in the course of time. Lying Tiger types also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I, a tiger with a raised tail surrounding Mountain Spirit halfway, was steadily drawn, but TypeII, a tiger guarding Mountain Spirit, became rare over time. And, TypeIII, a tiger sitting crouched next to Mountain Spirit, was drawn in and after the late 19th century. Tigers in Sansindo can also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stripes, Ho(tiger) type, Pyo(leopard) type, and Ho-Pyo(mixture of tiger and leopard stripes) type, and Ho-Pyo type was most favored. By the shape of eyes, tig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Gongan(ball-shaped eye), Myoan(cat’s eye), and Gemgangseokan(diamond-shaped eye) that is an abstract shape of Gongan. Among them, Gongan was most commonly used, and the second was Myoan that represented a symbol of driving away evil spirits. Besides, claws of tigers stand for their nature of bravery and expelling demons, and tails vary depending on the posture of tigers and are lifelike. Lastly, Sansindo were drawn on silk, cotton, Chinese yam, and paper, and silk was preferred before the late 19th century whereas mostly cotton was used after 1891.

      • KCI등재

        공주 동해리 산향계의 성립과 산신제의 변화

        강성복(Kang Seong-bok) 한국민속학회 2011 韓國民俗學 Vol.54 No.-

        해마다 음력 시월에 산신제를 지내는 동해리는 공주시 유구읍 태화산 기슭에 위치한 산간 오지마을이다. 동해리 산신제의 가장 특징적인 면모는 마을 운영을 위한 동계와는 별도로 19세기 후반 산신제를 매개로 결성된 산향계(山享?)가 조직되어 지금까지 기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글에서는 1885년에 중수되는 『동해동산제계좌목』과 1950년대 전후에 기록된 『동해리산향계철』을 집중적인 분석대상으로 삼아 19세기 후반에서 오늘에 이르는 산신제의 전승양상과 변화를 입체적으로 포착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그 결과 동해리 산향계는 19세기 후반 봉건사회 해체기의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른 촌락사회의 실상이 일정하게 반영된 산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지난날 반촌이었던 동해리에서 산신제를 명분으로 삼아 동요하는 민심을 수습하려는 마을 주도세력의 포석이 내포된 것으로 풀이된다. 결국 동해리 산향계는 산신제를 통해 공동체를 강화하고 통제하며, 구성원들에게 일체감을 공고히 해주는 문화적 장치로써 배태된 산물인 것이다. 산신제의 주관조직으로 출범한 동해리 산향계는 오늘날까지 특유의 끈끈한 결속력을 유지하며 산신제를 주관하는 핵심조직으로 기능하고 있다. 그것은 마을에서 산신제를 지내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행사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지금도 황소를 도살하여 희생으로 바치고 전주민이 까다로운 금기를 준수하는 등 19세기 이래의 완고한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그것이 가능했던 것은 마을의 구성원과 객지로 떠난 주민을 하나로 묶어주는 산향계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산향계는 단순히 산신제를 주관하는 조직일 뿐 아니라 공동체의 유대를 결집시켜주는 실질적인 구심체로 작동하고 있는 셈이다. Every October of the lunar calendar, Donghae-ri, is a small village located on the foot of Taehwa Mountain in Yugu-eup, Gonju-si holds Sansinje (Religious rituals for mountain gods). The most outstanding characteristic of Sansinje of Donghae-ri is they organized Sanhyanggye in the last nineteenth century for the village organization different from Donggye. This essay aims to analyze how Sansinje has been hand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and how it has changed ranging from late nineteenth century to today focusing on Sanhyanggyejungsujoamok established in 1885 and Sanhyanggyecheol written around 1950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Sanhyanggye of Donghae-ri is a product of a village society that experienced a drastic social and economic change during lat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Korean feudal system was about to collapse. This means that the village dominant class of Dongae-ri that consisted of high class people tried to subdue the popular sentiment against them using Sansinje ceremony. After all, Sanhyanggye of Donghae-ri was a cultural product that reinforced the sense of a community, and controlled its members, as well as strengthened a sense of identification of members. Sanhyanggye of Donghae-ri which is a hosting organization of Sansinje plays a role as a key organization to maintain the strong bond of village people until now. Because of this, hosting Sansinje ceremony is very important for the community members. Still village members stubornly maintains the nineteenth century traditions such as scarifying a bull as a scapegoat and observing particular taboos when there is a Sansinje ceremony.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village members and people who are away from their hometown have a strong bond through Sanhyanggye. Sanhyanggye is not only a hosting organization of Sansinje but also an actual centripetal force to make the community"s bond stronger.

      • KCI등재

        죽령 산신당 당신화 「다자구 할머니」와 죽령 산신제

        최운식(Choi Woon-Sik) 한국민속학회 2004 韓國民俗學 Vol.39 No.1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리에 있는 죽령 산신당에는 ‘다자구 할머니’가 뛰어난 지혜와 용기로 죽령 매비위 근처에 본거지를 두고 재물을 약탈하는 도둑 떼를 물리치고, 마을과 나라를 평안하게 해 준 공으로 죽령의 산신이 되었다는 당신화 「다자구 할머니」가 전해 온다. 이 산신당에서는 해마다 봄과 가을에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위해 산신제를 지낸다. 당신화 「다자구 할머니」는 대강면 용부원리를 중심으로 전해 오는데, 구성 단락은 ‘가) 도둑의 횡행, 나) 다자구 할머니의 산적 퇴치, 다) 다자구 할머니의 신으로의 좌정과제의 요구, 라) 산신당 건립과 신으로의 좌정, 마) 제의 시행이다. 이 이야기가 다른 지역에서는 가) 와 나) 단락만이 흥미 위주로 전해 온다. 「다자구 할머니」의 구조는 ‘① 재난→ ② 재난의 제거→ ③ 당신으로의 좌정과 제의 요구→ ④ 신격화(神格化)→ ⑤ 제의’로 정리할 수 있다. 이로써 「다자구 할머니」는 결핍과 재난 상황을 잘 인식하지 못하던 사람들이 산신과 의사소통을 하여 신의 정체를 확인한 후 신격화하고 제의를 행하여 평안과 풍요를 얻는 과정을 설명하는 구조를 가진 신화임을 알 수 있다. 「다자구 할머니」는 죽령 산신의 정체를 설명하고, 산신제의 당위성과 효험을 보증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신화는 죽령 산신당이 있고, 산신제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전승의 힘을 얻고 있다. 「다자구 할머니」의 신성성이 인정되는 한 죽령 산신제는 계속될 것이며, 산신제가 지속되는 한 「다자구 할머니」는 신성성을 지니며 전승될 것이다. 이처럼 당신화 「다자구 할머니」와 죽령 산신제는 상보적 관계를 맺고 있다. 죽령 산신제는 전에는 나라에서 봄과 가을에 향축(香祝)을 내리고, 인근 지역 군수들이 주관하여 지내던 산신제인데, 지금은 단양군 대강면 용부원 3리 주민들이 중심이 되어 봄과 가을에 지내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마을의 평안과 풍요를 기원하며 경건한 마음으로 산신제를 지내면서 산신의 영검성을 믿고 있다. 산신제는 마을 사람들에게 마을의 평안과 풍요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해 주었고, 지연 의식(地緣意識)을 강화해 주며, 마을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게 하여 향토애 배양의 기능을 하고 있다. 당신화의 주인공 ‘다자구 할머니’가 위험을 무릅쓰고 도둑의 소굴로 들어가 ‘다자구’, ‘들자구’로 신호를 보내어 도둑을 잡게 하였다는 이야기 구성은 매우 흥미롭고, 지혜가 담겨 있어 문학적으로도 뛰어난다. 다자구 할머니가 도둑을 잡게 한 용기와 지혜, 나라와 겨레를 사랑하는 마음은 당신화를 전승해 온 용부원리 사람들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 본받아야 할 점이라 생각한다. 죽령 산신제의 역사「다자구 할머니」의 형성 시기 등에 관한 고찰은 다음으로 미룬다. There is 'Juklyung Sansindang(a mountain god shrine in Juklyung)' in Yongbuwon-Li Dekang-Myun Danyang-Gun, Chungcheongbuk-Do. An altar myth, 'Grandmother Dajagu', has been introduced in the shrine of Juklyung. The altar myth is the story about how 'Grandmother Dajagu' became the god of the shrine. 'Grandmother Dajagu' defeated thieves around Juklyung with her wisdom and courage, so she became the mountain god of the shrine in Juklyung. The plot of this myth is 'A) thieves' infest → B) grandmother's defeating thieves → C) grandmother's ordering a king to make herself the mountain god shrine in a dream → D) deifying the grandmother → E) performing sacrificial rites. This story has been introduced only with the plot of A) and B) in other region. This plot of the story is so interesting and full of wisdom that it can be valued excellent in a literary aspect. 'Grandmother Dajagu' follows the construction of 'i) a disaster → ⅱ) the elimination of the disaster → ⅲ) ordering in a dream → ⅳ) deifying → ⅴ) sacrificial rites.' The construction of this myth allows us to know people who didn't recognize the situation of the lack and disaster deity the god after communicating with and verifying a mountain god. Then, the construction of this myth explain the course that people perform a religious service every year and they get peace and abundance. When people originally performed the religious service for the god of a mountain in Juklyung, the king gave people in Juklyung incense and a written prayer and the governors around Juklyung managed the religious service. People in Yongbuwon-3Li Dekangmyun Danyang-Gun perform the religious service in spring and fall these days. They perform the religious service with their devout heart of hoping their peace and abundance. Also, they believe the miracle of the mountain god. The function of the religious service in Juklyung is the follow: The first, the religious service made people have some belief of the village's peace and abundance. The second, it made a territorially organized consciousness strongly. The third, it made people have the pride of their village. 'Grandmother Dajagu' explains the true character of a mountain god and it explains why people have to perform the religious service for the mountain god. Also, 'Grandmother Dajagu' has the function that guarantee the efficacy of the religious service. The stories that emphasize the miracle of a mountain god have been formed and handed down in course of performing the religious service. 'Grandmother Dajagu' is new myth emphasizing the miracle of a mountain god.

      • KCI등재

        범 전설의 마을 지명화와 산신제의 전승 -충남 논산시 범골을 중심으로

        김순재 한국지명학회 2023 지명학 Vol.39 No.-

        본 연구는 범 전설이 마을 지명 형성 및 산신제에 영향을 주었음을 고찰하였다. 특히 논산시 범골에 전승되는 범 전설을 중심으로, 범 전설이 ‘범골’이라는 마을 지명 형성과 범골 ‘계룡산 산신제’에 영향을 주었음을 살폈다. 극심한 호환은 사람들에게 범을 초자연적 존재로 보게 만들어 범 전설을 생성한다. 또한, 범을 초자연적 존재로 보는 시각은 곧 범을 신격화하여 산신으로 받들게 한다. 이렇게 생성된 산신신앙으로 인해 산신제가 시작된다. 그리고 산신제의 금기를 지키지 않아 호환 당한 필연적·우연적 사건은 산신제와 관련된 새로운 범 전설을 생성한다. 사람들은 호환 및 산신제 동티의 경계 차원에서 이렇게 생성된 범 전설들을 전승하였다. 논산시 범골 또한 과거 범이 출몰했기에 호환을 막고자 계룡산 산신제를 지내왔다. 범골에 전해오는 범 전설도 호환 및 산신제 동티의 경계 차원에서 생성·전승되었다. 그런데 범골의 전설은 마을 지명 유래를 전하는 지명전설의 역할도 한다. 전설에 따르면 ‘범골’은 ‘범이 지켜주는 마을’이라서 범골이라 부른다고 한다. 이는 범 전설이 마을 지명을 만든 것으로, 이 범 전설은 곧 범골의 지명 유래를 알려주는 지명전설이 된다. 이처럼 범골이라는 마을 지명은 범 전설의 영향으로 형성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at tiger lege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village name and mountain god ritual. In particular focusing on tiger legend of passed down Beomgol Village, Nonsan-si, it was examined that the tiger lege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village name ‘Beomgol’ and the ‘The rite for mountain god in Gyeryongsan Mountain’ in Beomgol Village. Extreme disasters caused by tigers creates a tiger legend by making people see the tiger as a supernatural being. Also, the view of seeing the tiger as a supernatural being deify the tiger as a mountain god. The mountain god ritual begins due to the mountain god faith created in this way. In addition, inevitable and accidental events that experience disasters caused by tigers because of breaking the taboo of mountain god ritual, create a new tiger legend related to the mountain god ritual. People passed down the tiger legend created in this way in terms of the guard between disasters caused by tigers and mountain god ritual retribution from the earth gods. Beomgol Village, Nonsan-si, also held the The rite for mountain god in Gyeryongsan Mountain to prevent disasters caused by tigers because tigers appeared in the past. The tiger legend passed down to Beomgol Village as created and passed down in terms of the guard between disasters caused by tigers and mountain god ritual retribution from the earth gods. However, the legend of Beomgol Village also functions as a geographical name legend to tell the origin of the village name. According to legend, ‘Beomgol’ is called Beomgol Village because it is a ‘Village protected by tigers’. This is the tiger legend created by village name, This tiger legend becomes a geographical name legend that informs the origin of the place name of Beomgol Village. Like this way, the name of a village called Beomgol was formed by the influence of tiger legend.

      • KCI등재후보

        태백산산신 옥도검(玉刀鈐)과 삼척 오금잠제(烏金簪祭)

        김성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1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7 No.-

        Taebaek Mountain was one of the northern sites of the second-tier ritual of the five mountain gods celebrated in the national ritual of Silla period. The mountain god in question was the god of the northern peak, Okdogeum(玉刀鈐); originally, however, this god was the god of Guemgang ridge(金剛嶺), one of five mountain gods centered on the capital of Silla. As the national festival was reorganized and extended with the aim of expanding the nation's territory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Silla, the location of northern mountain god was moved to Taebaek Mountain. With the restructuring of the national festival centered on Gaegyeong(開京)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site of the ritual calling the Taebaek mountain gods was moved to Samcheok County in East boundary(東界) Goryeo. Here, the Taebaek mountain god was newly deified as the Oguemjam god of Princess Silla(新羅公主烏金簪神), where it was worshipped at the Taebaek Cheonwangdang ancestral shrine(太白天王堂). Within the framework of the Goryeo national festival, the Taebaek mountain god was bestowed with the expanded title of Mountain God. This festival was carried out by a priestly official(祭告使) during the early part of Goryeo and by a warehouse manage- ment official(監倉使) during the middle and late periods. During special circumstances during these later periods, however, the a priestly official was still dispatched. From the Goryeo period, Taebaek Mountain served as the center of the festivals of the Taebaek mountain God festival. During the Joseon dynasty, Taebaek Mountain was omitted from the national fes- tivals, but every year during the spring and fall, both the officials and ordinary citizens would hold a three-day folk ritual on the mountain at the local ancestral shrine using raw meat with blood as offerings. This ritual also involved the practice of dedication of items during a ritual, during which a cow was tied to the shrine and sacrificed in hopes of pleas- ing the deity. This brought out the conflict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the ritual was, at times, abolished, but it was always reinstated. The Taebaek mountain god, Ogeumjam god(烏金簪神), was called during the Ogeumjam festival(烏金簪祭), part of the broader Samcheok Dano Festival. Starting every year on the first day of April and beginning with the purification ritual, the wel- coming god ritual and sending god ritual were carried out for the entire month. The sending god ritual in particular was hosted by the village chief three days before the Dano holiday, and involved all officials and ordinary citizens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exorcism ritual(대동굿). The shaman and other performers of the exorcism wor- shipped the Ogeumjam god. The performance of the festival throughout the admin- istrative region was called the Dano Commissioner(端午使). The officials and citizens faced the crisis of the abolishment of the Ogeumjam festival through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rituals such as the ritual involving the extinguishing of fire performed vari- ous times by Confucian officials. An adversarial relationship thus existed between these people trying to preserve the rituals and the Confucian officials seeking to ban them out of their sense of Neoconfucian ideals. The origin of the newly designated Taebaek mountain god, Ogeumjam god, as the god of the Ogeumjam festival, lay in its status as the northen mountain god, one of five gods celebrated in a second-tier national ritual of Silla. One could confirm this deity's transformation from Okdogeum from Guemgang ridge on the northern mountain cen- tered in the capital to Ogeumjam of Taebaek mountain worshipped in the second-tier festival of Silla and then to Ogeumjam god of Princess Silla. Likewise, the origins of the festivals of the Taebaek mountain god and the Ogeumjam festival can be dated to the Silla northern mountain god. 태백산은 신라의 국가제사에서 중사의 오악 중 하나인 북악이었다. 그 산신은 북악신(北岳神) 옥도검(玉刀鈐)이었는데, 원래 옥도검은 신라 왕경 중심의 오악 중 북악인 금강령(金剛嶺)의 산신이었다. 그런데 신라의 삼국 통일 후 확장된 영역을 대상으로 국가제사가 확대 재편되면서 북악신은 태백산으로 옮겨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는 개경을 중심으로 국가제사체계가 재편되면서 태백산산신을 모시 는 제장은 고려의 동계 삼척현으로 옮겨졌다. 이곳에서 태백산산신은 신라공주 오금잠신(烏金簪神)으로 전하며 태백천왕당에 모셔졌다. 태백산산신은 고려 국가제사 체계에서 산천신으로 가호되었고, 고려 초기에는 제고사, 중·후기에는 감창사가그 제사를 설행했다. 하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제고사가 파견되었다. 태백산을 중심으로 하는 태백산산신제와 삼척 단오제는 고려시대부터 설행되고 있었다. 조선시대에 태백산은 국가제사에서 탈락되었지만, 이민들은 매년 봄가을로 태백산신당에 서 3일 치제의 산신제를 설행했는데, 제수로 혈육이 사용되었다. 또 폐백으로 바쳐진 소를 신당에 묶어두고 태백산산신의 흠양을 바라는 퇴우(退牛) 습속이 성행했다. 불교와 유교와의 갈등을 보여 훼철과 복설이 반복되었다. 태백산산신인 오금잠신은 삼척 단오제인 오금잠제(烏金簪祭)에 모셔졌다. 성황당에서 매년 4월 초하루 재계를 시작으로 영신제(迎神祭), 송신제(送神祭)까지 한 달 간 설행되었다. 특히 송신제는 단오 3일 전부터 호장이 주관하고 이민이 함께하는대동굿[大祀]으로 치러졌는데, 무당과 광대가 오금잠신을 모시고 온 고을을 두루 돌아다니는 것을 단오사(端午使)라고 했다. 역시 성리학적 이념에서 폐지하려는 유교관료들의 몇 차례에 걸친 분훼 등으로 오금잠제가 폐지될 위기에 처하기도 하여 이 를 지속하려는 이민과 길항 관계에 있었다. 태백산산신이자 오금잠제의 신격인 오금잠신의 유래는 신라 국가제사에서 중사 의 오악 중에 하나인 북악신 옥도검에 있었다. 왕경 중심의 오악 중 북악인 금강령옥도검→신라 중사의 북악인 태백산 옥도검→신라공주 오금잠신으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태백산산신제와 삼척 단오제의 오금잠신은 신라의 북악신 옥도검으로 그 연원을 소급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