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왜, 다시 산수시조인가?

        김창원(Kim Chang-Wo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오늘, 우리에게 산수시조는 무엇인가? 산수시조를 통해서 우리가 시대 및 동시대 인간들과 시도하고 있는 대화는 무엇인가? 아니, 산수시조 속에는 그와 관련된 문제의식이 존재하는가? 존재한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산수시조는 인간과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노래하는 시조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작은 규모의 경제의 실천이다. 조선시대 산수시조는 산림경제의 소산이요, 임원경제의 소산이다. 즉 크게 보아 산수시조는 건축문화의 산물이요, 주거문화의 산물이다. 따라서 우리는 산수시조를 원림문화 또는 건축문화, 주거문화의 큰 틀 속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원림은 그 기저에 「소(小)의 미학」이 바탕하고 있다. 즉,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미학이 원림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근본 이념이라고 할 수 있다. 요즘 우리는 작은 것으로부터 혁명을 꿈꾸는 시대에 살고 있다. 역사학계에서 이른바 미시사는 작은 것 혹은 일상적 현상으로부터 커다란 연관관계나 본질적인 구조를 발견하고자 한다. 미시세계를 통해 거시세계를 바꾸어 가려는 나노기술은 정보기술, 생명공학기술, 환경에너지기술 등의 핵심적인 기술로서 우리 삶의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미시사나 나노과학은 하나의 모래알에서 세계를 발견하거나 하나의 물방울로부터 대양을 보고자 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산수시조에서 발견되는 이같은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미학을 통해 시조나 시학적 관심을 넘어서 이를 학제간의 열린 대화로 발전시켜 나갈 수 있지 않을까? 우리는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미적 원리를 매개로 하여 공학과 철학, 예술과 문학 사이의 학제간 소통을 시도하여 새로운 인문학적 담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건축은 미학을 매개로 하여 철학과 만나 그것이 보다 인문적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 철학은 미학을 매개로 하여 공학 혹은 자연과학과 소통의 폭을 넓힐 수 있다. 그리고 문학과 예술은 미학을 매개로 건축과 소통함으로써 그것을 살아있는 지식으로 만들 수 있는 길을 발견할 수 있다. What is Korean landscape verses to us today? What kind of conversation are we trying to make with other human beings in different or same periods through Korean landscape verses? Or, is there a related critical mind in Korean landscape verses? If so, what is that? Korean landscape verses are verses singing harmonious life of human beings with nature. It can be considered as a realization of a small economy. Korean landscape verses of Joseon Dynasty period are the products of forest economy and garden economy. In a wider view, Korean landscape verses are the outcome of architectural culture and residential culture. Therefore, we need to look at Korean landscape verses in a large frame of plantation culture or architectural culture and residential culture. 'The aesthetics of smallness' lies in the basis of Joseon plantation. In other words, 'small things are beautiful.' is the basic concept of the plantation. We are living in a world dreaming of innovations of small things. In the academic world of history, the history of micros is trying to find enlarged relations or essential structures from small things or day's happenings. Nano technology, trying to change macro world with micro world, is the core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fields of our lives including information technology, biotechnology and environmental energy technology. The micro history and the nano science is trying to find a world from one grain of sand or to see an ocean from one waterdrop, Then, wouldn't it be possible that the aesthetics of I small things are beautiful. I seen in Korean landscape verses can lead us to open discussions between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without being limited to poetic interests? We expect the aesthetic principle of r small things are beautiful' to create new literary discussions as a medium for trying the communications between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of engineering and philosophy and art and literature. The architecture may open the possibility of being understood literally by being incorporated in philosophy with a medium of aesthetics, and philosophy will widen the communication with engineering or earth science with a medium of aesthetics. Literature and art will find a way to make themselves alive knowledge by communicating with architecture with a medium of aesthetics.

      • KCI등재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12 시조학논총 Vol.37 No.-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생태계의 환경보호는 세기의 문제가 되었다. 환경문제는 본질상 자연의 생태계와 인간의 사회체계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므로 그 복잡성이 배가 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이처럼 지구환경에 관한 녹색담론은 복잡한 환경과 생태계의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다. 여기서는 전통문화에 나타난 생태주의의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조선시대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사상과 환경담론을 분석하여 그 의미가 시사하고 있는 바를 살펴보았다. 자연시조란 조선시대 선비들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면서 전원생활과 산수자연 그리고 생활현장에서 생태계의 자연을 노래한 일련의 시조를 의미한다. 자연시조는 그 주제와 지구환경에 관련된 녹색담론의 의식지향에 따라서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표어를 강조하면서 귀향이나 귀거래를 통해서 귀향의식의 주제를 설파하는 전원시조, ‘자연과 함께 공생하자!’라는 표어로 정리할 수 있는 규범과 함께 강호가도와 자연의 흥취를 노래하는 산수시조, ‘자연을 이용하자!’라는 표어로 정리하여 농촌현실과 생활현장을 묘사하고 전달하는 생활시조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자연시조들은 세속적인 가치를 부정하면서 자연과 함께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고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는 공통된 녹색담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전원시조, 산수시조, 생활시조 등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조선전기 전원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귀거래를 통한 귀향의식을 주된 미의식으로 하면서 녹색낭만주의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16세기 산수시조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대등한 관계에서 산수자연을 통해 예술미를 발견하는 녹색합리주의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고, 조선후기 생활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생활의 체험을 위주로 하여 생산성의 발전을 기대하면서 자연을 잘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이라 할 수 있는 녹색경제주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21세기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관련된 생태문제는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연합하여 생태계 파괴문제를 쟁점화하면서 평행선을 달리며 투쟁하고 있는 현상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생태계 파괴라는 무지에서 탈출해 나가려고 노력하는 현대인들에게 조선시대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을 살펴봄으로써 그 대안을 모색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meanings of the discourse on ecologism in Nature Sijo. Sijo. Nature Sijo are a group of short poems written by the Sarim, literati authors of the mid Chosun period who removed themselves from the political struggle of the time, retired to the countryside, gained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laws of nature and then expressed their own individual world views through poetry. A focus was particularly placed on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as the investigator reviewed Green Romanticism, Green Rationalism and Green Economicism related to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traditional culture. Nature Sijo of Chosun have three type as Pastoral Sijo, Scene Sijo and Life Sijo. In short, Korea’s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was initated with the integration with Orental ideology. Firstly Pastoral Sijo with Green Romant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Return to Nature’, secondly Scene Sijo with Green Rational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Symbiosis to the nature’, and thirdly Life Sijo with Green Economic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Improve to the nature’.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that can make active responses to the changes of reality and cause fundamental change of human is possible when those ideologies are combined together.

      • KCI등재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이 글은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이 누렸던 여가활동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참살이’, 즉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참살이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소비문화로 왜곡되고 변질되어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면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하며 건강하게 생활했던 것과 일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산수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으면서 틈틈이 여가활동을 즐겼다. 산수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여기서는 산수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이 지녔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산수시조에 나타난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기활동의 양상은 1)기분전환과 삶의 재충전, 2)건강회복과 안전한 먹을거리, 3)자기계발과 공동체의 삶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가활동이 중요시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고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산수시조의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기활동을 즐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studying Sun-hi's activities during Chosun era by analyzing their leisure activities appeared in Si-jos which related with mountains and rivers. These kinds of Si-jos called Sansu Si-jo. Nowadays in Korea leisure activities are up a new culture code and a large number of peoples have interested in well-being. Well-being as known as 'Chamsalee' is pursuing happiness based on sound body and sound mind rather than stick to materialism and fame. Therefore, Chamsalee put physiological health and stable mind on front burner. Recently, Chamsalee deteriorated to upper classes'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healthy living with mental satisfaction and feeling happiness is closer to real meaning of Chamsalee. Chamsalee's life style is similar to the Chosun's gentries. When they met turbulent days they went back to the rural life and live healthy lives respecting provision of nature. Also they create Sansu Si-jo.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Sansu Si-jos' subject matters and main themes can be different. This study analyzes leisure activities' aspects of Chosun's gentries which are appeared in Sansu Si-jo. Leisure activities' aspects appeared in Sansu Si-jo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refresh oneself and recharging one's batteries, 2) recovering health and healthy foods, 3) self improvement and community life. Nowadays people will maintain healthier leisure activities through looking around Sansu Si-jo's winter leisure activities.

      • KCI등재

        사대부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여가활동의 양상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본고는 시조에 나타난 겨울철 사대부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우리 민족이 누렸던 여가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웰빙 [참살이] 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그러므로 참살이는 육체 건강과 마음의 안정을 최우선 가치로 한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문화로 왜곡되고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했던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었다. 사대부 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이글은 겨울철을 소재로 하고 있는 사대부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의 여가활동을 찾아보고자 한다. 겨울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사대부시조에는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가활동의 양상이 1) 겨울의 정취와 삶의 재충전, 2) 안전한 먹거리와 건강한 삶, 그리고 3) 더불어 사는 삶과 즐거운 취미생활 등 3가지로 나누어진다. 주5일 근무제가 시행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옛 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사대부의 겨울철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the Scholar-Sijo in the winter season.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 Three type are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winter season,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and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The type of the recreation and the sentiment of the winter season is represented of the winter scenery and the complacency in the second chapter, the type of the health-care and the food fad is represented of the wholesome food and the simplification of life in the third chapter, the type of the self-discovery and the happy life is represented of the winter harvesting and the sense of well-being in the fourth chapter. In order to study the Aspect on the Leisure-Activity of Sijo in the winter season which have succeeded up to present without interruption, it is to gather more materials, widen an appreciative eye our leisure-activity and deepen the till now study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樓亭의 機能에 따른 樓亭時調의 特性

        남동걸(Nam Dong-Geol) 한국시조학회 2004 時調學論叢 Vol.20 No.-

        누정은 대체로 승경의 요처에 자리하여 賞自然의 풍류를 극대화하고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곳이기에 조선조 士人들은 누정을 소유하는 것이 평생의 꿈이었다. 그러므로 누정과 관련된 문학작품은 여러 장르에 걸쳐 많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는 누정시조를 누정의 기능과 관련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자리 잡고 있음으로 산수자연을 감상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사망이 트인 공간이기에 돌아다니면서 경관을 볼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누정시조에서의 산수자연은 여타의 산수유람 시조의 감상태도와는 차이가 있다. 즉 산수유람 시조는 장소를 이동하면서 산수자연을 감상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반명 누정시조는 한자리에서 ‘눈돌리기[游目]’만으로 산수자연을 仰觀, 俯察, 遠望한다는 점이 다른 것이다. 둘째, 누정은 학문수양 및 강학의 공간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누정은 상대적으로 막히고 답답한 공간인 서원에 비해 교육효과가 높을 수 있다. 그러기에 이곳은 학문수양과 강학을 하는 둥 서원과 같은 역할을 했다. 더 나아가 산수자연을 감상하면서 그 속에서 자연의 이치를 깨닫기도 하고 호연지기를 기르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형의 시조는 대부분 한시와 같이 전해지며 성현의 이름이나 고전의 문구가 작품 속에 등장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셋째, 누정은 계회 및 시회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누정 주인의 요청에 의해 시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런 시적교류는 후에 시단 및 가단 형성의 중요한 동기가 된다. 넷째, 누정은 游娛的 酒宴의 기능을 한다. 단순한 유오적 주연의 공간이라 하더라도 개방적인 누정의 특성상 사대부로서의 일탈된 면모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누정이라도 폐쇄성이 있는 경우는 사대부들의 긴장이 이완된 형태의 작품이 나타나기도 한다. A pavilion is located in the place with beautiful scenery. which maximizes the poetical features of nature. So a scholar in the Chosun Dynasty had the dream of possessing it. This trends of the Chosun scholar resulted in producing lots of literary works related with the pavilion. In this thesis. I researched the characters of Pavilion Si - Jo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pavilion. First, the pavilion. which is surrounded by the beautiful scenery. is a good place to see the beauty of nature. It is needless to walk around to see the scenery thanks to its open structure. So the feeling in the pavilion Si- Jo is distinguished from other sightseeing Si- Jos: those show the way of seeing the scenery walking here and there. but this shows the way of seeing the scenery only just looking up, looking down. and looking in the distance. Second. the pavilion functions as an academic place. In this case. it can be said that it functions like a lecture hall. It is more effective to study in the pavilion than in the closed structure. a lecture hall. Furthermore. the scholar studying in the pavilion understand the principle of nature with seeing the beautiful mountain and river. and it can be a place for growing a vast-flowing spirit. This kind of poetry has been handed down with the Chinese poetry. and the character who operated the pavilion often appears in the work. Third. the pavilion functions as a space for a fraternity or poetry circles. The poetic exchange was conducted by host of pavilion. which is the key ingredient for organizing a poetry circles. Finally, the pavilion functions as an entertainment. Although it is a space for an entertainment, there is no deviation as a man of novel birth. If the pavilion has the feature of closeness, there are sometimes works which shows the deviation of them.

      • KCI등재

        ≪山中新曲≫의 연작성과 그 의미

        김상진 한국시조학회 2023 시조학논총 Vol.58 No.-

        This paper is a review of Gosan (孤山) Yun Seon-do (尹善道)’s Sanjung Singok. Sanjung Singok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work of Gosan, along with Eobu Sasisa (漁父四時詞), in several discussions of Sanjung Singok.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interest in Sanjung Singok as a Yeonsijo.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anjung Singok was examined, along with its serial composition, by looking at the Yeonsijo (연시조) of 18 works. Sanjung Singok was created when Gosan stayed in Geumswa-dong (금쇄동)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Second Exile in Gosan. Sanjung Singok is a record of Gosan’s life in Geumswa-dong in Korean, while Geumswadong-gi (金鎖洞記) is recorded in Chinese. Therefore, before examining the serial composition of Sanjung Singok, the relationship between Sanjung Singok and Geumswadong-gi was explored.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Sanjung Singok as a Yeonsijo. Sanjung Singok has three sub-categories: Manheung (漫興; six works), simple Sijo (six works), and Ouga (五友歌; six works). Each of them focuses on the excitement of Jibun Jijok (知分知足), the difficulties of the times, and the friendship of nature. This cycle of emotion represents the process of leaving the world, choosing a landscape, staying there, and assimilating with nature. This study confirmed that Sanjung Singok holds the meaning of 18 works of Sijo as an organically connected Yeonsijo. In addition, the speaker’s emotions, which change as the work progresses, indicate literary therapy,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future studies. 이 논문은 고산 윤선도의 ≪산중신곡≫에 관한 고찰이다. ≪산중신곡≫은 <어부사시사>와 함께 고산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따라서 그동안에도 ≪산중신곡≫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졌지만, 연시조로서 ≪산중신곡≫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중신곡≫을 18수의 연시조로 바라보아, 그것의 연작성과 함께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주지하다시피 ≪산중신곡≫은 고산 2차 유배에서 해배된 후, 금쇄동에 머물던 시기에 창작된 작품이다. ≪산중신곡≫이 고산의 금쇄동 생활을 국문 시조로 기록한 것이라면, 한문 기록으로는 <金鎖洞記>가 전한다. 그러므로 ≪산중신곡≫의 연작성에 고찰하기에 앞서 ≪산중신곡≫과 <금쇄동기>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어 연시조로서의 ≪산중신곡≫에 주목하였다. ≪산중신곡≫은 <만흥>(6수), 6수의 단형시조, <오우가>(6수)의 세 가지 하위 범주를 지닌다. 이들은 각각 ‘知分知足의 흥겨움, 시대의 어려움과 기다림, 자연을 벗함’을 중심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감정의 변화는, 세상을 떠나 山水를 선택하여 머물며 자연에 동화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본 연구로써 ≪산중신곡≫은 18수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연시조로서 지니는 의미를 확인하였다. 또한 작품이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화자의 감정은 문학 치료적 의미를 지님으로써 향후 또 다른 연구의 가능성도 시사한다.

      • KCI등재

        朝鮮朝 山水時調의 修辭的 特性

        崔東國(Choi Dong-Kook) 한국시조학회 2006 時調學論叢 Vol.25 No.-

        이 글은 조선조 산수시조의 작품을 통해서 수사적 특성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시는 시인의 체험을 토대로 상상력과 표현기교에 의해 창작된다. 작품성은 사물을 묘사하되 어떻게 기묘하게 표현할 것인가 하는 기교의 효과에 달려 있다. 따라서 문인이 시를 짓는데 시어의 조탁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조선조의 문인들은 수사와 기교에 노력을 기울이는 자를 雕蟲篆刻之徒라 하여 폄하했다. 이는 조선조의 문인들이 지니는 특별한 詩眼이다. 그들은 표현의 기교를 사물의 외형에 집착되어 솜씨의 교태를 부리는 잔재주라 인식했다. 그 이유는 기교에는 過情이 있고 그 속에 자만과 豪情 獨善이 드러날 소지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기교는 인위적인 조작성이 있어 사물의 자연성을 왜곡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시인으로서의 예술정신 즉 匠人性이 약화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하여튼 기교는 기교로 자각되어서는 안 된다. 자각이 되면 詞理와 心意의 흐름이 막히고 왜곡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수사와 기교를 억제하는 대신 哲理的 情趣인 理趣를 중시하게 되었다. 항상 일상생활과 상관되면서 평범한 언어로 표현하되 味外之味를 느낄 수 있는 枯淡한 서정성을 중시했다. 조선조의 시조는 淸麗하고 華靡한 서정적 작품이 냉정하고 깊이 있는 작품으로 이행하게 되었다. 이는 자연으로부터 인생을 음미하고 인생을 대하는 태도도 자적하며 자연스러운 여유가 있는 작품으로 존재하게 되는 因子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hetorical features of the Chosun Sijo through researching them. A poem has been made by imagination and rhetorics which are based on the poet's experience. The qualities of the poem have been determined by how the poet described the object oddly. So it is essential for the poet to struggle to make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when he or she makes a poem. But the Chosun clerisy ostracized the poet who was trying to do these things mentioned above, which was a kind of special poetic point of view the Chosun clerisy had. They recognized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as a resort to petty trick as a result of their sticking to the external form of the objects. The reason they thought them like this was that the Chosun clerisy thought the embellishments and artistic skills could show the self-pride and self-righteousness. Also, there were concerns on the distortion of the object nature by the artificial concoction. Because they can interrupted and distorted the stream of feeling and the original meaning, the artistic skills mush not be recognized as the artistic skills of itself. As a result, they valued the poem made from restraining the rhetoric and artistic skills. They valued the poem which had common words related people's daily life, but was able to feel the simple lyricism. The poem based on these features has remains as a work which makes people enjoy the nature, and face their life without any resorts, and which has the natural lee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