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산수 이미지 요소의 문화상품 디자인 사례 연구

        호대뢰,김희균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8 No.3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문화산업은 가장 주목을 받는가치산업이며, 이를 바탕으로 파생되는 디자인 콘텐츠는 문화상품 가치 창출의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 중국에서 산수는 정신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고, 산수 이미지는 당대 문화의 상징이자 영원하고 특별한 주제로사회생활의 다양한 영역에 스며들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중국의 문화상품 중에 산수 이미지가 활용된 문화상품 사례를 통해 산수 이미지의디자인적 특징과 상징성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중국의 산수화와 문화상품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분석으로는 현재 중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문화상품을 패션, 문구, 식기, 생활용품, 기타 상품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 품목에서 활용된 산수 이미지 요소의 디자인 특성을 알아보았다. 문화상품에서 산수 이미지는 산, 물, 나무, 꽃, 새의5가지의 요소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전통의 전승과 창작, 보전과 개발 측면에서 문화와 전통이 융합한 디자인 콘텐츠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산수이미지는 현대적 감각에 맞는 상품의 새로운 디자인소재로서 변화 가능성이 크며, 문화적 가치와 정체성함양의 상징성을 지닌 디자인 전략으로서 활용가치가높다고 할 수 있다. 문화상품은 그 나라의 전통적 요소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요구와 트렌드에 부합된 디자인으로 개발되고, 산수 이미지의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 경영이 필요하다.

      • 장이머우식 <印象計劃>의 성공요인과 한국형 <실경산수공연>의 가능성 탐색

        신춘호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5

        As ‘impression project(印象計劃)’ is one of performance contents, which is being highlighted the most in those days, it is ‘Silgyeongsansugongyeon(實景山水公演),’ which implemented life and culture in a minority race of China. It came to be more famous because the global movie director ‘Zhang Yimou(張藝模)’ was in charge of the overall production. It is the medium of leading development in Chinese cultural industry and local cultural tourism industry. This is poetic writing that tries to explore possibility of Korean-styled 'Silgyeongsansugongyeon,' which borrowed the performance form in 'impression project,' by critically analyzing successful factor of 'impression project.'A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the documentary video of 'impression project,' which was made public primarily through broadcasting. Especially, through a case of ‘impression sanjie Liu(印象劉三姐)’ and ‘impression xihu(印象西湖)’ under performance by being developed first, it considered the background that 'impression project' came to appear, and the ripple effects on the local cultural tourism industry. In addition, as for ‘Seonjongsorim Music Festival(禪宗少林音樂大典),’ ‘Janghanga(長恨歌)’, and ‘Songdonggyeongmonghwa(宋東京夢華),’ which are the derived contents that are being developed by borrowing the performance form of 'impression project,' the productive characteristic and the performance outcome were considered on the basis of experiences that a writer directly collected data and viewed. Furthermore, the outcome was analyzed by having the analytical subjects as ‘Gapcheon(甲川),’ ‘Buyongjiae(芙蓉之愛),’ ‘Sama story’ and ‘Sabimireu,’ which are Korean-styled Silgyeongsansugongyeon, in order to be available for comparative analysis with Zhang Yimou-styled 'impression project.' Through critical analysis on 'impression project,' it examined even about a problem of Korean-styled acceptance and a sustainable plan. With having this as a proposition, a plan was suggested for whether Korean-styled 'Silgyeongsansugongyeon' can be positioned as contents of towing the local cultural tourism industry. What enough logic failed to be developed in a situation of being lacking in a relevant research to 'Silgyeongsansugongyeon' is left as a limitation. However, the significance is found in a sense of attempting an interest to be stirred. 인상계획(印象計劃)은 중국 소수민족의 삶과 문화를 구현해 낸 실경산수공연(實景水上公演)이다. 당대 가장 각광받는 공연콘텐츠의 하나로써 중국문화산업 및 지역문화관광산업의 발전을 선도하는 매개체이다. 본고는 장이머우(張藝模) 감독이 총연출을 맡아 더욱 유명한 인상계획의 성공요인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인상계획 공연형식을 차용한 한국형 실경수상공연의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인상계획 공연과 다큐멘터리 영상물, 실제관람후의 경험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가장 먼저 개발된 인상유삼저(印象劉三姐)와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인상서호(印象西湖)사례를 통하여 인상계획이 나오게 된 배경과 지역문화관광산업에 미친 파급효과들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인상계획의 공연형식을 차용한 파생콘텐츠인 선종소림음악대전, 송동경몽화, 장한가등을 필자가 직접 공연을 취재-관람했던 경험들을 토대로 제작적 특성과 공연성과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적인 실경산수공연인 갑천(甲川), 부용지애(芙蓉之愛), 사마이야기와 사비미르를 살펴보았다. 더불어서 인상계획에 대한 한국적인 수용의 문제와 지속가능한 방안에 대해서도 살펴보았으며, 이를 전제로 한국적 실경산수공연이 지역문화관광산업을 견인하는 콘텐츠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경산수공연에 대한 관련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아쉬운 대로 관심을 촉발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는다.

      • KCI등재

        濯纓 金馹孫의 同人文化와 그 의미

        金鍾求 ( Kim Jong-gu ) 동방한문학회 2022 東方漢文學 Vol.- No.90

        본 연구는 濯纓 金馹孫과 同人의 문화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同人文化가 형성되어 작품으로 남겨진 모든 부분을 고찰했다. 그들의 同人文化는 다음과 같이 나타나고 있었다. 첫째, 김일손과 同人은 신분을 뛰어넘어 文으로써 交遊하는 문화가 드러나고 있었다. 김종직 학단과 그 문하·관료·친인척·생육신 등 다양한 신분과 자유롭게 문으로써 교유를 하고 있었다. 둘째, 김일손과 同人은 山水에 노니는 놀이문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정여창, 김굉필과 함께한 산수유람은 의미가 있다. 그 외 누정과 강 등에서 뱃놀이를 하거나, 詩會를 열기도 했다. 셋째, 김일손과 同人은 지역 및 士林을 회합하는 문화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훗날 다른 학파에서 그 명맥이 이어지기도 했다. 김일손의 여러 기문과 서문에서 이러한 의식이 잘 나타나고 있었다. 김일손과 同人이 형성한 문화는 초기 사림파의 同人文化를 잘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文·山水·同人이 서로 결합해 그 즐거움을 만끽하며, 士林을 결집하는 역할을 하고, 지역사회에 그들의 이상을 실천하고자 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ulture of 金馹孫 and the same person. To this end, a sympathetic culture was formed and all the parts left as works were examined. Their cognate culture was manifest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culture in which Kim Il-son and the same person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writing, transcending their status. He was acquainted with the Kim Jong-jik Academy and his followers, bureaucrats, relatives, physical bodies, etc. and freely as a teacher. Second, a culture of play in which Kim Il-son and the same person played in the mountains and water was emerging. In particular, the landscape tour with Yeo-chang Jeong and Gong-pil Kim is meaningful. Other than that, they played boats in Nojeong and rivers, and held public demonstrations. Third, Kim Il-son and his contemporaries were forming a culture that brought together regions and communities. It was later carried on by other schools of thought. Kim Il-son's various keynotes and prefaces showed this consciousness well. The culture formed by Kim Il-son and the same person can clearly confirm the culture of the same person of the early Sarim school. They wanted to enjoy the joy of literacy, mountain water, and the same person united with each other, to play a role of uniting friendships, and to put their ideals into practice in the local community.

      • 중국 〈인상 유삼저 印象 刘三姐〉의 지역문화자원 활용사례연구

        이광복(Lee Kwang-Bok)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0 문화예술콘텐츠 Vol.- No.5

        현대의 관광산업은 문화콘텐츠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자국의 문화를 알리는 수단이 되고 있다. 또한 관광산업이 개인의 체험을 중심으로 하는 소비산업으로 변환하고 있다. 관광과 문화콘텐츠의 결합인 문화관광은 새로운 형태의 산업구조를 형성하며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광 시장의 흐름 속에 최근들이 주목받고 있는 공연관광 상품으로 중국계림()의 〈인상 유삼저〉가 있다. 광서장족자치구에 전해지는 민간설화를 새롭게 재창작해 계림 양삭 지역의 자연환경과 결합한 실경산수공연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공연을 창작하고 이것을 지역관광산업과 연계한 〈인상 유삼저〉의 성공으로 지역의 문화자원이나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지역을 배경으로 활용한 관광 상품과 연계한 공연상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하고 한국을 비롯하여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본고는 제작 초기 단계부터 지역 관광활성화를 위한 공연관광 상품 개발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중국의 〈인상 시리즈〉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집중 분석해 보고자 한다. 첫째, 공연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해 새로운 관광 상품 모델로서의 가치를 알아볼 것이다. 둘째, 공연관광 상품의 성공이 가져온 지역경제의 변화를 분석할 것이다. 셋째, 중국의 〈인상 시리즈〉가한국적인 차별성을 가진 관광 상품으로 개발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에서 〈인상 유삼저〉가 공연관광 상품으로 성공했다고 해서 한국에서도 무조건적으로 성공할 수 는 없다. 중국과의 문화적ㆍ사회적 차이를 인식하고 중국과는 차별되는 한국의 지리적 특성에 맞는 한국만의 공연상품 개발을 위해 철저한 사전개발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Modern tourist industry is connected with cultural content industry to advertise native culture, and also tourist industry is changing into consumer industry, which focuses on one’s experience. Cultural tourism, which is a combination of tourism and cultural content, is forming a highly valued industrial structure. China’s 〈IMPRESSION - SANJIE LIU〉 is receiving an attention recently as a product of a performance sightseeing. It is a recreated performance, based on a folktale from the autonomous region of Gwang-suh, Jang-jok. This performance is a new genre called ‘Nature scenery performance’, which combined with a natural environment of Gye-rim, Yang-sak region. 〈IMPRESSION - SANJIE LIU〉 is a performance connected with regional sightseeing industry, and was a success which triggered tourism goods’ and performance goods’ development, which other nations are paying attention, including Korea. This writing will analyze 〈IMPRESSION series〉, which was made to vitalize a local sightseeing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tour from the very start, into three sections. First, analyzing a main factor which lead the performance to success, and also finding a value of it as a tourism product model. Second, the change of local economy due to success of the performance. Third, to seek for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IMPRESSION series〉 as a tourism product in Korea. Just because 〈IMPRESSION - SANJIE LIU〉 was a success in China, that doesn’t mean it will success in Korea. The cultural and social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needs to be recognized, and also pre-development plan, which fits Korea’s geographical characteristic, needs to be setup.

      • KCI등재

        우담 채득기의 경천대 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

        이유진 ( Yoo Jin Lee ),김수진 ( Soo Jin Kim ),심우경 ( Woo Kyung S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0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선비인 우담 채득기가 경영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에 나타난 문화경관 요소의 해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경영과 자연경물에 대한 명칭부여는 동시대 지식인들의 자연관 형성에 투영되었을 뿐 아니라 정원문화의 유행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우담 채득기는 경북 상주의 낙동강변에서 은거하며 산수를 경영하고, 유유자적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는데, 그가 경영한 경천대 28경은 성리학적 절의와 충절의식에 입각하여 자연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자신의 미의식을 현실화하는 등 산수경영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세부적인 경관의 명칭으로는 크게 ``대명의리와 충절``, ``신선사상`` 그리고 풍유와 소요자적 삶에 따른 ``산수경영의지``, 마지막으로 ``학문탐구`` 등을 상징하였다. 또한, 경천대 일원의 28경처 중 특별히 10가지의 경관을 선택하여 자신이 실제 소요하거나 유희했던 장소를 중심으로 소상팔경의 경관어휘인 시간과 계절 그리고 기상의 변화를 서정적으로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자연환경의 변화를 통한 소우주의 섭리를 이해하고자 한 당시의 산수경영의 유행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우담 채득기는 자신이 은거한 경천대 일원의 산수경영을 명·청 교체기라는 조선의 상황을 비유하여, 자연의 경물에 이름을 붙이고, 또 암울한 사회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것은, 그가 평소 강조한 의리와 절개라는 조선선비들이 가져야 할 덕목을 가치 있게 내세운 성리학적 자연관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This research was made o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 which is shown at nature management around Gyeongcheondae managed by Udam Chae Deug-gi, scholar in Joseon dynasty. Naming the nature management and natural features not only reflected on the formation toward the view of nature by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but influenced on the fashion of garden culture. Udam Chae Deug-gi dwelt in the riverside of Sangju, Kyungbuk as the characteristics of hermitage and managed landscape and had a willing to live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he Gyeongchundae 28 landscapes, which was managed by himself, represent that natural features are named on the basis of neo-confucian principle and loyalty and he imposed symbolic meaning on landscape management by practically translating his aesthetic consciousness to reality; the name of detailed landscape is largely ``loyalty to Ming dynasty and to king`s order and loyalty``, ``Taoism`` and ``Management will of landscape`` by the life of metaphor and enjoyment, and symbolizes ``Searching for learning``. In addition, by selecting 10 out of 28 landscapes around Gyeongcheondae, lyrically describing the landscape by representing the change of time, season and the climate which is the scenic term of Great 8 Sosang views in fashion at that time focusing on the place he strolled or enjoyed watching himself; it can be seen that such moves are related with the landscape management in fashion in order to understand microcosmic providence with the change of natural environment. Therefore, Udam Chaedeug-gi is regarded as the neo-confucian view of nature for which any value scholars in Joseon dynasty have to own - ``loyalty`` and ``integrity`` - he usually emphasized himself to name the natural features and overcome the darkness of society comparing the landscape management around Gyeongchundae he lived a life free from worldly cares to the situation of Joseon dynasty when a transition times between Ming and Chung comes from China.

      • KCI등재

        조선후기 회화의 예술적 창의성과 그 한계

        황지원(Hwang, Jee-Won)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7 No.3

        이 연구는 가장 한국적인 미美를 구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는 조선후기 회화의 예술적 창의성이 어떠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예술작품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발현하고자 한 미의식이 무엇인지를 구명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또한 이러한 예술적 독창성이 완전한 결실을 맺지 못하고 쇠퇴하게 된 원인을 밝혀냄으로써 예술사적 의미를 정립하려는 것이다. 18세기의 진경문화는 무엇보다 문화적 정통성을 계승하고 있다는 자존감을 지니면서도 동시에 폐쇄성과 형식주의를 극복하고 시의時宜에 따른 적극적 외래문화의 수용이라는 사상사적 변화의 흐름이 크게 작용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서울(한양)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한 경화사족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여항 문인의 적극적인 참여 또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회화에 있어서 사실주의적 경향은 진경산수와 풍속화의 유행으로 나타났으며, 중국풍에서 벗어나 조선의 자연과 인물을 소재로 새로운 필법을 구사함으로써 특유의 미감을 한껏 드러내었다. 화면의 구도에 있어서도 일원론적인 구도가 아니라 다원론적 구도를 활용함으로써 화면 안에서 다양한 주제를 드러내는 특성을 형성하였다. 진경문화를 토대로 비로소 조선의 회화가 완성된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예술적 창의성은 19세기 이후 급격한 쇠락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세도정치가 진행되변서 청나라 문물이 대거 수용되는 상황에서 조선 고유의 색채를 드러내었던 진경문화는 오히려 위축될 수밖에 없었고, 사의성을 강조하는 보수적 회화관의 강력한 도전에 부딪혀 통속화의 길로 접어들게 된다. 이것은 우리 근대 문화 수용에 있어 본질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This study attempts to clear up what artistic originality painting of the late Chosun period which is valuated as realizing the most korean beauty is based on theoric ground, and what aesthetic consciousness is trying to manifests concretely through a work of art. I set up artistic originality in painting of the late Chosun period, as tracing a reason this originality does not get result and decline. As zhuzixue which provided philosophical ground of Chosun society develops from a process of development in its own way to independent Korean confucianism and Silhak different from China, in art, reaching to the late Chosun Period, there is actively a new wave which gets out of Chinese influence. Specially, in painting, painting of the late Chosun period gets out of Chinese style of painting, and it achieves national form to capture life of our people on our land, turns up as settlement of real landscape painting and genre painting based on the realism during the 17<SUP>th</SUP> and 18<SUP>th</SUP> centuries. Its creating character is actively expressed and its originality is exhibited, these raised up diversification of forms. Then and not till then, painting of Chosun is completed artistically. This is more the result which reality-critical social consciousness and the propensity of practical science of Silsagusi(實事求是) is reflected in art than independent progress of artistic community, else change of attitudes of art according to alteration of whole social structure, that is, increase of the favored few according to diversification of writers and advance of private economic is artistic product. Advancement of concrete art making based on realism necessarily demands development of aesthetics theories. Since if there is procured these advancements and various value, it is transient fashion and does not show new creativity. However, the inlaw government Chosun was until the 19<SUP>th</SUP> century and Silhak declines, and then conservatization of the leading group of society was convulsively progressed. By these problems, art of 19th century Chosun Dynasty declined in compared with 18<SUP>th</SUP> century. At the same time, by close-minded character which denies chronological change, a proper succession does not come true and artistic originality is lost.

      • KCI등재

        조선 중기의 채색 고사인물도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사인물도》(덕수1890)를 중심으로―

        유미나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4 강좌미술사 Vol.0 No.62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고사인물도》(덕수 1890)는 27점의 채색 고사인물도로 구성되었다. 각각 20×21cm의 정방형에 가까운 동일 규격의 비단 바탕에 그린 그림들이다. 수려한 산수 경관 속에 고사 혹은 은일자의 아취 있는 모습을 담은 그림이며, 산과 언덕에 석청·석록의 풍부한 채색을 가한 청록산수화가 특징적이다. 이 연구는 제목이나 관지(款識)가 없어서 그 내용을 파악하기 힘든 이들 작품의 주제를 최대한 유추해보고, 화풍 분석을 통해 화첩의 성격과 의의를 짚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사인물도》의 특성과 의의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자 한다. 첫째, 《고사인물도》는 구영의 청록산수화풍을 수용한 호화로운 채색화로서 조선 중기 수묵화가 대세였던 화단에 일었던 주요 변화 즉 진채화의 등장 및 성행을 대변해주는 작품이다. 수묵의 산수인물도에 채색이 입혀져 화사한 기운이 강조되고 지적인 분위기는 덜하되 장식성이 살아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17세기 후반~18세기 초 왕실 수장품의 복원 및 재건이 활발하던 당시 왕실에서 주도한 청록산수 및 채색화의 활발한 주문 제작의 일환으로 화첩이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유사한 사례로 《만고기관첩》와 《예원합진첩》 등 시문(詩文)·고사인물도 서화합벽첩을 들 수 있다. 셋째, 《고사인물도》는 시의(詩意)를 살린 산수인물도를 총람할 수 있는 작품집으로서 27점이나 되는 작품이 한 화가의 필치로 완성되었다. 시의도 모음집이라는 점에서 『당시화보』와 『시화방(詩畵舫)』 등 중국 화보에게서 자극을 받아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들 화보는 중국 시를 주제로 한 다양한 시의도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특히 풍부한 산수 배경 속에 인물을 배치하여 시적 정취를 고취한 점에서 《고사인물도》 화첩의 제작에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화보의 도상을 그대로 사용한 경우는 드물고 조선인의 정서와 미감에 맞게 변형해서 활용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넷째, 명말청초에 성행했던 송원 명가의 고화첩이 17세기말~18세기 초에 조선에도 입수되었고 중국화에 대한 관심이 높은 가운데 18세기 초의 조선 문인들의 글에서도 이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고사인물도》는 중국의 고화첩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 것이라 할 수 있지만, 조선인의 정서와 미감이 반영되어 고화(古畵)에 대한 조선인의 해석이 담긴 작품집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Album of Landscape and Figures”(德壽 1890) hel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composed of 27 colored paintings. Each painting is drawn on same sized silk, approximately 20×21 cm. These paintings depict the elegant images of lofty figures or reclusive scholars in beautiful landscapes, featuring a blue-green landscape painting style. This study aims to deduce as much as possible about the themes of these works, which are difficult to make out due to the lack of titles or inscriptions, and to analyze their painting style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album.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Album of Landscape and Figur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Album represent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art scene, where colored paintings emerged and became popular during the mid-Joseon period when ink wash painting was dominant. These works, adopting the luxurious blue-green landscape painting style of Qiu Ying, add vibrant colors to ink wash figure landscapes, emphasizing a bright and decorative atmosphere while reducing the intellectual mood. Secondly, the album might have been produced as part of the active royal commissioning of blue-green landscape and colored paintings during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a period when the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of royal collections were vigorous. Thirdly, the Album is a collection of landscape and figures imbued with poetic sentiment. It might have been inspired by Chinese books like “Tangshihuapu唐詩畵譜” and “Shihuafang(詩畫舫)”, which showcased various poetic-themed paintings with figures placed in rich landscape backgrounds to enhance poetic sentiments. Fourthly, the Albums of Ancient Paintings, which were popular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dynasties, were acquired by Joseon in the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ies. The “Album of Landscape and Figures” was likely created with Chinese ancient painting albums in mind, but it incorporates Korean emotions and aesthetics, making it a significant work that embodies Joseon’s interpretation of ancient paintings.

      • KCI등재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

        류해춘(Ryoo Hae-Choo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이 글은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선비들이 누렸던 여가활동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여가활동이 국민들 사이에 새로운 문화코드로 떠오르면서 ‘참살이’, 즉 웰빙(well-be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참살이이란 물질의 가치나 명예를 얻기보다는 신체와 정신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행복의 잣대로 삼는다. 최근에는 참살이가 여가산업의 한 분야로 변질되면서 상류층의 소비문화로 왜곡되고 변질되어 있다고도 한다. 하지만 진정한 여가활동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잘 먹고 잘 살고 폼 나게 사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만족을 통해 행복을 느끼며 건강하게 사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은 우리나라의 사대부들이 어지러운 세상을 만나면 자연과 벗하며 자연의 질서를 존중하며 건강하게 생활했던 것과 일면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고약한 세상을 만나면 산림이나 고향으로 돌아와 산수자연과 함께 하면서 시조나 가사를 지으면서 틈틈이 여가활동을 즐겼다. 산수시조는 어느 계절에 창작되느냐에 따라 그 소재와 주제가 달라진다. 여기서는 산수시조를 통해서 지금 우리 사회에 화두가 되고 있는 참살이와 비슷한 모습으로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소유하며 살아간 사대부들이 지녔던 여가활동의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산수시조에 나타난 사대부들이 체험한 여기활동의 양상은 1)기분전환과 삶의 재충전, 2)건강회복과 안전한 먹을거리, 3)자기계발과 공동체의 삶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가활동이 중요시되고 있는 오늘날 우리들은 고시조에 나타난 여유와 느림의 미학에 바탕을 둔 산수시조의 여가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심신이 건강한 여기활동을 즐기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n studying Sun-hi's activities during Chosun era by analyzing their leisure activities appeared in Si-jos which related with mountains and rivers. These kinds of Si-jos called Sansu Si-jo. Nowadays in Korea leisure activities are up a new culture code and a large number of peoples have interested in well-being. Well-being as known as 'Chamsalee' is pursuing happiness based on sound body and sound mind rather than stick to materialism and fame. Therefore, Chamsalee put physiological health and stable mind on front burner. Recently, Chamsalee deteriorated to upper classes' conspicuous consumption. However, healthy living with mental satisfaction and feeling happiness is closer to real meaning of Chamsalee. Chamsalee's life style is similar to the Chosun's gentries. When they met turbulent days they went back to the rural life and live healthy lives respecting provision of nature. Also they create Sansu Si-jo. According to seasonal change, Sansu Si-jos' subject matters and main themes can be different. This study analyzes leisure activities' aspects of Chosun's gentries which are appeared in Sansu Si-jo. Leisure activities' aspects appeared in Sansu Si-jo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1) refresh oneself and recharging one's batteries, 2) recovering health and healthy foods, 3) self improvement and community life. Nowadays people will maintain healthier leisure activities through looking around Sansu Si-jo's winter leisure activities.

      • KCI등재

        南京과 揚州를 그린 17-18세기 中國 山水畵와 後援者

        박효은(Park, Hyoe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美術史學 Vol.- No.36

        이 글은 明末과 淸代에 南京 · 揚州의 실경을 그린 산수화가 제작, 향유된 양상을 고찰해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탐구해보고자 한 것이다. 金陵圖 · 廣陵圖로 지칭되는 이들 작품에서 남경 · 양주의 실제 장소는 그곳에 살거나 거쳐 간 紳士層과 商人層의 수요에 부응해 시 · 서 · 화의 문인예술적 형식으로 기념되었다. 元 · 明 文人趣向의 영향 하에 회화적 재현의 대상으로 전환된 각각의 장소는 공공의 명소로서나 사적인 공간으로 향유되고 소유되며 畵題와 圖像으로 자리잡았다. 황산파 내지 안휘파의 黃山圖와 더불어 17-18 세기에 성행한 금릉도 · 광릉도는 徽商과 밀접한 관계에 있던 점에서도 황산도와 공통되는 만큼 18세기 한국과 일본의 진경산수화 · 진경도와 비교하여 동아시아 공통의 화단 변화와 도시문화 전개를 조망하기에 적합한 중국측의 단서라 하겠다. 이 동향을 이끈 후원자로는 문인취향 양성자로서의 신사층, 추종자로서의 상인층이 주목되는데, 본고는 특히 휘상 중심의 후원자 네트워크와 그 사유지의 명소화 현상을 조명하여 상인후원자의 대두를 부각시키고자 했다. 그 결과, 중국회화사의 대표적인 개성주의자이자 황산파의 막내로서 황산도로 유명한 石濤(1642-1707)가 금릉도 · 광릉도를 다 그린 점, 지역경관의 시각화에 크게 기여한 그가 종종 휘상의 후원을 받은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蕭雲從(1596-1673) 이래 弘仁(1610-1664) · 석도와 18세기 方士庶(1692-1751) 등 휘상과 관련해 작업한 금릉도 · 광릉도의 화가가 조형 표현이나 재현 장소 선택에 있어 기존의 전형을 벗어나 새로운 방식을 추구한 점에서 공통된다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휘상은 궁정에서의 문인취향 애호, 중국을 넘어 한국 · 일본에 전해진 江南文化의 확산, 동아시아 전체에 유포된 文人畵 조류와 같은 17-18세기 동아시아 화단의 변화를 이끈 주요 집단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 차후에는 휘상의 후원을 받은 석도의 금릉도 · 광릉도와 궁정세력이나 여타 집단의 후원으로 그려진 범주를 비교, 고찰해 상인의 문화후원과 화단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논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duction, appreciation, and socio-cultural implication of the landscape paintings depicting actual sites in Nanjing (南京) and Yangzhou (揚州) during late-Ming and Qing dynasties. Also known as Jinling-tu(金陵圖) and Guangling-tu(廣陵圖) respectively, these paintings commemorated the sites of Nanjing and Yangzhou for literati-gentlemen (紳士層) and merchants (商人層). These men as residents or visitors of the citiesen joyed landscape paintings along with poetry and calligraphy, which were under the influence of Yuan-Ming literati taste. As cultural consumers, they exhibited a great appreciation for private properties as well as publicly renowned places in Nanjing and Yangzhou, and converted specific sites into subject matters of painting and certain images. These paintings appeared parallel to the prevalence of Huangshan-tu (黃山圖) made by Huangshan school (黃山派) or Anhwei school (安徽派). In addition, what these paintings had in common with Huangshan-tu was their close relationships with Huizhou merchants (徽商). Based upon these facts, they can serve as a clue in understanding art world and urban culture during 17th and 18th century China, which should be analyzed with real scenery landscape paintings of 18th century Korea and Japan comparatively. Patrons who led the trends were literati-gentlemen who established literati taste (文人趣向) and also merchants who practiced the taste. This paper in particular has examined how the cultural patronage of merchants influenced the contemporary art world by closely looking into the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Huizhou merchants’ properties and their outing sites as well as the emergence of the network of patrons centered on Huizhou merchants. To support this point of view, I have shown how Huizhou merchant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Jingling-tu and Guangling-tu by investigating their relations to the works of Shitao (石濤, 1642-1707) as well as other painters such as Xiao Yuncong (蕭雲從, 1596-1673), Hongren (弘仁, 1610-1664) and Fang Shishu (方士庶, 1692-1751). As one of the most outstanding individualists in the history of Chinese painting and the youngest participant of Huangshan school, Shitao produced unique works depicting actual sites of Nanjing and Yangzhou as well as Huangshan. Thus, Shitao’s paintings were closely related to Huizhou merchants which eventually led to the widespread visual representations of local sites in unique ways. It is clear that Huizhou merchants were one of the most important groups whose cultural patronage and enthusiasm for culturally refined lifestyles contributed to the Qing emperors’ predilection for literati taste, the dissemination of Jiangnan culture (江南文化) beyond China to Korea and Japan, and the highest development of literati paintings (文人畵) throughout 17th and 18th century East Asia. In subsequent study, I would like to analyze in greater depth how Shitao’s figurative expressions and representations of actual sites in Nanjing and Yangzhou sponsored by the merchants differ from those patronized by the royal court and literati-gentlem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