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기 축적을 통해 본 고대 산성의 운용방식에 대한 시론적 접근

        이경희(Lee, Gyeong Hee)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91

        하남 이성산성과 음성 망이산성은 삼국시대에 초축되어 통일신라 시대에 대대적인 공사가 진행되고 나말여초기까지 점유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두 산성에서 출토되는 7-8세기 토기의 축적량은 동일하지 않았다는 점이 주목된다. 특정 시기에 일어나는 토기 축적의 변화는 점유집단의 전이, 점유시간의 공백, 건축 계획 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해 산성에 가하는 행동력이 변화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성산성과 망이산성을 대상으로 토기유물 축적량이역사적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추적하여 고대 산성의 점유양상과 그 운용방식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에 성곽개축양상과 토기 출토양상 그리고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형식적 점유”와 “실질적 점유”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삼국시대에는 전략적인 요충지마다 산성이 한시적으로 축조되어 운용되었다면 통일신라 이후부터는 시대의 요구에 따라기능적으로 특화된 산성이 운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7-8세기에는 정국이 안정화되고 지역간 교류가 활발히 일어나면서 경제적·교통적 기능이 강화된 산성이 실질적으로 운용되었고, 군사적·방어적 기능이 강화된 산성들은 최소한의 관리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9세기 이후 사회 혼란이 야기되어 군사적 요충지가 요구됨에 따라 형식적 점유가 이루어졌던 후자의 산성들이 본래의 기능을 되찾아 재운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Hanam Iseongsanseong and Umseong Mangisanseong were built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extensive construction was carried ou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they have in common that they were occupied until the Namalyeocho period. However, it was noted that the amount of earthenware from the 7-8th centuries excavated from the both fortresses was not the same. Changes in the accumulation of earthenware at certain times are due to external factors. In this article, we tracked the changes in the accumulation of earthenware artifacts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in Hanam Iseongsanseong and Eumseong Mangisanseong, and discussed the occupation patterns and operation methods of ancient fortress. Accordingly, new concepts of “formal occupation” and “substantial occupation” were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nges that occurred inside the fortress and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fortresses were temporarily built and operated at every strategic point, but after Unified Silla, functionally specialized fortresses were opera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In the 7-8th centuries, as the political situation stabilized and exchanges between regions took place actively, the fortresses with enhanced economic and transportation functions were substantially operated, and the fortresses with enhanced military and defense functions were managed at least. However, fortresses, which had been occupied formally after the 9th century due to the social turmoil and the need for a military hub, can be said to have been reoperated.

      • KCI등재

        숙종대 전라도 위봉산성 축성과 행궁(行宮)의 위치 고찰

        김철배 전북사학회 2022 전북사학 Vol.- No.66

        위봉산성(威鳳山城)은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도솔산과 추졸산에 1675년부터 1682년까지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둘레는 대략 8,539m이다. 위봉 산성 축성과 관련하여 『숙종실록』에는 “전주 위봉산성을 쌓았다.”라고 간단하 게 기술되어 있을 뿐이다. 위봉산성의 축조 배경이나 목적, 기능 등에 대해서 는 분명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주 경기전에 봉안된 태조어진의 피난처로서 행궁을 조성하고, 이를 수호하기 위한 산성으로 이해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위봉산성의 축성 이유에 대하여 첫째, 조선후기 숙종 대 관방정책의 일환으로서 하삼도의 방어체제로 이해하였으며, 둘째, 전라도 3대 산성으로 불렸던 무주 적상산성이 독진(獨鎭)이 됨으로써 전주진관 체제 내 입보산성(入保山城)으로서 수축된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위봉산성의 시 설중에 하나인 행궁(行宮)은 1682년경 유사시 경기전 태조어진(太祖御眞)의 피 난처로서 조성된 것이다. 다만 위봉산성에 속한 군병은 별영군(別營軍) 17초 (哨)로 약 2,475명과 비교하여 조선시대 경기전(慶基殿)의 수호를 위해서 참봉 과 령(令) 등 관리 2명, 수복(守僕), 금화군(禁火軍), 충의군(忠義軍) 등 670명 이 배속된 것과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위봉산성 행궁(行宮)의 위치는 향후 복원이 요청되는 사업이지만 2005년 위봉산성 서문지(西門址) 일 원 발굴, 2017~2018년 위봉산성 행궁지(行宮址)에 대한 추가발굴이 이루어졌 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성과가 없었다. 이에 조선시대 읍지자료 및 <위봉산 성도> 등과 비교하여 행궁의 정확한 위치를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Wibongsanseong Fortress is a Pogok-style fortress built from 1675 to 1682 on Mt.Dosol and Mt.Chujol in Daeheung-ri, Soyang-myeon, Wanju-gun, Jeollabuk-do, with a circumference of about 8,539m. Regarding the construction of Wibongsanseong Fortress, the Annals of King Sukjong only briefly describe, “Jeonju Wibongsanseong Fortress was built.” Not only is the background, purpose, and function of the construction of Wibongsanseong Fortress unclear, but it is also understood as a fortress to create a Temporary Palace and protect it as a refuge for the portrait of King Taejo, enshrined before Jeonju Gyeonggijeon. In this regard, this article understood the reason for the construction of Wibongsanseong Fortress as a defense system of the three southern provinces as part of the chief defense polic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secondly, Jeoksangsanseong Fortress in Muju, which was called the three major fortresses of Jeolla-do, became Dokjin. In addition, Temporary Palace, one of the facilities of Wibongsanseong Fortress, was built around 1682, as a shelter for the portrait of King Taejo before Gyeonggijeon. However, compared to about 2,475 soldiers belonging to Wibongsanseong Fortress with 17cho(哨) of Byeolyeong-gun(別營軍), it is different from 670 soldiers, including Chambong and Ryeong(令), Subok(守僕), Geumhwa-gun(禁火軍), and Chungui-gun(忠義君), to protect Gyeonggij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the location of the Temporary Palace in Wibongsanseong Fortress is a project that requires restoration in the future, but despite the discovery of the Seomunji(西門址) area in Wibongsanseong Fortress in 2005 and additional excavation of the Temporary Palace in Wibongsanseong Fortress in 2017-2018, there was no clear result.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exact location of Temporary Palace by comparing it with the data of Eupji(邑誌) and a map of Wibongsanseong Fortress during the Joseon Dynasty.

      • 『천하지도』 연구(3) : 산성(山城)의 역사지리적 예비 고찰

        윤홍기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4 地理學論叢 Vol.70 No.-

        이 글은 『천하지도』에 포함된 산성 20곳의 이름을 개관하여 알아보고, 산성이 한국문화역사지리에서 갖는 의미를 헤아려 본 것이다. 한국의 산성 연구는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를 아우르는 종합지식이 필요한 분 야이고, 시대를 따라 이룩된 한국인의 문화생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분야이다. 한국의 산성은 고구 려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이며, 한국의 도성은 중국과 달리 산성의 일종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Ch’ŏnhajido』, Korean Atlas of World Map includes 20 names of “sansŏng” or Korean mountain fortresses. This paper attempts to review these names an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tudying mountain fortresses in Korean historical-cultural geography. Through the study of mountain fortresses, historical geographers can understand the cultural ecology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time. It is postulated that the widely scattered mountain fortresses in the Korean landscape are a part of the heritages derived from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Koguryŏ.

      • KCI등재

        안성 도기동산성의 발굴성과와 성벽구조에 대한 소고

        김진영(Kim jin young) 고구려발해학회 2017 고구려발해연구 Vol.58 No.-

        도기동산성이 위치한 안성분지 일원은 고대로부터 해상과 육상교통로의 결절지로 삼국의 영역화 과정에서 전략적 요충지 역할을 하였는데 이러한 안성분지의 중심에 도기동산성이 위치한다. 도기동산성은 주로 성벽부분을 중심으로 수차례의 발굴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발굴조사 결과 토성에서 목책성으로 변모한 것으로 여겨진다. 초축 성벽은 구릉 경사면을 단이 지게 굴토한 후 성토하여 높은 토루를 조성하고 상부에 목책을 설치하였다. 주된 방어벽은 토루로 목책은 여담과 같은 역할을 한 토성으로 판단된다. 축조시기는 후대 성벽 구조물과 내부공간의 주거지 및 저장구덩에서 출토되는 백제토기와 성벽의 AMS 연대 측정 결과 등을 고려할 때 한성 백제기인 4세기 중·후반 무렵을 전후한 시기에 축성되어 5세기 대 까지 운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초축 성벽의 상부를 정지한 후 축조한 목책은 서로 연결된 내·외 이중목책 구조로 바깥 목책에 점토를 두텁게 바른 석축시설을 덧대고 외부에 성토하여 목책을 보강한 구조적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목책구조는 세종 남성골산성과 연천 무등리2보루 등의 성벽구조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고구려 목책성의 구조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성벽 구조물에서 출토되는 고구려 토기의 특징 상 5세기 후반에서 6세기 중반 대에 해당하여 475년 고구려의 한성 공함 동시에 곧바로 안성지역까지 진출하여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산성의 평면구조는 발굴된 성벽의 위치와 진행방향으로 볼 때 내·외성으로 구성된 중성구조이며, 북문과 남문의 문지 두 곳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규모는 내성의 둘레가 약 1.4km 정도이며, 외성을 포함한 전체 둘레는 2km는 족히 되는 거성으로 남한 내 고구려 성곽에서 가장 크며, 백제토성 중에서도 중앙의 몽촌토성과 지방국읍체의 중심으로 비정되는 화성 길성리토성에 버금가는 것으로 산성의 규모와 지정학적 위치상 백제와 고구려의 남방경략과정에서 거점성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Anseong Basin area where Dogidong Fortress is located is the node of maritime and inland transportation passages from the ancient times with the role of strategically critical location in the territory process of the three kingdoms and Dogidong Fortress is situat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Anseong Basin. There have been a few excavation survey mainly around the rampart part of Dogidong Fortress, and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survey, it seems to have a repairing and alteration process to turn it from the earthen fortress to the wooden fence fortress. The first rampart excavated the sloped area of the ridge to have steps and then it builds the high earthen tower to install the wooden fence on the upper part. The main defense wall is the earthwork that the wooden fence seems to be the earthen fortress with the role that is similar to battlement. The construction period has weak direct base data, but when considering the AMS chronological measurement result and others for the Baekje earthenware and rampart excavated in the post rampart structure, residence of internal space and storage pits, it is considered as constructed in the reign of King Geunchogo around middle and later part of the 4th century, the Hanseong Baekje Era and operated it up to the 5th century era. After leveling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ampart, the constructed wooden fence has the connected internal and external dual wooden fence structure. It h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reinforced wooden fence by building up the exterior after applying the stone structure facility that is thickly coated on the external wooden fence. Such a wooden fence structure is very similar to the rampart structure of Sejong Namseonggol Fortress and Yeoncheon Mudeungri2 fort that it displays well of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Goguryeo wooden fence fortresse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mpart found in the rampart structures, it would be applicable at the time between the later 5th century to the mid-6th century and it is shown to be constructed by advancing up to the Anseong area simultaneously with the Hanseong fall of Goguryeo in 475. Furthermore, when looking at the location of the excavated rampart and its direction for the plane structure of the fortress, it is in the dual fortress as it is structured with inner and external fortresses and it is assumed to have two gate the North Gate and South Gate. For its scale,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fortress is approximately 1.4km and the overall circumference including the external fortress is at least 2km that this is the largest Goguryeo fortress in South Korea. It is comparable to the Mongchon earthen fortress that is in the middle of the Baekje earthen fortresss and the Hwaseong Gilseong-ri earthen fortress as the central part of local town system, and it seems to take on the role of the hub fortress in the process of advancement toward the southern regions for Baekje and Goguryeo considering the scale of the fortress and its geopolitical location.

      • 公州 利仁部曲城에 대한 一考察

        서정석 한국성곽학회 2011 한국성곽학보 Vol.19 No.-

        웅진시대 백제의 도읍지였던 공주지역에는 공산성(公山城)을 중심으로 시내 전역에 20여 개소의 산성이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이렇다 할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어 축성 시기라든가 축성 목적에 대해서는 잘 알 수 없는 실정이다. 다만 공산성을 중심으로 사방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에서 막연하게나마 웅진시대 백제 왕도의 방비체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이해해 왔다. 그런데, 최근들어 산성의 조사 사례가 증가하고, 백제산성은 물론이거니와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산성에 대한 연구가 깊어지면서 공주지역에 남아 있는 산성이라고 해서 반드시 백제시대 왕도 방비체제와 관련시켜서만 이해할 필요는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인산성은 공주시 이인면(利仁面) 용성리(龍城里)에 자리하고 있다.『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고려시대 이전에 축성된 산성임이 분명한데, 해발 230m의 성재산 정상부에 삼태기형태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축성법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믿어진다. 게다가 성내에서 수습되는 유물은 백제기와로 볼 수 있는 것과 통일신라시대 기와로 볼 수 있는 것이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대략 통일신라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인산성의 성격은 그 명칭에 잘 나타나 있다. ‘이인산성’처럼 ‘군현명+성’과 같은 형태의 산성들은 모두가 그 지역의 치성(治城)을 뜻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다. 예를 들어 밀양 추화산성(推火山城)은 추화군(推火郡)의 치성(治城)이었고, 광양 마로산성(馬老山城)은 마로현의 치성(治城) 이었다.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이인산성은 이인지역의 치성(治城)이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는데, 이인지역에는 군현(郡縣)이 설치된 적이 없고, 대신 부곡(部曲)이 설치되어 있었던 만큼 이인부곡(利仁部曲)의 치소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이인산성의 삼태기형 평면형태는 이인산성이 단순한 산성이 아니라 무언가 치성(治城)의 역할을 하였음을 말해주는 것으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즉, 이인부곡성(利仁部曲城)이었다고 생각된다. 熊津時代の百濟の都邑地でした公州地域には 公山城を中心として 市內の全域にわたって 20餘箇所の山城がである. しかし その大部分についての まだ 發掘調査が行なわれることがなくて, 築城時期とか築城目的については全然わからないのが 實情である. 但し, 公山城を中心として 四方に配置されているので だいたい熊津時代の百濟王都の防備體制と關係がであると 理解して來た.ところで, 最近 山城の調査事例が增加して, 百濟山城はもちろん, 統一新羅時代と高麗時代 山城についての硏究が 深くなって 公州地域に 殘っている山城が 必ず百濟時代 王都の防備體制と關係があると理解する必要ではなくなっていた.利仁山城は公州市の利仁面 龍城里にある. 『新增東國輿地勝覽』によると 高麗時代の以前に築城された山城として, 海拔230mのソンゼサン(성재산)の頂上部で 箕形として存在しているのが特徵である. なお, 築城法として見るとき, 統一新羅時代以前に築造されると思われて いる. 城內で收拾された遺物の中には 百濟瓦で見られることと統一新羅時代瓦で見られることが共存している. それで 大略 統一新羅時代で 築造されたことと思われている. そんな意味で 利仁山城は里仁部曲の治城だったと思われている.

      • KCI등재

        抱川 半月山城 硏究(Ⅰ) : 三國~統一新羅時代 活用地域을 中心으로 In consideration of the pratical use on the area in Paekche, Goguryeo, Shilla and Unified Shilla

        金虎俊 한국문화사학회 2003 文化史學 Vol.0 No.20

        산성은 다른 유적과 달리 당시의 정치·사회·문화·경제 등 諸分野의 중합적인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유적이다. 그러므로 산성에 대한 연구는 다각도의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반월산성은 해발 284.5m의 청성산에 축조된 반월형의 테뫼식 산성으로 전체 둘레는 1,080m이다. 포천지역은 물론 인근 지역에 있는 산성 중 가장 큰 규모이다. 반월산성은 6차례의 학술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그로 인해 산성 전체의 변화과정 및 분석이 가능해쳤다. 이 글에서는 산성의 활용주체를 백제, 고구려, 신라, 통일신라로 구분해 보았다. 또한 각 시대별로 산성을 활용한 지역에 대한 기능과 목적에 대해 규명하였다. 발굴조사에서 밝혀진 내용을 시대별로 나누고, 이에따른 현황도를 작성하여 입중자료로 활용하여 보았다. 백제는 내성과 외성을 석재를 사용하여 축성하였다. 성벽 기저부에서 출토된 백제토기는 늦어도 4세기 후반 경에 제작된 것이 분명하고, 출토된 층위가 안정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한성도읍기 백제시대에 축조되었음은 분명하다고 생각된다. 고구려는 6세기 후반 경에 반월산성을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는 서벽과 남벽에 치성을 개축하여 남쪽 지역에 대한 방어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것은 한강이북으로 진출하려는 신라를 저지하려는 의도로 생각된다. 신라는 629년 고구려와의 낭비성 전투에서 승리하여 포천지역 뿐만 아니라 한탄강 유역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신라는 접경지 역의 산성을 대대적으로 정비하였다. 그리고 반월산성은 주변 산성의 통제와 보급을 지원하는 포천지역의 중심성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통일신라는 나·당전쟁후 북방 경영을 추진하면서 발해와의 대립이 심화되었다. 반월산성은 대립이 해소되는 8세기 중반 이후까지 군사적 기능은 유지되었다. 이후 반월산성은 포천 지 역의 지방행정의 중심지로 자리잡게 되었다. The Banwol mountain fortress is built at Chungsung mountain(above sea level 284.5m). It is a ring-building wall such as a cresent shape, the total length is 1,080m, This mountain fortress is the biggest a boundary of land in Pocheon The mountain fortress is to be difference of any Historical monuments and looked very well that it has all the facts which government·society·culture·economy when it has been used. through, Study on the mountain fortress is to be progressed in many-sided trial to research. The Banwol mountain fortress has been examined 6 time's by learning and accomplishments unearthing examination all around the mountain fortress. Thus, It is possible to analysis the transformation df the mountain fortress. This report will be defined the purpose and usage of the Banwol fortress each period such as Paekche, Goguryeo, Shilla and Unfied Shilla, A all things what unearthing examination has proven divide periods and make the present condition map. these make to use proof matter for the sentence before. Paekche has been built inner and outer fortress by stones. It can be said true that the pottery, which is found the bottom of fortress, was made in late 4th century. To be seemed,, this fortress has been built to paekche when the Hansung royal palace periods. because exact place where pottery has been unearthed. Goguryeo is seemed that has practical used the Banwol mountain fortress as late 6th century, Goguryeo has built a watch-tower at west and south wall as to defense in south region, this is thought to defense for Shilla which she has tried to advancing for the Han river above north Shilla could control Pocheon area and Hantan river area after the battle Nangbisung with Koguryeo. From that time, Shila set the Banwol mountain fortress in a good condition. The Banwol mountain fortress became the most important fortress in the Pochan area. Its' function is that to have jurisdiction and diffuse around mountain fortresses. After the war between Unfied Shilla and Tang, Unified Shilla had conflicts with Balhae. The Banwol mountail fortress had used for military purpose until the conflicts solved at the middle of 8th century. From this time, The Banwol mountain fortress had bee used for the local administrative organ.

      • 한계산성 天祭壇의 형태와 성격

        김도현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3 No.-

        寒溪山城の中にある天祭壇は城郭内に位置した祭祀の遺蹟であったと推定することができる。その理由として, 他の地域山城内の祭祀遺蹟を綜合的に檢討してみた結果、祭祀遺蹟が位置した所は山城の內部、特に建物址がある所と近くにありながら、內部をよく見ることができ、山城外部の河川や主要な交通路などを一目で見渡すことができる所に位置されているということである。寒溪山城内の天祭壇と近い所の大闕垈と呼ばれる所に住居遺蹟が發見された点と、その周邊で發見された土器片は山城を維持していた高麗時代と朝鮮時代に祭壇の役割として機能した可能性を高めてくれる。そして、寒溪山城が關防遺蹟としての機能を廢した後、祭壇も放置され、ここを據點に仙思想と道敎、佛敎が習合された新宗敎を作った人がここを天に祭祀を執り行う祭壇として活用した可能性が高い。なぜなら、一般的に共同體のための祭壇を設置する所が村落や周邊の景觀をよく眺望できるところに設置された事例が多いので、太白山の天祭壇や三陟にある可谷山烽燧·陽野山烽燧の民間信仰の處所化の事例などを通じて過去に國家の祭場だったり、關防の遺蹟だった所がその本來の機能を廢した後、新宗敎や民間信仰の處所として活用された事例が多く發見される。これとともに以前の宗敎機能を廢しても以後に作られる宗敎祭場は以前に宗敎祭場だったところに彼らの祭場を設置した事例が多いからである。 寒溪山城내 天祭壇은 城郭내에 위치한 祭祀遺蹟이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른 지역 산성 내 제사 유적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본 결과 제사 유적이 위치한 곳은 산성 내부, 특히 建物址가 있는 곳과 가까우면서 내부를 잘 볼 수 있으며, 산성외부의 하천이나 주요 교통로 등을 한 눈에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해 있다는 점이다. 寒溪山城내 天祭壇과 가까운 곳에 대궐터라 불리우는 곳에 주거 유적이 발견되었다는 점과 그 주변에서 발견된 土器片은 山城을 유지하였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祭壇으로 기능하였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그리고 한계산성 내 천제단의 명문을 보면 仙○○, 道君子, 上帝, 佛者등 仙思想과 道敎, 佛敎思想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천제단에 새겨진 명문 내 인물들이 고려시대에 활동한 인물이라면 당시 이와 같은 사상 경향을 국가나 민간 차원에서 수용하여, 祭儀를 행하였음은 醮祭나 八聖堂을 설치한 사례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한계산성을 고려시대에 주로 사용하였다는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종합해 보면 고려시대에 한계산성 내에서 하늘에 제사지내기 위해 설치하였던 天祭壇이었을 가능성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계산성이 관방유적으로서의 기능을 廢한 후 祭壇또한 방치되었다가 이곳을 거점으로 仙思想과 道敎, 佛敎가 習合된 新宗敎를 만든 사람들이 이곳을 하늘에 제사지내는 제단으로 활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공동체를 위한 제단을 설치하는 곳이 마을이나 주변 경관을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에 설치된 사례가 많으며, 太白山天祭壇이나 삼척 가곡산 봉수·양야산 봉수의 民間信仰處所化사례 등을 통해 과거에 국가 제장이었거나, 관방 유적이었던 곳이 그 본래의 기능을 廢한 후 新宗敎나 民間信仰의 처소로 활용된 사례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이전의 종교 기능을 廢하더라도 이후에 만들어지는 종교 제장은 이전에 종교 제장이었던 곳에 그들의 祭場을 설치한 사례 또한 많다. 이와 함께 한계산성 천제단이 지닌 가치는 하늘에 제사를 지낸 聖所였다는 점과 산성 유적 내에 제사를 지낸 장소의 위치적 특징이 산성 내부와 외부를 잘 조망할 수 있는 곳이면서 주변에 건물 유적이 있는 곳에 위치한다는 점을 정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 KCI등재

        북한산성의 승영사찰僧營寺刹

        윤기엽(尹紀燁) 한국국학진흥원 2014 국학연구 Vol.0 No.25

        조선 숙종 37년 북한산(혹은 삼각산)에 북한산성北漢山城이 축성된 후 성내에는 승군僧軍이 주둔하는 10개의 승영사찰僧營寺刹이 새로 건립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들 각 사찰에 주목하여 사찰의 위치와 역할, 운영 등을 비롯해 그것의 위상과 불교사적 의미 등을 살펴보았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조선후기 북한산성이 갖는 중요성과 함께 승군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으로 보인다. 산성의 방위를 위해 승군이 주둔한 승영사찰은 3군영三軍營의 담당구역내에 건축된 3대문大門ㆍ3소문小門ㆍ7암문暗門ㆍ중성重城의 인근에 위치하여 대부분 성곽의 수비를 담당했다. 훈련도감訓鍊都監 소속의 상운사ㆍ서암사ㆍ진국사 등은 북문北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북쪽을, 금위영禁衛營 소속의 보국사ㆍ보광사ㆍ용암사ㆍ태고사 등은 대동문大東門(현 대성문)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동쪽을, 그리고 어영청御營廳 소속의 국녕사 원각사 부왕사 등은 대서문大西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서쪽을 방어했다. 본영인 중흥사에는 승대장僧大將이 승군 전체를 지휘하도록 했고, 각 사찰에는 승장僧將ㆍ수승首僧ㆍ의승義僧 등을 두었다. 산성의 방어를 위해서 3군영의 유영留營이 설치되었지만, 각 사찰은 성문에 인접하여 산성방어의 최일선에서 그 역할을 한 것이다. 산성방어의 주역이었던 승군 중 대다수인 의승義僧(정원 350명)은 교대로 근무를 서는 의승상번제義僧上番制로 운영되었고, 이것이 영조 때 방번전防番錢을 납부하는 의승방번제義僧防番制로 전환되었다. 승군제의 변화와 함께 승영사찰의 변화도 불가피하였다. 하지만 사찰 본래의 목적이 산성의 방위였기 때문에 그대로 존속하였지만 승군의 폐지(1894)를 전후해 대부분 폐사되었다. 현재 북한산성에는 상운사ㆍ태고사ㆍ진국사(노적사)ㆍ국녕사 등이 명맥을 잇고 있으며 중흥사와 서암사는 복원 중에 있다. The Bukhan-sanseong Fortress(北漢山城) of Mt. Bukhan-san were built in 1711, in the reign of King Sukjong(肅宗, 1674~1720) of the Joseon dynasty. Afterwards, the 10 military temples in which military monks stationed were newly founded in the fortress. The present writer took notice of these 10 temples, and researched the status and meaning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ncluding the position and management of these temples. This research is such a meaningful work because it help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Bukhansanseong Fortress and the system of military monks. The 10 military temples which were located in the neighborhood of three major gates, three minor gates, seven hidden gates and one inner gate in the three military camp zones were mostly in charge of protecting the castle walls. Sangunsa(祥雲寺), Seoamsa(西巖寺), Jinguksa(鎭國寺) belonging to the Hulleondogam troop(訓練都監) protected the north of fortress around the north main gate, Boguksa(輔國寺), Bokwangsa(普光寺), Yongamsa(龍巖寺), Taegosa(太古寺) belonging to the Geumwiyeong troop(禁衛營) protected the east of fortress around the east main gate. And Guknyeongsa(國寧寺), Wongksa(元覺寺), Buwangsa(扶旺寺) belonging to the Eoyeongcheong troop(御營廳) protected the west of fortress around the west main gate. The master of Jungheungsa(重興寺), the headquarter of military temples, commanded all military monks, and each military temple had a chief monk, a top monk and righteous monks. Though three military camps for protecting the fortress were established, military temples which were located in the neighborhood of several castle gates were in charge of protecting the castle walls in the forefront. The majority of military monks who were leading group for protecting the fortress were righteous monks(350 monks), and their service were alternated every two months a year. This system was changed into paying taxes instead of military service. It was inevitable that military temples were transformed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military monk system. The majority of military temples lasted because their essential purpose was to protect the fortress, but mostly they were destroyed around the abolition of the military monk system in 1894. Now Sangunsa(祥雲寺), Taegosa(太古寺), Jinguksa(鎭國寺), Guknyeongsa(國寧寺) of the Bukhansanseong Fortress(北漢山城) are keeping alive, and Jungheungsa(重興寺) and Seoamsa(西巖寺) are being reconstructed.

      • KCI등재

        최근 조사된 경상도 지역 석축산성(石築山城)의 축성법 검토

        박종익 국립문화재연구원 201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6 No.4

        Myeonghwalsanseong Fortress and Namsansinseong Fortress in Gyeongju are one of the few that have accurate records of when and who constructed the structures. Based on the monument commemorating the construction of Myeonghwalsanseong Fortress and the construction technique and structure of the fortresses confirmed through excavation survey, it can be induced that Myeonghwalsanseong Fortress was built prior to the 7th century. Meanwhile, Namsansinseong Fortress is believed to have been erected in 679, with the exception of one part of the wall found in the northwestern valley that was built during the first construction period of 591. Referr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se fortresses in the royal capital, Gyeongju, various recentlystudied fortresses were reviewed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periods. As a result, Haman Seongsansanseong Fortress, which takes similar form with Myeonghwalsanseong Fortress, is believe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mid-6th century based on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upplementary work method(i.e. Bochuk). Yangdongsanseong Fortress in Gimhae and Singisanseong Fortress, similar in their construction method, are also believed to be from the same period. Meanwhile, Jusanseong Fortress of Goryeong, despite the similar construction technique used, the construction technique used for Bochuk or limited Bochuk imply a time gap. Separately, most of the remaining walls of Namsansinseong Fortress appear to date back to the additional construction period, and Sageunsanseong Fortress in Hamyang and Dadaesanseong Fortress in Geoje that show similar construction method are set for the same period. Such conclusion was drawn from straight layer piling using the refined rectangular stones found in the fortress and the supplementary part remaining thereof. In addition, the study discovered a cross-section triangular water hole at Yangdongsanseong Fortress in Gimhae and Sageunsanseong Fortress in Hamyang and the trace of wooden fences construct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stone-wall, reaping outcomes rarely found in this region. 신라의 산성 중 정확한 축성시기와 주체를 밝힐 수 있는 것은 경주의 명활산성(明活山城)과 남산신성(南山新 城) 등 몇 개소에 불과하다. 명활산성은 작성비와 발굴조사 결과 확인된 체성의 축조기법과 보축을 기준으로 7 세기 이전의 산성으로 보았다. 그러나 남산신성의 경우 북서 골짜기에서 찾은 초축시기(591년)의 석축 성벽 한 곳을 제외하면 증축시기(679년)로 추정하였다. 경주 왕도에 있는 이들 산성의 축성방법을 기준으로 최근 조사 된 각종 산성의 축성모습을 검토하여 축조연대를 추정하여 보았다. 그 결과 명활산성의 축조와 비슷한 모습을 보이는 함안 성산산성(城山山城)은 축조방법과 보축 등에서 6세기 중반경으로 보았고, 이와 축조수법이 유사한 김해 양동산성(良洞山城)과 양산 신기산성(新基山城)을 비슷한 시기로 설정하였다. 다만, 고령의 주산성(主山 城)을 살펴보면 축조수법이 이들과 비슷하지만, 보축의 축조기법과 제한적인 보축에서 다소 시기차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이들과는 별도로 남산신성에서 확인되는 잔존성벽 대부분을 증축시기의 것으로 보고 이와 유사한 축조수법 을 보이는 함양 사근산성(沙斤山城)과 거제 다대산성(多大山城)을 동시기로 설정하였다. 체성에서 확인되는 치 석된 장방형의 성돌로 바른층쌓기한 점과 형식적으로 남은 보축을 설정근거로 하였다. 또한 김해 양동산성과 함양 사근산성에서의 단면 삼각형 수구, 김해 신기산성에서는 보축이 있는 석성축조에 앞서 선축된 목책의 흔 적이 확인되어 이 지역에서는 좀처럼 보기 힘든 조사성과를 확인하였다.

      • 淸原 壤城山城에 대한 고찰

        한선경 한국성곽학회 2010 한국성곽학보 Vol.18 No.-

        Yangseong Fortress still remains the ruins of the fortress at Munui-myeon Cheongwon-gun. It's constructed time is in the year 17(474) of Silla Jabimaripgan. Therefore, its importance is widely known as the mountain fortress of Silla. Yangseong Fortress has been confirmed to have had a fortress wall, 曲城, the site gate, 水口, a large pond, 遮斷壁 and the site building. It seems that the fortress wall is built on 內外夾築. It has a unique structure that has reinforced the foundation work of masonry. In addition, there is the site gate at Yangseong Fortress where a narrow valley lies. It is similar to the site gate at Samnyun Fortress. In the fortress wall of Yangseong Fortress, the drainage hole that runs right through the fortress wall has been found. It is seen mainly at the fortress during the Silla period, such as the Chungju Fortress in Chungju, Ondal Fortress in Danyang, Samnyun Fortress in Boeun, Bumo Fortress in Cheongju and Gomo Fortress in Moonkyou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drainage hole in the Yangseong Fortress is ㅁ-shaped, while the drainage holes of the other fortresses are shaped differently. Thus, the Yangseong Fortress is different from the other fortresses. The pond was discovered in the Yangseong Fortress. It is a 圓池 with a round-flat. The pond was constructed and used in three periods. It also has the unique feature of draining more than three drainage holes to alternate the water level. In the Yangseong Fortress, most of the excavated relics are fragments of pottery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Besides, most of the collected relics were common relics of the 9th century, including fragments of large, hardened pottery. This period is affiliated with the 豪族, and it is ascertained that the relics were used at this time. The sort of celadon used from Early Koryo to Late Koryo has been discovered. This proves that the Yangseong Fortress holds significance during the whole period of Koryo. 양성산성은 현재 청원군 문의면에 있는 성터로 축조된 시기가 신라 자비마립간 17년(474)인 신라산성으로 그 중요성이 알려졌다. 양성산성은 현재 남아있는 상태로 보아 석축된 성벽, 曲城, 문터, 水口, 큰못, 遮斷壁, 그리고 건물터가 확인되고 있다. 성벽은 내외겹축을 기본으로 축조한 것으로 보이며, 석축의 기초를 보강하여 축조한 기초보축이라는 독특한 구조가 확인되었다. 또한 양성산성의 문터는 계곡 방향의 좁은 협곡을 이룬 지점에 마련된 것으로 삼년산성의 문터와 유사함을 보인다. 양성산성 성벽에서 확인된 성벽 통과식 수구는 충주산성, 단양 온달산성, 보은 삼년산성, 청주 부모산성, 문경 고모산성 등 신라계 산성에서 주로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입수구와 출수구가 형태가 ‘ㅁ’자 형태이여서 이들 산성들의 수구 형태와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양성산성 내에서 조사된 연못은 원형의 평면형태를 가진 圓池로 확인되었다. 3차에 걸쳐 축조되어 사용된 연못은 수위에 따라 3개 이상의 수구를 이용하여 水位에 따라 배수시키는 특수한 기술이 사용되었다. 산성 내에서 확인된 유물은 신라 토기편 등 삼국시대의 토기편이 일부 수습된다. 유물 중에서 가장 많이 수습되는 것은 9세기대 보편적 유물인 경질 대옹편이다. 이는 豪族과 관련 시기로, 그 시기에 경영된 사실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려 초기에서 후기까지의 청자류가 수습되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 전반에 걸쳐 이 산성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