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난임여성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 분석

        부서윤,신창섭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가 무엇인지 밝혀내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난임 전문병원에 내왕하는 난임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도에 대한 33항목을 설문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난임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이의 상관관계와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난임 여성들의 정서적 특성은 임신에 대한 압박감, 불안 및 두려움,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 수치심 및 죄책감, 조급함과 답답함, 분노 및 과민함 등으로 나타났다. 난임 여성의 임신에 대한 압박감,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과 분노와 과민함, 불안 및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임신에 대한 압박감과 수치심 및 죄책감에 따라서 난임 부부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과 두려움에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에 따라서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급함과 답답함에 따라서는 희망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동반 참여자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와 과민함에 따라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경험 및 난임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한 자조모임의 효과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난임 여성의 심신건강 증진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subfertile women. This exploratory study identifies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and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according to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orest therapy programs. This study surveyed 200 subfertile women who visited a subfertility hospital in Seoul on 33 items of subfertile women's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forest therapy programs. We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nd importance betwee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and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programs using the SPSS 21.0 program. Emotional traits of subfertile women included pressure on pregnancy, anxiety/fear,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sadness, shame/guilt, impatience/frustration, and anger/hypersensitivity. Of these traits, pressure on pregnancy,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sadness, anger/hypersensitivity, and anxiety/fear were particularly high among subfertile women.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programs also differ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subfertile couple's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sure, shame, and guilt of pregna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program according to anxiety and fear and in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and sad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ples participating th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impatience and frus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nd the effect of self-help groups through the forest therapy program for subfertile women according to anger and hypersensitivity.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as the reference data for developing forest therapy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ntal health of subfertile women.

      • KCI등재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 인자의 중요도와 만족도

        정경미,신원섭 한국환경생태학회 202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7 No.4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echniques and effects that can be applied to forest meditation in domestic forest healing meditation research,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the space where forest meditation takes place. Nevertheless, a meditation space is not just a place concept but a forest environment element responsible for the healing function of a forest, i.e., a place containing healing factors, and can be an essential clue to the healing mechanism. Therefore, to determine whether a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 is suitable for meditation, this study selected the attribute items of the meditation space using the Delphi expert survey and then surveyed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 using the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22, targeting 315 adults who used the forest meditation space at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the Saneum Healing Forest, and the Jathyanggi Pureunsup Arboretum in Gyeonggi Province. The result of the IPA analysis showed the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forest meditation space was relatively high at 4.33 points on a 5-point Likert scale (4.33 points for the National Center for Forest Therapy, 4.34 points for the Saneum Healing Forest, and 4.37 points for the Jathyanggi Pureunsup Arboretum), indicating that the three healing forest meditation spaces were suitable for forest meditation. Satisfaction with the “Sounds of nature” was high in all three forests. On the other hand, all three forests showed a relatively low satisfaction with “Quietness,” indicating it to be a priority problem to be addressed. Also, an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the mediation space’s natural elements, such as natural sounds, scenery, air, forest spaces, and scents, had a higher positive impact on meditation satisfaction than artificial elements, such as faciliti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ecure sound resources such as the sound of water and birds around the meditation spac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ways to create a meditation forest in an independent area to avoid encounters with visitors and allow only participants in the forest healing meditation program to enter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forest meditation. 국내 산림치유명상연구에 있어 산림명상에 적용할 수 있는 기법과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산림명상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상공간은 단순한 장소적 개념이 아니라 산림의 ‘치유’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산림환경요소 즉, 치유인자를 담고 있는 곳으로 치유메커니즘을 밝히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치유의 숲 산림명상공간이 명상에 적합한 공간인지 알아보고자 델파이 전문가 설문조사(Delphi Expert Survey Method)로 명상공간의 속성항목을 선정 한 후, IPA기법(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을 활용하여 치유의 숲 산림명상 공간 이용자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은 국립산림치유원과 산음 치유의 숲, 경기도 잣향기 푸른숲에서 산림명상공간을 이용한 일반성인 315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부터 11월까지 진행하였다. IPA분석 결과 산림명상공간의 만족도 평균은 5점 리커트 척도에 4.33점(국립산림치유원 4.33점, 산음 치유의 숲 4.34점, 잣향기 푸른숲 4.37점)으로 높게 나타나 세 곳 치유의 숲 명상공간은 산림명상에 적합하게 조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세 숲 모두 ‘자연의 소리’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세 숲 모두 ‘고요함’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 또 개방형설문 결과 자연의 소리, 경관, 공기, 숲 공간, 향기 등 명상공간의 자연요소가 시설과 같은 인공요소보다 명상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명상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명상 공간 주변에 물소리 새소리 등의 소리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고, 방문객과의 조우를 피하는 독립된 공간에 ‘명상 숲’을 따로 조성하여 산림치유명상 프로그램 참여자만 입장하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림치유 이슈 네트워크 분석 - 2005~2019년까지의 국내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박진석,연평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rive issues related to forest healing by dividing them into three periods from 2005 to 2019. Naver News Big Data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the top 35 keywords were derived, and by time, the top keywords were found to be the creation, arboretum, Gyeongsangbuk-do, and II forest healing instructors, and the National, Healing Center, and Welfare Promotion Agency. However, these keywords are not independent but rela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tructural isometric analysis (CONCOR) was conducted for the top 35 keywords for each period, and issues were drawn for each period. During I period, issues such as the importance of forest healing,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National Forest Therapy Complex, the effect of phytoncide on stress, etc. and The II period is 'Promotion of the Creation of National Baekdu National Forest Healing Complex', 'Early Forest Healing, Forest Education, and Forest Welfare Policies' 'Selection of Forest Healing Instructor', 'Creation of Forest Healing Space and Operation of Forest Healing Program' and III period is 'Promotion of National Forest Welfare Complex',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Forest Healing Infrastructure' and Marine Healing'.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indicated the flow of forest healing issues by time and hope to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forest healing polic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 3시기로 구분하여 산림치유 관련 이슈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네이버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한 결과로 상위35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시기별로, Ⅰ 시기는 조성, 수목원, 경북, Ⅱ 시기는 산림치유지도사, 백두대간, 복지, Ⅲ 시기에서는 국립, 치유원, 복지진흥원 등이 상위키워드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키워드들은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따라서, 시기별 상위35개의 키워드들을 대상으로 구조적 등위성 분석(CONCOR : COvergence of iterated Corelation)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기별 이슈를 도출하였다. Ⅰ 시기는 ‘산림치유의 중요성’, ‘국립산림테라피단지 타당성 연구’, ‘스트레스에 대한 피톤치드의 효과’, 등이 이슈로 나타났고 Ⅱ 시기는 ‘국립백두대간산림치유단지 조성추진’, ‘초기 산림치유, 산림교육, 산림복지 정책의 전개’,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기관 선정’, ‘산림치유공간 조성 및 산림치유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Ⅲ 시기는 ‘산림복지단지 조성 추진’, ‘국립 산림치유 기관 설립 및 운영’, ‘지역단위 산림치유 인프라 구축’, ‘산림치유와 해양치유의 연계 ’ 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시기별 산림치유 이슈의 흐름을 나타냈고 향후 산림치유 정책수립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Delphi 기법을 활용한 산림치유 활성화에 관한 중요 요인분석

        이홍기,김동준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4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Delphi 기법을 이용하여 산림치유 활성화에 관한 중요 요인(factor)과 항목(item)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39명의 산림치유 전문가 그룹을 구성하여 Delphi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19.0으로 분석하였다. Delphi 설문조사는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상위 개념인 산림치유 활성화 요인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산림치유 시설, 산림치유 전문인력, 산림치유 수요자, 산림치유 제도 및 정책 등 5개 요인을 선정하였다. 각 요인에 대한 하위 개념으로 1차 개방형 설문을 통해 855개의 항목(item)을 제시받고 이를 유사한 것끼리 묶어 59개 항목을 도출하였다. 폐쇄형 5점 척도로 59개 항목을 2차 설문한 결과 중요하지 않다고 평가된 19개를 제거하고 40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다시 3차 설문을 통해 24개 문항을 중요 문항으로 채택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산림치유 활성화 요인의 중요도는 산림치유 전문인력,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수요자 측면의 고려, 산림치유 시설, 제도와 정책의 순서로 나타났다. 하위항목으로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전문성과 의사소통 능력, 산림치유 대상별 목적별 차별화된 프로그램, 생활권 내 도시 숲을 활용한 산림치유, 치유의 숲 등의 인자별 특성화된 숲 조성, 보건소 등 관계기관과의 협력체계 지원이 산림치유 활성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important factors and items related to forest healing activation using the Delphi survey. For this purpose, a group of 39 forest therapy experts was formed an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9.0. Through a brainstorming process, the Delphi survey selected five factors, including forest therapy progra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forest therapy facilities, forest therapy professionals, forest therapy consumers, and forest therapy systems and policies, as factors for activating forest therapy, which is a high-level concept. As sub-concepts for each factor, 855 items were presented through the first open-ended survey, and similar items were grouped to derive 59 items. As a result of a second survey of 59 items on a closed Likert-5 scale, 19 items evaluated as unimportant were removed and 40 questions were derived. Through the third survey, 24 questions were selected as important item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importance of forest therapy activation factors was found to be in the order of forest therapy professional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consideration of the consumer side, forest therapy facilities, and systems and policies. Subcategories include the expertise and communication skills of forest therapy guide, differentiated programs for each forest therapy target and purpose, forest therapy using urban forests within the living area, creation of specialized forests for each factor such as healing forests, and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public health centers. Cooperation system support was analy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revitalizing forest therapy.

      • KCI등재

        직장인의 산림치유 인지 여부가 산림치유 경험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손미옥,김진건,신원섭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산림치유의 직장인들의 산림치유 인지 여부와 산림치유의 이용경험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충북도 내 직장인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분석결과, 산림치유 인지 여부에 따라 직무 만족의 차이가 있었으며, 산림치유의 경험에 따른 직무만족 역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인들의 산림치유 인지 여부와 산림치유의 경험과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에 대한 인지 여부 “예”라고 응답한 직장인이 “아니오”라고 응답한 직장인보다 산림치유 경험이많았으며 직무 만족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규모 응답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함으로서 산림치유의 인지 여부와 경험에 관한 자료를 확보하고 다양한 분석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산림치유의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workers’ awareness of forest therapy, their experience of forest therapy, and job satisfaction. To collect the data, 1,500 office workers in Chungbuk Province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ata revealed that office workers’ levels of awareness of forest therapy and experience of forest therapy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igher office workers’ awareness and experience levels in forest therapy, the higher job satisfaction they had. Those who spent more time in forest therapy activities had more significant job satisfaction level. Using large number of survey participants,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insight for spreading forest therapy into the public.

      • KCI등재

        일광요법을 적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고령자의 우울과 수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하은,연평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4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는 일광요법을 적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고령자의 우울과 수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상자는 만 55세 이상의 고령자 일반인으로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일광요법 적용)·산림치유집단(일광요법 미적용)·대조집단(무처치)으로 각 14명씩 총 42명이다. 2023년 9월 4일부터 10월 29일까지 8주 동안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산림치유집단은 매주 1회씩 총 8회, 2시간 프로그램 활동을 진행하였고,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만 일상에서 매주 2일 이상, 8주동안, 30분씩 일광요법을 추가하였다. 연구를 위해 BDI, PSQI-K, WHOQOL-BREF를 이용하여 실험 사전평가, 중간평가(4주 후), 사후평가(8주 후) 총 3회에 걸쳐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울은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산림치유집단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되었으며, 특히,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은 사후분석결과, 실험 사전에서 중간(1), 중간에서 사후(2), 사전에서 사후(3) 측정시 모두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다. 둘째, 수면의 질은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산림치유집단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그리고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이 산림치유집단보다 긍정적 효과의 변화폭이 컸다. 셋째, 삶의 질에서도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산림치유집단이 모두 통계적으로 향상된 결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일광요법산림치유집단이 산림치유집단보다 긍정적 효과의 변화폭이 컸다. 넷째, 대조집단(무처치)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일광요법을 적용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이 고령자의 우울과 수면을 개선하고, 삶의 질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forest therapy program with sunlight therapy on depression,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The subjects were general elderly people aged 55 years or older, with 14 subjects in each of the following Sunlight Forest Therapy Groups(with sunlight therapy)·Forest Therapy Groups(without sunlight therapy)·Control Groups(no treatment), for a total of 42 subjects. For the study, BDI, PSQI-K, and WHOQOL-BREF were used to measure three times in total: pre-assessment of the experiment, interim assessment (after 4 weeks), and post-assessment (after 8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the sunlight therapy forest therapy group and the forest therapy group, and in particular, the sunlight therapy forest therapy group showed a decrease in all of the post-analysis results when measuring Pre-evaluation to interim evaluation(1), Interim evaluation to post evaluation(2), and From pre-evaluation to post-evaluation(3) before the experiment. Second; the sleep quality ind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in experimental Sunlight Forest Therapy Groups and Forest Therapy Groups. In addition, the Sunlight therapy forest therapy group had a greater change in positive effects than the forest therapy group. Third; the quality of life also im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Sunlight Forest Therapy Groups and Forest Therapy Groups. In addition, the Sunlight therapy forest therapy group had a greater change in positive effects than the forest therapy group. Fourth; the control group(no treatmen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forest therapy program with sunlight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depression, sleep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 KCI등재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실태와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조택희(Taek-hee Cho),이연호(Yeonho Lee),김상미(Sang-Mi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4

        산림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참여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산림치유의 건강증진과 질병치유의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휴양을 넘어서 힐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산림치유 참여자들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고는 산림치유 참여실태와 참여자들이 지출한 금액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2011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본고는 1,709명을 대상으로 인터넷과 현장조사를 병행한 설문조사를 수행해 산림치유 참여실태와 지출활동을 분석할 수 있게 하는 DB를 구축하고 산림치유의 경제적 효과를 최초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분석결과, 중장년층 이상의 연령대, 소득 및 교육 수준이 높고, 대도시에 거주하며 전문관리직에 종사하는 사람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도(의사)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참가자는 연평균 3.1회 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하며, 1인당 1회 참가에 약 190,000원을 지출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한 2009∼2013년의 5년간 총 105,900명이 산림치유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산림치유를 위해 총 624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추계되었다. 이 지출액을 활용하여 경제 전반에 미친 효과를 추정하면 1,195억원의 생산유발효과, 822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그리고 2,045명의 취업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articipants in forest therapy program operated by the Forest Service are steadily increasing. The medical evidences on the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healing effects of forest therapy have stimulated the interest in forest therapy and the participants will continue to rise. This paper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therapy participation and its economic spillover effects using the 2011 Input-Output Tables. For this purpose, we build a data base by conducting a survey of 1,709 people. It turns out that the middle-aged, people with higher income and education levels, residents of large cities, and professions and administrations engage more actively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s. A participant visits the therapeutic forests 3.1 times per year and spends 190,000 wons per visit. Over the years from 2009 to 2013, 105,900 people participated in the forest therapy and their total expenditures amount to 62.4 billion wons over the five years. During the same period, we find that the estimated expenditures of forest therapy participants generated 119.5 billion wons of production, 82.2 wons of value added, and 2,045 new jobs.

      • KCI등재

        산림이용객 중심 주관적 산림치유자원 인식정도 및 효과검증 척도개발 연구

        조성희,이효정,이경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8 No.1

        산림치유는 다양한 자연의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에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증진 활동이다. 산림치유는 스트레스 해소, 삶의 질 향상, 심폐기능 향상, 혈액순환 등 심리적·생리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밝혀졌다. 그러나 산림치유 연구는 대부분이 프로그램 효과검증 위주의 연구로 산림치유자원 효과에 대한 검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자원의 효과검증을 위해 숲 방문 이용객이 느끼는 산림치유자원인 피톤치드, 음이온 등을 측정하는 척도개발과 이에 따른 치유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효과검증을 위한 척도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 후 산림치유자원과 치유효과를 선정하고 척도를 구성하였다. 명품숲 방문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531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 문항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 산림치유자원 항목 0.928, 치유효과 항목 0.908로 신뢰할만한 내적일치도로 나타났다. 선정된 14종의 치유효과는 신체, 생리, 심리, 사회요인으로 구성되어 내용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여 적합성을 확인하고 산림이용객이 느끼는 산림치유자원의 효과 검증과 인식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첫 척도를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사용해 데이터를 축척하고 분석한다면 산림치유자원과 치유효과 구명의 기준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산림에서 측정한 자원 값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를 더 높인 척도로 보완할 것을 제언한다. Forest healing is a health promotion activity that uses various natural elements to increase immunity in the human body. Forest healing has been found to have positiv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including relieving stress, improving quality of life, improving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circulation. However, most forest healing research is focused on verify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is insuffici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forest healing resources such as phytoncide and anions felt by visitors to the forest and to verify the resulting healing effect. To develop a scale to verify effectiveness,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healing effects were selected after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nd a scale was construc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to Luxury Forest and 531 pieces of data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item reliability showed reliable internal consistency with Cronbach's alpha values of 0.928 for the forest healing resources item and 0.908 for the healing effect item.The 14 selected healing effects consisted of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 was confirm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s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develops the first scale that ca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measure the level of awareness felt by forest users. If the data is accumulated and analyzed using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come standard data for elucidating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healing effect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be supplemented with a scale that is higher through comparative studies with resource values measured in actual forest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양유리(Yu-Ri Yang),연평식(Poung Sik Ye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활성화 방안 모색으로 관련 주체인 학부모와 특수교사들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필요성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도구는 문헌조사를 기초로 한 설문지로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과 도움 기대,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의 요구사항, 산림치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의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지는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용과 특수교사용으로 나누어 개발하였고, 전국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 73명과 특수교사 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서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났고, 산림치유 서비스가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언어, 사회, 정서, 심리, 인지, 학습, 감각, 운동기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운영방식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 주체들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으로는 산림치유를 전공한 산림치유 지도사가 가까운 공원이나 숲에서 주 1회 60분으로 1:2~3의 소그룹 형태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정부 및 지자체, 지역의 적절한 예산 편성과 함께 정책적으로 학교 교육체계 안에서 산림치유 지도사와 같은 전문가의 개입을 통해 다양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으로 제공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and the demand of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related subjects, by seeking ways to activate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for peopl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the need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expectation of help, perception of expected effect, requirements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and matters necessary for revitalizing forest healing service were derive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special teacher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73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high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support forest healing services, and the expectation that forest healing services would help special education subjects' language, society, emotion, psychology, cognition, learning, sensation, and motor functions was also positive in both groups. As for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special education-related subjects for the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operation method, a forest healing instructor who majored in forest healing responded in the form of a small group of 1:2 to 3 once a week for 60 minutes in a nearby park or forest. As for the matters necessary for vitalizing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gions want to provide various forest healing program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experts such as forest healing instructors with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long with appropriate budgeting.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학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

        양유리,연평식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and the demand of parent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related subjects, by seeking ways to activate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for people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The research tool was a questionnair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questionnaire items such as the need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expectation of help, perception of expected effect, requirements for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and matters necessary for revitalizing forest healing service were derive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special teacher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73 parents of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and 70 special education teacher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high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support forest healing services, and the expectation that forest healing services would help special education subjects' language, society, emotion, psychology, cognition, learning, sensation, and motor functions was also positive in both groups. As for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special education-related subjects for the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operation method, a forest healing instructor who majored in forest healing responded in the form of a small group of 1:2 to 3 once a week for 60 minutes in a nearby park or forest. As for the matters necessary for vitalizing forest healing service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regions want to provide various forest healing program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experts such as forest healing instructors with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along with appropriate budgeting.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활성화 방안 모색으로 관련 주체인 학부모와 특수교사들의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필요성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도구는 문헌조사를 기초로 한 설문지로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의 필요성과 도움 기대,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의 요구사항, 산림치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 등의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지는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용과 특수교사용으로 나누어 개발하였고, 전국 특수교육대상자 학부모 73명과 특수교사 7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서 두 집단 모두 높게 나타났고, 산림치유 서비스가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언어, 사회, 정서, 심리, 인지, 학습, 감각, 운동기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 또한 두 집단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운영방식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 주체들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으로는 산림치유를 전공한 산림치유 지도사가 가까운 공원이나 숲에서 주 1회 60분으로 1:2~3의 소그룹 형태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산림치유 서비스 지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는 정부 및 지자체, 지역의 적절한 예산 편성과 함께 정책적으로 학교 교육체계 안에서 산림치유 지도사와 같은 전문가의 개입을 통해 다양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으로 제공되길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