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금강 상류 댐 유역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 분석

        김경태,이현정,김휘문,송원경 한국환경생태학회 2023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7 No.4

        Forests within watersheds are essential in maintaining ecosystems and are the central infrastructure for constructing an ecological network system. However, due to indiscriminate development projects carried out over past decades, forest fragmentation and land use changes have accelerated, and their original functions have been lost. Since a forest's structural pattern directly impacts ec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in understanding forest ecosystems, identifying and analyzing change patterns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structural changes in the forest landscape according to the time-series land cover changes using the FRAGSTATS model for the dam watershed of the Geum River upstream. Land cover changes in the dam watershed of the Geum River upstream through land cover change detection showed an increase of 33.12 square kilometers (0.62%) of forests and 67.26 square kilometers (1.26%) of urbanized dry areas and a decrease of 148.25 square kilometers (2.79%) in agricultural areas from the 1980s to the 2010s. The results of no-sampling forest landscape analysis within the watershed indicated landscape percentage (PLAND), area-weighted proximity index (CONTIG_AM), average central area (CORE_MN), and adjacency index (PLADJ) increased, and the number of patches (NP), landscape shape index (LSI), and cohesion index (COHESION) decreased. Identification of structural change patterns through a moving window analysis showed the forest landscape in Sangju City, Gyeongsangbuk Province, Boeun County in Chungcheongbuk Province, and Jinan Province in Jeollabuk Province was relatively well preserved, but fragmentation was ongoing at the border between Okcheon County in Chungcheongbuk Province, Yeongdong and Geumsan Counties in Chungcheongnam Province, and the forest landscape in areas adjacent to Muju and Jangsu Counties in Jeollabuk Provi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fforestation projects for fragmented areas when preparing a future regional forest management strategy. This study derived areas where fragmentation of forest landscapes is expected and the results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assessing the health of watershed forests and establishing management plans. 유역 내 산림은 생태계 유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으며 생태네트워크 체계를 구성하는 주요 기반 환경이다. 그러나 지난 수십여 년간 행해진 무분별한 개발사업으로 인해 산림 파편화 및 토지이용 변화가 가속화되었으며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산림 생태계를 파악하는 데 있어 산림의 구조적 패턴은 생태적 과정과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변화패턴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인자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금강 상류 댐 유역을 대상으로 FRAGSTATS 모델을 통해 시계열적인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 경관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토지피복 변화탐지를 통한 금강 상류 댐 유역 내 토지피복변화는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산림 33.12㎢(0.62%), 시가화건조지역 67.26㎢ (1.26%) 증가하였고 농업지역 148.25㎢(2.79%) 감소하였다. 유역 내 산림 경관분석결과 No sampling 분석에서는 경관백분율(PLAND), 면적가중근접지수(CONTIG_AM), 평균 중심지 면적(CORE_MN), 인접지수(PLADJ)가 증가하였고 패치수(NP), 경관형태지수(LSI), 응집지수(COHESION)가 감소하였다. Moving window 분석을 통해 구조적 변화패턴을 파악한 결과, 경상북도 상주시, 충청북도 보은군, 전라북도 진안군 내 산림 경관은 상대적으로 잘 보전되어 있었으나 충청북도 옥천군, 영동군 그리고 충청남도 금산군 사이의 경계부와 전라북도 무주군과 장수군 인접 지역의 산림 경관에서는 파편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결과를 토대로 추후 해당 지역의 산림 관리전략 수립 시 파편화 지역을 대상으로 조림사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산림 경관의 파편화가 예상되는 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유역 산림의 건전성 평가 및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경상남도 유역단위 산림기능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김형호 ( Hyung Ho Kim ),박영규 ( Young Kyu Park ),노혜정 ( Hye Jung Roh ),전준헌 ( Jun Heon Jeon ),황진영 ( Jin Yeong Hwang ),강현득 ( Hyeon Deug Kang ),박준형 ( Joon Hyung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1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는 전국단위의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사례연구로 경상남도 전역을 대상으로 국·공·사유림 기능평가의 통합방안, GIS 자료의 문제점 및 구축방안을 검토하였으며, 경상남도의 산림기능의 분포 및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산림기능평가의 통합방안으로 평가단위를 유역단위로 일원화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유역구분도 상에서 나타나는 몇몇 오류의 형태 및 이를 수정하기 위한 GIS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산림기능평가에 이용되는 GIS 자료 중 갱신이 필요한 제재소위치도, 고속도로 나들목 위치도, 인구분포도를 전국단위로 구축하였다. 유역단위로 경상남도 20개시·군을 대상으로 산림기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목재생산기능, 산림휴양기능은 잠재력``고``가 높게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기능에 있어서 잠재력``저``가 낮게 나타났다. 각 시·군별 우선순위를 적용한 산림기능도에서는 산림휴양기능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목재생산, 자연환경보전, 수자원함양, 생활환경보전, 산지재해방지기능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면적을 대상으로 수행된 사례분석 결과는 전국단위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s a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of nationwide-unit forest functions, targeting the entire Gyeongsangnam-do region, examined the integration measures for the evaluation of national, public and private forest functions, as well as GIS data problems and GIS data building methods. Also,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sangnam-do`s forest functions were examined. First, as integration measures for forest function evaluation, evaluation unit was proposed as watershed unit, and GIS techniques were proposed to correct some patterns of errors shown in the watershed maps. Also, of GIS data used for forest function evaluation, maps of locations of saw mills to be revised, expressway interchange location maps, and population distribution maps were built nationwide. Based on watershed units, the forest functions of 20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nam-do were evaluated, revealing that wood production function and forest recreation function potentials, high-ranking was high distributed throughout the site, while most functions potentials, low-ranking was low distributed. In forest function maps with the application of priority by city and gun, the area size was ranked in the order of forest recreation, timber production, natural conservation, water yield, living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prevention of natural disaster. Case analysis results for large areas can be used in evaluating nationwide forest functions.

      • KCI등재

        국내 골재의 물리적 특성 분석

        고준영,박은규,최정해,김종태 대한지질공학회 2023 지질공학 Vol.33 No.1

        Aggregates from 84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were tested for quality to allow analysis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ggregates from river, land, and forest environments. River and land aggregates were analyzed for 18 test items, and forest aggregates for 12 test items.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watershed and geology, respectively. The observe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ver aggregates by basin were as follows: aggregates from the Geum River basin passed through 2.5, 1.2, 0.6, 0.3, 0.15, and 0.08 mm sieves; clay lumps constituted the Nakdong River basin material; aggregates from the Seomjin River basin passed through 10, 5, and 2.5 mm sieves; those from the Youngsang River basin passed through 1.2, 0.6, 0.3, 0.15, and 0.08 mm sieves; and aggregates from the Han River basin passed through 10, 5, 2.5, 1.2, 0.6, 0.3, and 0.08 mm sieves, Stability; Standard errors were analyzed for the average amount passing through 10, 0.6, and 0.08 mm silver sieves, and performance rate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patterns from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variance found that 16 of the 18 items, excluding the absorption rate and the performance rat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verages by region. Considering land aggregates by basin, those from the Nakdong River basin excluding the Geum River basin had clay lumps, those from the Seomjin River basin had 10 and 5 mm sieve passage, aggregates from the Youngsang River basin had 0.08 mm sieve passage, and those from the Han River basin had 10, 0.6, and 0.08 mm sieve passage.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of the quantity showed a different distribution pattern from the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variance fou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all 18 items by region. Analyzing forest aggregates by geology showed distributions of porosity patterns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in metamorphic rocks (but not igneous rocks), and distributions of wear rate and porosity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sedimentary rock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volume mass, water absorption rate, wear rate, and Sc/Rc items by lipid. 골재자원조사를 통해 수집된 84개 시 ‧ 군의 품질시험을 바탕으로 하천/육상/산림 골재의 물리적 특성값을 분석하였다. 하천/육상골재는 18개시험 항목과 산림 골재는 12개 시험 항목에 대해 각각 유역과 지질에 따라 분류하였다. 물리적 특성으로 유역별 하천골재는 금강 유역이 2.5 mm, 1.2 mm, 0.6 mm, 0.3 mm, 0.15 mm, 0.08체 통과량과 낙동강유역은 점토덩어리와, 섬진강유역은 10 mm, 5 mm, 2.5 mm, 1.2 mm, 0.6 mm, 0.3 mm, 0.15 mm, 0.08체 통과량, 안정성과, 영산강유역은 10 mm, 5 mm, 2.5 mm, 1.2 mm, 0.6 mm, 0.3 mm, 0.08체 통과량과, 한강유역은 10 mm, 0.6 mm, 0.08체 통과량, 실적율이 평균의 표준오차가 다른 물리적 특성과는 다른 분포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분산분석은 18개 항목 중 흡수율과 실적율을 제외한 16개 항목이 권역별로 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유역별 육상골재는 금강유역을 제외한 낙동강유역이 점토덩어리와, 섬진강유역은 10 mm, 5 mm과, 영산강유역은 0.08체 통과량과, 한강유역은 10 mm, 0.6 mm, 0.08체 통과량이 평균의 표준오차가 다른 물리적 특성과는 다른 분포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분산분석은 18개 항목 모두 권역별로 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리고, 지질별 산림골재는 화성암을 제외한 변성암이 공극률과, 퇴적암은 마모율과 공극률이 다른 물리적 특성과는 다른 분포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분산분석은 표면건조밀도와 절대건조밀도, 진밀도, 단위용적질량, 흡수율, 마모율, 실리카중합비(Sc/Rc) 항목이 지질별로 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 KCI등재

        도시지역 정의에 따른 도시숲의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

        곽두안,박소희 한국지리정보학회 202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5 No.4

        우리나라 도시숲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자연공원을 제외한모든 산림과 수목으로 정의되고 있으나, 일반적인 인식으로서의 도시 내 존재하는 숲의 개념과는이질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을“도시 내에 존재하는 산림과 수목”으로 규정하였으며, 도시의 경계를 설정하기 위한 시나리오를 제안하고 그에 따른 도시숲의 면적 변화를 모의하였다. 법률상 도시지역의 정의, WHO에서 제안한 주거지로부터 도시숲에 접근 가능한 거리(300m), 산림유역을 고려한 네 가지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각 시나리오에 따라 도시숲의 양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용도지역상 도시지역”의 최외곽 경계와 연접하는 산림유역까지를 도시숲 경계로규정한 경우, 도시숲 면적은 약 183만ha, 1인당 도시숲 면적은 약 386㎡로 분석되었다. 두 번째로“용도지역상 도시지역”의 최외곽 경계로부터 300m 이내까지 도시로 규정하고 해당 경계와연접한 산림유역 내에 존재하는 숲을 도시숲으로 규정한 경우, 도시숲 면적은 약 192만ha, 1인당도시숲 면적은 약 405㎡로 분석되었다. 세 번째로“행정구역 상 읍‧동 지역”내“용도지역상 도시지역”의 최외곽 경계와 연접하는 산림유역까지를 도시숲 경계로 규정한 경우, 도시숲 면적은 약108만ha, 1인당 도시숲 면적은 약 230㎡로 분석되었다. 네 번째로“행정구역 상 읍·동 지역” 내“용도지역상 도시지역”의 최외곽으로부터 300m 경계와 연접하는 산림유역까지를 도시로 규정한 경우, 도시숲 면적은 약 120만ha, 1인당 도시숲 면적은 약 256㎡로 분석되었다. 이렇듯 도시의 정의에 따라 도시숲의 면적이 다양하게 추정될 수 있기 때문에, 국가통계를 집계하기 위해서는 도시에 대한 정의가 먼저 정립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현실적‧과학적 분석에 근거하여 도시숲의면적이 산출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일본 칸사이 지방 타나카미 산지의 황폐지 복구 산림유역 내 황(黃)순환에 관한 연구

        김수진(Su-Jin Kim),오테 노부히토(Nobuhito Ohte),박종관(Jong-Kwan Park) 대한지리학회 2009 대한지리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는 일본 시가현(滋賀) 기류(桐生)수문시험지의 1차곡 소유역인 마쯔자와(マツ) 유역에서 유역 내 수문과정과 토양수, 지하수, 계류수의 수질 등의 관측을 실시, 산림유역 내 황(黃) 플럭스를 수문지형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온대 산림유역 내의 황순환 과정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유역 상부 교란 구역의 토양은 SO₄²?의 공급원으로 작용하고 있었으며, 사면 수문과정을 통해 유역 중부와 하부의 심층토양 및 지하수대에 SO₄²?가 저장되고 있었다. 계류수의 SO₄²? 농도는 지하수위 변동과 음의 상관을 나타내고 있는 바, 이는 심층지하수에 저장된 SO₄²?가 가뭄 등의 저수위시 혹은 평수위시에 유출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산림유역 내 각 수문과정이 SO₄²?의 저장과 유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 정량적으로 밝혀졌다. To understand the sulfur flux and cycle in the forest catchment, the hydrological processes and chemical variation of soil solution,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were analyzed at the Matsuzawa catchment located in the Kiryu Experimental Basin, Shiga Prefecture, central Japan. Unsaturated soil layer at the upper slope of catchment was the source area of SO₄²?, and deep soil layer and groundwater were the sink zone of SO₄²?.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O₄²?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affected seasonal variation of SO₄²? concentrations in stream water, as groundwater level changed.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each hydrological processes in the forest catchment play an important roles in the retention and discharge of SO₄²?.

      • 산림이 우세한 유역의 SWAT 모델에서의 유출량 평가

        강동균 ( Kang Dong Kyun ),신용철 ( Shin Yong Chul ),최중대 ( Choi Joong Dae ),심혁호 ( Shim Hyuck Ho ),임경재 ( Lim Kyoung Jae ),전지홍 ( Jun Ji Hong ) 한국농공학회 200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4 No.-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델은 높은 정확성 때문에 수문과 수질 모델링을 위해 여러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산림유역에 대한 적용성 검토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해왔다. SWAT을 산림이 우세한 강원도 내린천 유역에 적용하였다. 먼저 모델보정은 4년간 유출량 모의치에 대하여 SLSOIL 인자를 변화시키면서 실시하였다. 모델 보정기간에서의 R<sup>2</sup>는 0.897, 그리고 E1 는 0.864였다. 보정결과를 모델에 적용하여 다른 4년간의 유출량 모의치에서 모델검정을 실시하였으며 R<sup>2</sup>는 0.878, 그리고 EI 는 0.842였다. 이러한 통계치는 SWAT이 내린천 유역에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SWAT은 수문 자료를 이용해 유역의 토양유실을 모의한다. 향후, 내린천 상류지역에서 토양유실 방지를 위한 최적의 토양관리정책을 마련하는데 SWAT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has been widely used for hydrology and water quality modeling in many countries due to its higher accuracy. However, limited studi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its applicability in mountainous watershed. Thus, the SWAT was applied to forest-dominant Naerincheon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Korea. First the model was calibrated by changing the SLSOIL parameter for 4 year calibration period. The R<sup>2</sup> is 0.897 and El is 0.864 for the calibration period. The calibrated parameter was used for validation period and the R<sup>2</sup> is 0.878 and El is 0.842. These statistics show that the SWAT can be efficiently used for hydrologic modeling at Naerincheon watershed.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SWAT can be used to estimate water-erosion driven sediment loading to the Narioncheon watershed and to identify the best erosion control practices in upper stream areas in the Naerincheon watershed.

      • KCI등재

        산림유역에서 한계홍수량 분석에 관한 연구

        최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5

        Studies related to the prediction of floods have mainly focused on forecasting and protecting the flood time and area of the large river due to the increase of the slow flood level. The rise of temperature causes the El Niño and La Niña phenomena that abnormally change the temperature of seawater. Among natural disasters that lead to devastating damage, floods from torrential rains have been causing hundreds of victims and great loss of properties every year. This study is about calculation of peak velocity during a rainfall-runoff according at limitation rainfall runoff in the watershed forest by using GIS and Geomorphological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CIUH). In this paper, hydro-topographical property factors was acquired from GIS, limits depth of water was calculated by 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and flood discharge during a rainfall-runoff was suggested by limits depth of water. When the depth of water is 50cm, the marginal flood is 96.5m / sec, it is 109.67m / sec at 70cm and 125.58m / sec at 100cm. 홍수예측에 관련된 연구는 주로 느린 홍수위 상승으로 인한 대하천 침수시간 및 지역의 예측 및 보호에 집중되어 왔다. 기온 상승은 해수의 온도를 비정상적으로 변화시키는 엘니뇨, 라니냐 현상의 원인이 된다. 매년 발생하는 자연재해 중 집중호우로 인한 홍수피해는 이를 근본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은 없으나 구체적인 방재대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은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유량도 (GCIUH : Geo- 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로 산림유역에서 집중호우가 강우강도에 따른 한계홍수량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본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험준한 산림유역을 대상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수문지형인자를 취득한 후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유량도로 한계홍수수심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한계홍수수심에 따른 한계유속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50cm의 수심에서의 한계홍수량은 96.5m/sec, 70cm에서는 109.67m/sec 그리고 100cm에서는 125.58m/sec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산림유역 비점오염 유달특성 분석

        전지홍,최동혁,김태동 한국도시환경학회 2010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0 No.3

        Calculating delivery ratio is very important procedure to apply Korean Total Maximum Daily Load (TMDL). Characteristics of delivered pollutant load were analyzed by plotting flow duration curve, load duration curve, and delivery ratio duration curve for BOD, T-N and T-P using HSPF sim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HSPF calibration, HSPF could simulate well both pollutant load and stream flow with high model efficiency. At high flow condition, the delivery ratio of BOD and T-P was higher than that of T-N. However flow condition from medium to low, the delivery ratio of T-N was higher than those of BOD and T-P because nitrogen can be easily delivered from site of source to stream as soluble form such as NOx whereas, phosphorus can easily adhere to soil and is discharged with soil when rainy season. Overall,delivery ratios were very low especially at condition from medium to low and we concluded that that's traditional trend of forested watershed. As a result of plotting load duration curve based on target water quality and monitoring data, all of T-P concentration at high flow condition (< 10% days exceeded) were not meet target water quality so, primary measure to improve water quality, if needed, at Giran watershed is to reduce nonpoint source pollution of T-P at high flow condition. 수질오염총량제에 있어서 유달율 계산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지역인 길안유역에 있어서 강우시유출량 및 BOD, T-N, T-P에 대하여 HSPF모델을 보정한 후 유출유황곡선과 오염유황곡선, 유달율유황곡선을 작성 하고유출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HSPF는 유출량 및 영양물질 부하량을 잘 모의하였으며, 저유량에서는 T-N의 유달율은BOD, T-P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고유량에서는 BOD, T-P의 유달율은 T-N의 유달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질소는 자연상태에서 용존성의 NOX로 존재하기 평상시 유출이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인이나 BOD 의 경우에는 강우시 입자상의 유출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부하유황곡선 분석결과, 길안유역의 고유량일때의 TP가 수질오염총량제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유역의 우선관리는 강우시 T-P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산림유역 비점오염 유달특성 분석

        전지홍,최동혁,김태동 한국도시환경학회 2010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0 No.2

        수질오염총량제에 있어서 유달율 계산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지역인 길안유역에 있어서 강우시유출량 및 BOD, T-N, T-P에 대하여 HSPF모델을 보정한 후 유출유황곡선과 오염유황곡선, 유달율유황곡선을 작성 하고 유출특성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HSPF는 유출량 및 영양물질 부하량을 잘 모의하였으며, 저유량에서는 T-N의 유달율은 BOD, T-P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고유량에서는 BOD, T-P의 유달율은 T-N의 유달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대부분의 질소는 자연상태에서 용존성의 NOX로 존재하기 평상시 유출이 상대적으로 많이 일어나기 때문이며, 인이나 BOD의 경우에는 강우시 입자상의 유출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부하유황곡선 분석결과, 길안유역의 고유량 일때의 TP가 수질오염총량제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상유역의 우선관리는 강우시 T-P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 해석을 위한 이력현상 지수의 적용성 평가

        김기대 ( Ki-dae Kim ),장수진 ( Su-jin Jang ),남수연 ( Soo-youn Nam ),이재욱 ( Jae-uk Lee ),김석우 ( Suk-woo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8 No.2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는 토지이용 변화, 산림사업, 산불, 산사태 등의 인위적 또는 자연적 교란에 따라서 다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산림유역의 부유토사 동태를 이해하는 것은 효과적인 수질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중요하다. 이 연구는 부유토사 동태를 해석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관측된 유출량-탁도 자료를 토대로 2가지의 이력현상 지수 산정 방법(Lawler의 방법과 Lloyd의 방법)과 5가지 추출 간격(50, 25, 10, 5, 1 퍼센타일)을 고려한 10개 산정기법의 적용성과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 퍼센타일의 추출 간격을 활용한 Lloyd의 방법이 분석 가능한 유출 사상이 가장 많았으며, 성능 역시 가장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력현상 지수를 활용함으로써 유출량과 부유토사의 이력현상을 정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유토사 동태를 해석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dynamics of suspended sediment (SS) in forested catchments vary depending upon human or natural disturbances, including land use change, forestry activity, forest fires, and landslides.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SS originating from the potential sources within a forested catchment is crucial for establishing an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y. Therefore, to suggest a systematic method for interpreting SS dynamics,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and applicability of ten methods for calculating the hysteresis index based on observed hydrological data and two calculation models (Lawler's method and Lloyd's method) with five sampling intervals (50th, 25th, 10th, 5th, and 1st percentiles). Our results showed that Lloyd's method, which used a sampling interval at the 1st percentile, had the largest number of analyzable runoff events and exhibited the best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quantifying the hystere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and S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interpreting SS dynam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