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7 개정 사회교과서 적용에 따른 초등 교사의 사회 수업 변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1 사회과교육연구 Vol.18 No.2

        The current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e textbook and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by analyzing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ke use of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n classes. The teachers believe that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s not helpful to the way that makes learners arouse their interest while it reduces the burden of recognizing learning contents. In addition, thanks to the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the teachers?teaching methods or viewpoints of the learners have not changed largely whereas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changed into the class of stressing on subject content knowledge. The teachers need to have an ability of using the textbook to critically analyze and make use of it being sensitive to its composition and forms. And the developers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 to study of understanding how the learners make use of revised social studies textbook in classes. 본 연구는 초등 교사들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새로 개발된 사회교과서를 어떻게 인지하고 이를 어떻게 수업에 활용하는 가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2007 개정 사회교과서가 초등 사회과수업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있으며, 이차적으로는 교과서 활용 방식과 사회과 수업 구성의 유의미성을 밝히고 사회교과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사들은 개정된 사회교과서의 단원 및 주제개관이 학습 내용을 명확히 제시함으로써 교사의 수업 내용 인지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킨 반면, 과다한 활동지 형식을 본문에 도입하여 학생의 학습 흥미와 교사의 교수학습활동을 방해하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개정 사회교과서의 주제별 내용전개방식과 교사의 차시별 수업과정이 유사하여 학습차시 설정이나 차시별 동기유발의 의미 등 기본적인 수업전개의 혼란과 갈등을 가져오며, 교과서 서술방식 또한 학습자의 흥미나 수준, 사고력 측정 등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사고 활동을 강조했던 기존의 사회 수업을 객관적 지식과 명료한 학습내용을 강조하는 수업, 학습내용과 활동을 정리·확인하는 수업, 차시 재구성을 필요로 하는 수업, 지적목표에 치중하는 수업으로 변화시켰다. 있다. 한편 교사들은 기존에 활용하던 교수 방법이나 전략, 사회과 수업에 대한 교사의 신념, 학습자의 흥미에 대한 배려 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개정 교과서의 내용구성방식을 수용하려는 의지와 별개로 이전 수업의 교수학습방법이나 학습자관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앞으로 교과서와 수업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교사들은 개정 사회교과서가 추구하는 사회과 수업을 인지하고 정확한 해석과 비판적 사고를 통하여 교과서를 새롭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사회과교육 연구자들은 개정 사회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비판적 검토를 수용하고 나아가 새로운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시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학 관련 내용 분석

        유종열(Yu Jongyou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0 사회과교육 Vol.49 No.2

        이 연구는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맞추어 개발된 15개의 사회 교과서 중 10개 교과서를 선정하여 사회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0개 교과서 모두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학 관련 내용 요소들을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교과서별로 반영하고 있는 학습 요소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동일한 사회학적 개념에 대해서도 서로 다르게 설명하는 내용 요소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검정 교과서 제도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교과서별로 다루는 내용 요소에서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학생들이 혼란을 느끼게 된다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특히 입학시험이나 전국 단위 학력 평가에서 시비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에 ‘최소필수내용요소’를 제시하거나 내용 편성은 교과서 집필자에게 맡기는 대신, 입학고사나 전국단위의 학력평가는 ‘최소필수내용요소’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관리한다면 교과서간 기술 내용의 차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이와 함께 사회과 교사들이 다양한 교과서에 수록된 사회학 관련 내용들을 종합적 파악하여 수업에 임한다면 교과서별 내용 차이에서 오는 부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comparatively analyze how the 7th graders’ social studies textbooks embrace the sociologyrelated units on the basis of the revised 2007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elected ten textbooks among fifteen newly edited ones. All the books in the study embodied substantially the contents that 2007 curriculum recommends. Each textbook, however, presented different details with regard to particular contents. In addition, the same contents even revealed differentiation in terms of way of explaining or delivering meanings. Different factors in textbooks have possibility of making students confused. This might discolor advantages of the system of authorized textbooks. For the compensation of the defect, it is recommended to identify ‘minimal learning contents’ and introduce the hierarchy of the concepts included in textbooks, on the basis of which evaluation questions should also be developed.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 및 교과서 집필․활용 과정에 대한 성찰과 차기 교과서 집필을 위한 시사점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이윤정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2 시민교육연구 Vol.5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elementary school textbook by reflecting on various cases I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social curriculum, writing and utilizing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is was done by multiple different subjects, but in reality, the decisions made in each process are organic and continuous processes that affect the next step.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next textbook writing,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process from a holistic perspective by linking it with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field utilization processes. To this end, this study has reviewed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writing, including interviews with textbook publishers and writers, reviews of textbook writing, and examples of textbook usage by field teachers, as well as reflected various problem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nd applying the curriculum to the field. In order to write high-quality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flexibly reflect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by subject in consideration of school level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development stage. In addition, practical educational content and activities that utilize the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the purpose of general opinions should be devised, the role of the committee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overlapping elements of each area should be preemptively adjusted when developing the curriculum. Procedures should be prepared to explain the main intention of revising detailed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area, and rational 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writing-related subjects should be establish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moothly revise and supplement textbooks through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and to reconsider the role of fiel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in order to expand their internal participation by exercising their ‘social pedagogical imagin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 집필 및 활용 과정에서 필자가 경험한 다양한 사례들을 성찰하여 차기 초등 사회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과정 개발과 교과서 집필·활용은 서로 다른 주체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실제로는 각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결정들이 다음 단계에 영향을 주는 유기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이다. 따라서 차기 교과서 집필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교과서 집필 과정을 교육과정 개발 및 현장 활용 과정과 연계하여 총체적인 관점에서 탐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출판 관계자 및 집필진들과의 면담, 교과서 집필진들의 집필 후기, 현장 교사들의 교과서 활용 사례 등을 검토한 후,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구현되어 현장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문제점들을 성찰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질 높은 초등 사회과 교과서를 집필하기 위해서는 사회과 교육과정 개발단계에서 학교급을 고려하여 국가·사회적 요구사항을 주제별로 유연하게 반영해야 한다. 그리고 사회과의 본질 및 총론의 취지를 살리는 실질적인 교육내용과 활동을 구안하고, 각론조정위원회의 역할을 강화하여 교육과정 개발 시 영역별 내용 중복 요소를 선제적으로 조정해야 한다. 또 영역별 세부 성취기준의 주요 개정 의도를 설명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집필 관련 주체들 간의 합리적이고 직접적인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 나아가 재정과 행정상의 지원을 통해 교과서 수정 및 보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하며,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에 참여하는 현장 교사들이 ‘사회교육학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내적 참여를 넓힐 수 있도록 역할을 재고해야 한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황홍섭(Hong-Seop Hwang),조현식(Hyun-Sik Ch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3

        본 연구는 초등 디지털 교과서 연구학교에 보급되고 있는 2009개정 3∼4학년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의 현장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검토하여,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연구학교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를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사들에게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을 통한 문제점, 수업관찰 및 분석을 통한 문제점 등을 검토한 후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과 수업에 변화를 주기가 쉽지 않았다. 특히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한 커뮤니티 및 소셜 네트워크 등의 기능을 가진 위두랑 서비스의 개선이 시급한 것을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교과의 구성 특성상 다양한 멀티미디어 요소를 탑재하되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학습주제와 적합성, 치밀성, 정교성, 해상도 등을 개선하여 학생과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3∼4학년의 경우 지역화 차원을 감안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안내 및 제공이 필요하다. 평가에 있어서 형성평가가 누적되어 학생들의 평가 결과가 포트폴리오 형식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디지털 교과서의 용량이 너무 커서 사용상의 불편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체적인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스트리밍 방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사회과 디지털 교과서와 연계한 다양한 App자료들을 교사와 학생들에게 안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들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review the problems in accordance with the field application of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which have been supplied into the elementary research schools and suggest the improvements of the problems. In other words, the improvements were suggested after the review of the questionnaires to teachers, problems through in-depth research, the problems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and analysis in the process of the field application of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are not easy to change the school lesson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Especially, it is urgent to improve the services of Widurang with the capabilities of community and social networks. And the digital textbooks should give practical help to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improvements of suitability, precision, sophistication, etc. as regards of learning topics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through loading a variety of multimedia element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need to be managed to portfolio form through accumulation of the formative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function should be improve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treaming type to reduce the overall capacity to improve inconvenience of use due to the large capacity of the current digital textbooks. It needs to be used in a variety of smart devices as well. And found that training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guide teachers and students in a variety of digital textbooks and social studies in conjunction App ID and you can use it. This study shows that the training programs which can guide various App items in connection with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to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

        초등 사회과에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 탐색 -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에 담긴 시사점을 토대로 -

        조의호(Eui Ho Jo),한춘희(Choon Hee Han)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tionwid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To this end, we theoretical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textbook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arold Rugg's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Based on this, w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nationwide textbooks and devised the principle of developing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suitable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analysis of Harold Rugg's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principle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ection of alternative educational content considering the curriculum standards, second, integrated topic-oriented approach, third, the composition of reading materials by storytelling and step-by-step questions aimed at student inquiry, and fourth, textbook production and post-supplement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students. Based on this principle, the researcher developed a 'classroom textbook' by teachers for some of the contents of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used it for class, and confirmed the response of students and fellow teachers to the 'classroom textbook.' The possibility of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as follows. First,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provide the possibility of realizing social studies classes suitable for classroom students. Second, 'classroom textbooks' by teachers provide the possibility as a useful tool to realize alternative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led by teachers and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기존 전국 단위 검정 사회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교사에 의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교실교과서의 성격을 탐색하고, 미국 사회과교육의 역사상 혁신적이며 초등 사회과 정립에 이바지한 것으로 평가받는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기존 전국 단위검정 교과서의 한계를 규명하고, 해럴드 러그의 사회 교과서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교육에 적합한 ‘교실 교과서’ 개발 원리를 구안하였다. 구안한 원리로는 첫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고려한 대안적인 교육내용 선정, 둘째, 주제 중심의 영역 통합적 접근, 셋째, 학생 탐구를 지향하는 이야기체 서술의 읽기 자료 및 단계적 질문 구성, 넷째, 교실 학생의 특징을 고려한 교과서 제작 및 사후 보완이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초등학교 4학년 2학기 일부 내용을 대상으로 교사에 의한 ‘교실 교과서’를 개발하여 수업에 활용하였으며, ‘교실 교과서’에 대한 학생과 동료 교사의 반응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초등 사회과에서 향후 ‘교실 교과서’의 가능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교과서’는 기존 전국 단위 검정 교과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실 학생에게 적합한 사회과 수업을 실현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둘째, ‘교실 교과서’는 교사와 학생이 주도하는 대안적인 초등 사회과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써 그 가능성을 제공한다.

      • KCI등재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 분석

        홍미화,곽혜송,정태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n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research. The research literature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this study: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extbooks, composition system of textbooks,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and development and writing of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hat deals with students’ understanding and textbook writers’ recognition of textbooks. Second, there are no follow-up studies that reflect and evaluate the findings in textbook research. Thir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other textbooks such as the atlas and local textbook.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extbooks by various subjects related to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retrospective research which evaluates whether tasks proposed in each study are really reflected in improving social studies textbook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집한 연구물을 첫째, 교과서 인식 및 활용 연구, 둘째, 교과서 구성 체제 연구, 셋째, 교과서 내용 분석 연구, 넷째, 교과서 개발 및 집필 연구 등 네 가지로 범주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초등 사회과 교과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에 비해 학생들의 교과서 인식이나 교과서 집필진의 인식 등을 다루는 연구는 부족하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다수임에도 불구하고, 연구 결과를 교과서 개발과 연구에 반영하고 평가하는 후속 연구는 부재하다. 셋째, 사회과 수업에 활용되는 교과용 도서 중에서 사회 교과서에 관한 연구 비중은 매우 높은 반면, 이를 지원하는 사회과 부도나 지역화 교과서 등에 대한 연구의 비중은 낮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와 관련된 다양한 교육 주체의 교과서 인식과 활용 관련 연구, 각 연구에서 제안한 과제가 사회과 교과서 개선에 실제로 반영되었는가를 평가하는 후향적 방식의 교과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고등학교 사회과교과서 경제영역에 나타난 성역할의 변화

        조혜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이화교육논총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vestigate how much fixed idea of gender role related division of labor between male and female or gender-bias is included or improved in the textbook of economic area in the soci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to check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gender role during the period and to search desirable method for improvement. For this objective, first, I analyzed the contents of social study text books related economic area from the 2nd curriculum to the 7th curriculum. Second, I investigated the relation between the gender role indicated in the textbook of each period and the socioeconomic change. The gender role in the textbook, especially the phenomenon of division of labor by gender, was analysed. The result of analysis were: First, the rate of male and female shown in the textbook was 3:7, which was lower than 4:6, the rate of male and female discovered by analyzing all textbooks of high school in the 6th curriculum. This conclusion shows that female is implicitly excluded especially from economic area among diverse areas.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two-part structure still exists in the economic activity, namely, male as manufacturer and female as consumer. Third, the fixed idea on traditional gender role in the occupation of cast is still demonstrated. Namely, high ranking position is occupied by male and low ranking position is occupied by female. In the 34 chapters related economic area of high school textbooks from the 2nd to 7th curriculum, only 4 chapters explicitly refer to transition of position or role of female, It seems that this result intentionally excludes the problem exposed in connection with economic activity of female. Meanwhile, checking the socioeconomic changes and gender role from 1960 to the end of 1980, the period of the 5th curriculum, it turned out that the rate of female cast in the textbook that may indicate regular part of balance between genders h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ome level and increment of female's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activity. This suggests that the labor force of female was socially needed in the high growth period initiated by government in 1960s and 1970s as well as the female cast increased notably in the textbook as such tendency was reflected in the textbook. Namely, it was emphasized that low wage and monotonous labor needed to be maintained for the then economic development. As a result, compared to the 6th and 7th curriculum, the rate of female working as simple laborer or assistant in the 3-5th curriculum was much higher, intensively concentrating on low-ranking job of service and production. In the 6th and 7th curriculum after 1990s, the income level and female's rate of participating in the economic activity constantly increased, buy the rate of female cast was still in the level of 30% since 1980s. However, contents of textbook related to sexual inequality was improved in this period. It seems that the increment of female's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job and decrement of female's simple labor service may suggest the reflection of equivalent viewpoint for both sexes. 본 논문은 사회과 교육 중에서도 특히 경제활동 영역에 있어서의 교과서 내용이 남녀의 역할분담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 혹은 성별 편중성이 얼마나 담겨있고 개선되고 있는지에 대해 양성평등적 시각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 그 기간의 사회경제적 발전수준과 성역할 변화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바람직한 개선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제2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의 사회과 교과서 내용 중 경제영역 단원을 분석하고, 둘째, 각 시기별로 교과서에 나타난 성역할이 사회경제적 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현대사회에서 성역할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여성의 사회 참여에 대한 욕구도 높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사회에서도 여성의 사회 참여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화과정에서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구조에 있어서의 기회의 차별, 임금, 승진, 직업배치에 있어서 차별대우를 받고 있는 성차별의 구조가 현저히 드러난다. 그렇다면 이렇게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의 흐름을 사회과는 얼마나 잘 반영하고 변화할 미래 사회를 대비하고 있는가?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대표하며 교육내용을 전달하는 기본도구로 그 사회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경제,정치, 사회 상황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또한 교과서는 학교에서의 성역할 사회화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나는 성고정적인 표현방식이나 남성 중심적인 이미지는 학생들에게 전통적인 성역할 고정관념을 강화시키며, 앞으로의 진로선택이나 사회활동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여성고급인력의 경제활동비율이 여타 선진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감안할 때 사회과 교과서에 담겨있는 성편향성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제까지 여성들의 경제교육은 소비자로서 여성을 규정한 바에 의하여 실시되었다 그러나 여기에 여성의 존재방식을 제한시키는 문제가 표출되며 여성은 더 이상 소비자의 위치에만 놓여있지 않다. 경제와 사회생활에서 획일적인 생산자와 소비자의 구분은 퇴색되어 가고 있다. 여성은 소비자인 동시에 생산자로 해석되며, 특히 생산자인 여성으로서의 역할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에서 교과서에 나타난 성역할,특히 성별 분업 현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등장인물의 성별분포와 비중 변에서 살펴보았을 때 교과서에 등장한 남녀의 비율은 3:7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6차 교육과정 시기 고등학교 전체 교과서를 분석하여 나타난 남녀 등장인물 비율인 4:6에 못 미치는 수치로서 이는 다른 영역보다 특히 경제영역에서 여성을 암암리에 배제시키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경제활동에 있어서 남성은 생산자,여성은 소비자의 이분법적 구조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등장인물의 직업에 있어서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드러내고 있었다. 즉 고위직은 남성, 여성은 하위직이라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끝으로 고등학교 경제영역의 단원에서 여성의 지위나 역할 변화와 관련하여 명시적으로 언급한 단원은 2차부터 7차까지의 경제영역을 다룬 단원 총34개 단원 중에서 4개 단원뿐이었다. 이것은 여성의 경제활동과 관련하여 드러나는 문제를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이상의 교과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현재의 사회과 교육의 경제교육을 통하여 성별 분업 현상을 정당화하는 교육과정이 제공된다고 할 수 있다. 사회과 교과서 내용을 통해 경제영역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완화 ·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성별 불평등 현상을 유지하는데 기여하는 역할을 하는 면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의식적으로 양성평등적 시각에서 성간 균형을 맞추기 위한 노력이 교과서 제작과정에서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편 사회경제적 변화와 성역할을 살펴보면 1960년부터 1980년대 후반 제5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기까지를 보면 소득수준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와 비례하여 성간 균형성을 일정부분 나타낼 수 있는 교과서의 여성 등장인물 비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은 1960·70년대 정부주도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며 여성의 노동력이 사회적으로 필요하였고, 이에 대한 교과서의 반영으로 여성 등장인물 비율의 큰 증가로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즉, 당시 경제발전을 위해 저임금과 단순 노동의 유지를 강조하였고, 그 결과 3-5차 교육과정기 여성은 단순 노동자, 보조자로 나타나는 비율이 6,7차와 비교했을 때 훨씬 많은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지위가 낮은 서비스직, 생산직 등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의 제6,7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면 소득수준과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은 계속 해서 증가하고 있지만 여성 등장인물의 비율은 1980년대 이후에 나타난 30% 수준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이 시기에 성 불평등과 관련하여 교과서 내용의 개선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남녀 직종 분포에 있어 여성의 입법 관리직 수가 증가했고 단순노무직의 숫자가 감소하였다는 것은 양성평등적 시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사회과 교과서의 내용 중 특히 경제영역의 부분은 다른 영역에 비해서도 성간 불균형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과서 내용을 구성함에 있어서 특히 삽화나 자료사진의 부분에서는 성간 균형을 의식적으로 고려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겠다. 또한 명시적으로 사회경제적으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독려하고 이를 위한 사회적 뒷받침이 있어야 한다는 여성의 역할과 지위의 변화에 대한 내용이 경제영역과 관련지어 교과내용에 선정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의 구성 체제 분석

        이경윤(Lee Kyung-Yoon),한춘희(Han Choon-H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미국 초등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3종의 구성체제를 분석하고, 한국의 사회과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은 문헌 분석 연구이다. 교과서 분석 기준은 이종일 등(2004)의 연구에서 사용한 분석 기준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단원 목차. 단원 도입, 단원 전개, 단원 마무리로 나누어 단원의 구성체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McGraw-Hill, Scott Foresman, Harcourt사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공통적인 특징이 있었다. 첫째, 미국 사회과 교과서 3종 모두, 수업의 도입이나 마무리에서 학습 내용과 연계할 수 있는 다양한 문학 작품을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미국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체계적으로 지도 기능, 읽기 기능 등 구체적으로 기능들을 소개하고 있었다. 셋째, 미국 사회과 교과서에서는 단원 도입에서 학생들의 배경 지식을 활성화하고, 단원의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해 매우 구체적으로 알려주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종합해 보면 미국의 사회과 교과서는 한국의 초등 사회과 교과서와 비교하였을 때, 보다 학생들이 공부할 방향에 대해서 친절하게 안내해 주고, 자기 주도 학습을 촉진하는 교과서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차후 사회과 교과서 개발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 Purpose: A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unit framework of three social studies textbooks published in America and to find meaningful suggestions necessary for the revision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Method: Research method is was the analysis of the literature. The main criteria for analyzing textbooks was followed the criteria used in Lee(2004)’s study.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unit table, factors of the unit, description of the text, organization of the uni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American social studies’ textbooks provide various literature associated with the unit. Second, American social studies’ textbooks provide skills that are helpful for achieving the goal of the class. Third, American social studies’ textbooks provide various materials to help students have various background knowledge.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study textbooks and to reflect good points on the revision of the textbooks.

      • KCI등재

        초등 사회교과서 관련 연구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즈음하여

        윤요순(Yo-sun Yun),홍미화(Mi-hwa Hong)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3 사회과수업연구 Vol.11 No.1

        AI 디지털교과서를 교육현장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AI 및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초등 사회과를 비롯한 각 교과에 어떠한 교과서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우선적으로 탐색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기존의 초등 사회교과서 및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한 연구들은 대부분 교과서에 대한 관념이나 당위성, 혹은 형식적 측면에 치우쳐 수행되어 왔기에 새로운 교과서에 실질적인 기준이나 시사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사회교과서에 대한 기존의 인식과 활용 방식인 담론과 그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그동안 초등 사회교과서는 모범(example) 또는 자료(text)로서 인식되거나 활용되는 지배담론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첫째, 초등 사회교과서의 모범(example) 담론은 객관적 지식을 중시하여 사회과 내용 지식을 습득하는 방식의 수업을 양산하였다. 둘째, 초등 사회교과서의 자료(text) 담론은 교과서 활용에 대한 판단을 교사 개인이 일임함으로써 교과서와 관계없이 교사 역량에 따라 수업이 좌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관련하여 첫째, AI디지털교과서의 개발은 지식 및 기능을 직접 수록하는 방식을 탈피해야 하고, 둘째, 학생의 경험과 맥락을 학습에 반영할 수 있는 초등 사회교과서의 상을 구상해야 하며, 셋째, AI 디지털교과서의 매체적 특성을 활용하여 학습을 극대화하는 초등 사회교과서를 구현해야 한다. To introduce AI digital textbooks into the educational field, it is required to first explore which textbooks are desirable to develop for each subject, includ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by applying AI and digital technology. However, studies on exist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digital textbook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ly on external aspects such as ideology, necessity, form, and system, and thus do not provide practical standards or implications for new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discourse, which is the existing method of recognizing and utilizing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explores the problems in depth. As a result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tendency to recognize and utiliz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s an example or text, that is, a dominant discourse. First, the example discourse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mass-produced classes in which social studies content knowledge was acquired with emphasis on objective knowledge. Second, the discourse on the tex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left the judgment on textbook utilization to individual teachers, resulting in classes being influenced by the teacher's capabilities regardless of the textbook. From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I digital textbooks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can be obtained. First,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method of directly recording knowledge and skill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ceive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that can reflect students’ experiences and contexts in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at maximize learning by utilizing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AI digital textbooks.

      • KCI등재

        남북한 사회과 교과서 비교 분석을 통한 상호이해교육 방안 탐색

        옥일남(Ok, Il-Na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4 사회과교육 Vol.53 No.4

        본 연구는 남북한 초·중·고 사회과 관련 교과서의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상호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통일 논의 및 상대 체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초·중·고 교과서를 선정하였는데, 그 대상은 북한 교과서로는 도덕 및 지리 교과서이며, 남한 교과서는 도덕, 사회, 지리 교과서이다. 그리하여 상호 간에 통일 논의 및 상대방에 대해 어떤 내용을 중심으로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 교과서에서는 김일성·김정일의 교시에 따라 핵심 내용이 소개되는 우상화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또한 남한 사회에 대해 극단적인 비방을 통해 사회주의 체제를 찬양하고 있었다. 남한 교과서에서는 특히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통일에 대해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다. 이를 포함한 남한 사회과 관련 교과서에서는 통일의 필요성, 통일의 혜택, 통일을 위한 남북 교류의 과정, 지향하는 통일의 방향,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해 등을 약간씩 담고 있으며, 북한의 이해를 위해 자연환경이나 북한의 개방지역, 비무장지대의 이점을 소개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남북한의 질적인 상호이해와 점진적인 소통을 위해서는 남북한의 시각을 교육하는 방안, 남북한 문화 이해 교육, 남북한 체제 이해 교육, 남북한 사회 이슈 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내용을 다루기 위해 다양한 수업 방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exploration of inter-Korean mutual understanding education through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textbooks’ analyses. I analyzed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and the other system’s contents with south and north Korea Social Studies textbook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is study found some leading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 textbooks. Firstly, idolization education with teaching by Kim Ilsung·Kim Jeongil in North Korea textbooks is suggested. Secondly, praise of the socialist system in North Korea is suggested through radical slander of capitalistic system in South Korea. This study also found some leading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textbooks. Firstly, most of all, unification contents of South and North is emphasized in elementary Morals textbooks.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in South Korea including Morals emphasized necessity of unification, benefit of unification, process of ex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expected direction of unification,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They also dealt with natural environment including Baekdusan, North Korean opening region, advantage of a demilitarized zone. Therefore, teaching of Southern-Northern perspectives, 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understanding education of Southern-Northern system, education of Southern-Northern social issues are required to develop inter-Korean mutual understan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