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체 돌봄으로서 사회적 농업의 특성 : 완주와 제주의 사회적 농장 사례를 중심으로

        이현진,김흥주,김자경 한국농촌사회학회 2024 農村社會 Vol.34 No.1

        한국에서 사회적 농업은 정책적으로 빠르게 추진되고 법 제도가 정비되면서 양적으로 성장하였지만, 사회적 농업 실천 현장에서 느끼는 정체성의 혼란은 가중되고있다. 농업과 돌봄 활동이 한 공간에서 이뤄지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농업의 정책과 제도화 경로의 과정에서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사회적농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가치를 공동체 돌봄의 논의를 통해 파악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개념인 공동체 돌봄에대해서 분석했다. 공동체 돌봄은 개인과 가족에게 지워진 돌봄을 국가와 시장에만의존하지 않고 지역에서 함께 대응하는 것이다. 공동체 돌봄의 특성으로 사회적 농업의 정체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적 농업은 당사자와 지역주민이 지역에서 더불어 살아가는(주체성) 일상 속에서, 서로 의지하면서 다양하게 상호지원할 수있는 연결망을 구축하고(연결성), 연결된 이들이 강한 유대감을 형성하거나 느슨하지만,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농업 활동을 통해 교류하는(관계성), 사회 인프라로서 돌봄의 장(자산기반성)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공동체 돌봄의 특성을 4가지로 추출하여, 이 특성이 실제 사회적 농업을 실천하는 현장에서 어떻게 구체화하는지 완주와 제주의 사회적 농장 사례를 분석했다. 두 곳의 사례를 통해 공동체 돌봄의 특성이공통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지역주민들이 핵심 주체로 등장하며, 농업과 비농업 분야와 다양한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속적 관계를 통해 사회적 농장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고, 교량적 관계를 통해 참여자들의 삶의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돌봄의 장소로서 농장은 지역 공동체의 소중한 자산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농업은 공동체 돌봄으로서가능성을 보이는 것은 확실하다. 물론 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사회적 농업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도 상당히 많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적 농업의 실천 현장에서느끼는 혼란을 해소하는 데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Korea, social agriculture has experienced rapid quantitative growth and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policy initiatives and legal frameworks. However, there is increasing confusion regard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in practical settings due to the convergence of agricultural and care activities within the same spa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during the process of policy and institutionalization by understanding the direction and values it should pursue through discussions on community care. To achieve this, firstly, the concept of community care, which is crucial for construct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was analyzed. Community care involves collectively addressing care needs in the local community rather than solely relying on the state or market. Summarizing the identity of social agricultur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are, we can define it as follows: (Agency) Stakeholders and local residents living together in the community's everyday life. (Connectivity) Building interconnected networks enabling diverse mutual support, relying on each other. (Relationality) Fostering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or, albeit loose, intimacy among connected individuals through agricultural activities. (Asset-based community care) Serving as a social infrastructure for care. Secondly, four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ar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of social farms in Wanju and Jeju to understand how these characteristics are embodied in the practice of social agricult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commonly manifested in both cases. Local residents emerge as central agents, forming diverse networks across agricultural and non-agricultural domains. Through enduring relationships, social farms ensure sustainability, while transitional relationships initiate changes in participants' lives. Moreover, as sites of care, farms emerge as valuable assets to the local community. It is evident that social agriculture holds potential as a form of community care. However, it's worth noting that there are significant challenges faced by social agriculture in practical settings, which were not extensively cover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albeit to some extent, to resolving the confusion experienced in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social agriculture.

      • KCI등재

        수학적 연결성 구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 조사

        김유경 한국학교수학회 2013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6 No.3

        본 연구는 수학적 연결성 구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실태를 살펴보고자 지역별 학 교 수에 비례하여 층화 군집 표집을 실시하여 28개 학교, 567명의 교사들의 설문지를 분석하였 다. 그 결과 수업에서 구현할 수학적 연결성으로 사회적 연결성에 비해 지적 연결성에 대한 인 식이 높았으며, 지적 연결성 하위 내용 중에는 실생활과의 연결에 대한 인식이 높았고 실제 수 업에서도 가장 많이 구현한다고 응답하였다. 연결의 방법으로는 다양한 연결을 사용하였으나 추론, 학생들의 활동 결과 반영 등의 방법에 활용도가 낮았고 지원을 필요로 하는 자원으로는 실제 수업 사례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수업에서 수학적 연 결성을 구현하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lementation of mathematical connection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in a random sample across the country, an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567 teachers from 28 elementary school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eachers recognized intellectual connections more than social connections as mathematical connections need to be done in class. They recognized that connections between mathematical concepts and real-life in intellectual connections were realized more frequently in mathematics classes. In the methods of mathematical connections, the use of reasoning and reflection of students' activity results did not occur frequently. For resources many teachers wanted practice giving real lesson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implementing mathematical connections.

      • KCI등재

        온라인 상품에서 사회적 배제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향이,이희태,배정호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2

        This research examines whether and how socially excluded experience affects word of mouth intention of different channels(online vs. offline). We conducted a survey using a priming method of social condition(excluded & non-excluded) to find the support that socially excluded an individual, compared with non-excluded, exhibits greater intention of sharing product information by offline channel. This effect is mediated by social connectedness which been reinforced after the socially excluded experience. The study also predict that social exclusion affects online WOM intention which the effect is mediated by motive of approval seeking. But the resul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pproval seeking between excluded and non-excluded condition, as thus no significant effect has been proven that social exclusion affect online WOM. But the research found by examining indirect effect of each path using bootstraping analysis the difference of WOM motives between two different channels. Social connectedness has significant effect only on offline WOM, approval seeking motives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ffline WOM bu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line WOM. It implies that people tend to share product information online for approval seeking, but face to face when they need to feel socially connected with others. Furthermore, the research propose that whether socially excluded individuals need more social connectedness or recognition depends on whether they perceive the cause of the exclusion internal or external. The result pres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connectedness between two kinds of locus of causality, but significantly higher motives of approval seeking found in external causality.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배제된 소비자 집단이 구전이라는 마케팅 활동에 기여할 수 있을지에 의문을 제기하고 이에 사회적 배제의 경험이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구전채널별 구전의도에 대한 영향을 사회적 연결성과 인정추구라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는 설문과 프라이밍 기법을 통해 진행 되었으며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배제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오프라인 구전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사회적 배제가 오프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연결성의 매개효과를 확인 하였다. 둘째, 사회적 배제의 경우 인정추구동기를 거쳐 온라인 구전의도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하였으나 가설은 기각되었고 인정추구가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은 확인 되었으나 사회적 배제가 인정추구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 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적 차이라는 외생변수의 존재가능성을 예측하여 응답자 샘플을 국적별(한국 vs. 중국)로 나누어 추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중 한국인 샘플에서 가설과 반대되는 양상을 발견하였다. 셋째, 구전채널 별 구전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 되었다. 넷째, 사회적 배제의 귀인초점에 따른 심리적 메커니즘의 차이를 비교분석 결과 외적 귀인의 경우 내적 귀인의 경우보다 인정추구동기가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확인 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방식이 환경관여행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성을 중심으로

        이선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3 한국청소년연구 Vol.34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different types of digital media use influence adolescents’ social connectedness and subsequently their level of environmental engagement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adolescents’ social connectedness (i.e., isolation from friends and neighborhood connectedness) and their pro-environmental behavior. It did this by categorizing their digital media usage based on how they use digital media (i.e., entertainment use vs. informational use). Utilizing the longitudinal data from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Korea (i.e.,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is study found that adolescents’ informational use of digital media increased the overall level of neighborhood connectedness, while showing no relationship with isolation from their friend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tertainment use of digital media had no relationship with respondents’ feelings of isolation from their friends, while it also decreased neighborhood connectednes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respondents’ feeling of isolation from friends had no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involvement, nor with actual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neighborhood connectedness positively predicted both respondents’ environmental involvement and actual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activities. Finally, environmental involvement positively predicted the actual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activities. The potenti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in the present report.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인 청소년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해 다양한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디지털 미디어 이용 목적에 따라 이들의 환경관여행위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사회적 연결성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청소년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목적을 정보적 목적과 오락적 목적으로 분류해 사회적 연결성(예: 친구나 이웃과의 연결성)과 환경관여행위(예: 환경의 중요성, 환경참여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 데이터(2015년-2016년)를 이용해 제안된 관계를 검증한 결과, 오락적 목적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과 정보적 목적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모두가 친구로 부터의 고립감과 통계적으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적 목적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이 이웃과의 연결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락적 목적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은 이웃과의 연결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이웃과의 연결성은 환경보호의 중요성과 환경활동 참여 모두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구로 부터의 고립감은 환경의 중요성 인식 뿐 아니라 환경활동참여와도 통계적으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환경의 중요성 인식은 환경활동참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청소년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 목적에 따른 사회적 연결성과의 관계, 나아가 환경참여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사람들은 금전기부를 선호하는가? 시간기부를 선호하는가?

        오민정(Oh, Min Jung),박기경(Park, Kikyoung),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이 어떤 기부유형을 선호할 것인가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자들은 기부유형을 금전기부와 시간기부로 구분하고, 일반적인 통제 상황의 기부자들과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 간에 선호하는 기부유형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기부유형 간 선호도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에 대한 기부 메커니즘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들은 시간기부를 더 선호하였으며, 일반적인 통제 상황의 기부자들은 금전기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선호기제로 사회적 배제 상황에서는 사회적 연결성이 기부의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 상황에서는 인상관리가 기부의도 메커니즘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부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 기부자들은 심리적 비용 때문에 시간보다 금전 기부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기부자들은 금전기부보다 시간기부를 통해 자기효능감, 자아성찰, 행복감, 그리고 심리적 웰빙과 같은 궁극적인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기부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기부자와 수혜자 모두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기부수단이 요구되는데, 그 수단 중 하나가 바로 시간기부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해본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지속적인 기부문화 확립을 위해 시간기부를 독려하기 위한 기부전략이 요구됨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사회적 배제를 지각한 기부자와 일반 기부자를 대상으로 한 차별적인 기부메시지가 필요함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또한, 고령화와 같은 사회문제의 해결책으로 기부를 접목시켜 살펴봤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focused on what type of donation would be preferred by donors who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Specifically, this study classified donation types as monetary donations and time donations, and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donation preferred between donors with general control and donors who perceived as social exclusion, and we confirmed the donation mechanism for the reason for difference in preference between donation types. As a result, donors perceived social exclusion preferred time donations, and donors with general control preferred money donations. Specifically this preference mechanism showed that social connectedness works as a donation intention mechanism in the social exclusion situation, and in the control situation, the self-image works as the donation intention mechanism. Particularly, in donation studies, donors have been found to prefer money donations over time because of psychological costs. However, donors can get the ultimate benefits such as self-efficacy, self-reflection, happiness, and well-being through time donations rather than money donations.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 sustainable donation culture rather than a one-time don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donation means for both the donor and the beneficiary, and one of the mean is time donation.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a donation strategy is needed to encourage time donations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donation cultur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a different donation message is needed for donors and general donors perceived as a social exclusion. In addition we can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 from the fact that we can apply donation as a solution to social problems such as aging.

      • KCI등재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양상 및 지역사회와의 연결성 강화 방안

        김나영(Nayoung Kim)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1 No.-

        After analyzing the social network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this study proposed a plan to strengthen connectivity with communities. To this en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single-parent migrant women living in Korea. Based on the data obtained, an in-depth 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was attempted through the analysis of grounded theory. Participants in the study became single-parent migrant women by breaking off relationships with their spouses and in-laws due to unsatisfactory marriage. They faced a gap in the network as they fled from their previous environment and were placed in a new space of life. These changes broke the homeostasis of migrant women’s lives and exposed them to multiple vulnerabilities on solving problems such as child rear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economic and housing alone. However, single-parent migrant women were living a subjective life, coping with these difficulties by using a network of relationships.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derive atrophy,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types from the paradigm of social network formation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the three types appeared overlapped.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the community, this study proposed three suggestions: (1) to support high-quality social support from the official network, (2)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ojourn status for single-parent migrant women, and (3)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single-parent migrant wome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curriculum so that it will help social workers to recognize clients with migration background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network. This study also suggests the need for social workers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hrough empowerment education. 본 연구는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을 분석한 뒤, 지역사회와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거주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설문조사 및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사회적 지지의 양상 등 관계망의 기능적 특성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만족스럽지 않은 혼인 생활로 인해 배우자 및 시댁과의 관계를 단절하면서 한부모 이주여성이 되었다. 이들은 이전의 환경으로부터 도피하여 새로운 삶의 공간에 놓이게 되면서, 관계망의 공백을 마주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이주여성의 삶의 항상성을 깨뜨리고, 자녀 양육, 심리적 곤란, 경제 및 주거 등의 문제들을 홀로 해결해야 하는 다중적 취약성에 노출시켰다. 하지만 한부모 이주여성은 외적 자원과 내적 자원들을 결합하여 재구성한 관계망을 활용하여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해나가며 주체적 삶을 꾸려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한부모 이주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형성 양상 패러다임으로부터, 위축형, 확장형, 전환형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세 가지 유형은 중첩적으로 나타났다. 한국 사회에 정주하는 한부모 이주여성은 이주민 집단과만 관계를 유지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기보다는, 한국인 집단과 교량적 유대를 형성하며 전략적으로 다차원적 사회적 관계망을 선택한다. 한부모 이주여성과 지역사회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공식적 관계망으로부터 양질의 사회적 지지를 확보하도록 지원할 것, 둘째, 한부모 이주여성의 체류자격 안정성을 보장할 것, 셋째, 한부모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할 것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 결과는 한부모 이주여성과 같이 사회복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등장한 이주 배경을 지닌 클라이언트를 지역사회 관계망의 일원으로 인식하는 다문화 사회복지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현장의 사회복지사에 대한 역량 강화 교육 활성화를 통해 전문적 지식 및 기술 증가의 필요성을 보여주었다는 교육적 함의를 가진다.

      • KCI등재

        수혜자의 슬픈 표정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감정적 경로와 인지적 경로 고찰을 중심으로

        박종철 ( Park Jong Chul ),송현아 ( Song Hyun A ),이가현 ( Lee Ha Hyun ),조서희 ( Jo Seo Hui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수혜자의 슬픈 표정과 기부의도 간의 관계에서 감정적 메커니즘(동정심과 감정적 염려)과 인지적 메커니즘(공정성 지각과 사회적 연결성)에 대한 심리적 기제를 고찰하였다. 수혜자의 슬픈 표정이 동정심, 감정적 염려, 공정성 지각, 사회적 연결성을 매개로 기부의도에 미치는 통합모델을 분석하기 위해 지방소재 학부생 3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수혜자의 슬픈 표정은 동정심, 감정적 염려, 공정성 지각, 그리고 사회적 연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적 염려를 제외한, 동정심, 공정성 지각, 사회적 연결성 모두 기부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both affective process(sympathy, emotional concern) and cognitive process(perceived fairness and social conne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d expression of donee and donation intention. A model integrating sad expression, sympathy, emotional concern, perceived fairness, social connectivity and donation intention was tested using the data of 304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sad expression of donee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sympathy, emotional concern, perceived fairness, and social connectivity. Also, sympath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onation intention.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perceived fairness and social connectiv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onation intention.

      • KCI등재
      • KCI등재

        기부 감정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효과

        박종철(Park, Jong Chul),홍성준(Hong, Sung Jun)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수혜자의 표정이 유발하는 감정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으며, 수혜자의 표정이 유발하는 감정변수로 공감과 슬픔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들 두 변수가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감정전이가 유발된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다르게, 수혜자의 표정이 유발한 감정이 기부자들로 하여금 수혜자들도 사회 구성원이라는 인식을 유발할 수 있음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부수혜자의 표정이 유발하는 공감은 사회적 연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아가 기부수혜자의 표정이 유발하는 슬픔도 사회적 연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연결성은 기부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in this study we postulated that the social connectivity plays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nation emotion and the donation intention. So,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social conne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nation emotion and donation intention. A model integrating empathy, sadness, social connectivity and donation intention was tested using the data of 310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empathy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social connectivity. Also, the sadnes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al connectivity.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ocial connectiv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onation intention.

      • KCI등재

        소비자의 도덕적 정체성(내면성 vs. 상징성)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연결성과 인상관리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박종철,홍성준 한국유통경영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1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social connectivity and impression man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types of moral identity(internalization vs. symbolization) and donation intention. A model integrating two types of moral identity(internalization vs. symbolization), social connectivity, impression management and donation intention was tested using the data of 306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nalization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social connectivity. Also, symboliz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ression management.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social connectivity and impression managemen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onation int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적 정체성이 기부의도에 미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기존 연구를 토대로 도덕적 정체성을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한 후, 두 가지 차원(내면성 vs. 상징성)이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차별적 경로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내면성은 사회적 연결성을 매개로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징성은 인상관리를 매개로 기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사회적 연결성과 인상관리는 기부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